KR101286036B1 -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036B1
KR101286036B1 KR1020120070687A KR20120070687A KR101286036B1 KR 101286036 B1 KR101286036 B1 KR 101286036B1 KR 1020120070687 A KR1020120070687 A KR 1020120070687A KR 20120070687 A KR20120070687 A KR 20120070687A KR 101286036 B1 KR101286036 B1 KR 10128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moisture
insulating materi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세
김경민
신동필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코
Priority to KR102012007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25Sheets or foils allowing passage of water vapor but impervious to liquid water; house w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5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more then two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한 면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3)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하부 열반사층(32)을 접착시키며;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다른 한 면에는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2)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투습방수필름(4)을 접착시키고, 이 투습방수필름(4)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1)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보강층(6)을 접착시킨 다음, 이 보강층(6)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30/m2인 핫멜트계 접착제(24) 또는 필름형 핫멜트계 접착제(24)로 상부 열반사층(31)을 접착시켜 형성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 사용된 총 접착제의 함량이 20 ~ 70g/m2이고, 상부 열반사층(31)과 접착층(24)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1)을 30 ~ 100개/cm2로 형성시키며, 하부 열반사층(32)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2)을 10 ~ 50개/cm2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는 A, C, E, S-글라스, 실리카 섬유로 된 부직포형 펠트이거나 미네랄울, 락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투습방수필름(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 탄성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수지로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보강층(6)은 중량이 300g/m2 이하인 유리섬유로 된 직물, 부직포, 메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열반사층(31)(3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열반사층(31)(32)은 알루미늄박막,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가 알루미늄박막과 합지된 복합필름,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증착반사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상하부 열반사층(31)(32)을 이중으로 형성시킴에 의해 공기투과성과 투습성이 저해되지 않고 충분한 방수성을 나타내며, 큰 물방울은 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을 10개/cm2 이상 형성한 상부 열반사층(31)에서 방어가 되고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 작은 물방울은 상부 열반사층(31)을 통과하더라도 바로 하부에 존재하는 투습방수필름(4)에 의해 완벽히 방어된다. 그리고 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을 10개/cm2 이상 형성한 하부 열반사층(32)에서는 열반사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의 습기나 내부의 습기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어서 단열재의 양면이 전체적으로 모두 열반사 기능을 가지면서도 완벽한 투습방수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단열재에 전체적으로 사용된 접착제가 70g/m2 이하이기 때문에 불연시험에서도 완벽한 불연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중앙부위에 존재하는 무기섬유계 단열재(1)는 열에 대한 전도차단성이 높고 표면의 열반사층(31)(32)은 높은 반사율과 낮은 방사율에 의해 복사열에 대한 단열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의 구성이 가능하여 복합기능성 단열재로서 다양한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강층(6)에 의한 인장강도와 인열강도가 우수하여 시공 시 고정장치에 의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벽체나 천정 및 지붕에 설치한 후 무게나 바람에 의해 고정장치 주변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장치를 설치할 때 강도가 약한 제품에 비해 고정간격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 중이나 시공 후 보호를 위한 마감이 되기 전에 시공작업 상 불가피하게 사람이나 물건이 닿게 되어도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없어 시공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Incombustible and breathable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s with easy installing}
