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16B1 -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 Google Patents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16B1
KR101955716B1 KR1020180039078A KR20180039078A KR101955716B1 KR 101955716 B1 KR101955716 B1 KR 101955716B1 KR 1020180039078 A KR1020180039078 A KR 1020180039078A KR 20180039078 A KR20180039078 A KR 20180039078A KR 101955716 B1 KR101955716 B1 KR 10195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rack
sprocket
mobile
power supply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동성나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나이키 filed Critical (주)동성나이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Abstract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모빌랙;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빌랙이 이동되도록 상기 모빌랙의 측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는 전원 차단 시 상기 구동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다수의 모빌랙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마련하여 각각의 모빌랙에 설치된 비상용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모빌랙 각각에 설치된 배터리팩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의 전원 차단 시에도 모빌랙을 이동 또는 개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Manual and Rechargeable Mobile Racks}
본 발명은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으로 개폐되는 모빌랙을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으로 조작하여 모빌랙을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모빌랙의 이동을 보다 적은 힘으로도 수동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은 다수의 랙에 많은 양의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사무용품,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및 고정되는 것과 상기 모빌랙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는 것이 있다.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모빌랙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모빌랙의 하방에 위치됨은 물론 바닥에 결합되는 레일에는 상기 모빌랙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바퀴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모빌랙의 본체를 잡고 상기 모빌랙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모빌랙은 레일 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모빌랙은 회전하는 각 바퀴에 따라 상기 모빌랙을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빌랙은 사용자가 상기 모빌랙의 본체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모빌랙을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밀어야 함에 따라 상기 모빌랙의 랙 내에 많은 양의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이 있을 경우 상기 모빌랙을 이동시키기 위한 많은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모빌랙을 이동시키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모빌랙을 밀 때 상기 밀리는 모빌랙와 반대편 측의 모빌랙이 접촉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모빌랙 사이에 사람의 손이나 신체 일부가 끼거나 다치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핸들을 이용한 모빌랙의 수동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전동식 모빌랙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상기 전동식 모빌랙은 다수 개의 레일 및 다수 개의 주행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모빌랙 내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주행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랙의 일측 소정 위치에는 상기 모터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온(ON)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모터부가 구동되면서 그 회전력이 스프로켓 및 체인, 회전축 등을 통하여 상기 주행부재에 전달되므로서, 해당 랙이 상기 레일 위를 따라 주행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모빌랙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부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모빌랙의 이동 및 정지가 제어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행부재는 상기 모터부의 동작 시 관성에 의해 레일상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므로, 모빌랙의 이동 및 정지 동작이 정확하게 제어되지 못하거나 모빌랙 상호간에 임의적인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모빌랙은 구동수단의 이상에 따른 수동 조작을 위해 별도의 수동 핸들을 구비하거나 복잡한 구조의 수동 조작수단을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아울러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데 반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모빌랙의 주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모빌랙의 주행장치는 각 랙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프레임 외면에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켓,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프레임 외면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 및 종동 스프로켓 사이의 설치되는 연결 스프로켓, 상기 연결 스프로켓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연결 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 및 상부 스프로켓을 상호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체인, 상기 제1 회전축에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주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행수단이 구비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는 모빌랙의 외형을 형성하며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휠과 휠축을 수용하는 이동지지프레임, 상기 휠축 사이를 연결하는 휠축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축을 수동식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휠축에 형성되어 전동식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종동스프라켓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1943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431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모빌랙을 이동 또는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은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모빌랙;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빌랙이 이동되도록 상기 모빌랙의 측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는 전원 차단 시 상기 구동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다수의 모빌랙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빌랙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다수의 모빌랙 저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하부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비상전원공급부 또는 상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종동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체인; 상기 모빌랙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빌랙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이동버튼; 상기 모빌랙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이동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버튼 및 상기 제2 이동버튼은 상기 모빌랙의 이동되는 방향과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종동스프로킷이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이동바퀴; 상기 제2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가 