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949A - 소금 채취기 - Google Patents

소금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949A
KR20110055949A KR1020090112584A KR20090112584A KR20110055949A KR 20110055949 A KR20110055949 A KR 20110055949A KR 1020090112584 A KR1020090112584 A KR 1020090112584A KR 20090112584 A KR20090112584 A KR 20090112584A KR 20110055949 A KR20110055949 A KR 20110055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frame
screw rod
motor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000B1 (ko
Inventor
김기헌
Original Assignee
김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헌 filed Critical 김기헌
Priority to KR102009011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0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 채취기를 개시한다. 상기 소금 채취기는 제방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하도록 구성함은 물론, 소금수거장치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소금 수거시 입자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를 개선하고, 제방 일측의 근처에 수집된 소금 수거 후 제방 일측의 근처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는 소금도 보다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일일이 도구를 이용하여 제방 일측의 근처로 소금을 모아야 하는 작업 불편함을 개선한 것이다.
소금 채취기, 모터, 이송체, 버켓, 대차, 회전이동,

Description

소금 채취기 {DEVICE FOR TAKING AWAY AND LOADING SALT}
본 발명은 염전의 소금을 수거 및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방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방의 양측에서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수거하여 소금 운반용 대차에 적재시키는 과정에서, 소금의 입자상태가 훼손되지 않도록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염전은 크게 저수지·증발지·결정지 셋으로 이루어지며, 이 밖에 염퇴장·도로 등이 부설되어 있고, 이 모든 시설은 방조제방과 육수침입 방지용 내제방에 의하여 외수와 단절되어 있다.
상기에서, 저수지는 바닷물을 가두는 곳이고, 증발지는 햇볕과 바람으로 물을 증발시키는 곳이며, 결정지는 증발지에서 농축된 포화함수를 엷게 펴서 농축시키고 소금을 결정 석출시켜서 채염하는 곳을 말하며, 증발지 하단에 위치한다.
통상 상기 결정지로부터 채염된 소금은 소금 저장고로 하역 보관하여 물기가 빠진 상태에서 포장 출고되는데, 통상 결정지로부터 소금 저장고까지는 매우 거리가 멀기 때문에 채염된 소금은 결정지 사이에 형성된 제방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되어 소금 저장고까지 운반된다.
일반적으로 결정지의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어 염전 바닥에 산재된 소금은 작업자에 의해 긁어 모아져 제방의 일측으로 수집되며, 수집된 소금은 작업자에 의해 제방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된다.
그러나, 상기 소금운반용 대차는 염전의 제방 위에 위치되어 비교적 그 높이가 높기 때문에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작업자가 삽 등으로 퍼서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하는 작업은 매우 힘들다.
이에 종래에는 제방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수거하도록 등록특허 제10-855362호(이하 선행기술)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염전에서의 소금을 수거용 스크류의 회전으로부터 수거한 후 이를 버켓에 담아 이송시키고, 다음으로 배출용 스크류의 회전으로부터 대차에 소금을 적재시키는 구조인 바, 상기 수거용 스크류와 배출용 스크류의 회전으로부터 소금의 수거 및 적재 이송이 이루어질 때 소금 입자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입자가 훼손된 소금의 경우에는 최상의 품질을 유지하지 못해 상품가치가 하락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선행기술은 소금의 수거 및 적재의 작업 효율을 높인 이점이 있는 반면, 소금 입자를 훼손시켜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수거용 스크류의 좌우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따라 선행기술은 제방 일측으로 근접되는 염전 바닥에서만 소금을 수거 할 수 있을 뿐, 제방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염전 바닥에 있는 소금 수거는 불가능하고, 따라서 선행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삽을 이용하여 제방 일측으로 소금을 모아 주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방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하도록 함으로써, 소금 수거시 입자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 채취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금수거장치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방 일측의 근처에 수집된 소금 수거 후 제방 일측의 근처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는 소금도 보다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일일이 도구를 이용하여 제방 일측의 근처로 소금을 모아야 하는 작업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소금 채취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소금 채취기는,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어 제방의 일측에 수집된 소금을 소금 운반용 대차에 적재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프레임; 상기 소금 운반용 대차가 올려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을 상부면에 형성하고, 상기 대차프레임에 축 결합되면서 모터의 구동시 제방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작업장소를 변경시키는 회전이 이루어지며, 직립형의 제 1 고정프레임을 형성하는 회전프레임;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제 1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소금이 담아지는 버켓을 회 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재;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고,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상기 버켓에 담아두도록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원심회전이 이루어지는 수거부재;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와 수거부재의 소금 수거 위치를 제방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부재와 상기 수거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염전 