본 발명은 주로 건축용에 사용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최근 단열재의 단열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이 강화됨에 따라 단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각종 복합기능화를 추진하는데, 이러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중에서 기존의 단열성을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성에 대한 복합기능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그 기능의 개선수준이 매우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복합기능화 단열재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조 이외에도 목조, 스틸조 등의 건축구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산업용, 기기용, 자동차용, 선박용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단열재는 열전도에 의한 열전도현상만을 대상으로 하는 소재로서 대표적인 단열재로서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폴리에틸렌 발포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폴리우레탄 발포체, 고무 발포체 등과 같은 각종 유기물의 발포성 단열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유기섬유계의 부직포형태나 펠트형태의 단열재, 그리고 글라스울, 락울, 유리장섬유 등과 같은 무기섬유계의 부직포 또는 펠트형태의 단열재 등이 가장 보편적인 단열재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단열재는 열전도도가 낮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우수한 단열성을 나타내는 특성 때문에 부피단열재라는 용어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최근 들어 주택에서는 에너지의 효율을 개선과 소비를 줄이기 위해 단열재의 성능을 강화하는 추세인데, 기존의 전도를 기초로 하는 단열재는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복사열의 전달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열반사 기능을 활용할 경우 효율적인 단열성의 개선이 가능하다. 열반사 기능이란 복사형태로 유입되는 열에 대해 약 90% 정도를 표면 반사층에서 차단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부피단열재가 가지지 못하는 단열효과를 추가적으로 발휘하기 때문에 최근 단열재 시장에서는 기존의 부피단열재와 열반사 재질을 복합화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고 시장규모도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1178호(공개일: 2001. 10. 23)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폴리에틸렌폼이나 폴리스티렌폼 등과 같은 종래의 발포류 단열재의 표면을 알루미늄 처리된 반사층을 반복적으로 구성한 다층구조의 단열재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열재는 과도한 유기물의 함량에 의한 불연성의 저하 및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21592호에서는 부직포, 합성수지필름, 알루미늄 증착층, 합성수지류 필름을 반복적으로 배치한 단열재를 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불연성이 불량하고 복잡한 구조에 비해 단열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0628호(공개일: 2005. 9. 14)에서는 카본섬유와 실리카섬유로 구성되는 불연단열층의 상부는 부직포와 알루미늄 호일층을 위치시키고 그 하부는 알루미늄 펄층과 화학섬유 단열층을 위치시킨 건축용 불연단열보드를 제안하고 있으나, 단열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일부인 카본섬유와 실리카섬유만이 불연성일 뿐 나머지 성분들은 대부분 불연성이 아니어서 우수한 불연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6625호(공개일: 2005. 6. 16)에서는 PE나 PP제직천 상부는 코팅처리하고, 하부는 알루미늄 호일을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한 건축용 친환경 단열재를 제안하고 있으나, 유기물의 함량이 과다하여 불연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열성 또한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6906호(등록일: 2001. 11. 26)에서는 석재면에 유리섬유층과 공기주머니가 있는 열반사단열층으로 구성된 구조를 에폭시접착제로 접착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발명에서는 유리섬유를 석재보강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공기주머니가 있는 열반사단열층은 대부분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성분으로 인하여 불연성이 불량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당사에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424호와 제20-0409425호(등록일: 2006. 2. 15)를 통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표면의 열반사층에 미세 홀을 형성시키고 중앙의 무기 단열재와 100g/m2 이하의 열용융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불연성 열반사 단열재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투습성은 충분하나 방수성과 불연성이 충분하지 않아 건축 시 시공한 후 외부의 수분이 단열재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고 화염과의 접촉 시 안정적인 불연성 발현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 벽체나 천정, 지붕 등에 각종 고정장치를 이용해 고정 시공할 때 구성물질의 강도가 부족하여 작은 외력에도 쉽게 고정부위가 파손되기도 하고, 시공 시 시공된 제품 위를 시공자가 이동할 때 신발 자국에 의해 표면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기존의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을 강화하여 단열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투습방수성을 추가해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보다 장기간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재나 건축구조물의 흡습에 의한 부패, 부식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며, 아울러 불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높여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중에 파손이 거의 없는 복합기능성 단열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불연성 강화측면에서 보면 기존의 건축용 단열재는 스치로폼,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우레탄 등과 같은 유기계 부피단열재가 주로 사용되어지며, 해외 선진 주택시장에서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과 같은 무기섬유계 단열재가 주로 사용되어진다. 