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17B1 - 자주식 전동 대파 - Google Patents
자주식 전동 대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417B1 KR101879417B1 KR1020170013867A KR20170013867A KR101879417B1 KR 101879417 B1 KR101879417 B1 KR 101879417B1 KR 1020170013867 A KR1020170013867 A KR 1020170013867A KR 20170013867 A KR20170013867 A KR 20170013867A KR 101879417 B1 KR101879417 B1 KR 101879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craper
- salt
- direction adjusting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自走式) 전동 대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원공급용 배터리가 내장되고 저부 양측에는 이동용 구동바퀴(60,61)가 구비된 박스형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후단측에서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 설치되어 본체 후방에서 뒤따르는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대(10); 상기 본체(20)의 내부 또는 저부에 설치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21); 상기 본체(20)의 이동시 염전 바닥면에 밀착되어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채취하도록 좌우 일정 길이와 상하 일정 높이를 갖는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본체(2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레퍼(50); 상기 본체(20)의 이동시 소금을 채취하는 스크레퍼(50)의 전후방향 기울기 및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스크레퍼(50)와 연결되어 손잡이대(10)의 상판(12)에 구비되는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21)의 동작과 속도제어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대(10)의 상판(12)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조작부(2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동 및 조작이 편리한 자주식 전동 대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주식(自走式) 전동 대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를 통해 본체가 이동하면서 본체의 후방에 설치된 스크레퍼를 스크레퍼 방향조절부를 통해 전후방향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주식 전동 대파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가둬 증발시킨 후에 석출된 소금결정을 획득한 것으로, 이러한 천일염은 그 생산시에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결정체를 염전의 일측 제방측으로 대파(밀대)를 이용해서 모은 후에 제방에 준비된 이동수단으로 모아진 천일염을 퍼 올려 소금보관창고로 이송되어 보관 후 판매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염전에서 석출된 천일염(이하, ‘소금’이라 통칭함)을 채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파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소금 채취작업은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대파를 염전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대파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결 설치된 지지봉을 손으로 잡고 염전 일측에서 제방쪽으로 석출된 소금을 채집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소금을 채집하는 염전의 크기가 크고 석출된 많은 양의 소금을 작업자가 염전을 왔다 갔다 하는 왕복 작업을 통해 소금을 한곳으로 모으는 작업이 매우 수고롭고, 염전 제방측으로 모아진 소금을 또 다시 제방 위에 위치한 이동수단으로 퍼 올리고, 이동수단에 적재된 소금을 염전에서 멀리 위치한 소금보관창고까지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염전에서 소금 채취하는 작업이 매우힘든 상황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소금 채취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작업자의 힘든 노동력을절감시키기 위해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소금채취 작업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발명은 염전에서 소금 채취작업시 가장 먼저 수행하는 석출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으는데 사용되는 대파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작업자가 면적이 넓은 염전에서 수동 대파를 이용하여 석출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많은 육체적 노동력이 필요하였는데, 이러한 소금 채취작업의 수고로움을 경감시키기 위해 전동수단을 이용하여 소금채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대파장치가 종래에 안출되었다.
그 일 실시예로, 특허등록 제10-1426234호(등록일: 2014.07.29, 발명의 명칭: 염전용 전동 밀대)는 전기구동수단으로 이동되고 다양한 각도로 방향 전환 가능하며 작업과정에서 소금이 밀대 밖으로 불필요하게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적음 힘으로 많은 양의 소금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전동 밀대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염전용 전동 밀대’는 전동식으로 구동, 이동가능하게 된 대파를 이용하여 소금 채취작업에 작업자의 육체적 노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는 있었다.
하지만,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을 밀고 나가는 메인밀대가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고 작업자는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동 밀대를 잡고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와 메인밀대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염전바닥면을 밀고 나가는 메인밀대를 작업자의 육안으로 살피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위치한 곳과 메인밀대가 위치한 거리가 멀어 염전 모퉁이를 선회하거나 모서리부위나 테두리부위에서 소금을 밀고 나가기가 불편하였다.