바닥의 소금 수거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부재와 수거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모두를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재; 상기 제 1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버켓에서 소금 배출시 이를 상기 소금 운반용 대차로 안내하는 배출덕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수거부재는,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회전하는 제 1 구동기어; 상기 제 1 구동기어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삼각배열되는 제 1 피동기어들;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제 1 피동기어들을 연결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체인; 및,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면서 염전 바닥에 수거되는 소금을 버켓에 담을 수 있도록 회전하는 수거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승강체;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상단 일측에 배열되는 제 2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승강체가 결합되도록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1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 1 스크류 로드;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2 피동기어; 상기 제 2 피동기 어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제 2 구동기어; 를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이송부재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제 1 이송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프레임; 상기 제 2 연결프레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스크류 로드; 제 2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를 따라 좌우 이송되는 제 2 이송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3 피동기어; 상기 제 3 피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3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제 3 구동기어; 를 포함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제방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수거장치를 통해 수거하도록 구성함은 물론, 소금수거장치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소금 수거시 입자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를 개선하고, 제방 일측의 근처에 수집된 소금 수거 후 제방 일측의 근처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는 소금도 보다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일일이 도구를 이용하여 제방 일측의 근처로 소금을 모아야 하는 작업 불편함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기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의 E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기의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의 F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의 G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금 채취기(500)는 염전 바닥에서 제방의 일측에 그 제방을 따라 소금을 모은 상태에서, 상기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소금 운반용 대차(100)에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대차프레임(10), 회전프레임(20), 제 1 이송부재(30), 수거부재(40), 승강부재(50), 제 2 이송부재(60), 배출덕트(70),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각각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모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대차프레임(10)은 제방에 설치되는 레일(R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0)은 상기 소금 운반용 대차(100)가 올려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R2)을 상부면에 형성한 것으로, 상기 대차프레임(10)에 축 결합되면서 모터(200)의 구동력으로부터 회전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직립형의 제 1 고정프레임(21)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200)의 구동축과 상기 대차프레임(10)과 회전프레임(20)을 연결하는 축에는 각각 회전기어(미도시)가 결합 구성됨은 물론, 상기 회전기어들은 체인(22)으로 연결 구성한 것으로, 이에따라 상기 모터(200)의 구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1)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관계를 가지는 상기 제 1 이송부재(30), 수거부재(40), 승강부재(50), 제 2 이송부재(60), 배출덕트(70)를 모두 제방의 일측에서 제방의 타측 또는 제방의 타측에서 제방의 일측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이송부재(30)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1)과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프레임(31)을 포함하고, 모터(200)의 구동력으로부터 소금이 담아지는 버켓(32)을 회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송부재(30)에는 수직프레임(33)과, 상기 수직프레임(33)을 따라 배열되면서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회전기어들(34), 상기 회전기어(34)들에 연결되며 상기 버켓(32)이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체인(3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거부재(40)는 제방의 일측에서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상기 버켓(32)에 담아두도록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 향으로 원심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이송부재(30)의 하단 일측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수거부재(40)에는 모터(200)의 구동력으로부터 회전하는 제 1 구동기어(41), 상기 제 1 구동기어(4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삼각배열되는 제 1 피동기어들(42), 상기 제 1 구동기어(41)와 제 1 피동기어(42)들을 연결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체인(43), 그리고 상기 체인(43)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면서 염전 바닥에 수거되는 소금을 버켓(32)에 담을 수 있도록 회전하는 수거프레임(44)이 포함된다.