국내에서 사용되어지는 유기계는 가볍고 시공이 간편한 대신 화재발생시 화염전파가 빠르고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해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여 국내에서는 여러 차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런 단점으로 인하여 해외에서는 유기계보다 화재에 안전성이 다소 높은 무기섬유계 단열재가 많이 이용되어지지만, 이러한 무기계 단열재 또한 제조공정상 유기계 바인더를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므로 완전한 불연성을 발휘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최근 강화되고 있는 불연성 인증을 만족하기 어려우므로 불연인증의 각종 항목을 만족하는 성능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통상적인 단열재에 방수성의 복합화가 필요한 이유는 기존의 단열시장이 내단열이라는 명칭으로 건축구조물 내부나 벽체에 사용되어지는 용도가 주를 이루었으나, 단열기준의 강화라는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벽체외부에 시공하는 외단열 시공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외단열의 경우는 단열재 외부에 최종 마감재로 단열재를 보호하기는 하지만, 외부의 빗물이나 강풍에 수분의 접촉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물방울이 단열재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어 방수성도 하나의 기능성으로 시장에서는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방수성이 있는 단열재가 사용될 경우는 외부의 수분 유입에 의한 흡습은 방지할 수 있으나,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할 경우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 못해 내부에서 부패나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재의 방수성 도입 시에는 반드시 투습성과 병행하여 기능을 도입하여야 하는데, 이런 연유로 방수성이나 투습성은 독립적인 기능이 아닌 상호 보완적으로 동시에 사용되는 기능이다. 만약 방수성이 있는 단열재가 투습성이 없다면 결로에 의한 문제를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단열재가 흡습하여 열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단열성이 저하하므로, 건축구조물이 흡습에 의해 내구성이나 수명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장단열재의 시공 후 외부에 투습방수기능을 가지는 하우스랩을 추가시공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2회의 시공을 1회의 복합기능화 제품의 시공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건축용 단열재는 제품의 가격 뿐 아니라 시공비도 동시에 제품의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시공이 쉽고 어려움에 따라 최종 제품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단열재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과 함께 시공성도 시공현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제품의 성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래서 시공현장에서 벽체나 천정, 지붕등에 각종 고정장치를 이용해 고정 시공할 때 구성물질의 강도가 부족하여 작은 외력에도 쉽게 고정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시공 시 시공된 제품 위를 시공자가 이동할 때 신발 자국에 의해 표면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특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계 섬유 단열재의 한 면에 투습방수필름과 열반사층을 형성시키고, 다른 한 면에는 열반사층을 형성시켜 단열성능을 보다 장기간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재나 건축구조물의 흡습에 의한 부패, 부식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며, 아울러 접착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기존의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과 불연성을 향상시켜 단열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화재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시공 시 벽체나 천정, 지붕에 설치할 때 피스나 못, 타카 등의 각종 고정장치를 이용해 시공할 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전도를 기초로 하는 단열재는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의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전도하는 열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열반사층에 투습방수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열반사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 양면의 열반사층에 미세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반사율과 낮은 방사율에 의해 복사열에 대한 단열기능이 우수하여 효율적인 단열성의 개선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시공현장에서 