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325B1 - 중량물 이송용 대차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송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325B1
KR101622325B1 KR1020140105745A KR20140105745A KR101622325B1 KR 101622325 B1 KR101622325 B1 KR 101622325B1 KR 1020140105745 A KR1020140105745 A KR 1020140105745A KR 20140105745 A KR20140105745 A KR 20140105745A KR 101622325 B1 KR101622325 B1 KR 101622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or
main body
member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710A (ko
Inventor
인기성
Original Assignee
인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기성 filed Critical 인기성
Priority to KR102014010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3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물의 일측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00);와, 상기 거치부(1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축(210, 210`)과 상기 샤프트축(210, 210`)에 연결되는 제1 바퀴(220, 220`)가 설치된 바퀴프레임부(200, 200`);와,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제2 바퀴(310)가 설치되는 본체부(3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부(4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와 연동되는 모터기어(5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500);와, 상기 모터부(400)와 모터기어(52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기어(520) 및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연결체인부재(600);와, 상기 제1 바퀴(220, 220`)가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축(210, 210`)과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 말단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810)가 포함되는 손잡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차 본체부에 모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대차의 전방 및 후방의 이동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최소한의 인력으로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이송용 대차{Transfer truck for heavy}
본 발명은 중량물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물의 일측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00);와, 상기 거치부(1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축(210, 210`)과 상기 샤프트축(210, 210`)에 연결되는 제1 바퀴(220, 220`)가 설치된 바퀴프레임부(200, 200`);와,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제2 바퀴(310)가 설치되는 본체부(3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부(4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와 연동되는 모터기어(5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500);와, 상기 모터부(400)와 모터기어(52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기어(520) 및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연결체인부재(600);와, 상기 제1 바퀴(220, 220`)가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축(210, 210`)과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 말단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810)가 포함되는 손잡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용 대차는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자중을 가진 물건 등을 몸체에 적재하여 운반용 대차 하부에 형성된 바퀴의 회전을 이용하여 주행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물건 등을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이러한 운반용 대차는 비교적 경량의 물건을 이동시키는 소형대차와 중량 이상의 물건을 이동시키는 대형대차 및 판상 형태의 이동대차로 나눌 수 있다.
소형대차 및 대형대차는 보통 손잡이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손으로 밀거나 당겨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판상 형태의 이동대차는 둘 이상 구비하여 물건을 그 위에 적재시킨 후 물건을 밀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다양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운반 대차의 연결구조(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7218호)”는 판상이며 저면에는 캐스터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제1 끼움홈(5`)이 마련되는 제1 대차(1`)와 판상이며 저면에는 캐스터가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제2 끼움홈(5``)이 마련되는 제2 대차(1``)가 띠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제1 끼움홈(5`)에 끼워지고 타측은 상기 제2 끼움홈(5``)에 끼워지게 되는 연결대(7)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다수의 제1 및 2 대차(1`, 1``)를 연결대(7)로 연속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더 넓은 적재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소량부터 대량의 물건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다양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운반 대차의 연결구조”는 작업자의 인력으로 중량물을 밀거나 당겨서 이동위치로 옮기는 구성으로 인하여 반복작업을 하거나 대량의 중량물을 이동시킬 경우, 작업자의 체력저하를 발생시켜 작업 진행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 및 2 대차(1`, 1``)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이동하는 중 방향전환을 하는 경우, 별도의 방향전환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복도 또는 좁은 실내에서는 캐스터의 방향을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하여 억지로 회전시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72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 본체부에 모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대차의 전방 및 후방의 이동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최소한의 인력으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한 중량물 이송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차 본체부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의 구동조작을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인가받는 기어가, 기어와 연동되어 있는 좌, 우측 바퀴의 회전유무를 제어함으로써, 좌측의 기어만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되면 대차가 우측으로 회전하게되고, 반대로 우측의 기어만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되면 대차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게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실내 및 좁은 복도를 포함한 어느 장소에서도 방향전환이 쉽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것이 가능한 중량물 이송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는, 중량물의 일측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00);와, 상기 거치부(1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축(210, 