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144B1 -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144B1
KR101933144B1 KR1020180080855A KR20180080855A KR101933144B1 KR 101933144 B1 KR101933144 B1 KR 101933144B1 KR 1020180080855 A KR1020180080855 A KR 1020180080855A KR 20180080855 A KR20180080855 A KR 20180080855A KR 101933144 B1 KR101933144 B1 KR 10193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sin
retardant
reinforcing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화이바
Priority to KR102018008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1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 before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하는 판넬의 난연성능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섬유로빙이 제1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1함침조로 인입되어 함침되되, 기설정된 제1개구단면적을 갖는 제1금형부를 통과하면서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금형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이 삽입된 보강레진부가 1차 인발되는 제1단계; 제2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2함침조로 상기 보강레진부가 연속적으로 인입되면서 함침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가 기설정된 제2개구단면적을 갖는 제2금형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2금형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되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경화되어 난연레진부가 적층 형성되도록 2차 인발 및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로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non-flammable complex material panel}
본 발명은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하는 판넬의 난연성능이 향상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교량, 옹벽, 아파트나 건물의 벽 또는 지하주차장과 같은 구조물은 콘크리트 혹은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시공된다. 이때, 콘크리트 혹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상의 하자, 사용중의 구조변경, 우수, 해수, 지진 등의 자연재해 또는 차량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한 노후화로 내구성 및 내하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하여 구조물에 균열, 부식 및 외벽의 박리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때 발생하는 구조물의 파편이 통행자/거주자 또는 차량, 장치, 물품 등의 상측으로 추락할 경우 막대한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한 구조물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면 또는 부분적인 보강을 필요로 한다.
한편, 종래의 구조물 보강공법은 소재에 따라 강판 보강공법, 섬유시트 보강공법 및 섬유판 보강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시공방법에 따라 현장함침 보강공법, 압착 보강공법, 접착 보강공법 및 매립 보강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세히, 강판 보강공법은 보강이 필요한 구조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강판을 덧대고 앵커볼트를 이용해 고정한 후 강판과 구조물 사이에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주입하여 부착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강판 보강공법은 강판의 기계적 강도를 기반으로 구조물을 지지하는 보강효과가 우수하므로 종래에 폭넓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강판 자체의 중량이 커서 구조물에 부가적인 하중이 과도하게 가해지며, 부식에 취약하여 구조물 및 강판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판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하여 시공시 강판을 운반하거나 들어올리기 위한 중장비를 필요로 하며, 용접 작업 등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증가한다. 더불어, 부식 방지를 위한 별도의 방청도장 작업이 요구되므로 시공비용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강판 보강작업은 통기성 결여로 인한 밀폐현상으로 구조물과 강판 사이에 주입된 접착제의 부착력이 약화된다. 이로 인해, 강판 자체가 구조물로부터 분리 및 추락하면서 전술한 인명사고 또는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한편, 현장함침 보강공법은 주로 카본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등의 섬유강화복합소재를 이용한 보강공법이다. 이러한 현장함침 보강공법은 전술한 강판 보강공법에 비하여 소재 자체가 경량이므로 운송 및 취급이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그 활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카본 섬유는 제품의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며, 전도체이기 때문에 고압 전류가 흐르는 곳에서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리 섬유는 전술한 카본 섬유에 비하여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저탄성재질로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유리 섬유의 제작, 재단 및 시공시 다량의 유리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하며 건강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내화성이 낮아 화재에 취약하고, 폐기시 환경오염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발암가능성 물질로 분류되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아라미드 섬유는 기계적, 역학적 물성이 전술한 카본 섬유 또는 유리 섬유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므로 최근에는 그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장함침 보강공법은 구조물의 보강성능에 비해 시공이 난이도가 높고, 작업자의 숙련도 및 노하우에 따라 시공되는 품질의 편차가 크다. 또한, 강판 보강공법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통기성 결여로 인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한편, 섬유판 보강공법은 카본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여 강화된 합성수지 판넬을 기제조한 후 구조물에 부착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섬유판 보강공법은 전술한 강판 보강공법보다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술한 현장함침 보강공법에 비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고도의 숙련도를 요하지 않아 최근 들어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섬유판 보강공법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판넬은 주로 인화성 수지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하며, 판넬이 연소되면서 유독가스를 다량 배출한다. 