벽체나 천정, 지붕 등에 각종 고정장치를 이용해 고정 시공할 때 구성물질의 강도가 부족하여 작은 외력에도 쉽게 고정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시공 시 시공된 제품 위를 시공자가 이동할 때 신발 자국에 의해 표면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한 면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3)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하부 열반사층(32)을 접착시키며;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다른 한 면에는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2)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투습방수필름(4)을 접착시키고, 이 투습방수필름(4)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1)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보강층(6)을 접착시킨 다음, 이 보강층(6)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30/m2인 핫멜트계 접착제(24) 또는 필름형 핫멜트계 접착제(24)로 상부 열반사층(31)을 접착시켜 형성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 사용된 총 접착제의 함량이 20 ~ 70g/m2이고, 상부 열반사층(31)과 접착층(24)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1)을 30 ~ 100개/cm2로 형성시키며, 하부 열반사층(32)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2)을 10 ~ 50개/cm2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는 A, C, E, S-글라스, 실리카 섬유로 된 부직포형 펠트이거나 미네랄울, 락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이며, 상기 투습방수필름(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 탄성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수지로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보강층(6)은 중량이 300g/m2 이하인 유리섬유로 된 직물, 부직포, 메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열반사층(31)(3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열반사층(31)(32)은 알루미늄박막,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가 알루미늄박막과 합지된 복합필름,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증착반사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상하부 열반사층(31)(32)을 이중으로 형성시킴에 의해 공기투과성과 투습성이 저해되지 않고 충분한 방수성을 나타내며, 큰 물방울은 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을 10개/cm2 이상 형성한 상부 열반사층(31)에서 방어가 되고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 작은 물방울은 상부 열반사층(31)을 통과하더라도 바로 하부에 존재하는 투습방수필름(4)에 의해 완벽히 방어된다. 그리고 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을 10개/cm2 이상 형성한 하부 열반사층(32)에서는 열반사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의 습기나 내부의 습기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어서 단열재의 양면이 전체적으로 모두 열반사 기능을 가지면서도 완벽한 투습방수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단열재에 전체적으로 사용된 접착제가 70g/m2 이하이기 때문에 불연시험에서도 완벽한 불연특성을 나타내게 되며, 중앙부위에 존재하는 무기섬유계 단열재(1)는 열에 대한 전도차단성이 높고 표면의 열반사층(31)(32)은 높은 반사율과 낮은 방사율에 의해 복사열에 대한 단열기능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의 구성이 가능하여 복합기능성 단열재로서 다양한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강층(6)에 의한 인장강도와 인열강도가 우수하여 시공 시 고정장치에 의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벽체나 천정 및 지붕에 설치한 후 무게나 바람에 의해 고정장치 주변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장치를 설치할 때 강도가 약한 제품에 비해 고정간격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 중이나 시공 후 보호를 위한 마감이 되기 전에 시공작업 상 불가피하게 사람이나 물건이 닿게 되어도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없어 시공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의 상부 세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의 상부 세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전도하는 열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복사되는 열도 최소화시켜 보다 높은 단열성을 발휘하는 것은 물론이고, 통상적인 단열재가 가지기 어려운 불연성의 문제까지 확실하게 해결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의 하우스랩이 가지는 투습방수가능까지 보유함과 동시에 인장 및 인열강도를 높여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중에 파손이 거의 없는 복합기능성 단열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종래의 부피단열재 중에서 단열성과 불연성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한 면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3)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하부 열반사층(32)을 접착시키며,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다른 한 면에는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2)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투습방수필름(4)을 