설치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설치된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2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에 의하면, 각각의 모빌랙에 설치된 비상용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모빌랙 각각에 설치된 배터리팩을 랙과 랙 사이로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의 전원 차단 시에도 모빌랙을 이동 또는 개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에 의하면, 상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비상전원공급부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이동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3 스프로킷에 탈부착 가능한 수동 핸들을 설치하여 수동으로도 조작할 수 있으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의 장력을 제4 스프로킷으로 조절하여 제1 회전부재와 제2 회전부재가 동일하게 회전되어 모빌랙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도시한 평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평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평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은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모빌랙(10),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빌랙(10)이 이동되도록 상기 모빌랙(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에는 전원 차단 시 상기 구동부(2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다수의 모빌랙(10)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비상전원공급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은 전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식 모빌랙에 상시 전원이 단락될 경우 모빌랙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비상전원이 상시 공급되어 상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모빌랙을 안전하게 이동시켜 모빌랙에 수납 또는 보관된 자료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도시한 평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은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도록 다수의 모빌랙(10)이 설치되며, 상기 모빌랙(10)의 하부에는 모빌랙(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20)에서 발생된 회전력으로 모빌랙(10)을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3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비상전원공급부(50)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모빌랙(10)은 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14)에는 다수의 모빌랙(10)이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모빌랙(10)에는 비상전원공급부(50)가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모빌랙(10)은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또는 수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모빌랙(10)은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수직판(11)과 상기 수직판(11)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판(12)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모빌랙(10)의 하단에는 모빌랙(10)이 소정 높이에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하부벽체(13)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벽체(13)는 모빌랙(10)을 지지함은 물론 비상전원공급부(5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모빌랙(10)의 하단에는 모빌랙(10)이 이동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레일(14)이 설치되며, 이들 레일(14)은 모빌랙(10)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각각 한 쌍의 레일(14)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14)은 모빌랙(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시 전원 및 비상전원공급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레일(14)은 지면과 모빌랙(10) 사이에 설치되므로, 상시 전원 또는 비상전원공급부(50)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접지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모빌랙(10)의 하부 일면에는 인접한 다른 모빌랙(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커넥터(15)가 설치되며, 상기 인접한 다른 모빌랙(10)에는 커넥터(15)에 대응되는 접속구(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커넥터(15)와 접속구는 모빌랙(10)의 이동에 따라 서로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암수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빌랙(10)은 인접한 모빌랙(10)과 접촉 시 암수 커넥터(15)가 서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모빌랙(10)이 서로 분리됨에 따라 암수 커넥터(15)는 서로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며, 인접한 모빌랙(10)과 접촉에 따라 전원이 상시 공급되게 한다.
또한, 모빌랙과 모빌랙이 서로 이동하여 접속시 자동으로 각 랙마다 전원연결부(16)가 설치되어 전원이 연결됨에 따라 자동 충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평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평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는 모빌랙(10)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비상전원공급부(50) 또는 상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1), 상기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22), 상기 구동스프로킷(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23), 상기 구동스프로킷(22)과 상기 종동스프로킷(23)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체인(24), 상기 모빌랙(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됨은 물론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비상전원공급부(5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구동모터(21)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일측에 구동스프로킷(22)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22)과 이격된 위치에는 종동스프로킷(23)이 설치된다.
상기 종동스프로킷(23)은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부(30)로 전달하여 모빌랙(10)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부(30)의 제1 회전부재(31)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로킷(22)과 종동스프로킷(23)에는 구동스프로킷(2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체인(24)이 설치되며, 상기 모빌랙(10)에는 구동부(20)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빌랙(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이동버튼(25)과 상기 모빌랙(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이동버튼(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버튼(25) 및 상기 제2 이동버튼(26)은 상기 모빌랙(10)의 이동되는 방향과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버튼은 모빌랙(10)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이동버튼(25)과 모빌랙(10)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이동버튼(26)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제1 이동버튼(25)과 제2 이동버튼(26)은 모빌랙(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이동버튼(25)은 모빌랙(10)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면상 모빌랙(10)의 왼쪽에 설치되고, 제2 이동버튼(26)은 모빌랙(10)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면상 모빌랙(10)의 오른쪽에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모빌랙(10)의 이동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제1 이동버튼(25)을 누르면 모빌랙(10)은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이동버튼(26)을 누르면 모빌랙(10)은 도면상 왼쪽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구동부(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재(31), 상기 제1 회전부재(3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31)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회전부재(41)를 포함한다.