210`)과 상기 샤프트축(210, 210`)에 연결되는 제1 바퀴(220, 220`)가 설치된 바퀴프레임부(200, 200`);와,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제2 바퀴(310)가 설치되는 본체부(3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부(4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와 연동되는 모터기어(5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500);와, 상기 모터부(400)와 모터기어(52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기어(520) 및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연결체인부재(600);와, 상기 제1 바퀴(220, 220`)가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축(210, 210`)과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상기 본체부(300) 상부 말단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810)가 포함되는 손잡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축(210, 210`)은, 상기 제1 샤프트축(210, 210`) 일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연결되는 제1 회전톱니(211, 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500)는, 상기 모터기어(520)가 안착되는 모터기어안착부(530)가 더 형성되되, 상기 모터기어안착부(530)의 양측면에는 기어연결공(531, 531`)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안착되는 기어안착부(540, 540`)가 각각 더 형성되며,
상기 모터기어(520)는, 각각의 상기 기어연결공(531, 531`)에 인입되어 상기 모터기어(52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측에 샤프트부(521, 521`)가 각각 더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샤프트부(521, 521`) 내부에는 연결톱니공(522)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어본체부(511, 511`)와,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톱니공(522)과 연결되는 연결톱니부(512, 512`)와,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이동축(513, 513`)과, 상기 이동축(513, 513`)이 삽입되는 이동축삽입공(515, 515`)과 상기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연결되는 제2 회전톱니(516, 516`)를 포함하는 바퀴구동축(514, 5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안착부(540, 540`)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축(541, 541`)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41, 541`)의 선단측과 말단측에는 연결돌기(543, 543`)가 형성된 기어본체이동가이드(542, 542`)가 이동가능하게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41, 541`)의 말단측에는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어조작손잡이(544, 544`)가 더 형성되고,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에는 상기 연결돌기(543, 543`)가 삽입되도록 외주연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어탈착조절홈(517, 517`)이 더 형성되어, 상기 기어조작손잡이(544, 544`)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톱니부(512, 512`)가 상기 톱니공(522)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 상부와 상기 기어박스(500) 사이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대(11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량물거치대(1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거치대(120)의 선단측에는 연장형성되는 로프연결부(1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중량물거치대(120)의 말단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122)가 더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3 바퀴(910)가 설치되고 선단측에는 삽입공(920)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부재(900)가 둘 이상 더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92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재(900)를 연결시키는 연결핀(9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차 본체부에 모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대차의 전방 및 후방의 이동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최소한의 인력으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차 본체부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기어의 구동조작을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인가받는 기어가, 기어와 연동되어 있는 좌, 우측 바퀴의 회전유무를 제어함으로써, 좌측의 기어만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되면 대차가 우측으로 회전하게되고, 반대로 우측의 기어만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되면 대차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게차가 진입하지 못하는 실내 및 좁은 복도를 포함한 어느 장소에서도 방향전환이 쉽게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의 평면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의 구성 중 기어박스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의 구성 중 기어박스의 내측에 설치된 제1, 2 기어부재가 모터기어와 탈착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의 구성을 제2 기어부재만 모터기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량물 이송용 대차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와 이동가이드부재에 물건이 적재되어 이동된 후 적재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대차(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거치부(100)와 바퀴프레임부(200), 본체부(300), 모터부(400), 기어박스(500), 손잡이부(800) 및 이동가이드부재(900)로 구성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가 작동되도록 외부의 전원인가장치, 센서 및 연동되는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진 것으로서, 상기 구동요소들을 구성하고 작동되는 원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2를 기준으로 하측을 선단측, 상측을 말단측, 좌측을 우측, 우측을 좌측으로 설정하고, 선단측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하고, 말단측 방향을 역방향으로 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거치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거치부(100)는 도 1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량물의 일측 하부가 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고 필요시 상기 중량물(W)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부(100) 상부에는 회전가능한 중량물거치대(1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량물거치대(120)의 선단측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로프나 줄 등을 묶을 수 있도록 로프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있는 로프연결부(121)를 구성함으로써, 수십톤의 무게를 가진 대량물(미도시)을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에 적재하여 이동할 경우, 상기 로프삽입공(123)과 연결된 로프 또는 줄을 외부의 인력 또는 차량과 연결하여 중량물 이송용 대차(1)에 적재된 상기 대량물(미도시)가 보다 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중량물거치대(120)의 말단측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둥형상의 