이로 인해, 건물 내부나 터널 등과 같이 외부로의 대피가 어려운 구조물의 경우 심각한 인명피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합성수지 판넬을 제조시 난연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기술이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난연성능을 만족할 수 있을 정도의 함량비율로 난연제가 혼합된 합성수지 판넬의 경우 기계적 강도 및 물성이 저하되어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 또한, 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해 판넬을 구부리거나 롤링시 판넬에 크랙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판넬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난연제의 함량비율을 낮게 조성하는 경우, 실질적인 난연성능을 제공받지 못하므로 화재에 의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막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3337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하는 판넬의 난연성능이 향상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섬유로빙이 제1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1함침조로 인입되어 함침되되, 기설정된 제1개구단면적을 갖는 제1금형부를 통과하면서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금형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이 삽입된 보강레진부가 1차 인발되는 제1단계; 제2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2함침조로 상기 보강레진부가 연속적으로 인입되면서 함침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가 기설정된 제2개구단면적을 갖는 제2금형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2금형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되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경화되어 난연레진부가 적층 형성되도록 2차 인발 및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로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난연성 수지 및 상기 제2난연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베이스 수지, 그리고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2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상기 제1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난연레진부가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가압 부착되도록, 상기 제2개구단면적은 상기 제1개구단면적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2금형부에는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가 적층되어 경화되도록 기설정된 온도범위의 열을 가하는 히팅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섬유로빙이 삽입되되 난연제가 최소한으로 혼합되어 기계적 강도가 보강된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높은 난연레진부가 적층되도록 다중 인발된다. 이에 따라 경량이면서도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난연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품질의 보강판넬을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판넬이 최종 인발되는 금형부의 개구단면적이 그의 전측에 배치되는 금형부의 개구단면적 미만으로 형성되므로 두께는 얇으면서도 수지층간에 고밀도로 압축되어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면서도 외면에 난연레진부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보강레진부와 난연레진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되 난연레진부의 난연제 함량비율이 보강레진부보다 크게 설정되어 인발 과정에서 각 층간의 이질성이 최소화되어 경계부가 상호 일체화되어 융착됨에 따라 난연성능을 부여하는 외면측의 박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에 난연성능이 안정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넷째, 난연레진부가 판넬의 외면측에만 난연성능을 만족하는 최소한의 두께로 적층되므로 판넬 자체의 강도가 표준화된 보강시공 기준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롤로서 권취하여도 크랙 또는 파손이 방지되어 부피를 컴팩트화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시공시 현장 환경에 따라 굽힘 가공이 용이하므로 시공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팔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각 개구단면적을 비교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난연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팔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서 제1금형부 및 제2금형부의 각 개구단면적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 제조시스템(100)은 섬유로빙공급부(10), 제1함침조(20), 제1금형부(30), 제2함침조(40), 그리고 제2금형부(50)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섬유로빙공급부(10)를 전측으로 하여 상기 제2금형부(50)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섬유로빙공급부(10)와 상기 제1함침조(20)의 인입측이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함침조(20)의 배출측이 상기 제1금형부(30)의 인입측과 이웃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금형부(30)의 배출측은 상기 제2함침조(40)의 인입측과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함침조(40)의 배출측과 상기 제2금형부(50)의 인입측이 이웃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제조를 위한 일련의 과정이 하나의 라인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각 단계마다 형성되는 중간산물을 다음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로 운반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제조를 위한 제조공간이 최소화되므로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섬유로빙(2)이 제1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상기 제1함침조(20)로 인입되어 함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a)이 기설정된 제1개구단면적(31)을 갖는 상기 제1금형부(30)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금형부(30)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이 삽입된 보강레진부(3)로 1차 인발된다(s10).