또한, 본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방향전환수단을 방향판에 끼워 고정하는 구조로 메인밀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소금 채취작업중에 방향전환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종래의 ‘염전용 전동 밀대’는 부피가 크고 메인밀대와 작업자가 위치하는 본체 후방까지 상당한 거리가 존재하여 염전에서 소금 채취를 시작하거나 모퉁이에서 선회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여유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소금 채취작업의 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동식 밀대의 또 다른 종래 실시예로, 특허등록 제10-1541090호(등록일:2015.07.27, 발명의 명칭: 염전용 전동 밀대)가 안출된 바 있다.
또 다른 종래 실시예 역시 일정 크기 및 부피를 갖는 본체의 전방에 경사지게 밀대가 설치되고, 본체의 후방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소금을 채취하는 밀대와 작업자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존재하여 작업자가 밀대에 의해 염전바닥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상태를 직접 살피면서 작업하기가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염전바닥의 고르기에 따라 소금채취 효율에 차이가 생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체 전방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밀대에 밀대결합레버가 연결 설치되고, 본체의 후단 상부측에 위치하는 밀대결합레버를 이용하여 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밀대결합레버 하단으로 상부지지바와 하부지지바, 암부, 각도조정바 등이 연속 결합되어 방향고정판에 결합된 각도조정바를 동작시켜 밀대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링크구조로 이루어져 부피가 커서 이동 및 소금채취작업시 여러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밀대의 경우, 석출된 소금을 밀고 가는 밀대의 선단부와 본체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어서 본체에서 밀대를 밀고 나가는 힘, 즉 모터의 구동력이 커야 하고 이로 인해 고용량모터를 이용하야 하므로 본체의 중량이 무겁고 가격이 고가일 수밖에 없으며, 다양한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잦은 고정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단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동행하면서 소금을 채취하는 종래의 전동식 대파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금 채취작업이 이루어지는 스크레퍼가 본체의 후방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염전바닥 및 채취되는 소금을 직접 살피면서 채취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금 채취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전동 대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확된 소금을 실어나르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염전제방 측으로 소금을 모으기 위해 스크레퍼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스크레퍼를 좌우 이동하고자 할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조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부피를 줄여 작업의 편리성과 이동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전동 대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저부에 구동바퀴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상판이 구비되는 손잡이대와,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와,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채취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레퍼와, 상기 스크레퍼의 전후방향 기울기 및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레퍼 방향제어부와,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조작부가 구비되며, 특히 상기 스크레퍼는 본체 및 구동바퀴보다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퀴는 본체의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되, 구동바퀴의 회전중심축이 본체의 전후 중심부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본체의 하중이 좌우 양측 구동바퀴로 균일하게 양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레퍼 방향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고정구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의 일측 상판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된 방향조절공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의 양측 내면에 양단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향조절공의 일정 변위를 차단 또는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방지구와, 상기 방향조절공을 통해 상판 상부로 상단부가 일정길이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크레퍼와 결합된 연결부재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방향조절공을 따라 전후 이동에 의해 스크레퍼의 좌우측 양단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방향조절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선단부에 상기 방향조절대의 중간부가 연결되어 상기 방향조절대의 상단부가 전후 동작됨에 따라 그 하단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염전 바닥면에 대한 접지력 향상과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타이어 편평비가 50 이하의 광폭타이어로 구성되고, 본체의 이동시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을 깔고 지나가면서 소금의 결정이 최대한 깨지지 않도록 구동바퀴의 표면에는 회전방향에 일치되는 5㎜~10㎜의 높이를 갖는 계단형 트레드가 연속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는 스크레퍼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수평이동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본체의 내부 또는 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손잡이대의 상판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의 동작을 통해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본체의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 동작모터와, 상기 동작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본체의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 원통형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하단에서 외접되게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수평 이동되면서 그 전면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의 좌우 이동을 통해 스크레퍼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랙기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는 작업자가 위치하는 본체 후방 하단부에 스크레퍼가 위치되어 작업자는 소금 채취작업 동안 염전바닥면에서 석출된 소금을 수거하는 스크레퍼의 각도 및 소금의 채집상태를 실시간 살피면서 작업이 가능하여 소금의 채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부피가 작고 염전바닥면에 가깝게 설계되어 있어서 본체의 이동시 작업자는 