접착시키고, 이 투습방수필름(4)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1)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보강층(6)을 접착시킨 다음, 이 보강층(6)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30/m2인 핫멜트계 접착층(24) 또는 필름형 핫멜트계 접착층(24)으로 상부 열반사층(31)을 접착시켜 형성되는 단열재로서, 상기 단열재에 사용된 총 접착제의 함량이 20 ~ 70g/m2이고, 상부 열반사층(31)과 접착층(24)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1)을 30 ~ 100개/cm2로 형성시키며, 하부 열반사층(32)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2)을 10 ~ 50개/cm2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섬유계 단열재는 주로 장섬유 상의 글라스섬유로서 성분이나 용도에 따라 A, C, E, S, AR 등의 종류로 세분화되어지기도 하는데, 일반적인 실리카 섬유로 된 부직포형 펠트이거나 미네랄울, 락울 등 어떤 종류이든지 다 사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E-글라스섬유가 가장 좋다. 이 E-글라스섬유는 대개 방사에 의해 매우 긴 섬유형태로 제조되며 이렇게 제조된 장섬유를 펠트화하기 위해 50 ~ 100mm 정도로 절단한 후 카딩공정이나 에어포밍 공정을 통해 매우 벌키한 슬라브 형태로 만든 다음 돌출된 귀가 달린 펀칭용 바늘을 이용한 펀칭공정을 통해 적정한 밀도와 두께의 제품으로 제조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의 제품에 적정한 밀도는 50 ~ 200kg/m3이고 두께는 2 ~ 50mm로서 그 용도와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재시 안전성을 고려하여 무기섬유계를 원료로 하는 단열재를 제안하지만, 화재의 위험이 없거나 연소특성에 대한 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면, 양모, 폐섬유 잡사 등과 같은 유기계나 불에 타는 재질을 단독 또는 혼합물형태로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글라스섬유는 매우 가늘고 길게 성형한 후에 급냉시켜 만든 섬유형태의 유리를 말한다. 글라스섬유는 그 형태와 생산방법에 따라 단열흡음재로 사용하는 단섬유와 각종 수지보강재로 사용되는 장섬유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단섬유를 글라스 울(Glass Wool), 장섬유를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라고 부른다. 또한, 그 조성에 따라 A-Glass, C-Glass, E-Glass, S-Glass, AR-Glass 등의 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장섬유인 글라스 파이버 가운데 가장 먼저 개발된 E-Glass는 조성 중 알칼리 성분이 거의 없어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기전도도가 낮아 절연성이 우수한 재료로 평가되고 있다. E-Glass는 열경성 수지가 개발된 1930년대부터 수지를 보강시켜 주는 수지강화제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전기절연성을 이용한 각종 전기전자 제품부터 고강도가 요구되는 항공기 부품에까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양쪽 최외곽 표면은 반사효율이 우수한 열반사층(3)이 위치하는데, 이 열반사층(3)은 열반사기능이 가능한 알루미늄 열반사층(3)과 보강층(6)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반사 기능과 함께 강도발현기능을 동시에 나타낸다. 이 열반사층(3)은 주로 알루미늄만으로 이루어지는 5 ~ 300㎛의 두께를 가지는 알루미늄층, 유기필름이나 부직포가 알루미늄박막과 합지된 복합층,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유기필름이나 부직포 위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증착반사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반사층(3)과 접합되는 보강층(6)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유리섬유의 직물이나 부직포, 메쉬 등이 사용가능한데, 불연성을 위해서는 유리섬유 직물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우수한 투습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단열재(1)와 상부 열반사층(31) 사이에 투습방수필름(4)을 사용하는데, 이 투습방수필름(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 탄성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 탄성체체 등의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각종 통기성 발현이 가능한 입자를 혼합하여 필름형상으로 만든 통상의 필름형의 투습방수필름(4)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열반사층(32)과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접착층(23), 상부 반사층(31)과 투습방수필름(4)의 접착층(24), 보강층(6)과 투습방수필름(4)의 접착층(21) 및 투습방수필름(4)과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접착층(22)을 위해 통상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용매가 포함된 통상의 접착제, 용매가 없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 접착제와 접착공정의 선택은 크게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우수한 불연성을 위해서는 유리섬유, 알루미늄층, 투습방수성필름 모두에게 젖음성이 좋은 성분의 선택이 필요하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EVA 중에서 융점이 낮고 용융지수(MI)가 낮은 성분의 핫멜트형 일수록 접착력이 우수하며, 도포 면적당 핫멜트의 중량은 5 ~ 15g/m2로서 이를 섬유형태로 분사하여 접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핫멜트의 양은 최종 단열재가 가지는 불연성과 연관되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전체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핫멜트의 양은 단열재 제품 1m2 당 70g 이하이어야 한다. 