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845B1 -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 Google Patents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845B1
KR101956845B1 KR1020170026029A KR20170026029A KR101956845B1 KR 101956845 B1 KR101956845 B1 KR 101956845B1 KR 1020170026029 A KR1020170026029 A KR 1020170026029A KR 20170026029 A KR20170026029 A KR 20170026029A KR 101956845 B1 KR101956845 B1 KR 10195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rk
pallet
roller
parking tower
retra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30A (ko
Inventor
권승봉
Original Assignee
센피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피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센피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은,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의해 승강 이동됨과 더불어 수평 이동되어 격납실에 선택적으로 격납되는 파레트와, 파레트의 이동을 위한 파레트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은 파레트의 양선단에 구비되어 파레트의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저크와, 리프트에 구비된 정역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체인에 부착되어 체인에 의해 움직이며, 저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롤러드레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크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채널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저크의 양 측벽부의 하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형태의 스커트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저크의 상기 배면부는 그 하단이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크의 측벽부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드레그는 절곡된 패널 형태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측면으로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후크와 달리 파레트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저크를 사용하고, 상기 저크와 안정적으로 결속되는 롤러드레그를 사용함으로써 차고가 높은 차종의 경우에도 차량과 저크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차고가 높은 차량의 경우에도 차량과 저크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주차타워의 한정된 층고 내에서 격납실을 높게 구성하지 않고도 충분한 격납실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parking tower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차고에 따른 구조물과의 간섭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차공간의 확보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정된 면적을 이용하여 많은 차량을 주차 할 수 있도록 하는 격납식 주차타워가 개발되었다.
격납식 주차타워는 상하로 다층으로 구성되어 중간에 수직의 승강로를 구성하고, 승강로의 좌우에 격납실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승강로를 통해 상하 이동되는 리프트와, 리프트에 의해 승강되면서 좌우 격납실로 이동되는 다수개의 파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차량의 입고시에는 차량이 파레트에 적재된 상태에서 승강로 내에서 움직이는 리프트에 의해 파레트가 상승하게 되고, 비어 있는 격납공간과 정렬되는 높이게 도달하게 되면, 비어 있는 격납실 측으로 파레트가 수평이동됨으로써 차량을 격납하게 된다.
차량의 출고시에는, 출고 차량이 격납된 격납실에 리프트가 도달한 상태에서, 파레트가 리프트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파레트가 리프트에 적재된 다음, 리프트에 의해 파레트가 하강하여 차량이 출고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격납식 주차타워에 있어서, 파레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격납실로 들어가거나, 파레트가 격납실로부터 나오는 작동은 정역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에 의해 움직이는 어태치먼트가 파레트에 구비된 후크에 걸리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격납식 주차타워는 한정된 층고내에서 최대한 많은 차량이 적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구성의 효율면에서 유리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격납실 역시 차량의 적재가 가능한 선에서 그 높이가 낮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후크가 단순한 평패널에 가늘고 긴 걸림홈(슬롯형태)이 형성된 구조물로서 후크의 걸림홈에 어태치먼트의 핀이 인입되기 위해서는 어태치먼트와 파레트가 간섭되지 않고 어태치먼트가 회전될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가 파레트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하여 후크가 파레트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같은 특성상 차고가 높은 차종의 경우에는 차량의 천정부가 후크와 간섭되어 차량의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격납실의 높이를 높게 구성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주차타워의 한정된 층고내에서는 격납실의 숫자가 감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차량의 효율적인 주차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가 또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파레트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저크와 같은 구조물을 적용함으로써 차고가 높은 차종의 경우에도 저크가 차량의 천정부와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승강로를 통해 승강되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의해 