상기 승강부재(50)는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30)와 수거부재(40)의 소금 수거 위치를 제방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모터(200)의 구동력으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부재(30)와 상기 수거부재(40)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 1 이송부재(30)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 1 승강체(51), 제 1 고정프레임(52), 제 1 스크류로드(53), 제 2 피동기어(54), 그리고 체인(55)과 제 2 구동기어(5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승강체(51)는 상기 제 1 이송부재(30)에 포함되는 수직프레임(33)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2)은 상기 제 1 이송부재(30)의 상단 일측에 배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53)는 상기 제 1 승강체(51)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2)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승강체(51)가 결합되도록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구성된다.
상기 제 2 피동기어(54)는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53)에 모터(200)의 구동력 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53)의 일단에 결합 구성된다.
상기 제 2 구동기어(56)는 상기 제 2 피동기어(54)와 체인(55)으로 연결됨은 물론 상기 모터(200)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53)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피동기어(54)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이송부재(60)는 염전 바닥의 소금 수거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모터(200)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부재(30)와 수거부재(40) 및 상기 승강부재(50) 모두를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2 연결프레임(61), 제 2 스크류 로드(62), 제 2 이송체(63), 제 3 피동기어(64), 그리고 체인(65)과 제 3 구동기어(6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결프레임(61)은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1)의 상면과 상기 제 1 이송부재(20)를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는 상기 제 2 연결프레임(61)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이송체(63)는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를 따라 좌우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2)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에 결합 구성된다.
상기 제 3 피동기어(64)는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의 일단에 결합 구성되고, 상기 제 3 구동기어(66)는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을 상기 제 3 피동기어(64)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 3 피동기어(64)와 체인(65)으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배출덕트(70)는 상기 제 1 이송부재(3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버 켓(32)에서 소금 배출시 이를 상기 소금 운반용 대차(100)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제방을 사이에 두고 A,B,C,D와 A',B',C',D'의 염전 바닥에 존재하는 소금을 제방을 따라 모으게 된다.
이때, 상기 A,B,C,D의 염전에 모아진 소금을 소금 운반용 대차(100)에 적재하여 수거하도록, 제방에 설치되는 레일(R1)을 따라 대차프레임(10)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대차프레임(10)의 회전프레임(20)이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상면에는 또 다른 레일(R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소금 수거용 대차(100)는 상기 또 다른 레일(R2)을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위에 탑승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금 수거용 대차(100)가 탑승된 대차프레임(10)과 축 결합되는 회전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고정프레임(21)은 제 1 연결프레임(31)을 통해 캐스터(300)를 형성한 제 1 이송부재(30)의 수직프레임(33)과 연결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3)의 상측에는 승강부재(50)가 연결 구성됨은 물론, 캐스터(300)를 형성한 수거부재(40)가 상기 수직프레임(33)의 하측에 결합 구성되는 바,
상기 제 1 이송부재(30), 수거부재(40), 승강부재(50), 제 2 이송부재(60), 그리고 배출덕트(70)는 모두 제방에 설치되는 레일(R1)을 따라 대차프레임(10)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 동시에 그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A,B,C,D의 염전 소금 수거 위치로 장치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우선 모터(200)의 구동으로부터 수거부재(40)에 포함되는 제 1 구동기어(41)와 삼각 배열되는 제 1 피동기어(42)들이 체인(43)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체인(43)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거프레임(44)은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의 원심회전이 이루어지면서 A,B,C,D의 염전에 모아진 소금을 연속적으로 끌어 올리게 되고, 상기 수거프레임(44)에 의해 올려진 소금은 제 1 이송부재(30)에 포함되는 수직프레임(33)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는 버켓(32)에 담겨진다.
그러면, 상기 버켓(32)은 모터(200)의 구동력으로부터 동작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회전기어들(34)과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35)에 의해 수직프레임(33)의 상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상측으로 이송된 버켓(32)에 담겨진 소금은 배출덕트(70)를 통해 소금 이송용 대차(100)로 배출되어 적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방 일측의 A,B,C,D 염전에 모아진 소금 수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완료된 후, 상기 제방 일측에서 보다 먼 거리에 모아지는 소금을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이송부재(60)를 동작 제어한다.
