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687B1 -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687B1
KR100638687B1 KR1020050020919A KR20050020919A KR100638687B1 KR 100638687 B1 KR100638687 B1 KR 100638687B1 KR 1020050020919 A KR1020050020919 A KR 1020050020919A KR 20050020919 A KR20050020919 A KR 20050020919A KR 100638687 B1 KR100638687 B1 KR 100638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hollow
hollow plate
adhesive
styro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602A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엔씨 filed Critical (주)아이디엔씨
Priority to KR102005002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6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 등의 변형이 없고,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기온에 무관한 단열판을 제공하며, 자재 파손시에 보수의 용이함과 아울러, 공정수를 간소화시켜 원가 절감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난연 성능과 결로방지에 유용한 성능인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며 코로나 열처리에 의하여 내장재로서의 필요한 표면강도가 구비되는 합성수지 중공판, 스티렌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과 에폭시 및 우레탄계의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스티로폼 층, 상기 스티로폼 층이 접착되는 합성수지 중공판의 다른 면에는 무기질 성분이 포함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일체로 구성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이 제공되며,
또한, 강화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과 HDPE로 이루어진 혼합원료에 난연재 및 UV 안정제가 첨가되어 융해된 후, 소정 압출기에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이 제조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양면에 코로나 열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을 개질하는 과정, 소정 시간동안 일정 온도에서 수축팽창 현상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을 양생하고 규격에 맞게 재단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열에 의한 길이팽창을 차단하고 접착제가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내부까지 침투되도록 소정 형상의 스크레치가 형성되는 과정, 상기 합성 수지 중공판에서 상기 스크레치가 형성되지 않는 일면에 무기질 접착제가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스크레치가 형성된 면에 열변형에 강한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스티로폼이 압착공정에 의해 부착되는 과정, 상기 스티로폼과 코팅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을 소정 시간동안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과정, 및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과 스티로폼 사이의 접착틈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일체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결로방지, 단열판, 합성수지 중공판, 무기질코팅, 열경화성 접착제.

Description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A Heat insulating plate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결로방지용 단열판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단열판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단열판의 제조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합성수지 중공판, 112 : 통공,
114 : 스크레치, 120 : 스티로폼,
122 : 요철부, 130 : 코팅층.
본 발명은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 게는 단열판의 원재료 중 하나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열 변형을 최소화하고 합성수지의 이면에 이물질이 부착할 때의 휨 변형을 제거하며 보수 용이성과 설치 공정 등을 단순화하여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있어 내부와 외부간의 온도차이가 심한 경우에 건축 재료의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건축물 외부의 기온과 관계없이 실내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단열재는 내부에 미세한 기공이 많은 재료가 사용되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동절기에 실내와 실외의 기온이 현격히 차이가 발생되어 건축물의 외주부 중 단열성능이 부족한 부분의 표면 온도가 노점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그 표면에 물방울이 발생하는 결로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결로현상은 벽지 또는 페인트 등 내수 성능이 취약한 실내마감 재료로 처리된 부분이 부패되거나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 등이 발생하게 되어, 실내환경을 크게 훼손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결로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결로방지용 단열판은 시공방법에 따라 선시공 공법과 후시공 공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선시공 공법에는 내부옹벽 및 천정부 결로방지단열판, 지하층 및 최상층 결로방지단열판 등 거푸집에 선시공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벽면 및 천 정과 일체로 상기 결로방지단열판을 형성시키는 공법이다.
상기 후시공 공법에는 신발장 및 붙박이장 후변부 단열마감판, 발코니 다용도실 벽면부 단열마감판, 내부 옹벽의 단열마감판 등 기존 벽면에 후시공하여 벽면 및 천정을 형성시키는 공법이다.