만약 사용되어지는 핫멜트의 양이 70g/m2를 초과하는 경우는 불연성에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20g/m2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성이 불량하여 제품의 제조 중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접착면의 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핫멜트형 접착제의 접착층(2)은 투습방수성필름의 투습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필름형태가 아닌 부분접착형태로 사용하여야 하는데, 부분접착형태는 파우더 도팅(powder dotting), 파우더 스케터링(powder scattering), 용융분사 등의 방법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용융분사형태를 사용하였으며, 파우더 도팅이나 스케터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는 파우더를 용융하여야 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의 편의상 용융분사 형태가 가장 유리하다. 이에 사용하는 핫멜트는 분사를 위한 용융 온도범위가 80 ~ 300℃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한데, 만약 80℃ 미만일 경우는 융점이 최소한 60℃ 이하이거나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점착성만을 보유한 비결정형 수지이므로 단열재 사용시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접착면이 분리되는 단점이 있으며, 용융범위가 300℃를 초과하게 되면 분사를 위한 온도가 너무 높고 용융물의 온도도 동시에 상승하므로 투습방수성 필름이 접하는 면에서 투습방수성필름의 용융이나 변형에 의해 방수성이 저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반사층(31)과 보강층(6)의 접착층(24)은 접착하는 형태에 따라 강도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용융분사형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인장강도와 인열강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낮은 강도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5 ~ 30g/m2 정도의 핫멜트계 접착제를 용융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융분사보다는 필름형 핫멜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때 핫멜트 필름의 중량은 10 ~ 30g/m2 정도가 사용가능한데, 불연성을 위해서는 낮은 중량이 바람직하고 대개 13 ~ 25g/m2 정도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에 위치하는 열반사층(3) 표면에 통기 가능한 미세기공(5)을 형성시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 열반사층(31)과 접착층(24) 및 보강층(6)을 먼저 형성 한 후 미세기공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만약 상부 열반사층(31)만 미세기공(51) 형성하고 그 하부의 접착층(24)를 형성할 경우에, 이 접착층이 용융분사형이나 파우더도팅 또는 파우더스케터링 같은 부분접착 방식일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필름형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열반사층(31)의 미세기공(51)이 필름형 접착제에 의해 봉쇄되기 때문에 투습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강도가 우수한 상부 열반사층(31)과 보강층(6) 및 이 두층의 접착층(24)를 포함하는 1차 복합구조를 형성한 후, 크기가 50 ~ 1000㎛인 기공을 30개/cm2 이상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층(6)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카본, 아라미드, 유리, 실리카, 메탈로 된 섬유의 직물, 부직포 또는 메쉬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유리섬유 직물이나 부직포, 메쉬가 불연성 저해가 적고 강도가 우수하여 가장 유리하다. 유리섬유로 된 직물이나 부직포, 메쉬의 경우 적정한 강도를 위해 중량이 300g/m2 이하가 적당한데, 메쉬의 경우는 100g/m2 이하 수준이며, 부직포나 직물의 경우는 300g/m2 이하의 중량범위를 가진다. 이 때 중량이 높을수록 높은 강도 보강효과를 나타내지만 중량이 300g/m2 이상이면 접착성이 불량하고 필요 이상의 강도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열반사층(3)에 투습방수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열반사기능을 발현하기 위해 양면의 열반사층(3)에 미세기공을 형성시키는데, 도 1과 도 2에 나타낸 상부 열반사층(31)은 크기가 50 ~ 1000㎛인 기공이 30 ~ 100개/cm2 정도로서 구멍(홀)의 크기가 50㎛ 미만이면 기공의 개수를 늘리더라도 충분한 투습성을 얻기가 어렵고, 1000㎛를 초과하는 경우는 투습방수성에 큰 지장은 주지 않지만 가공이 어렵고 방수성을 완벽하게 보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기공의 개수가 30개/cm2 미만이면 투습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기공의 개수는 많을수록 유리하지만 100개/cm2를 넘어 과도하게 많을 경우에는 생산성이 불량하고 제품의 방수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도 1, 도 3의 하부 열반사층(32)는 적정한 방수성과 투습성을 발현하는 정도의 기공만 존재하면 되는데, 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이 10개/cm2 이상이면 충분하다. 