여기서, 상기 섬유로빙(2)이라 함은 슬리버(sliver)와 실의 중간 형태로서, 정방공정에 따라 슬리버보다는 가늘고 실보다는 굵은 부드러운 끈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섬유로빙(2)은 유리 섬유, 카본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과 같이 플라스틱 제품을 보강하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섬유소재 중 하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로빙(2)은 보빈에 권취되되 상기 제1함침조(20)의 전측에 구비되는 상기 섬유로빙공급부(10)에 복수개로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섬유로빙(2)을 대신하여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섬유매트가 상기 제1함침조(20)로 인입되도록 준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은 상기 섬유로빙공급부(10)의 각 보빈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제1함침조(20)의 전측에 개구된 인입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함침조(2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후 상기 제1함침조(20)의 후측에 배치된 상기 제1금형부(30)로 인입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은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도록 정렬된 상태로 상기 제1함침조(20)로 인입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의 외면에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적층되면서 횡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금형부(30)에는 기설정된 상기 제1개구단면적(31)을 갖는 중공형의 제1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금형부(30)가 기설정된 상기 제1개구단면적(31)을 갖는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관통부가 기설정된 상기 제1개구단면적(31)을 갖도록 관통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금형부(30)의 내면 프로파일이라 함은 상기 제1관통부의 내면 프로파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부의 단면 형상은 최종으로 제조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횡폭 및 종폭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되는 단계적인 인발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금형부의 개구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고밀도로 압축되면서 인발되므로 기계적 강도 및 물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a)이 인입되는 인입측이 타측으로 관통되는 배출측보다 큰 개구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a)이 상기 제1관통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부의 배출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a)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단면 형상을 갖는 상기 보강레진부(3)로 점진적으로 압축되면서 인발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난연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polyester resin), 비닐에스테르 수지(vinylester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베이스 수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인(P)계 난연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화합물,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화합물, 포스파겐(phosphazene)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포스페이트 화합물로서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트리크실릴포스페이트(trixylyl phosphate)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페이트 화합물로서 알루미늄 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aluminum methyl methylphosphonate), 시클릭 포스포네이트(cyclic phosphonate)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피네이트 화합물로서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aluminum diethyl phosphinate), 알루미늄 메틸에틸포스피네이트(aluminum methylethylphosphinate)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포스파겐 화합물로서 헥사페녹시트리시클로포스파겐(hexaphenoxytricyclophosphazene)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은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경화된 상기 보강레진부(3) 자체의 기계적 강도 및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이 삽입되면서 보강된 지지강도를 통해 노후화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강레진부(3)에도 상기 인계 난연제가 혼합되므로 소정의 난연성능이 부여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을 통한 화염의 전파 속도가 감소되고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배출량이 최소화되므로 화재시 안전성이 향상되며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제2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2함침조(40)로 상기 보강레진부(3)가 연속적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상기 보강레진부(3)에 함침된다(s20).
이어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3a)가 기설정된 제2개구단면적(51)을 갖는 상기 제2금형부(50)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이를 통해,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2금형부(50)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되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경화되어 난연레진부(4)로 적층되도록 2차 인발된다. 그리고, 2차 인발된 가공물이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로 최종 제조된다(s30).