그리고, 상기 시공방법에 따라 결로방지용 단열판은 휨의 방향이 상이하게 발생되어야 하는 바, 상기 선시공 공법에 의한 결로방지단열판은 합성수지중공판 방향으로 휨이 발생되어야 최적의 성능을 지향할 수 있고, 후시공 공법에 의한 결로방지 단열판은 스치로폼 부착방향으로 휨이 발행되어야 최적의 성능을 지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의 사시도가 1에 도시되고 있으며,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로현상방지 및 단열 향상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제조된 합성수지 중공판(12)에 수용성의 아크릴계 합성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티렌계 발포성 합성수지(14)를 결합시킨 복합 단열판(10)이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스티렌계 발포성 합성수지(14)를 결합시키는 상기 접착제로 사용되는 수용성 아크릴계 합성수지는 콘크리트 벽체 또는 천정 내에 함유된 수분성분이 수용성(촉매제:물) 아크릴계 합성수지 접착제에 침투하여 그 접착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2)으로부터 스티렌계 발포성 합성수지(14)가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 중공판(12)의 일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나 스크러치를 하여 벽 지, 페인트 등의 마감처리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나, 합성수지 중공판(12)에 시멘트가 쉽게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건설공사 현장에서 합성수지 중공판(12)이 파손된 경우에 시멘트 등으로 보수할 수 없어 설치비용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 중공판(12)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 폴리프로필렌(PP) 수지가 사용되었으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의 중합체로서 밀도가 0.9~0.91이며, 결정도는 크지만 성형한 후에는 70% 이하로 저하되고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져 있어 전기적 성질이 우수한 반면에, 첫째 합성수지와 스티로폼과 같은 서로 다른 물성을 합지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부착에 따른 복합 단열판(10)의 휨 발생으로 인하여 제품의 결함이 발생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둘째 열에 약하기 때문에 수축 및 팽창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복합 단열판(10)을 제조할 때 휨 등이 발생되고, 셋째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와 스티로폼과 같은 서로 다른 물성을 합지할 때 이물질 부착에 따른 휨 발생으로 인한 변형을 제거하고, 또한 열로 인하여 발생되는 변형을 최소화하여 기후(열)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과 같은 제품 품질변화를 최소화하도록 한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푸집 설치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선시공 공법시 발생되는 자재 파손에 따른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단열판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합성수지 중공판과 스티로폼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벽체 또는 천장에 잘 부착될 수 있는 단열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축자재에 대한 관련법 및 제규정 등의 가스 유해 시험에 적합하도록 인체 유해 가스의 발생이 적은 단열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 건축공법에서의 단열재 설치후 마감재로 마감하는 공정을 간소화하여 공정수 축소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로방지용 단열판은; 건물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단열성능 향상과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에 있어서, 난연 성능과 결로방지에 유용한 성능인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며 코로나 열처리에 의하여 내장재로서의 필요한 표면강도가 구비되는 합성수지 중공판, 스티렌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과 에폭시 및 우레탄계의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스티로폼 층, 상기 스티로폼 층이 접착되는 합성수지 중공판의 다른 면에는 무기질 성분이 포함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결로방지용 단열판 제조방법은; 건물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단열성능 향상과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강화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과 HDPE로 이루어진 혼합원료에 난연재 및 UV 안정제가 첨가되어 융해된 후, 소정 압출기에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이 제조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양면에 코로나 열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을 개질하는 과정, 소정 시간동안 일정 온도에서 수축팽창 현상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을 양생하고 규격에 맞게 재단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열에 의한 길이팽창을 차단하고 접착제가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내부까지 침투되도록 소정 형상의 스크레치가 형성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에서 상기 스크레치가 형성되지 않는 일면에 무기질 접착제가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스크레치가 형성된 면에 열변형에 강한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스티로폼이 압착공정에 의해 부착되는 과정, 상기 스티로폼과 코팅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을 소정 시간동안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과정, 및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과 스티로폼 사이의 접착틈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일체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단열판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난연 성능과 결로방지에 유용한 성능인 통기성을 가지도록 다수개의 통공(112)이 구비되며 내장재로서의 필요한 표면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제조되는 합성수지 중공판(110)과, 스티렌 수지로 제조되는 압출 형 스티로폼 또는 발포형 스티로폼이 사용되어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일면과 접착되는 스티로폼(120)과, 상기 스티로폼(120)이 접착되는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다른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1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100)이 제공된다.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은 폴리프로필렌 이외에 강화유리섬유 및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원료와 난연재 및 UV 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혼합되어 제조된다.