전방 이동경로를 살피기가 용이하고, 본체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되어 타 염전으로의 이동시 이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레퍼의 방향각이나 좌우 이동변위를 본체 상부로 설치된 손잡이대에 구비되는 스크레퍼 방향제어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신속한 방향설정 및 스크레퍼의 좌우 이동을 통해 소금 채취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본체의 원활한 이동과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에서 스크레퍼의 전후 각도조절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에서 스크레퍼의 좌우수평이동 상태를 나타낸 일부 구성의 발췌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에서 스크레퍼의 전후 각도조절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에서 스크레퍼의 좌우수평이동 상태를 나타낸 일부 구성의 발췌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는 배터리와 동력발생 및 전달부가 구비되어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은 동력발생 및 전달부가 회전하면서 본체 하부 양측에 구비된 구동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본체가 이동하면서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업자는 본체 상방향으로 설치된 손잡이대를 잡고 본체 후방에서 본체를 따라가면서 본체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 스크레퍼로 채취되는 소금을 육안으로 직접 살피면서 소금 채취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는 본체의 높이가 낮아 본체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본체의 이동 진로를 살피면서 소금 채취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금 채취 작업시 채취되는 소금을 한쪽 방향으로 모으기 위해 스크레퍼를 일정각도 비틀어지게 조정할 수 있는데, 이는 본체의 후방에서 뒤따르는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본체의 후방 상부에 일정 높이로 구비된 손잡이대에 스크레퍼 방향제어부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스크레퍼의 방향조절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본체에 별도로 구비된 스크레퍼의 좌우 수평이동수단을 통해 스크레퍼 전체를 좌우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염전 제방과 스크레퍼 측단부와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전동 대파(이하, ‘전동 대파’로 약칭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방향성 용어 중 작업자가 위치하쪽을 후방으로, 본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표현하며, 좌·우측은 본체의 구동바퀴가 설치된 좌우 양쪽 방향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대파(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에서 스크레퍼(50)가 전후방향으로 기울기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에서 스크레퍼(50)의 좌우 이동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의 전면 사시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전동 대파(100)의 후면 사시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의 정면도와 일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크기의 본체(20)가 중앙부에 위치되고, 본체(20)의 양측으로 구동바퀴(60,61)가 구비되어 본체(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동력원인 배터리(도시생략)가 내장되고, 본체(20)의 저부에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21, 도 3 참조)가 설치되어 본체(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구동바퀴(60,6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 내부에 배터리만 내장되고 동력발생 및 전달부가 본체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를 본체(20)의 내부에 설치하여 구동바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후방에는 염전 바닥면에 밀착되어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채취하도록 좌우 일정 길이와 상하 일정 높이를 갖는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단면을 갖는 스크레퍼(50)가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의 이동시 본체 후방에서 작업자가 뒤따르면서 파지가 용이하도록 본체(20)의 상면 후단측에서 상방향으로 손잡이대(10)가 일정 높이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대(10)의 상면에는 평판형 상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12)의 상면 일측에는 스크레퍼(50)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가 구비되고, 상판(12)의 타측에는 본체의 이동을 위해 동력발생 및 구동부(21)에 전원공급, 속도조절 및 규정된 속도를 셋팅할 수 있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조작부(25)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요 구성들에 대해서 좀 더 상술하면, 상기 본체(20)는 밀폐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20)의 하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21)는 손잡이대(10)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25)의 조작을 통해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구동모터(22)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양쪽 구동바퀴(60,61)에 전달하는 감속기(도사생략)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구동바퀴(60,61)와 그 높이가 비슷하게 구성되어 본체(2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본체(20)의 후방에 위치되는 작업자의 전방 시야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체(20)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구동바퀴(60,61)는 그 회전중심축이 본체(20)의 전후방향의 중심부, 즉 본체(20)의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중심부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본체(20)의 하중이 양쪽 구동바퀴(60,61)에 균등하게 배분,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바퀴의 접지력 향상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본체(20)를 이동시키는 구동바퀴(60,61)는 염전 바닥면에 대한 접지력 향상과 미끄럼 방지를 위해 편평비가 50이하를 갖는 광폭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채취되는 소금의 입도가 5㎜ 내외인 점을 감안하여 구동바퀴(60,61)의 표면에는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에 일치되는 계단형 트레드(62)가 5~10㎜의 높이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을 깔고 지나가면서 소금의 결정이 최대한 깨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20)의 이동과 함께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채취하도록 본체(20)의 후방부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레퍼(50)는 상단부재(52)와 하단부재(54)로 분리 구성되되, 하단부재(54)가 상단부재(5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부재(54)의 마모시 하단부재(54)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레퍼(50)의 