여기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는 상기 제1난연성 수지를 조성시 사용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수지 및 상기 인계 난연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상기 제1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난연성 수지는 95~97 중량%의 상기 베이스 수지 및 3~5 중 량%의 상기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2난연성 수지는 80~87 중량%의 상기 베이스 수지 및 13~20 중량%의 상기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코어측에는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이 삽입된 상기 보강레진부(3)가 배치되도록 인발된다. 이를 통해, 노후화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판에 상응하는 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를 인발하여 제조됨에 따라 강판에 비해 경량이므로 구조물에 부가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되어 구조물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외면측은 상기 난연레진부(4)를 통해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이 전체적으로 커버되도록 인발된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설치된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염전파성능에 따른 난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화염전파성능이 우수하다 함은 난연성이 우수하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코어측이라 함은 상기 보강레진부(3)를 의미하며, 외면측이라 함은 상기 난연레진부(4)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난연제가 일정 함량비율 이상 전체적으로 혼합됨으로 인해 강도 및 내구성이 떨어지던 종래의 섬유강화 보강판과 달리, 본 발명은 화염이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외면측은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높으면서도 코어측는 난연제가 최소한으로 혼합된다. 이를 통해, 노후화된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강도 및 내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난연제가 외면측으로 집중되어 적층되되 코어측은 인장강도, 굽힘강도 및 압축강도를 표준화된 규격에 만족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구부리거나 롤링시에도 크랙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을 롤링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한 후 현장 상황에 따라 가공 및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레진부(3)에도 최소한의 난연제가 혼합되므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외면측이 일부 화재에 연소되어 상기 보강레진부(3)가 노출되더라도 판넬의 과도한 연소 및 화염전파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터널 또는 고층 건물과 같이 화재 발생시 탈출이 어려운 구조물의 경우에도 화재의 전파 및 유해가스의 배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심각한 인명피해 및 재화의 소실이 최소화되며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3a)가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과시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4)가 가압 부착되도록, 상기 제2개구단면적(51)은 상기 제1개구단면적(31)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금형부(50)에는 기설정된 상기 제2개구단면적(51)을 갖는 중공형의 제2관통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3a)가 인입되는 인입측이 타측으로 관통되는 배출측보다 큰 개구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도포된 상태의 상기 보강레진부(3a)가 상기 제2관통부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인입되면서도 상기 제2관통부의 내면 프로파일이 축소되면서 가압 인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레진부(3a)와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도포된 보강레진부(3a)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관통부의 횡폭 및 종폭은 상기 제1관통부의 횡폭 및 종폭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제2관통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이송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레진부(3) 및 그 외면에 도포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상호 압축 부착되도록 인발된다.
예컨대, 상기 제1함침조(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a)의 두께가 12mm라면, 상기 제1금형부(30)를 통과하면서 인발되는 상기 보강레진부(3)의 두께는 10mm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함침조(4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3a)가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과하면서 인발되면, 최종 가공물인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두께는 8mm로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상기 난연레진부(4)가 가압력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을 제조 후 상기 보강레진부(3)로부터 상기 난연레진부(4)가 분리 또는 박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후화된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내구성 및 난연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품질의 보강판넬을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만 단순 적층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상기 보강레진부(3)의 상하면뿐만 아니라 양측면까지 전체적으로 상기 난연레진부(4)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전체적인 외면에 난연성능이 부여되므로 화재 발생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레진부(3)와 상기 난연레진부(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 수지 및 상기 인계 난연제를 기반으로 조성되되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레진부(3)와 상기 난연레진부(4) 사이에 경계가 발생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단일층의 판형으로 형성되되 외면측은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높고 코어측은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다층으로 적층되도록 인발 형성되더라도 실질적으로 각 층간의 이질성이 최소화되므로 부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 층간의 박리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내구성 및 