상기 스티로폼(120)에서 벽면 또는 천정 등과 직접 접촉되는 면은 부착력 강화를 위하여 압착기 롤에 의하여 일련의 요철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티로폼(120)이 부착되는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면은 그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수축/팽창 현상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스크레치(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과 스티로폼(120)을 접착하는데 있어서는 에폭시 접착제 및 우레탄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에폭시 및 우레탄계 접착제는 수분 및 열에 강하기 때문에 콘트리트 벽체 또는 천정에 함유된 수분 성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으로써, 무수축성이며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본 발명의 결로방지용 단열판(100)의 평판을 확보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코팅층(130)은 무기질을 충진제로 사용하는 접착제가 사용되어 단열판(100)의 표면강도가 강화되도록 구성되는 바, 시멘트, 몰타르(motar) 등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질석, 모래, 규사, 석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무기질 성분을 충진제로 사용되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용 단열판 제조공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된 원료는 동일한 기능 및 성분, 효과가 제공되는 범위내에서 다른 공급업체의 원료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원료 공급양도 변화될 수 있다.
먼저, 폴리프로필렌과 강화유리섬유와 HDPE(High Density Poly Ethylene) 등의 혼합원료(총 774g)에 난연재(90g)와 UV 안정제(36g)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혼합된다(ST100).
이때, 상기 혼합원료의 중량비 대비 난연재는 8~10%, UV 안정제는 3~5%가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난연재는 단열판(100)의 가스 유해 시험시에 인체에 유해한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할로겐 화합물이 첨가된 난연재(토성세라믹사의 Y-10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할로겐 화합물은 단열판(100)의 연소시에 인체 유해물질과 결합하여 인체 유해물질 가스의 발생을 희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후, 상기 혼합된 원료를 압출기(성진기기, EMS 202)에 제공한 다음, 상기 압출기의 설정 온도를 220℃로 한 상태에서 상기 원료를 융해시켜 다수개의 통공(112)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 중공판(110)을 제조한다(ST102).
그리고, 상기 압출기를 통과하는 합성수지 중공판(100)에 대해서 인라인 공 정에 의하여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00)의 양면에는 코로나 열처리기구(즉 성진기기, EMS 202)에 의하여 코로나 열처리가 수행된다(ST104). 상기 코로나 열처리는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막을 제거하며 상기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발생시켜 타물질과의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표면 개질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면 개질과정은 플라스틱 일부의 재질에 에너지가 강한 단파장의 자외선을 인가하여 플라스틱 표면의 화학 결합을 절단시키면, 상기 플라스틱 표면의 극성이 높아져서 극성이 다른 물질 즉, 도료, 착색제, 코팅제 등이 부착되기 쉽도록 처리하는 것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코로나 열처리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와 같이, 표면 재질과정이 완료된 합성수지 중공판(110)은 자체적으로 갖는 수축 및 팽창현상을 방지하도록 대략 24시간동안 25℃ ~ 30℃(바람직하게는 28℃)의 온도에 의해 건조실에서 양생되고, 소정 규격에 맞게 절단되는 프레스 공정이 수행되어 재단된다(ST106).
이때,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일면 즉, 스티로폼(120)이 접착되는 면은 칼집(즉 스크레치)(114)이 형성되는 공정이 함께 수행된다(ST108). 상기 스트레치(114)가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접착제가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내부까지 침투되어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이 열에 의한 길이 팽창 현상으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프레스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스크레 치(114)가 형성된 면이 아닌 다른 면에 혼합원료의 중량비 대비 약 8~12%의 무기질(예컨대 100g)을 충진제로 사용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코팅층(130)이 형성된다(ST110). 상기 코팅층 형성과정은 후술하는 합성수지 중공판(110)과 스티로폼(120)의 접착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무기접착제로서 나래텍의 NR100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코팅층(13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시멘트, 질석, 모래, 규사, 석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로부터 무기질 성분이 충진제로 사용되며, 상기 무기질 성분의 재료는 접착제의 중량비 대비 약 2% ~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기질 재료가 접착제에 사용되는 것은 시멘트 또는 몰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켜서 임의의 건설현장에서 사용된 단열판(100)이 파손되더라도 시멘트 또는 몰타르를 발라 상기 파손된 부분을 용이하게 보수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스크레치(114)가 형성된 면에는 수분과 열에 강한 에폭시 및 우레탄계의 열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되어 스티로폼(120)이 접착된다(ST112).