지지돌기(122)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돌기(122)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중량물(W)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중량물(W)이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거치부(100) 와 후술할 이동가이드부재(900)의 상면에 적재된 상기 중량물(W)을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를 이용하여 지정위치로 밀어서 옮기기 위해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가 전진하게 되면, 도 6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중량물(W)은 상기 지지돌기(122)의 간섭으로 인해 후방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와 같이 전진하게 되어 지정위치로 상기 중량물(W)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100)의 말단측과 후술할 기어박스(500) 사이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대(11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1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중량물(W)을 지정위치로 옮길 경우, 상기 거치부(100)에 발생하는 전단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일종의 전단력에 대응하는 반력을 지원하는 받침부재이다.
다음으로, 바퀴프레임부(200, 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퀴프레임부(200, 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거치부(1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축(210, 210`)이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축(210, 210`)에 연결되는 제1 바퀴(220, 2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축(210, 210`) 일측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회전톱니(211, 211`)가 설치되어 후술할 연결체인부재(700, 7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체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3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에 형성되는 판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본체부(300)의 말단측 하부에 제2 바퀴(3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다음으로, 모터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부(3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바퀴(220, 220`)를 회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어부(8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링크(미도시)를 진행방향 및 역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부(400)의 구성은 AC모터 또는 DC모터 등 다양한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기어박스(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어박스(500)는 도 1,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상기 모터부(400)와 연동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는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와 연동되는 모터기어(5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박스(500)의 내부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모터기어(520)가 안착되는 모터기어안착부(530)와 상기 모터기어안착부(530)의 양측면에는 기어연결공(531, 53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안착되는 기어안착부(540, 54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기어(52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기어연결공(531, 531`)에 인입되어 상기 모터기어(52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측에 샤프트부(521, 521`)가 각각 형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샤프트부(521, 521`) 내부에는 연결톱니공(5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기어(520)와 상기 모터부(400)의 회전링크(미도시)는 구동연결체인부재(600)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을 상기 모터기어(52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어본체부(511, 511`)와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톱니공(522)과 연결되는 연결톱니부(512, 5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에는 후술할 연결돌기(543, 543`)가 삽입되도록 외주연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어탈착조절홈(517, 517`)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의 타측면에는 이동축(513, 51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513, 513`)이 삽입되는 이동축삽입공(515, 515`)과 상기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연결되는 제2 회전톱니(516, 516`)를 포함하는 바퀴구동축(514, 5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체인부재(700, 700`)는 상기 제1 회전톱니(211, 211`)와 제2 회전톱니(516, 516`)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바퀴(220, 22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어안착부(540, 540`)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축(541, 5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41, 541`)의 선단측과 말단측에는 연결돌기(543, 543`)가 형성된 기어본체이동가이드(542, 54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541, 541`)의 말단측에는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어조작손잡이(544, 544`)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기어박스(500)로 인하여,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모터기어(520)와 연동 및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기어조작손잡이(544, 544`)에 의해 상기 제1 바퀴(220, 2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부(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부(8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부(300) 상부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을 운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일측면에는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81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800)는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회동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동가이드부재(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900)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에는 제3 바퀴(910)가 설치되고 선단측에는 삽입공(920)이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중량물(W)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둘 이상 구비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가이드부재(900)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삽입공(92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재(900)를 연결시키는 연결핀(9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가이드부재(900) 간 이격거리를 유지 및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중량물(W)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중량물(W)을 상기 거치부(100) 및 이동가이드부재(900) 상면에 적재한다.