이때 기공의 크기가 50㎛ 미만이거나 기공의 수가 10개/cm2 미만이면 투습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기공의 개수가 50개/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습성에 유리하지만 생산성이 불량하고 방수성에 문제가 있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열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면 제품표면을 미려하게 하는 장점도 있지만 표면요철이 있는 경우는 이러한 표면요철이 없는 경우에 비해 조금이라도 더 많은 공기층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특히 인접한 자재를 접촉 시공하는 경우에도 요철만큼의 공기층이 확보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많은 실험을 거쳐 완성되었으나, 이하에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 열반사층(31)로서 두께 35㎛의 알루미늄 박막과 보강층(6)으로서 중량이 90g/m2인 유리섬유직물 사이에 중량이 15g/m2인 핫멜트계 필름을 포개고 280℃에서 가열압착하여 상기 보강층(6)과 상부 열반사층(31)을 일체화 한 후, 200㎛ 크기의 기공(51)을 50개/cm2 형성하여 강도가 보강된 상부 투습성 열반사 복합구조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 상부 투습성 열반사층 복합구조(31)(24)(6) 하부에 접착을 위해 5g/m2의 핫멜트계 분사형 접착층(21)을 사용하고, 그 아래 두께가 35㎛인 폴리에틸렌계 투습방수필름(4), 5g/m2의 핫멜트계 용융분사형 접착층(22), 두께가 8mm인 E-글라스 니들매트를 무기섬유계 단열재(1), 5g/m2의 핫멜트계 용융분사형 접착층(23) 그리고 하부 열반사층(32)로서 200㎛ 크기의 기공(52)이 50개/cm2 형성된 두께 35㎛의 알루미늄 박막을 위치시켜 압착시킴으로써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형 열반사 단열재를 제조하였으며, 이 단열재의 각종 특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실시예 10]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0에 따른 단열재는 실시예 1의 층별 구성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비교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에 따른 단열재는 실시예 1의 층별 구성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구분 층별 구성 미세기공
상부 열반사층 접착층4 보강층 접착층1 통기성 필름 접착층2 단열재 접착층3 하부 열반사층 상부 열반사층 하부 열반사층
실시예1 A40 HF15 GF90 H5 E35 H5 G8 H5 A40 F200_50 F200_50
실시예2 A70 HF28 GF90 H5 U30 H15 G4 H5 A70 F700_30 F200_50
실시예3 A30 H5 GM100 H8 P23 H8 G6 H8 A30 F100_80 F200_50
실시예4 A10 H5 GF120 H8 P28 H8 G10 H8 A10 F200_50 F700_30
실시예5 M12 H5 GM10 H5 T5 H7 G12 H7 A35 F200_50 F200_50
실시예6 A35 H5 GF280 H5 T5 H7 G12 H7 M12 F200_50 F200_50
실시예7 B15 H5 GF100 H5 T5 H7 G12 H7 A30 F200_50 F200_50
실시예8 B12 H5 GF100 H5 T5 H7 G12 H7 A30 F200_50 F200_50
실시예9 A30 H5 GF90 H3 T5 H5 S10 H5 A30 F200_50 F100_80
실시예10 A30 H5 GM50 H3 T5 H5 W25 H5 A30 F200_50 F200_50
비교예1 A40 - - H10 E35 H5 G8 H10 A40 F200_50 F200_50
비교예2 A40 HF15 GF90 H25 E35 H25 G8 H25 A40 F200_50 F200_50
비교예3 A40 HF15 GF90 H10 E35 H10 G8 H10 A40 F200_15 F200_50
비교예4 A40 HF15 GF90 H10 E35 H10 G8 H10 A40 F20_100 F200_50
비교예5 A40 HF15 GF90 H10 E35 H10 G8 H10 A40 F2000_30 F200_50
비교예6 A40 HF15 GF90 H10 E35 H10 G8 H10 A40 F200_50 F200_5
비교예7 A40 HF15 GF90 H10 E35 H10 G8 H10 A40 F200_50 F20_10
비교예8 A40 HF15 GF90 H10 E35 H10 PET10 H10 A40 F200_50 F200_50
비교예9 A40 HF15 GF90 H10 E35 H10 PE10 H10 A40 F200_50 F200_50
비교예10 A40 HF40 GF90 H10 E35 H10 G8 H10 A40 F200_50 F200_50
A : 알루미늄 박막 (뒤 숫자는 ㎛단위의 두께)
M : 알루미늄 증착된 PET 필름 (뒤 숫자는 ㎛단위의 두께)
B12 : 중량 12g/m2의 PP 장섬유 부직포
B15 : 중량 15g/m2의 PET 장섬유 부직포
H : 분사형 핫멜트계 접착제 (뒤 숫자는 g/m2단위의 접착제 중량)
HF : 핫멜트 필름 접착제 (뒤 숫자는 g/m2단위의 접착제 중량)
GF : 유리섬유 직물 (뒤 숫자는 g/m2단위의 직물 중량)
GM : 유리섬유 메쉬 (뒤 숫자는 g/m2단위의 메쉬 중량)
E : 폴리에틸렌 통기성 필름 (뒤 숫자는 g/m2단위의 필름 중량)
P : 폴리프로필렌 통기성 필름 (뒤 숫자는 g/m2단위의 필름 중량)
U : 폴리우레탄 통기성 필름 (뒤 숫자는 g/m2단위의 필름 중량)
T : 테프론 통기성 필름 (뒤 숫자는 g/m2단위의 필름 중량)
G : E-글라스섬유 니들매트 (뒤 숫자는 mm단위의 매트 두께)
S : 실리카섬유 니들매트 (뒤 숫자는 mm단위의 매트 두께)
W : 글라스울 (뒤 숫자는 mm단위의 제품 두께)
PET10 : 두께가 10mm인 PET 단섬유 부직포 펠트
PE10 : 두께가 10mm인 발포 PE 쉬트
F : 열반사층에 미세기공이 형성된 상태 (앞 숫자는 ㎛단위의 기공 크기, 뒤 숫자는 개/cm2단위의 기공의 개수)
구분 투습성 방수성 불연성 단열성 인장강도
총방출열량 최대열방출량
실시예1 2,489 통과 0.6 9.1 0.034 258
실시예2 2,487 통과 0.8 9.4 0.034 294
실시예3 2,734 통과 0.7 8.2 0.034 218
실시예4 2,627 통과 0.8 8.2 0.035 267
실시예5 2,085 통과 0.7 9.8 0.035 98
실시예6 2,612 통과 0.7 10.2 0.036 483
실시예7 2,247 통과 0.7 10.8 0.036 257
실시예8 2,494 통과 0.8 12.4 0.037 271
실시예9 2,611 통과 0.7 8.8 0.034 254
실시예10 측정불가 통과 1.4 13.1 0.038 197
비교예1 2,427 통과 0.9 9.8 0.038 16
비교예2 1,248 통과 1.9 27.6 0.037 247
비교예3 647 통과 1.0 10.4 0.035 221
비교예4 89 통과 0.9 9.7 0.036 234
비교예5 2,654 통과 0.9 9.1 0.041 246
비교예6 657 통과 0.8 9.2 0.036 231
비교예7 189 통과 1.0 8.9 0.035 219
비교예8 1,689 통과 10.1 136.4 0.044 241
비교예9 12 통과 7.5 87.4 0.043 153
비교예10 2,387 통과 2.1 15.4 0.036 237
- 투습성 : ASTM E96에 의해 염화칼슘을 이용한 드라이법의 투습성(단위: g/m2 24hr)
- 방수성 : ISO 811에 의한 내수압도 측정결과로 건축시장에서 요구되는 300mm H2O 수준의 달성여부로 판정
- 불연성 : KS F ISO 5660-1에 의한 총 방출열량(단위: MJ/m2)과 최대 열방출량(단위: kW/m2)로 평가
- 단열성 : KS L 9016의 기준에 준하여 측정한 열전도도(단위: W/mK). 보다 정확하게는 열전도도가 아닌 복사열 차단효과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열차단효과를 표시하여야 하나, 공인된 시험방법 중 이러한 시험방법이 없어서 부득이하게 열전도도로 표시하였다.