난연성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압착되도록 인발되면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과 상기 보강레진부(3) 사이, 또는 상기 보강레진부(3)와 상기 난연레진부(4) 사이 및 각 구성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 또는 기공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고밀도로 응집되어 두께는 얇으면서도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하중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지지강도가 우수한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난연레진부(4)는 적어도 두층 이상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금형부(50)의 후측에는 제3함침조, 제3금형부, 제4함침조 그리고 제4금형부와 같은 순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함침조 및 금형부가 상호 교번 배치되어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레진부(3)가 인발되는 상기 제1금형부(30)는 상기 제1개구단면적(31)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 제조시스템(100)의 최후단측에 배치되는 최종 금형부가 상기 제2개구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부(30)와 상기 최종 금형부 사이에 배치되는 각 금형부는 상기 제1개구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개구단면적보다 큰 개구단면적을 갖는 각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관통부는 상술한 범위 내에서 상호 동일한 개구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최종 금형부측으로 갈수록 개구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4)가 다중으로 적층되면서 난연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레진부(4)가 다중 적층 및 가압 인발되면서 고밀도로 융착될 수 있으므로 난연성능이 향상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어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각 함침조에 수용된 난연성 수지는 최종 금형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도록 조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난연레진부(4)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난연제 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금형부(50)에는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4)가 적층되어 본경화되도록 기설정된 온도범위의 열을 가하는 히팅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이 상기 제1금형부(30)를 통과하면서 예비경화된 상태로 상기 제2함침조(40)로 인입된다. 여기서, 상기 예비경화라 함은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고 반경화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레진부(3)로 예비경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후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과하면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4)가 밀착 적층된다. 이때, 상기 히팅부를 통해 상기 제2금형부(50)에 기설정된 온도범위의 열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난연레진부(4) 및 상기 보강레진부(3)가 상호 부착되면서 본경화, 즉 완전 경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레진부(3)가 예비경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함침조(40)에 인입되어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도포되면, 상기 보강레진부(3) 및 상기 난연레진부(4)의 동형질간 고도의 융착력을 통한 고정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부를 통해 상기 제2금형부(50)에 가해지는 상기 기설정된 온도범위는 100~20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과하면서 인발되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실질적으로 본경화되어 상기 제2개구단면적(51)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금형부(50)의 배출측으로 인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인발되는 과정에서 하중에 의한 처짐, 뒤틀림 등이 최소화되며, 인발되는 제품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레진부(3)는 상온 환경에서 예비경화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금형부(30)에도 상기 보강레진부(3)의 예비경화되는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기설정된 제2온도범위의 열을 가하는 보조히팅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온도범위는 상기 제2금형부(50)에 가해지는 온도보다 낮은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레진부(3)가 상기 제1금형부(30)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경화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레진부(3)와 상기 난연레진부(4) 사이가 경계없이 부착될 수 있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과하면서 인발되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은 기설정된 규격으로 선절단되어 각 현장에 운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을 소정의 길이로 인발하여 롤링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후절단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난연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은 상기 보강레진부(3) 및 상기 난연레진부(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보강레진부(3)는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2)이 삽입되되, 상기 베이스 수지 및 상기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상기 제1난연성 수지가 인발 및 경화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연레진부(4)는 상기 제1난연성 수지와 동일한 베이스 수지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조성비가 상이하게 설정된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는 상기 제1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보다 큰 함량비율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난연성 수지는 상기 제1금형부(30)를 통해 인발된 상기 보강레진부(3)가 상기 제2함침조(40)에 인입되면서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해 인발 및 경화됨에 따라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함량의 난연제가 혼합된 외면측의 상기 난연레진부(4)를 통해 화염전파능에 따른 난연성능이 부여되면서도 베이스 수지 자체의 강도 및 섬유로빙(2)에 의해 보강된 코어측의 보강레진부(3)를 통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난연레진부(4)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단폭 