이 후, 상기 손잡이부(800)에 형성된 제어부(810)를 통해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평상시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할 경우의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는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톱니공(522)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모터기어(520)와 연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톱니공(522)과 연결된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를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연결톱니공(522)에서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을 탈거하게 되면, 탈거된 상기 연결톱니부(512, 512`)에 해당하는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의 방향으로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가 회전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를 좌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기어조작손잡이(544)를 이용하여 제1 기어부재(510)를 상기 모터기어(520)에서 탈거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톱니공(522)에 연결되어 있던 상기 연결톱니부(512)가 이탈되어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상기 모터기어(520)의 구동력을 상기 연결톱니부(512)에 전달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제1 바퀴(220)에는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작업자의 별도의 움직임이 없게 되면, 상기 제1 바퀴(220)의 반대편의 상기 제1 바퀴(220`)는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으로 인해 계속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중량물 이송용 대차(1)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바퀴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중량물 이송용 대차
100: 거치부
110: 지지대 120: 중량물거치대
121: 로프연결부 122: 지지돌기
123: 로프삽입공
200: 바퀴프레임부
210, 210`: 샤프트축
211, 211`: 제1 회전톱니
220, 220` : 제1 바퀴
300: 본체부
310: 제2 바퀴
400: 모터부
500: 기어박스
510, 510`: 제1, 2 기어부재
511, 511`: 기어본체부
512, 512`: 연결톱니부
513, 513`: 이동축
514, 514`: 바퀴구동축
515, 515`: 이동축삽입공
516, 516`: 제2 회전톱니
517, 517`: 기어탈착조절홈
520: 모터기어
521, 521`:샤프트부
522: 연결톱니공
530: 모터기어안착부
531, 531`: 기어연결공
540, 540`: 기어안착부
541, 541`: 회전축
542, 542`: 기어본체이동가이드
543, 543` : 연결돌기
600: 구동체인부재
700, 700`: 연결체인부재
800: 손잡이부
810: 제어부
900: 이동가이드부재
910: 제3 바퀴
920: 삽입공
930: 연결핀
W: 중량물

Claims (5)

  1. 삭제
  2. 중량물(W)의 일측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축(210, 210`)과 상기 샤프트축(210, 210`)에 연결되는 제1 바퀴(220, 220`)가 설치된 바퀴프레임부(200, 200`);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제2 바퀴(310)가 설치되는 본체부(300);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부(400);
    상기 본체부(300) 상부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와 연동되는 모터기어(5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500);
    상기 모터부(400)와 모터기어(52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기어(520) 및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연결체인부재(600);
    상기 제1 바퀴(220, 220`)가 상기 모터부(400)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축(210, 210`)과 제1, 2 기어부재(510, 510`)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체인부재(700, 700`);
    상기 본체부(300) 상부 말단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810)가 포함되는 손잡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샤프트축(210, 210`)은,
    상기 샤프트축(210, 210`) 일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연결되는 제1 회전톱니(211, 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500)는,
    상기 모터기어(520)가 안착되는 모터기어안착부(530)가 더 형성되되, 상기 모터기어안착부(530)의 양측면에는 기어연결공(531, 531`)이 각각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가 안착되는 기어안착부(540, 540`)가 각각 더 형성되며,
    상기 모터기어(520)는,