승강 이동됨과 더불어 수평 이동되어 격납실에 선택적으로 격납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이동을 위한 파레트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은 상기 파레트의 양선단에 구비되어 파레트의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저크와, 상기 리프트에 구비된 정역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체인에 부착되어 체인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저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롤러드레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크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채널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저크의 양 측벽부의 하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형태의 스커트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저크의 상기 배면부는 그 하단이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크의 측벽부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드레그는 절곡된 패널 형태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측면으로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드레그의 지지브라켓의 회전반경은 저크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후크와 달리 파레트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저크를 사용하고, 상기 저크와 안정적으로 결속되는 롤러드레그를 사용함으로써 차고가 높은 차종의 경우에도 차량과 저크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차고가 높은 차량의 경우에도 차량과 저크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주차타워의 한정된 층고 내에서 격납실을 높게 구성하지 않고도 충분한 격납실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의 주요부위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에 적용되는 저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에 적용되는 롤러드레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4b: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에서 차량 격납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a, 5b: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에서 저크와 롤러드레그의 결속과정을 순차적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부터 도 5b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은, 승강로 양측으로 다층의 격납실들이 갖추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로를 통해 승강되는 리프트(5)와, 상기 리프트(5)에 의해 승강 이동됨과 더불어 수평 이동되어 상기 격납실에 선택적으로 격납되는 파레트(10)와, 상기 파레트(10)의 이동을 위한 파레트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은 상기 파레트(10)의 양선단에 구비되어 파레트(10)의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저크(20)(20')와, 상기 리프트(5)에 구비된 정역모터(7)에 의해 가동되는 체인(9)에 부착되어 체인(9)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저크(20)(20')와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롤러드레그(30)(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저크(20)는 배면부(22)와, 상기 배면부(22)의 양측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채널공간(20a)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크(20)의 양 측벽부(24)의 하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형태의 스커트부(2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면부(22)는 그 하단이 상기 스커트부(26)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크(20)의 측벽부(24)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241)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롤러드레그(30)는 절곡된 패널 형태의 지지브라켓(32)과, 상기 지지브라켓(32)의 측면으로 회전축(3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브라켓(32)의 회전반경이 저크(20)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입고시에는, 차량이 승강로로 진입하여 파레트(10)에 탑재되는데, 이때 상기 파레트(10)는 리프트(5)에 의해 받쳐지고, 양측의 롤러드레그(30)(30')는 파레트(10)의 양선단에 구비된 저크(20)(20')에 각각 결속된 상태(롤러가 채널공간에 인입된 상태)이다.
이어서, 리프트(5)가 이동함으로써 파레트(10)가 특정 격납실에 해당되는 입고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정역모터(7)가 작동하여 체인(9)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우측의 격납실에 차량을 격납하는 경우, 체인(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도면상 우측의 롤러드레그(30')는 우측의 저크(20')로부터 이탈되고, 좌측의 롤러드레그(30)는 좌측의 저크(20)를 이끌고 우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격납실에 파레트(10)를 밀어넣게 됨으로써 차량을 격납하게 된다.
차량의 출고시에는, 출고 예정 차량이 격납된 격납실에 해당되는 높이에 리프트(5)가 도달하고 체인(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우측의 롤러드레그(30')가 좌측의 저크(20)에 결속되어 좌측으로 이끌게 됨으로써, 파레트(10)가 리프트(5)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파레트(10)가 리프트(5)에 올려진 상태에서 리프트(5)가 하강하여 출고위치로 내려오게 된다.(도 4a, 4b 참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크(20)의 하단에 스커트부(26)가 형성된 특성상, 상기 롤러드레그(30)의 롤러(34)는 양 스커트부(26) 사이 간극으로 유입된 다음에 양 측벽부(24) 사이의 간극 즉, 채널공간(20a)으로 유입된다.