- 인장강도 :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해 제품의 길이방향으로 폭 50mm, 길이 200mm로 재단하여 인장속도 100mm/분에서 측정한 인장강도(단위: kgf/50mm)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로 시험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0을 비교한 결과를 종합하면, 모두 열전도도에 따르는 단열성은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단열재에 전체적으로 사용된 접착제가 70g/m2 이하이기 때문에 총 방출열량과 최대 열방출량에 대한 특성이 우수하여 불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부 열반사층(31), 투습방수필름(4), 보강층(6)에 의한 방수성에도 전혀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도 매우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크기가 50㎛ 이상인 기공을 10개/cm2 이상 형성한 상하부 열반사층(31, 32)에 의한 투습성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건축용과 각종 산업용 설비의 배관이나 공업용 로(爐)와 같은 보온보냉용 플랜트 시설은 물론,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불연, 단열흡음재로 적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복합기능성 소재로서 다양한 용도와 형태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1 : 무기섬유계 단열재
2 : 핫멜트계 접착제
3 : 열반사층
4 : 투습방수필름
5 : 미세기공
6 : 보강층
21 : 접착층{보강층(6)과 투습방수필름(4)과의 접착층}
22 : 접착층{투습방수필름(4)과 무기섬유계 단열재(1)와의 접착층}
23 : 접착층{무기섬유계 단열재(1)와 하부 열반사층(32)과의 접착층}
24 : 접착층{상부 열반사층(31)과 보강층(6)과의 접착층}
31 : 상부 열반사층
32 : 하부 열반사층
51 : 상부 열반사층의 미세기공
52 : 하부 열반사층의 미세기공

Claims (5)

  1.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한 면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3)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하부 열반사층(32)을 접착시키며;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의 다른 한 면에는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2)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투습방수필름(4)을 접착시키고, 이 투습방수필름(4)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15g/m2인 핫멜트계 접착제(21)를 섬유상 부분접착형태로 분사하여 보강층(6)을 접착시킨 다음, 이 보강층(6)의 상부에 면적당 중량이 5 ~ 30/m2인 핫멜트계 접착층(24) 또는 필름형 핫멜트계 접착층(24)으로 상부 열반사층(31)을 접착시켜 형성되는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 사용된 총 접착제의 함량이 20 ~ 70g/m2이고, 상부 열반사층(31)과 접착층(24)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1)을 30 ~ 100개/cm2로 형성시키며, 하부 열반사층(32)에는 구멍의 직경이 50 ~ 1000㎛인 미세기공(52)을 10 ~ 50개/cm2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섬유계 단열재(1)는 A, C, E, S-글라스, 실리카 섬유로 된 부직포형 펠트이거나 미네랄울, 락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필름(4)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블록공중합 탄성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단독 또는 2개 이상의 혼합수지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6)은 중량이 300g/m2 이하인 유리섬유로 된 직물, 부직포, 메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 열반사 단열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열반사층(31)(32)은 알루미늄박막,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가 알루미늄박막과 합지된 복합필름, 유기필름 또는 부직포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증착반사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 열반사 단열재.
KR1020120070687A 2012-06-29 2012-06-29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128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687A KR101286036B1 (ko) 2012-06-29 2012-06-29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687A KR101286036B1 (ko) 2012-06-29 2012-06-29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036B1 true KR101286036B1 (ko) 2013-07-19

Family

ID=4899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687A KR101286036B1 (ko) 2012-06-29 2012-06-29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33Y1 (ko) * 2018-10-23 2019-05-07 김영미 핫팩 삽입형 방한용 귀마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675A (ko) * 2004-06-29 2006-01-06 김연세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675A (ko) * 2004-06-29 2006-01-06 김연세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33Y1 (ko) * 2018-10-23 2019-05-07 김영미 핫팩 삽입형 방한용 귀마개
WO2020085638A1 (ko) * 2018-10-23 2020-04-30 김영미 핫팩 삽입형 방한용 귀마개
US11178929B2 (en) 2018-10-23 2021-11-23 Yeongmi Kim Earmuffs having hot packs ther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97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FI72288B (fi) Eldfast laminat av skumplast
KR101436159B1 (ko) 표면 피복된 섬유 강화 열가소성 시트
CN102529221B (zh) 防火弹性绝缘体
JP2008507646A (ja) 風雨バリア被覆及び撥水性被覆を備えた断熱板
KR20160055873A (ko) 기피제 재료를 포함한 프리프레그, 코어, 복합물 및 물품
CA2844575A1 (en) Insulation element for a flat roof or a flat inclined roof, roofing system for a flat roof or a flat inclined roof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on element
EP3094483B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1286036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1287380B1 (ko)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CN203441030U (zh) 阻燃型铝复合板
EP2942193B1 (en) Fire retardant insulation material
KR101830688B1 (ko) 샌드위치 판넬
KR20150056218A (ko) 불연성 로이단열재
KR20190136376A (ko) 불연성 복합 단열판
JP4015144B2 (ja) 不燃断熱フォーム材を用いる断熱構造
CN102619290A (zh) 一种防火型立丝无机硅纤维保温板
KR102155878B1 (ko) 건축 및 자동차 내장재용 난연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난연 시이트
KR102155876B1 (ko) 건축 및 자동차 내장재용 난연 시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난연 시이트
KR102188303B1 (ko)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KR102188309B1 (ko) 건축 및 자동차용 적층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적층내장재
KR200409425Y1 (ko) 단열성 및 불연성이 개선된 통기성 열반사 단열재(2)
KR100603424B1 (ko) 다층구조 섬유계 난연흡음판
KR20190026510A (ko) 에어캡(air-cap) 단열재 복합 보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