상기 상기 제1 회전부재(31)는 상기 구동부(2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종동스프로킷(23)이 설치되는 제1 회전축(32),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각의 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32)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이동바퀴(33), 상기 제2 회전부재(41)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32)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 스프로킷(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41)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43)가 설치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42),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각의 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축(42)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43), 상기 제1 회전부재(31)에 설치된 제1 스프로킷(3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2 회전축(42)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스프로킷(44), 상기 제1 스프로킷(34)과 상기 제2 스프로킷(44)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체인(4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재(31)와 제2 회전부재(41)는 각각의 모빌랙(10) 하부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회전부재(31)와 제2 회전부재(41)는 일정 폭으로 형성된 모빌랙(10)의 저면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 회전축(32)은 모빌랙(1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32)에는 각각의 레일(14)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1 이동바퀴(33)가 설치된다.
즉, 제1 회전축(32)에는 레일(14)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의 제1 이동바퀴(33)가 설치되며, 제1 회전축(32)의 선단에는 제1 회전부재(31)의 회전력을 제2 회전부재(41)로 전달하도록 제1 스프로킷(3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축(42)은 모빌랙(1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축(42)의 선단에는 제1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제2 스프로킷(44)이 설치된다.
상기 제2 회전축(42)에는 다수의 레일(14)에 대응되는 제2 이동바퀴(43)가 설치됨은 물론 제1 스프로킷(34)에 대응되는 제2 스프로킷(44)이 설치되며, 이들 제1 스프로킷(34)과 제2 스프로킷(44)에는 제2 체인(45)이 설치된다.
한편 제2 체인(45)에는 모빌랙(10)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동핸들(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체인(45)의 상측에는 수동핸들을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도록 제3 스프로킷(46)이 설치된다.
즉, 제3 스프로킷(46)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모빌랙(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동핸들(미도시)이 설치되며, 이러한 수동핸들은 제3 스프로킷(46)을 회전시킴에 따라 모빌랙(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제2 체인(45)에는 제1 회전부재(31)와 제2 회전부재(41) 사이에 장력을 조절하는 제4 스프로킷(47)이 설치된다.
상기 비상전원공급부(50)는 상시 전원이 차단된 경우 구동모터(2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상전원공급부(50)는 구동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비상전원공급부(50)는 각각의 모빌랙(10)에 설치됨에 따라 상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며, 지면과 접지된 레일(14)을 통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은 모빌랙(10)의 측면에 설치된 제1 이동버튼(25)과 제2 이동버튼(26)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20)가 구동되며, 상기 구동부(2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동력전달부(30)로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부(30)의 이동바퀴(33, 43)는 레일(14)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모빌랙(1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모빌랙(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빌랙(10)에 설치된 제1 이동버튼(25) 또는 제2 이동버튼(27)을 조작하게 된다. 이때 제1 이동버튼(25)은 도 1에서와 같이, 모빌랙(10)을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 이동버튼(26)은 모빌랙(10)을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이되도록 구동모터(21)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제1 체인(24)에 의해 구동스프로킷(22)의 회전력을 종동스프로킷(23)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종동스프로킷(23)은 동력전달부(40)의 제1 회전부재(31)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31)의 제1 회전축(32)은 종동스프로킷(23)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함께 제1 스프로킷(34)은 제1 회전축(32)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제1 스프로킷(34)의 회전력은 제2 체인(45)에 의해 제2 회전부재(41)의 제2 스프로킷(44)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제1 회전부재(31)와 제2 회전부재(41)는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되며, 상기 제1 회전축(32)과 제2 회전축(42)은 이동바퀴(33, 43)를 회전시켜 모빌랙(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1)에 인가되는 전원은 비상전원공급부(50)에 공급되며, 비상전원공급부(50)는 상시 전원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빌랙(10)은 전원 공급의 차단되더라도 비상전원공급부(50)에 의해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시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구동모터(21)에는 비상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21)가 구동된다.