즉, 양 측벽부(24) 사이의 간극에서 채널공간(20a)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완만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이어지기 때문에 롤러드레그(30)의 롤러(34)가 채널공간(20a)에 인입되는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저크(20)의 배면부(22)가 길게 아래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특성상, 롤러드레그(30)의 롤러(34)가 채널공간(20a)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저크(20)의 뒤쪽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롤러드레그(30)의 롤러(34)가 저크(20)의 채널공간(20a)에 인입된 후에는 측벽부(24)의 선단에 돌출부(241)가 형성된 특성상, 롤러(34)가 채널공간(20a)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도 5a, 5b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의 작동에 있어서, 상기 저크(20)의 형태적인 특성상, 채널공간(20a)의 폭이 종래기술의 후크에 형성된 걸림홈의 폭보다 넓고 스커트부(26)에 의해 롤러가 채널공간(20a)에 인입되는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드레그(30)의 회전반경이 크지 않아도 롤러(34)가 채널공간(20a)에 쉽게 인입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저크(20)가 파레트(10)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5: 리프트 10: 파레트
20: 저크 20a: 채널공간
22: 배면부 24: 측면부
241: 돌출부 26: 스커트부
30: 롤러드레그 32: 지지브라켓

Claims (7)

  1. 승강로를 통해 승강하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의해 승강 이동됨과 더불어 수평 이동되어 승강로 양측에 다층으로 갖추어진 격납실에 선택적으로 격납되는 파레트와, 상기 파레트의 수평이동을 위한 파레트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 이동수단은 상기 파레트의 양선단에 구비되어 파레트의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저크(jerk)와, 상기 리프트에 구비된 정역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체인에 부착되어 체인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저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한쌍의 롤러드레그(roller drag)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크는 배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양측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채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저크의 양 측벽부의 하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형태의 스커트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크의 상기 배면부는 그 하단이 상기 스커트부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아래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크의
    측벽부의 선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드레그는
    절곡된 패널 형태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측면으로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러가 저크의 채널공간으로 인입됨으로써 저크와 결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드레그의 지지브라켓의 회전반경이 저크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KR1020170026029A 2016-06-24 2017-02-28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KR101956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61 2016-06-24
KR20160079461 201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0A KR20180001430A (ko) 2018-01-04
KR101956845B1 true KR101956845B1 (ko) 2019-03-12

Family

ID=6099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029A KR101956845B1 (ko) 2016-06-24 2017-02-28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8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엠큐브 3차원 입출차 방식 주차 시스템
KR20230121307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엠큐브 다면 입출차 방식 주차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95B1 (ko) * 2006-02-06 2007-05-21 이금철 입체 격납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95B1 (ko) * 2006-02-06 2007-05-21 이금철 입체 격납 주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1308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엠큐브 3차원 입출차 방식 주차 시스템
KR20230121307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엠큐브 다면 입출차 방식 주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0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5747B2 (ja) バッテリー交換ステーショ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90308000A1 (en) High density storage facility
KR101956845B1 (ko) 격납식 주차타워 시스템
CN108082812A (zh) 具有高稳定度的货架滑梯
JP2015135029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112174015A (zh) 一种临时增加提升高度的货运提升机
CN105986690B (zh) 一种载车板码垛机及使用该载车板码垛机的智能立体车库
CN111115072A (zh) 自动化仓库及其进行存取货物的方法
CN104863403A (zh) 无载板立体车库汽车升降机
CN110626694A (zh) 一种可自动存取型材货物的立体仓库
JP2008215051A (ja) 駐車設備
CN208022208U (zh) 适用于大型货架的滑动梯
JP370502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等
JP2004270351A (ja) ハイルーフ、標準車の混合収納立体駐車装置
CN214879925U (zh) 一种便于存放的升高车
JP3095922B2 (ja) 立体格納塔におけるホーク式受渡し装置
JP5653134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211313544U (zh) 一种多层拼接式停车架
JP2866787B2 (ja) 格納システム
CN214062508U (zh) 存车板带动力的垂直升降立体车库
JP3811983B2 (ja) ラック式倉庫システム
JP3192303B2 (ja) 多層積車両保管装置
KR200153659Y1 (ko) 백패널 적재용 래크
CN104453315A (zh) 一种可四向存取的勾拉式立体停车系统
JPH0543014A (ja) ラツク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