상단부재(52)는 해수 및 염분에 강하면서 중량이 가벼운 금속재로 이루어져 일정한 강성이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염전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석출된 소금을 수집하는 하단부재(54)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내마모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면서 소금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반구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레퍼(50)는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에 의해 좌우 양단이 전후 방향으로 일정각도 또는 일정거리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는 본체(20)의 후방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본체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40)와, 상기 제1고정부재(40)의 말단에 중심부가 핀 고정되어 제1고정부재(4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면서 그 일측면에 스크레퍼(50)의 상단부재(52)가 결합되는 연결부재(43)와, 상기 연결부재(43)의 일단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대(10)의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어 손잡이대(1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전후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의 일단을 전후 이동시켜 스크레퍼(50)의 좌우 양단에 대한 전후방향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향조절대(31)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대(31)는 손잡이대(10)의 상판(12) 상면 일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방향조절공(32)의 내측에 끼움 설치되어 방향조절공(32)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향조절공(32)의 상면에는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이동방지구(35)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방지구(35)는 다양한 구조 또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방향조절공(32)의 일측 상판(1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고정구(33,34) 사이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좌우 이동 변위량에 따라 본체(20)의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방향조절공(32)이 차단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방향조절공(32)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향조절대(3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전후 이동을 위해서는 제1 및 제2고정구(33,34) 사이에 구비된 이동방지구(35)를 일측으로 밀어낸 후에 방향조절공(32)을 개방시킨 후에 필요한 방향으로 방향조절대(31)를 이동시키고, 방향조절대(31)의 이동 후에는 다시 이동방지구(35)를 방향조절공(32)의 상부로 이동시켜 방향조절공(32)을 밀폐 또는 차단하여 방향조절대(31)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3)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손잡이대(10)의 상부로 돌출된 방향조절대(31)는 연결부재(43)와 연결된 상단측에서 본체(20)에 일단이 결합된 제2고정부재(41)의 말단에 힌지 또는 핀 고정되어 손잡이대(10) 상부에서 전후 동작되는 방향조절대(31)의 전후 이동시 연결부재(43)와 연결된 그 하단부가 원활하게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전후 이동에 따라 그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부재(43)의 전후 이동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방향조절대(31)의 중간부 높이보다 낮은 하단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41)가 방향조절대(31)를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방향조절대(31)의 상단 회동시 지렛대 원리로 그 하단부가 힘들이지 않고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는 상기 연결부재(43) 및 연결부재(43)와 일체로 결합된 스크레퍼(50)가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전후 이동 동작시 본체(20)의 좌우 수평중심축과 평행이 되는 기준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단 중 어느 일단이 더 가깝게 되고 그 반대쪽은 멀어지는 형태가 되어 본체가 바르게 이동될 때 약 15~20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면서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어느 일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하면서 소금 채집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에서 방향조절대(31)의 전후 동작에 따라 스크레퍼(50)의 좌우 양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정각도 비틀어지는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스크레퍼(50)의 좌측단이 우측단에 비해 본체(20) 측으로 더 가깝게 근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염전바닥에서 석출된 소금을 채집할 때 채집방향이 우측인 경우, 즉 우측으로 소금을 모으기 위해서는 스크레퍼(50)의 방향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본체(20)의 수평 중심축과 평행한 기준축(x)에 대해 일정변위(y)만큼 약간 비틀어지게 조정함으로써 스크레퍼(50)에 채집된 소금이 본체의 이동과 더불어 우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채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손잡이대(10)의 상판(12)에 구비된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의 동작을 통해 간단하게 스크레퍼(50)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크레퍼(50)의 방향제어를 위해 작업자는 상판(12) 일측에 마련된 스크레퍼방향제어부(30)의 제1고정구(33)와 제2고정구(34) 사이에 구비된 이동방지구(35)를 우측으로 밀어내면, 방향조절공(32)의 중앙부가 개방되면서 방향조절공(32)의 일측에 위치한 방향조절대(31)의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되고, 방향조절대(31)를 방향조절공(32) 최전방까지 밀어놓은 상태에서 이동방지구(35)를 다시 방향조절공(32) 상부로 슬라이딩시켜 방향조절공(32)의 전방에 위치된 방향조절대(31)가 후퇴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방향조절대(31)가 방향조절공(32)의 전방으로 이동, 고정되면, 방향조절대(31)의 하단부가 본체에 연결된 제2고정부재(41)를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젖혀지면서 방향조절대(31)의 말단에 결합된 연결부재(43)를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연결부재(43)가 일정각도 비틀어지게 되고, 연결부재(43)의 비틀어짐과 동시에 연결부재(43)에 결합된 스크레퍼(50)도 연결부재(43)와 동일한 각도만큼 동일방향으로 비틀어지면서 전후 방향에 대해 일정한 기울어짐이 유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본체(20)의 좌우 수평중심축과 평행한 기준축(x)에 대해 y의 변위만큼 스크레퍼(50)의 좌측단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크레퍼(50)의 우측단은 본체(20) 후방측으로 동일한 변위(y)만큼 이동되면서 스크레퍼의 양단에 대한 전후방향의 기울기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6은 스크레퍼(50)의 우측단이 좌측단에 비해 본체(20)측으로 일정거리 더 근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술한 도 5와 반대의 경우에 해당된다.