이러한 비상전원공급부(50)는 일렬로 설치된 모빌랙(1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은 상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비상전원공급부(50)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스프로킷(46)에는 필요에 따라 수동 핸들을 설치하여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제1 스프로킷(34)과 제2 스프로킷(44)의 장력을 제4 스프로킷(47)으로 조절하여 제1 회전부재(31)와 제2 회전부재(41)가 동일하게 회전되어 모빌랙(10)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모빌랙 11: 수직판
12: 수평판 13: 하부벽체
14: 레일 16 : 전원연결부
20: 구동부 21: 구동모터
22: 구동스프로킷 23: 종동스프로킷
24: 제1 체인 25: 제1 이동버튼
26: 제2 이동버튼
30: 동력전달부 31: 제1 회전부재
32: 제1 회전축 33: 제1 이동바퀴
34: 제1 스프로킷
41: 제2 회전부재 42: 제2 회전축
43: 제2 이동바퀴 44: 제2 스프로킷
45 : 제2 체인 46: 제3 스프로킷
47: 제4 스프로킷 50: 비상전원공급부

Claims (7)

  1. 서적이나 각종 서류 및 기타 물품 등을 보관 및 수납하도록 설치되며, 비상전원공급부가 설치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다수의 모빌랙 저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하부벽체가 구성된 다수의 모빌랙;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되, 전원 차단 시 구동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다수의 모빌랙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비상전원공급부, 비상전원공급부 또는 상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체인, 모빌랙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빌랙이 이동되도록 상기 모빌랙의 측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모빌랙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이동버튼, 상기 모빌랙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이동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버튼 및 상기 제2 이동버튼은 상기 모빌랙의 이동되는 방향과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종동스프로킷이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 이동바퀴, 상기 제2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1 스프로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가 설치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2 회전축,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설치된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2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시 전원이 차단된 경우 구동모터(2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시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구동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모빌랙(10)에 설치됨에 따라 상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며, 지면과 접지된 레일(14)을 통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비상전원공급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9078A 2017-11-22 2018-04-04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KR101955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67 2017-11-22
KR20170156867 2017-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716B1 true KR101955716B1 (ko) 2019-03-26

Family

ID=6594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078A KR101955716B1 (ko) 2017-11-22 2018-04-04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024A1 (ko) * 2020-01-21 2021-07-29 박진태 가구유닛을 이용한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2544605B1 (ko) * 2022-07-29 2023-06-19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된 모빌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148A (ja) * 2000-06-06 2001-12-11 Okamura Corp 電動式移動棚装置
KR100891739B1 (ko) * 2008-11-20 2009-04-03 (주)동성 Naiki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KR101219436B1 (ko) 2012-06-26 2013-02-05 (주)동성 Naiki 모빌랙의 주행장치
JP2014046993A (ja) * 2012-08-29 2014-03-17 Kongo Co Ltd 移動棚装置
KR20150043190A (ko) 2014-02-14 2015-04-2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148A (ja) * 2000-06-06 2001-12-11 Okamura Corp 電動式移動棚装置
KR100891739B1 (ko) * 2008-11-20 2009-04-03 (주)동성 Naiki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KR101219436B1 (ko) 2012-06-26 2013-02-05 (주)동성 Naiki 모빌랙의 주행장치
JP2014046993A (ja) * 2012-08-29 2014-03-17 Kongo Co Ltd 移動棚装置
KR20150043190A (ko) 2014-02-14 2015-04-2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하이브리드 구동부를 가진 모빌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0024A1 (ko) * 2020-01-21 2021-07-29 박진태 가구유닛을 이용한 문서 관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2544605B1 (ko) * 2022-07-29 2023-06-19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된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86533T3 (es) Robot para transportar contenedores de almacenamiento
JP6596416B2 (ja) 車両内のバッテリの交換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955716B1 (ko)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JP7331019B2 (ja) 保管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車両
JP6962953B2 (ja) ローラコンベヤ用の駆動装置
US10466699B2 (en) Autonomous travel device
KR100891739B1 (ko) 모빌랙 수장고의 수동 및 전동 겸용 조작장치
US9056686B2 (en) Aircraft tug vehicle
JP5170536B2 (ja) 物品処理設備
KR102041723B1 (ko) 바퀴의 방향 전환 없이 전방향 자율주행이 가능한 중량물 이송장치
JP3134909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ー交換装置
US11498781B2 (en) Transport system
KR102016103B1 (ko) 모빌랙의 긴급 제동장치
PT1927525E (pt) Plataforma expositora de peças rolante para o abastecimento de linhas de fabrico
CN107336767B (zh) 自行夹具及免维护组装线
KR20160020710A (ko) 중량물 이송용 대차
KR200275038Y1 (ko) 이동식 컨베이어
KR101820320B1 (ko) 보행 보조 장치
CN212009694U (zh) 多轴推货装置及自动售货机
CH718843A2 (de) Kabelbearbeitungssystem mit Zu- und Abfuhr.
ITTV20060017A1 (it) Carrello con pianale elevabile elettrico a trazione meccanizzata con due motori indipendenti.
JP2017137153A (ja) 重量物運搬用ローラー装置
ITMI980792A1 (it) Struttura di carrello dotato di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autonomo particolarmente per supermercati e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