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의 대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의 적재컨베이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의 수거컨베이어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염전바닥(B)에서 제방(D)의 일측에 그 제방(D)를 따라 모아진 소금(S)을 수거하여 제방(D)에 부설된 제방레일(DR)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카트(C)에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는 하부에 상기 제방(D)에 설치된 제방레일(DR)을 따라 구르게 설치된 롤러(112)가 구비된 대차(10)와, 상기 대차(10)에 연결되어 상기 대차(10)와 함께 제방(D)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에 올려진 소금(S)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대차(10)와 함께 이동되는 소금운반카트(C)로 쏟아 붇게 구비된 적재컨베이어수단(20)과,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과 연결되어 상기 대차(10)와 함께 제방(D)을 따라 이동되면서 염전바닥(B)에 모아진 소금(S)을 수거하여 상기 적재컨 베이어수단(20)의 상부로 올리도록 구비된 수거컨베이어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차(10)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이 일측에 연결되어 제방(D)에 부설된 제방레일(DR)을 타고 이동되는 구조물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대차(10)는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직의 회전축(122)으로 축지지되어 상부로 상기 소금운반카트(C)가 상차되는 회전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는 베이스프레임(111)을 연결하여 사각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에 상기 제방(D)에 설치된 제방레일(DR)을 따라 구르게 롤러(112)가 장착된다. 상기 롤러(1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일측에 구비된 이동모터(115)의 출력축과 전달축(116)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며, 그 롤러(112)의 구동으로 상기 대차(10)는 제방레일(DR)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베이스부(11)의 베이스프레임(111)에는 상기 회전부(1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24)이 삽입되기 위한 고정핀홀(11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2)는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제방(D)의 일측 방향으로만 구비되어 그 일측에 모아진 소금(S)을 수건한 후 제방(D)의 반대측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할 수 있도록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을 회전시켜 제방(D)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소금의 수거는 제방(D)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방(D)의 양측에 모아진 소금을 동시에 수거할 수 있도록 양측에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와 같이 대차(10)의 양측에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을 구비시키는 경우 장치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제조단가가 상승되기 때문에, 도면에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제방(D)의 일측에 위치된 염전바닥(B)에 모아진 소금(S)을 수거하도록 상기 대차(10)을 기준으로 일측에만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부(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을 제방(D)의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12)는 회전프레임(121)으로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위치가 상기 베이스부(11)의 베이스프레임(111)의 중앙에 구비된 축지지부(113)에 연직의 회전축(122)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상기 회전부(12)의 회전프레임(121)의 상부에는 회전부(12)의 상부로 상차되는 소금운반카트(C)의 롤러가 타고 구르기 위한 대차레일(123)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소금(S)의 적재를 위해서 소금운반카트(C)를 상기 대차(10)의 회전부(12)의 상부로 상차시킴으로써 소금(S)의 수거를 위해 전진하는 대차(10)의 함께 상기 소금운반카트(C)가 이동된다. 상기 소금운반카트(C)는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상부에 부설된 대차레일(123)을 따라 상기 대차(10)에 상차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에 의해 소금이 적재된다. 소금운반카트(C)가 상기 대차(10)의 상부로 상차되도록 상차 램프(도면에 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12)는 상기 소금운반카트(C)가 상차된 상태에서 소금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에 의해 적재되고 있는 도중에는 고정핀(124)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소금운반카트(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의 상부에 상차되지 않고, 상기 제방(D)에 부설된 제방레일(R)에 놓여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수거 적재용 장치와 함께 이동되면서 소금이 적재되도록 대차(10)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견인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차(10)에는 적재컨베이어수단(20)이 연결되기 위한 조인트(125)가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조인트(125)에 의해 상기 회전부(12)에 연결된 적재컨베이어수단(20)은 회전부(12)를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12)와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12)의 회전프레임(121)에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의 하단 수평부(212)에 연결된 수거컨베이어수단(30)의 구동의 위한 구동모터(333)가 고정 설치되고, 그 구동모터(333)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334)가 회전프레임(121)의 하부에 구비된 베어링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을 회전시켜 제방(D)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축(12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소금(S)의 수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회전부(12)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부(12)의 회전프레임(121)에는 상기 베이스부(11)의 고정핀홀(114)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핀(124)이 구비된다.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은 제방(D)의 일측에서 염전 바닥(B)에 모아져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에 의해 수거된 소금(S)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소금운 반카트(C)에 쏟아 소금을 적재시키도록 상기 대차(10)에 연결된다.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은 경사부(211)와 수평부(212)가 굴절되어 벨트(214)가 굴절되어 순환되는 굴절식 벨트컨베이어인 굴절컨베이어(21)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굴절컨베이어(21)로 구성된 적재컨베이어수단(20)은 상단부가 상기 소금운반카트(C)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부(211)의 하단부와 수평부(212)의 일단부가 굴절조인트(213)에 의해 굴절되게 연결되어 벨트(214)가 상기 경사부(211)와 수평부(212)가 연결된 위치, 즉 굴절조인트(213) 부분에서 굴절되게 굴절롤러(215)에 의해 꺽여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211)는 프레임(211a)의 상단부에 구동롤(211b)이 설치되고, 양단 사이에 벨트(214)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롤(211c)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부(212)는 프레임(212a)의 일단부에 종동롤(212b)이 설치되고, 양단 사이에 벨트(214)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롤(211c)이 설치된다. 