즉, 염전바닥에서 석출된 소금을 채집할 방향이 좌측인 경우, 소금을 좌측방향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스크레퍼(50)의 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본체(20)의 좌우 수평 중심축에 평행한 기준축 x에 대해 약간 비틀어지게 조정함으로써 스크레퍼(50)의 전면에 채집된 소금이 본체의 이동과 더불어 좌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채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손잡이대(10)의 상판(12)에 구비된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의 제1고정구(33)와 제2고정구(34) 사이에 구비된 이동방지구(35)를 우측으로 밀어내어 방향조절공(3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방향조절공(32)의 전방에 위치한 방향조절대(31)를 방향조절공(32)의 최후방까지 밀어 놓은 후에 이동방지구(35)를 다시 방향조절공(32) 상부로 슬라이딩시켜 방향조절공(32) 후방으로 이동된 방향조절대(31)가 전진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향조절대(31)의 하단부가 본체에 연결된 제2고정부재(41)에 힌지 고정되어 있어서 방향조절대(31)의 하단부가 전방측으로 젖혀지면서 방향조절대(31)의 말단에 결합된 연결부재(43)도 전방으로 젖혀지면서 제1고정부재(40)에 중앙부가 핀 고정된 연결부재(43)가 일정각도 비틀어지게 되고, 연결부재(43)의 비틀어짐과 동시에 연결부재에 결합된 스크레퍼(50)도 연결부재(43)와 동일한 각도만큼 동일방향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는 손잡이대(10)의 상판(12)에 구비된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의 조작을 통해 소금을 채취하는 스크레퍼(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소금의 채집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소금 채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전후 동작시 스크레퍼(50)의 좌우 양단에 대한 전후 기울기는 약 15~20도 정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각도 변위 조정은 방향조절공(32)의 전후 길이 또는 방향조절대(31)의 설치 높이(길이) 및 기울기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가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100)에서 스크레퍼(50) 자체가 좌우 수평 이동되는 구성을 간단하게 발췌 도시하고 있다.