즉, 상기 제 2 이송부재(60)에 포함되는 제 2 연결프레임(61)은 회전프레임(20)의 상측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프레임(21)의 상면과 상기 제 1 이송부재(20)를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프레임(61)에는 제 2 스크류 로드(62)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스크류로드(62)에는 제 2 이송체(63)가 결합되 고, 상기 제 2 이송체(63)에는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1)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 이송부재(60)에 포함되는 모터(200)의 구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모터(200)의 구동력은 제 3 구동기어(66)와 제 3 피동기어(64) 및 체인(65)을 통해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6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62)에 결합되는 제 2 이송체(63)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제 2 이송체(63)에 결합되는 제 2 고정프레임(21)은 물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21)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 1 이송부재(30), 그리고 상기 제 1 이송부재(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수거부재(40)는 모두 제방의 일측에서 보다 먼 거리로 이송되면서 염전 바닥의 소금을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이송부재(30), 수거부재(40), 승강부재(50), 제 2 이송부재(60), 배출덕트(70)는 모두 제방의 일측의 A,B,C,D 염전에서 회전(180°)을 통해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제방의 타측인 A',B',C',D'의 염전으로 위치 이동이 이루어져 소금을 연속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승강부재(50)를 통해 제 1 이송부재(30)는 물론 수거부재(40)를 일정높이 상승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50)에 포함되는 제 1 이송체(51)는 상기 제 1 이송부재(30)에 포함되는 수직프레임(33)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2)은 상기 제 1 이송부재(30)의 상단 일측에 배열 고정되며, 상기 제 2 고정프레임(52)에는 제 1 스크류 로드(53)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 1 스크류로드(53)에 상기 제 1 이송체(51)가 결합되어 있는 바,
모터(200)의 구동이 이루어져 그 구동력이 제 2 구동기어(56)와 체인(55) 그리고 제 2 피동기어(54)를 통해 상기 제 1 스크류로드(53)에 전달되면, 상기 제 1 스크류로드(53)는 회전을 하고, 이때 상기 제 1 스크류로드(53)에 결합되는 제 1 승강체(51)는 상기 제 1 스크류로드(53)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이송체(51)에 결합되는 제 1 이송부재(30)의 수직프레임(33)이 상승함은 물론, 상기 수직프레임(33)의 하측에 결합되는 수거부재(40)의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 1 이송부재(30)와 수거부재(40)의 상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모터(200)의 구동력이 회전기어들을 연결하는 체인(22)을 통해 상기 대차프레임(10)과 회전프레임(20)의 축부에 전달되면, 상기 회전프레임(20)은 회전을 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 고정프레임(21)을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관계를 가지는 상기 제 1 이송부재(30), 수거부재(40), 승강부재(50), 제 2 이송부재(60), 그리고 배출덕트(70) 모두는 제방의 일측(A,B,C,D)에서 제방의 타측(A',B',C',D') 또는 제방의 타측에서 제방의 일측으로 수거작업 위치가 변경되는 180°회전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따라 작업위치가 변경된 제방 타측(A',B',C',D')에서의 염전 바닥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우선 제방 일측의 염전 A→B→C→D에 모아진 소금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수집한 후, 180°의 회전 이동을 통해 제방 타측의 염전 D'→C'→B'→A' 에 모아진 소금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수집 하는 동작을 하면서 최초 위치로 리턴되는 동작 흐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기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의 D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의 E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기의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의 F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의 G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소금 채취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차프레임 20; 회전프레임
21; 제 1 고정프레임 30; 제 1 이송부재
31; 제 1 연결프레임 32; 버켓
33; 수직프레임 34; 회전기어들
35; 체인 40; 수거부재
41; 제 1 구동기어 42; 제 1 피동기어들
43; 체인 44; 수거프레임
50; 승강부재 51; 제 1 승강체
52; 제 2 고정프레임 53; 제 1 스크류 로드
54; 제 2 피동기어 55; 체인
56; 제 2 구동기어 60; 제 2 이송부재
61; 제 2 연결프레임 62; 제 2 스크류 로드
63; 제 2 이송체 64; 제 3 피동기어
65; 체인 66; 제 3 구동기어
70; 배출덕트 100; 소금운반용 대차
200; 모터 300; 캐스터
500; 소금채취기

Claims (4)

  1. 염전 바닥에 수집된 소금을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프레임;
    상기 소금운반용 대차가 올려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을 상부면에 형성하고, 대차프레임에 축 결합되면서 모터의 구동시 제방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작업장소를 변경시키는 회전이 이루어지며, 직립형의 제 1 고정프레임을 형성하는 회전프레임;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에 제 1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소금이 담아지는 버켓을 회전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재;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고, 제방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상기 버켓에 담아두도록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원심회전이 이루어지는 수거부재;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이송부재와 수거부재의 소금 수거 위치를 제방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부재와 상기 수거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염전 바닥의 소금 수거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 1 이송부재와 수거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모두를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재;