상기 경사부(211)와 수평부(212)는 경사부(211)의 프레임(211a)의 하단부와 수평부(212)의 프레임(212a)의 타단부가 굴절조인트(213)에 의해 굴절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11a,212b)가 굴절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벨트(214)는 굴절된 위치에서 굴절되게 굴절롤러(215)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경사부(211)의 구동롤(211b)와 수평부(212)의 종동롤(212b)에 걸쳐져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된다. 상기 벨트(214)는 수평부(211)의 상단부에 장착된 구동모터(216)에 의해 회전구동되는데, 상기 구동모터(216)의 회전축은 체인(216a)에 의해 상기 구동롤(211b)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재컨베이어수단(20)은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에 의해 수거되어 상기 수평부(212)의 상부로 투하된 소금을 이송시켜 상기 대차(10)에 상차된 소금운반카트(C)의 상부로 쏟아 붇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2)의 회전에 의해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을 제방(D)의 타측으로 이동되는데, 소금의 수거를 위해 상기 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 특히 수거컨베이어수단(30)은 제방(D)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그 상태에서는 회전시 제방(D)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의 일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이 상기 대차(20)의 회전부(1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은 굴절컨베이어(21)의 수평부(212)와 그 수평부(212)에 연결된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염전바닥(B)으로부터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굴절컨베이어(21)의 경사부 프레임(211a)이 상기 회전부(12)의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구비된 조인트(125)에 조인트축(125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의 수평부(212) 일단에는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대차(10)의 이동으로 구르기 위한 지지바퀴(22)가 설치된다.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은 염전바닥(B)에 모아진 소금(S)을 수거하여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의 상부, 즉 수평부(212)의 상부로 쏟아붇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은 긁개판(31), 이동덕트(32) 및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긁개판(31)은 염전바닥(B)에 모아진 소금(S)을 긁어 상부로 담기 위한 판부재로서, 상기 대차(10)의 이동으로 그 선단이 염전바닥(B)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소금(S)을 긁어 판부재의 상부로 퍼담는다. 상기 이동덕트(32)는 상기 긁개판(31)의 상부로 올려진 소금(S)가 상기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의 스크레이퍼(332a)에 의해 긁어 올려지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덕트(32)는 하부 입구(321)가 상기 긁개판(31)의 상부로 연결되고 상부 출구(322)가 상기 적재컨베이어(20)의 수평부(212)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상기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은 상기 긁개판(31)의 상부로 올려진 소금을 스크레이퍼(332a)로 긁어 올리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는 상기 이동덕트(32)의 상부에서 그 이동덕트(32)와 나란하게 구비된 프레임(331)의 양단에 구비된 구동롤(331a) 및 종동롤(331b)에 걸쳐지게 설치된 벨트(332)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스크레이퍼(332a)가 상기 이동덕트(32)의 바닥을 긁고 지나가도록 상기 벨트(332)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상기 벨트(332)의 구동은 구동모터(333)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퀴(22)에 가해지는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333)이 상기 대차(10)에 설치되어 그 동력이 연결축(334)에 의해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의 구동모터(333)는 상기 회전부(12)의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고정되며, 그 구동모터(333)의 회전축의 회전은 동력전달벨트(333a)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하부를 지나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의 수평부(212) 측에 위치된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의 구동롤(331a)로 연결된 연 결축(334)으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축(334)에는 상기 조인트축(125a)을 중심으로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꺽여지기 위한 굴절커플러(334a)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334)의 회전은 체인(334b)에 의해 상기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의 구동롤(331a)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수거컨베이어수단(30)은 염전바닥(B)의 높이차에 따라 상기 긁개판(31)이 들려지고 내려지도록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의 수평부(212)에 회동축(335)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는 소금운반카트(C)가 대차(10)에 상차된 상태에서 대차(10)를 제방레일(DR)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소금을 수거하여 상기 소금운반카트(C)에 적재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대차(10)가 제방레일(DR)을 따라 이동되면, 그 대차(10)에 연결된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은 제방(D)과 나란한 방향(V)으로 이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 긁개판(31)에 의해 염전바닥(B)에 모아진 소금(S)이 퍼올려져 스크레이퍼컨베이어(33)에 의해 굴절컨베이어(21)의 수평부(211)로 투하되며, 굴절컨베이어(21)는 그 상부로 투하된 소금을 상기 소금운반카트(C)로 운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염전바닥(B)에 놓인 소금(S)을 긁개판(31)로 긁기 때문에 소금(S)을 완전하게 수거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금을 긁개판(31)로 긁고, 그 긁어진 소금을 스크레이퍼(332a)로 긁어 적재컨베이어수단(20)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소금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a은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조인트 축(125a)을 중심으로 회전(R1)되어 들려지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2)의 회전으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제방(D)에 걸리지 않도록 들어 올려진다. 이때, 상기 연결축(334)은 굴절커플러(334a) 부분이 꺽이게 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들려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12)를 회전(R2)시키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은 제방(D)의 반대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6b는 상기와 같이 회전부(12)의 회전으로 적재컨베이어수단(20) 및 수거컨베이어수단(30)이 회전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 버킷 컨베이어(22) 및 이에 연결된 바닥 스크류 컨베이어(21) 및 배출 수크류 컨베이어(23)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거적재수단(2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이유는 상기 회전프레임(14)와 일체로 회전되는 수거적재수단(20)의 하단, 즉 상기 바닥 수크류 컨베이어(21)의 높이가 상기 제방(D) 및 그 제방(C)에 부설된 레일(R)의 높이(h1)보다 낮기 때문에 회전시 상기 수거적재수단(20)을 들어올려 레일(R)에 수거적재수단(20)의 하단, 즉 상기 바닥 수크류 컨베이어(21)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기 수거적재수단(20)은 하단이 염전 바닥(B)에 닿을 수 있는 높이와 상기 제방(D)에 부설된 레일(R)의 높이(h1)보다 높은 높이(h2) 사이를 승하강이 가능하게 상기 대차부(10)의 회전프레임(1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4)과 일체로 회전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