즉, 스크레퍼(50)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수평이동수단(70)으로, 본체의 내부 또는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손잡이대의 상판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의 동작을 통해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작모터(71)와, 상기 동작모터(7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원통형 피니언기어(72)와, 상기 피니언기어(72)의 하단에서 외접되게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기어(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수평 이동되는 랙기어(73)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랙기어(73)의 전면에는 제1고정부재(40)의 일단이 결합되고 제1고정부재(40)의 말단에 연결부재(43)의 중심부가 핀 고정되어 좌우 양단이 핀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우 회동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3)의 일측에는 손잡이대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대(31)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연결부재(43)의 일측에는 스크레퍼(50)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73)는 그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7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75)에 대응되게 상면에 일정 높이의 안내가이드(74)가 구비된 가이드받침대(76)가 설치되어 랙기어(73)의 좌우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72)를 회전시키는 동작모터(71)는 저속, 고출력을 갖는 감속 기어드모터로 구성되어 랙기어(73)의 좌우 이동량을 고려하여 일정 회전수 이내에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대의 상판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조작부는 구동바퀴의 회전을 통해 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속도제어스위치와, 속도설정스위치 및 전원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며, 스크레퍼의 수평이동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동작모터의 좌우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동작모터 제어스위치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전동대파를 이동시키면서 간편하게 조작하여 소금 채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10 : 손잡이대 12 : 상판
20 : 본체 21 : 동력발생 및 전달부
22 : 구동모터 23 : 배터리
25 : 스위치 조작부
30 : 스크레퍼 방향제어부 31 : 방향조절대
32 : 방향조절공 33 : 제1고정구
34 : 제2고정구 35 : 이동방지구
36 : 가이드홈 37 : 가이드 턱
40 : 제1고정부재 41 : 제2고정부재
43 : 연결부재
50 : 스크레퍼 52 : 상단부재
54 : 하단부재
60,61 : 구동바퀴 62 : 트레드
70 : 수평이동수단
71 : 동작모터 72 : 피니언기어
73 : 랙기어 74 : 안내가이드
75 : 가이드 홈 76 : 가이드받침대
20 : 본체 21 : 동력발생 및 전달부
22 : 구동모터 23 : 배터리
25 : 스위치 조작부
30 : 스크레퍼 방향제어부 31 : 방향조절대
32 : 방향조절공 33 : 제1고정구
34 : 제2고정구 35 : 이동방지구
36 : 가이드홈 37 : 가이드 턱
40 : 제1고정부재 41 : 제2고정부재
43 : 연결부재
50 : 스크레퍼 52 : 상단부재
54 : 하단부재
60,61 : 구동바퀴 62 : 트레드
70 : 수평이동수단
71 : 동작모터 72 : 피니언기어
73 : 랙기어 74 : 안내가이드
75 : 가이드 홈 76 : 가이드받침대
Claims (5)
- 배터리가 내장되고 저부에 구동바퀴(60,61)가 설치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후단에서 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면에 상판(12)이 구비되는 손잡이대(10)와,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동력발생 및 전달부(21)와, 염전 바닥면에 석출된 소금을 채취하도록 본체(2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레퍼(50)와, 상기 스크레퍼(50)의 전후방향 기울기 및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판(12)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와, 상기 동력발생 및 전달부(21)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상판(12)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조작부(25)가 구비되는 자주식 전동대파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50)는 본체(20) 및 구동바퀴(60,61)보다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바퀴(60,61)는 본체(20)의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되, 구동바퀴(60,61)의 회전중심축이 본체(20)의 전후 중심부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본체(20)의 하중이 좌우 양측 구동바퀴(60,61)로 균일하게 양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레퍼 방향제어부(30)는 상기 상판(12)의 일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고정구(33,34)와,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33,34)의 일측 상판(12)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방형으로 관통 형성된 방향조절공(32)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구(33,34)의 양측 내면에 양단이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방향조절공(32)의 일정 변위를 차단 또는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방지구(35)와, 상기 방향조절공(32)을 통해 상판 상부로 상단부가 일정길이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크레퍼(50)와 결합된 연결부재(43)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방향조절공(32)을 따라 전후 이동에 의해 스크레퍼(50)의 좌우측 양단의 전후방향 기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방향조절대(31)와, 상기 본체(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선단부에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중간부가 연결되어 상기 방향조절대(31)의 상단부가 전후 동작됨에 따라 그 하단에 결합된 연결부재(43)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제2고정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전동 대파.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60,61)는 염전 바닥면에 대한 접지력 향상과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타이어 편평비가 50 이하의 광폭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0)의 이동시 염전 바닥에 석출된 소금을 깔고 지나가면서 소금의 결정이 최대한 깨지지 않도록 구동바퀴(60,61)의 표면에는 회전방향에 일치되는 5㎜~10㎜의 높이를 갖는 계단형 트레드(62)가 연속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전동 대파.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50)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한 수평이동수단(70)이 본체(20)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이동수단(70)은,