본 발명에서는 나래텍의 NR200, NR300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는 무수축성이며 변형이 없어 콘크리트 벽체 또는 천정이 함유한 수분 성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단열판(100)의 평판을 확보하는데 적합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에 부착되는 스티로폼(120)은 발포성 스티로폼 또는 압출형 스트리폼 둘 다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콘크리트 벽체 또는 천정 등과 직접 접착되는 면은 시공시에 상기 벽체 또는 천정의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압착기의 롤에 의해 요철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에 스티로폼(120)이 부착된 이후에는,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건조실에서 24시간동안 28℃ 온도에서 접착 건조가 행해지고(ST114), 또한 합성수지 중공판(110)과 스티로폼(120) 부착시에 발생되는 접착틈새를 접착제로서 밀봉하도록 하여,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10)의 양면에 각각 스티로폼(120)과 코팅층(13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열판(100)이 제조된다(ST116).
이때, 상기 접착제에 의한 밀봉공정은 부착력 증대와 함께 콘크리트의 수분침투를 예방하여 단열판(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단열판의 성능시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고 있다.(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시험번호(PA021139))
[표 1]
Figure 112005013232707-pat00001
상기 [표 1]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단열판(100)은 일반적인 휨파괴하중(139)에 비하여 170N 휨파괴하중을 가지고 있어 표면강도가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특성 등에 따라 결로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천정이나 벽면의 코 너부위, 창문 틀 주위에 결로방지용 단열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코로나 열처리가 된 합성수지 중공판에 무기질을 충진제로 사용하는 접착제에 의한 코팅층과 에폭시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에 의해 스티로폼이 일체로 접착되는 단열판이 제공됨으로써, 단여란의 표면강도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이 시멘트 또는 몰타르 등과 쉽게 부착되기 때문에 단열판의 파손시에 보수가 용이하고 벽지, 시멘트 등의 실내 마감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에폭시 및 우레탄계 접착제가 사용되어 종래 수분 침투가 용이한 수용성 아크릴수지계 접착제보다 단열판의 열에 의한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티로폼의 이면에 형성된 요철부에 의하여 콘트리트와의 부착력이 강화되었고, 상기 스티로폼 부착면인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형성된 스트레치는 열에 의한 길이팽창을 차단할 수 있어, 수축이나 팽창 등 기온 변화에 상관없이 평판한 단열판을 제조할 수 있는 기대가 있다.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의 기존 공법인 단열재 설치 후 마감재 마감을 하는 이중공정이 아니라, 단열과 마감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공기절감과 원가절감, 안전사고예방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비할로겐 화합물이 첨가된 난연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단열판의 연소 시에 인체 유해물질과 결합하여 인체 유해물질 가스의 발생을 희석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난연 2급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건물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단열성능 향상과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에 있어서,
    난연 성능과 결로방지에 유용한 성능인 통기성을 제공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며 코로나 열처리에 의하여 내장재로서의 필요한 표면강도가 구비되는 합성수지 중공판,
    스티렌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과 에폭시 및 우레탄계의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는 스티로폼 층,
    상기 스티로폼 층이 접착되는 합성수지 중공판의 다른 면에는 무기질 성분이 포함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은 강화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과 HDPE로 이루어진 혼합원료와 상기 혼합원료에 난연재 및 UV 안정제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스티로폼 부착면에는 열에 의한 길이팽창을 방지하 여 휨 변형을 억제하도록 스크레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성분은 시멘트, 질석, 모래, 규사, 석고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
  5. 제 1항에 있어서,
    벽면 등과 부착되는 상기 스티로폼의 면에는 부착력 강화를 위하여 압착기 롤에 의해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
  6. 건물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단열성능 향상과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강화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과 HDPE로 이루어진 혼합원료에 난연재 및 UV 안정제가 첨가되어 융해된 후, 소정 압출기에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이 제조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양면에 코로나 열처리를 수행하여 표면을 개질하는 과정,
    소정 시간동안 일정 온도에서 수축팽창 현상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을 양생하고 규격에 맞게 재단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일면에 열에 의한 길이팽창을 차단하고 접착제가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내부까지 침투되도록 소정 형상의 스크레치가 형성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에서 상기 스크레치가 형성되지 않는 일면에 무기질 접착제가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의 스크레치가 형성된 면에 열변형에 강한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스티로폼이 압착공정에 의해 부착되는 과정,
    상기 스티로폼과 코팅층이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을 소정 시간동안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과정,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과 스티로폼 사이의 접착틈새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일체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로폼의 일면에 벽면과의 부착력 강화를 위하여 요철부가 형성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는 에폭시나 우레탄계 접착제이며, 상기 스티로폼이 부착되는 콘트리트 벽체 또는 천정 등이 함유한 수분성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용 단열판의 제조방법.