두께(w1)에 대하여 17~23% 두께 비율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금형부(30)의 상기 제1개구단면적(31)보다 작은 상기 제2개구단면적(51)을 갖는 상기 제2금형부(50)를 통과하면서 가압 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 자체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굽힘 가공시에도 크랙 발생 없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형상 구조물의 보강시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인발된 판넬을 롤링하여 용이하게 운반 후 현장 상황에 맞게 길이를 후절단할 수 있으므로 시공 및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연레진부(4)의 두께 비율(w2)은 상기 보강레진부(3)의 상하면 또는 양측면 두께를 합한 두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단폭 두께가 10mm이면, 상기 난연레진부(4)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제 판넬의 상면측에 1mm 및 하면측에 1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레진부(3)는 8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레진부(4)의 두께 비율(w2)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단폭 두께(w1)에 대하여 17% 미만의 두께 비율로 중첩되면, 난연성능을 제공하는 외면측의 두께가 얇아 난연성능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난연레진부(4)의 두께 비율(w2)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단폭 두께(w1)에 대하여 23% 미만의 두께 비율로 중첩되면, 난연성능은 향상될 수 있으나 판넬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보강하기 어렵다. 또한, 인장강도 및 굽힘강도가 저하되어 구부리거나 또는 롤링시 크랙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도, 내구성 및 난연성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난연레진부(4)의 두께 비율(w2)은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단폭 두께(w1)에 대하여 17~23% 두께 비율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은 총방출열량이 1.1MJ/㎡ 미만이고, 인장강도가 550MPa 이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출부(1a)가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금형부 중 적어도 상기 제2금형부(50)에는 상기 체결돌출부(1a)의 외면 파일에 대응하는 돌출금형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돌출부(1a)는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길이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를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을 구조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시 앵커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돌출부(1a)를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부분이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인발 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설치시 판넬의 파손이 최소화되어 사용수명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출부(1a) 사이에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부분에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 등이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단위 결과

콘칼로리미터
총방출열량(THR300)(A)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44호(2015)
MJ/㎡ 1.1
200 kW/㎡ 초과 시간(B) s 0
시험 후 시험체 검사(C) - 이상없음
가스유해성 가스유해성 시험(D) min:s 14:49
상기 표 1은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44호(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상 방지구조 기준)에 의거 측정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난연시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때, 상기 표의 A,B 및 C 시험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시편 3개를 준비 후 화염을 가하여 발생하는 총방출열량, 열방출률이 200kW/㎡를 연속하여 초과한 시간 및 심재의 변화된 형상을 확인한다. 이때, 화염의 가열강도는 50KW/㎡이고, 시험시간은 5분 간 수행되었다.
또한, 가스유해성 검사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시편 2개를 화염을 가하여 태우고, 이때 발생한 연기를 포집하여 실험용 쥐가 각각 8마리씩 준비된 박스로 보내어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가열조건은 부열원으로서 LP 가스 3분, 주열원으로서 할로겐 3분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여기서, 상기 표의 A 내지 D 시험은 온도 23±3℃, 습도 50±5% R.H. 환경의 실험실에서 수행되었으며, 시편의 두께는 6.5±5mm로 준비되었다.
그리고, 각 시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상세히,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고, 열방출률이 200 kW/㎡를 연속하여 초과한 시간이 10초 이하이며, 시험 후 시험체를 육안으로 검사시 심재의 균열, 구멍 및 용융이 없는 경우 난연소재로서 적합함으로 판단한다. 또한, 평균 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인 경우 가스의 유해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표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은 난연성능 및 가스유해성을 판단하는 표준화된 기준을 만족하므로 구조물의 보강재로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섬유로빙(2)이 삽입되되 상기 난연제가 최소한으로 혼합되어 기계적 강도가 보강된 상기 보강레진부(3)의 외면에 난연제 함량비율이 높은 상기 난연레진부(4)가 적층되도록 다중 인발된다. 이에 따라 경량이면서도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난연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품질의 보강판넬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이 최종 인발되는 금형부의 개구단면적이 그의 전측에 배치되는 금형부의 개구단면적 미만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두께는 얇으면서도 수지층간에 고밀도로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된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은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면서도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4)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레진부(3)와 상기 난연레진부(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난연레진부(4)의 난연제 함량비율이 상기 보강레진부(3)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인발 과정에서 각 층간의 이질성이 최소화되어 경계부가 상호 일체화되어 융착됨에 따라 난연성능을 부여하는 외면측의 박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난연성능이 안정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레진부(4)가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의 외면측에만 난연성능을 만족하는 최소한의 두께로 적층된다. 따라서, 판넬 자체의 강도가 표준화된 보강시공 기준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1)을 길게 인발한 후 롤로서 권취하여도 크랙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부피를 컴팩트화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보강시공시 현장 환경에 따라 굽힘 가공이 용이하므로 시공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 2: 섬유로빙