본체(20)의 내부 또는 본체(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손잡이대(10)의 상판(12)에 구비된 스위치조작부(25)의 동작을 통해 배터리(23)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본체의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 동작모터(71)와,
상기 동작모터(7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본체의 후방을 향해 설치되는 원통형 피니언기어(72)와,
상기 피니언기어(72)의 하단에서 외접되게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기어(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 수평 이동되면서 그 전면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4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스크레퍼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랙기어(73);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전동 대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3867A KR101879417B1 (ko) | 2017-01-31 | 2017-01-31 | 자주식 전동 대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3867A KR101879417B1 (ko) | 2017-01-31 | 2017-01-31 | 자주식 전동 대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9417B1 true KR101879417B1 (ko) | 2018-07-17 |
Family
ID=6304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3867A KR101879417B1 (ko) | 2017-01-31 | 2017-01-31 | 자주식 전동 대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941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8758B1 (ko) * | 2019-08-02 | 2020-01-21 | 조정례 | 염전용 전동 소금수집장치 |
KR20200040990A (ko) * | 2018-10-11 | 2020-04-21 | 김종배 | 결정지 커버형 천일염 대파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5949A (ko) * | 2009-11-20 | 2011-05-26 | 김기헌 | 소금 채취기 |
KR101426234B1 (ko) | 2014-06-27 | 2014-08-05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 염전용 전동 밀대 |
KR101541090B1 (ko) | 2014-08-29 | 2015-07-31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 염전용 전동 밀대 |
KR20160015466A (ko) | 2014-07-30 | 2016-02-15 | 주식회사 영백염전 |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
KR20160033020A (ko) * | 2014-09-17 | 2016-03-25 | 김철호 | 염전용 소금 수집장치 |
-
2017
- 2017-01-31 KR KR1020170013867A patent/KR1018794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5949A (ko) * | 2009-11-20 | 2011-05-26 | 김기헌 | 소금 채취기 |
KR101426234B1 (ko) | 2014-06-27 | 2014-08-05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 염전용 전동 밀대 |
KR20160015466A (ko) | 2014-07-30 | 2016-02-15 | 주식회사 영백염전 |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
KR101541090B1 (ko) | 2014-08-29 | 2015-07-31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빛 | 염전용 전동 밀대 |
KR20160033020A (ko) * | 2014-09-17 | 2016-03-25 | 김철호 | 염전용 소금 수집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0990A (ko) * | 2018-10-11 | 2020-04-21 | 김종배 | 결정지 커버형 천일염 대파장치 |
KR102121116B1 (ko) * | 2018-10-11 | 2020-06-09 | 김종배 | 결정지 커버형 천일염 대파장치 |
KR102068758B1 (ko) * | 2019-08-02 | 2020-01-21 | 조정례 | 염전용 전동 소금수집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6234B1 (ko) | 염전용 전동 밀대 | |
EP2832277B1 (de) | Handgeführtes Bodenbearbeitungsgerät | |
KR101879417B1 (ko) | 자주식 전동 대파 | |
JP3892029B2 (ja) | 床面仕上げ装置 | |
CN103462783A (zh) | 室内步行器 | |
EP2545756A1 (en) | Electric-power cultivator | |
EP3381260A1 (de) | Handwerkzeugmaschine | |
KR101541093B1 (ko) | 염전용 전동 밀대 | |
KR101361489B1 (ko) | 염전용 소금수집기 | |
JP2007032218A (ja) | 除雪機 | |
KR200487299Y1 (ko) | 전동식 대파 | |
ES2350908T3 (es) | Dispositivo de aplanamiento de una banda metálica. | |
CN110384915A (zh) | 一种具有辅助动力的滑雪板 | |
SE542120C2 (sv) | Transportör | |
US4961336A (en) | Manipulator for metal ingots | |
CN112476446B (zh) | 一种智能送货机器人 | |
CN205357925U (zh) | 一种手推式电动锄草机 | |
JP2017114326A (ja) | 歩行型ブレード作業機 | |
KR102512087B1 (ko) | 운전석을 구비한 채염용 전동카트 | |
ES2376090T3 (es) | M�?quina de cultivo eléctrica guiada por el operario a pie. | |
JP2017115443A (ja) | 歩行型ブレード作業機 | |
DE202010001916U1 (de) | Gehhilfe zur Unterstützung der Fortbewegung einer gehbehinderten Person | |
CN212278771U (zh) | 一种园林用开沟施工的沟壁压实装置 | |
JP2017108645A (ja) | 歩行型作業機 | |
CN219803808U (zh) | 一种手术室护理寻针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