    각각의 상기 기어연결공(531, 531`)에 인입되어 상기 모터기어(52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측에 샤프트부(521, 521`)가 각각 더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샤프트부(521, 521`) 내부에는 연결톱니공(522)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2 기어부재(510, 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기어본체부(511, 511`)와,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톱니공(522)과 연결되는 연결톱니부(512, 512`)와,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이동축(513, 513`)과, 상기 이동축(513, 513`)이 삽입되는 이동축삽입공(515, 515`)과 상기 연결체인부재(700, 700`)와 연결되는 제2 회전톱니(516, 516`)를 포함하는 바퀴구동축(514, 5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대차(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안착부(540, 540`)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축(541, 541`)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41, 541`)의 선단측과 말단측에는 연결돌기(543, 543`)가 형성된 기어본체이동가이드(542, 542`)가 이동가능하게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541, 541`)의 말단측에는 연장되어 형성되는 기어조작손잡이(544, 544`)가 더 형성되고,
    상기 기어본체부(511, 511`)에는 상기 연결돌기(543, 543`)가 삽입되도록 외주연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기어탈착조절홈(517, 517`)이 더 형성되어,
    상기 기어조작손잡이(544, 544`)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톱니부(512, 512`)가 상기 연결톱니공(522)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대차(1).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 말단측 상부와 상기 기어박스(500) 사이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지대(11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중량물거치대(12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대차(1).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거치대(120)의 선단측에는 연장형성되는 로프연결부(1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중량물거치대(120)의 말단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122)가 더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3 바퀴(910)가 설치되고 선단측에는 삽입공(920)이 형성되는 이동가이드부재(900)가 둘 이상 더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92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재(900)를 연결시키는 연결핀(9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대차(1).
KR1020140105745A 2014-08-14 2014-08-14 중량물 이송용 대차 KR101622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745A KR101622325B1 (ko) 2014-08-14 2014-08-14 중량물 이송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745A KR101622325B1 (ko) 2014-08-14 2014-08-14 중량물 이송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10A KR20160020710A (ko) 2016-02-24
KR101622325B1 true KR101622325B1 (ko) 2016-05-31

Family

ID=5544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745A KR101622325B1 (ko) 2014-08-14 2014-08-14 중량물 이송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246B1 (ko) 2023-06-02 2023-11-29 (주)제이.케이.에스 대형 중량물 운반시 자동 수평 이송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719B1 (ko) * 2023-10-31 2024-06-26 주식회사 지석엔지니어링 이동용 밀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7218A (ko) 2011-03-21 2012-10-02 주식회사 에프엔씨 다양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운반 대차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246B1 (ko) 2023-06-02 2023-11-29 (주)제이.케이.에스 대형 중량물 운반시 자동 수평 이송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10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4236B2 (ja) 車両のリフト搬送台車、縦列無人走行台車、車両縦列駐車システムおよび車両縦列駐車方法
KR101887710B1 (ko) 이동대차들을 구비한 이송 장치
JP7049181B2 (ja) 建材用走行搬送台車
KR102041723B1 (ko) 바퀴의 방향 전환 없이 전방향 자율주행이 가능한 중량물 이송장치
KR101622325B1 (ko) 중량물 이송용 대차
US4582154A (en) Drive apparatus
KR20150131847A (ko) 다방향 덤핑 이송 대차
CN105946912A (zh) 便携式的装卸搬运一体化越障小车
JP4280940B2 (ja) 自動搬送装置
US20180104851A1 (en) Carriage for a wall saw
EP2399803B1 (en) Lift truck
CN103303637A (zh) 机动链辊
WO2020059189A1 (ja) 駆動輪、台車及び機器
JP2022512046A (ja) 駆動輪の地面接触を維持する走行装置
KR101955716B1 (ko) 수동 및 충전식 모빌랙
KR101479287B1 (ko) 제품 운반 장
JP5605286B2 (ja) 組立台車及びそ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CN107472798B (zh) 一种机架移动装置
CN105501862A (zh) 一种卡动运输装置
KR20160012422A (ko) 물건이송대차
KR101754211B1 (ko) 무선 트롤리 로봇
JP2017137153A (ja) 重量物運搬用ローラー装置
EP2392502A2 (en) Drive unit for transport unit
JP2520752Y2 (ja) 自走型搬送用トロリー
KR101934392B1 (ko) 분리형운반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