    상기 제 1이송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버켓에서 소금 배출시 이를 상기 소금 운반용 대차로 안내하는 배출덕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채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회전하는 제 1 구동기어;
    상기 제 1 구동기어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삼각배열되는 제 1 피동기어들;
    상기 제 1 구동기어와 제 1 피동기어들을 연결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체인; 및,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면서 염전 바닥에 수거되는 소금을 버켓에 담을 수 있도록 회전하는 수거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채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승강체;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상단 일측에 배열되는 제 2 고정프레임;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승강체가 결합되도록 상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1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 1 스크류 로드;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2 피동기어;
    상기 제 2 피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제 2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채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재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제 1 이송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2 연결프레임;
    상기 제 2 연결프레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스크류 로드;
    제 2 고정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를 따라 좌우 이송되는 제 2 이송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3 피동기어;
    상기 제 3 피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3 피동기어에 전달하는 제 3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채취기.
KR1020090112584A 2009-11-20 2009-11-20 소금 채취기 KR10106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84A KR101068000B1 (ko) 2009-11-20 2009-11-20 소금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84A KR101068000B1 (ko) 2009-11-20 2009-11-20 소금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949A true KR20110055949A (ko) 2011-05-26
KR101068000B1 KR101068000B1 (ko) 2011-09-26

Family

ID=4436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584A KR101068000B1 (ko) 2009-11-20 2009-11-20 소금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17B1 (ko) * 2017-01-31 2018-07-17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주식 전동 대파
KR200487299Y1 (ko) * 2017-03-23 2018-08-31 이재복 전동식 대파
KR20200040990A (ko) * 2018-10-11 2020-04-21 김종배 결정지 커버형 천일염 대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278Y1 (ko) * 2007-05-08 2009-02-05 신화파스칼(주) 소금 수집 및 적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17B1 (ko) * 2017-01-31 2018-07-17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주식 전동 대파
KR200487299Y1 (ko) * 2017-03-23 2018-08-31 이재복 전동식 대파
KR20200040990A (ko) * 2018-10-11 2020-04-21 김종배 결정지 커버형 천일염 대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000B1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327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109005923A (zh) 一种全自动摘水果装置
KR101068000B1 (ko) 소금 채취기
JP6562400B2 (ja) 物体回収装置
KR100855362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101367303B1 (ko)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CN106797718A (zh) 一种随动式残膜回收机
JP2008271840A (ja) 根菜収穫機
KR20150119747A (ko) 염전용 친환경 채염장치
KR20180078731A (ko) 채염기
CN219116441U (zh) 一种农作物运输装置
CN206005186U (zh) 马铃薯收获及残膜回收一体机
CN101790920A (zh) 集堆式芦苇收割机夹持输送装置
CN106364464A (zh) 电池更换设备
KR101462660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08531380U (zh) 一种用于存取布料的立体仓库
KR101299480B1 (ko) 염전용 소금 적재 장치
CN107227728A (zh) 沙障组装装置
CN106427726B (zh) 一种多功能取料运输车
KR20160051176A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109258055B (zh) 一种手扶式荸荠收获机
CN102577751B (zh) 自控集棉箱
CN105084032B (zh) 农业收获机械的集料装置
KR102056750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19108232U (zh) 一种农机机架以及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