KR1020050020919A 2005-03-14 2005-03-14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919A KR100638687B1 (ko) 2005-03-14 2005-03-14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919A KR100638687B1 (ko) 2005-03-14 2005-03-14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02A KR20060099602A (ko) 2006-09-20
KR100638687B1 true KR100638687B1 (ko) 2006-10-25

Family

ID=3763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919A KR100638687B1 (ko) 2005-03-14 2005-03-14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01B1 (ko) 2012-04-05 2013-09-02 빙인섭 건축용 저결로 단열 타일
KR101381084B1 (ko) * 2013-07-09 2014-04-02 윤덕수 단열 및 방수용 시공 방법
KR20210126447A (ko) 2020-04-10 2021-10-20 조용상 건축용 복합단열재와 그 복합단열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508B1 (ko) * 2013-11-11 2014-02-07 윤덕임 통기층이 구비된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01B1 (ko) 2012-04-05 2013-09-02 빙인섭 건축용 저결로 단열 타일
KR101381084B1 (ko) * 2013-07-09 2014-04-02 윤덕수 단열 및 방수용 시공 방법
KR20210126447A (ko) 2020-04-10 2021-10-20 조용상 건축용 복합단열재와 그 복합단열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602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RU2655550C2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пеностекольная плита, эффективная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одо- и огнестойкост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и отделки
KR102354748B1 (ko) 건축물의 외벽 단열마감 시스템용 불연 단열재 보수보강 시공공법
KR100638687B1 (ko)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3332A (ko) 복합단열패널
JP2009132078A (ja) 不燃ボードとその製造方法
CA2727411A1 (en) Insulation material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and building elements and composites made thereof
KR101863704B1 (ko) 단열 보완형 복합 방수구조
KR101431012B1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DE10007775A1 (de) Wärmedämmplatte aus Polystryrol (EPS/XPS) mit äußeren Beschichtungen zur Verbesserung der mechanischen und weiterer physikalischer Eigenschaften der Plattenoberfläche
PL166494B1 (pl) Material do izolacji cieplnej i dzwiekowej, sposób wytwarzania materialu cieplnie oraz dzwieko-izolacyjnego, zwlaszcza budowy przewietrzanych fasad PL PL
EP1365082B1 (en) Panel
KR100980567B1 (ko) 고성능 단열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물 외벽의 단열 마감 시공 방법
KR101498998B1 (ko) 구조물 보강용 고강도 복합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200347490Y1 (ko) 결로방지용 단열판
KR2002864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KR100568122B1 (ko) 결로방지용 단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3914528B2 (ja) 鉱物質繊維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341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패널
JPH09195441A (ja) 軽量断熱防水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90111760A (ko) 내화 성능이 향상된 결로방지용 복합단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79126Y1 (ko) 결로방지 및 소음저감용 복합패널
JP2002021264A (ja) 外断熱複合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構造体
CN208202398U (zh) 一种复合型室内装饰板
KR200334341Y1 (ko) 건축물의 내외부면용 경량복합패널 및 경량복합패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