3: 보강레진부 4: 난연레진부
10: 섬유로빙공급부 20: 제1함침조
30: 제1금형부 40: 제2함침조
50: 제2금형부 100: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 제조시스템

Claims (5)

  1. 복수개의 섬유로빙이 제1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1함침조로 인입되어 함침되되, 기설정된 제1개구단면적을 갖는 제1금형부를 통과하면서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금형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섬유로빙이 삽입된 보강레진부가 1차 인발되는 제1단계;
    제2난연성 수지가 수용된 제2함침조로 상기 보강레진부가 연속적으로 인입되면서 함침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함침된 상기 보강레진부가 기설정된 제2개구단면적을 갖는 제2금형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단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2금형부의 내면 프로파일과 대응하되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상기 제2난연성 수지가 경화되어 난연레진부가 적층 형성되도록 2차 인발 및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로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1난연성 수지 및 상기 제2난연성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베이스 수지, 그리고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2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이 상기 제1난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인계 난연제의 함량비율보다 크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난연레진부가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가압 부착되도록, 상기 제2개구단면적은 상기 제1개구단면적 미만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2금형부에는 상기 보강레진부의 외면에 상기 난연레진부가 적층되어 경화되도록 기설정된 온도범위의 열을 가하는 히팅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80080855A 2018-07-12 2018-07-12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KR10193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55A KR101933144B1 (ko) 2018-07-12 2018-07-12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55A KR101933144B1 (ko) 2018-07-12 2018-07-12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144B1 true KR101933144B1 (ko) 2018-12-27

Family

ID=6495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55A KR101933144B1 (ko) 2018-07-12 2018-07-12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797A (zh) * 2021-07-06 2021-10-15 南通曙光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不锈钢压力容器缠绕碳纤维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34B2 (ja) * 1993-12-17 2001-09-2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保持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34B2 (ja) * 1993-12-17 2001-09-2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保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797A (zh) * 2021-07-06 2021-10-15 南通曙光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不锈钢压力容器缠绕碳纤维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1889C2 (ru) Листы термопласта с поверхностным покрытием, армированные волокном
US4784902A (en) Components that can exhibit low smoke, toxic fume and burn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manufacture
US9365017B2 (en) Moldable fire resistant composites
US20230175252A1 (en) Fire-stopping product
JPS5865843A (ja) 建築パネル集成体および耐火性積層建築パネル集成体、および建築パネルおよびフオ−ム心材製品の製造方法
NO145423B (no) Laminert panel og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samme
NO145424B (no) Laminert panel med kjerne av stivt skum og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panelet
JP4958098B2 (ja) 耐火集成材
KR101957642B1 (ko)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33144B1 (ko) 난연성 복합소재 판넬의 제조방법
JP2012136334A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かご
KR101731550B1 (ko) 인계 난연제가 포함되는 난연 접착제가 함침된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보강방법
KR102248679B1 (ko) 플렉시블한 고분자소재를 코어로 갖는 불연성 재료
JP2004306607A (ja) 着色パネル組立部品
KR100638687B1 (ko)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40719B1 (ko) 고내열성 섬유 및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내화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6376A (ko) 불연성 복합 단열판
US8962497B2 (en) Fire resistant component
WO2012177881A1 (en) Construction panels
JP2016535144A (ja) 補強層および樹脂を有する複合材料製品の製造方法
US7862669B2 (en) Method of insulation formation and application
JPH08277586A (ja) 耐火パネル
KR102443702B1 (ko) 준불연 페놀 발포폼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JPH0820086A (ja) 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9917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