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387A -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387A
KR20190133387A KR1020180058254A KR20180058254A KR20190133387A KR 20190133387 A KR20190133387 A KR 20190133387A KR 1020180058254 A KR1020180058254 A KR 1020180058254A KR 20180058254 A KR20180058254 A KR 20180058254A KR 20190133387 A KR20190133387 A KR 2019013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frame
support frame
loa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171B1 (ko
Inventor
김재규
이진선
김은미
이미소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유)장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성테크 filed Critical (유)장성테크
Priority to KR102018005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1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4Scrap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이 적재되는 소금운반카트의 중량을 센싱부에 의해 감지하여 적절한 양의 소금이 채워지는 경우 적재컨베이어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지지프레임을 사륜구동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금적재장치가 레일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카트에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어 제방의 일측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적재하기 위한 소금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안착되고,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싱부(125)가 마련된 이동지지프레임(100);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형성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경사채널(200);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구동휠유닛(340)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하는 구동지지수단(300);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염전 바닥을 향해 비스듬히 설치되어 다수의 스크래퍼(460)에 의해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퍼올려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하는 적재컨베이어수단(400);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휠유닛(340)에 관절링크(930)를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부재(920)가 설치된 제어박스(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SALT COLLECTION DEVICE FOR SALT PAN}
본 발명은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이 적재되는 소금운반카트의 중량을 센싱부에 의해 감지하여 적절한 양의 소금이 채워지는 경우 적재컨베이어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지지프레임을 사륜구동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금적재장치가 레일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전은 소금을 만들기 위하여 바닷물을 끌어들여 모아서 막아놓은 후 햇볕에 증발시킬 수 있는 시설을 말하며, 이러한 시설은 바닷물을 가두는 저수지와, 하류측에 위치하여 햇볕과 바람을 물을 증발시키는 증발지와, 이 증발지에서 농축된 포화함수를 엷게펴서 농축시키고 소금을 결정 석출시켜서 채염하는 결정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염전에는 해안에서 밀려드는 조수(潮水) 및 육수(陸水)의 침입을 방지하고, 각각의 염전을 구획하여 결정지로부터 채염된 소금을 소금 저장고에 운반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방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결정지에서 생성된 소금을 채취하기 위해서, '┬' 형상의 밀대를 이용해 소금을 모으고, 모아진 소금을 손수레에 퍼담아 제방을 따라 운반하였다.
근래에는 소금 채취작업의 기계화 및 자동화로 인해, 상기한 밀대를 이용해 제방 부근으로 소금을 모아두기만 하면, 전원에 의해 궤도 운동하는 채염유닛을 통해 소금을 퍼올리고, 퍼올려진 소금은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소금 운반용 대차에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편리하게 소금을 채취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에는 상기한 채염유닛을 구비하여 자동으로 소금을 채취할 수 있는 채염장치가 한국등록특허 제10-154769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67303호 등을 통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채염장치에는 주행용 보조바퀴가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프레임과, 이동프레임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채염유닛과 축전지가 양측에 탑재되는 메인 대차프레임과, 메인 대차프레임 상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소금 운반용 대차가 탑재 및 이동되는 대차 승하차용프레임과, 메인 대차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전동모터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주행용 메인바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채염장치는 소금을 퍼올리는 레일에 안착되는 승하차용프레임을 수동으로 절첩하여야 되는 문제로 인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량을 작업자가 수시로 확인하여 컨베이어의 구동을 수동으로 멈추도록 구성됨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시 상기 소금운반카트로부터 소금이 넘처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지지프레임의 상측 안착레일부에 안착되는 소금운반카트의 중량을 센싱부에 의해 감지하여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절한 양의 소금이 채워지는 경우 적재컨베이어수단의 구동을 정지하여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제방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지지프레임을 사륜구동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소금적재장치가 레일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방측에 수집된 소금을 퍼올리는 적재컨베이어수단의 승하강 구동과 소금운반카트을 안착레일부로 안내하는 절첩경사채널의 절첩동작이 연동되게 함으로써 소금적재작업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카트에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어 제방의 일측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적재하기 위한 소금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안착되고,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싱부(125)가 마련된 이동지지프레임(100);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형성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경사채널(200);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구동휠유닛(340)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하는 구동지지수단(300);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염전 바닥을 향해 비스듬히 설치되어 다수의 스크래퍼(460)에 의해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퍼올려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하는 적재컨베이어수단(400);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휠유닛(340)에 관절링크(930)를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부재(920)가 설치된 제어박스(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연장되는 설치프레임(500)에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를 매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설치프레임(500)에는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방의 폭에 따라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조작레버(5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5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서 염전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측에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한 가이드편(511)이 설치된 한 쌍의 연장가이드바(510)와, 상기 연장가이드바(510)의 길이방향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5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편(511)에 안착되는 가이드롤러(611)가 구비된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과,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관절링크부(620)와, 신축로드(631)가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에 로드결합구(632)를 매개로 연결되는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폴(6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염전 바닥과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의해 퍼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외측으로 수집된 소금이 밀려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집가이드부(8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레일부에 안착되는 소금운반카트의 중량을 센싱부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소금운반카트에 적정량의 소금이 적재되어 소금운반카트의 외부로 유실되는 소금량을 줄여 생산량의 증가를 이룰 수 있고, 이동지지프레임이 사륜구동구동방식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소금적재장치가 레일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제방측에 수집된 소금을 퍼올리는 적재컨베이어수단의 승하강 구동과 소금운반카트을 안착레일부로 안내하는 절첩경사채널의 절첩동작이 연동됨에 따라 소금적재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절첩경사채널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컨베이어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조작레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승하강지지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관절링크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도 2의 A부분에 설치된 포집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의 배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지지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절첩경사채널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컨베이어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조작레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승하강지지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관절링크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2의 A부분에 설치된 포집가이드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는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카트에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어 제방의 일측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적재하기 위한 소금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경사채널(200)과,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하는 구동지지수단(300)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제방측에 수집된 소금을 퍼올려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하는 적재컨베이어수단(400)과,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제어박스(9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소금운반카트로 소금을 적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센싱부(125)에 의해 상기 소금운반카트의 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구동휠유닛(340)이 마련된 구동지지수단(300)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지지수단(300)의 구동휠유닛(340)을 구동하기 위한 각각의 구동모터(425)를 상기 제어박스(900)에 설치하여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이 상기 레일을 따라 사륜구동방식에 의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휠유닛(340)과 구동모터(425)를 관절링크(930)를 매개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휠유닛(340)과 상기 구동모터(425)의 설치위치상의 편차를 해결하고,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의 절첩시 상기 구동휠유닛(340)과 구동모터(425)간 연결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425)를 상기 구동휠유닛(340)의 설치위치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금 적재장치를 장기간 사용시, 소금의 적재과정에서 상기 레일이 설치된 제방으로 낙하된 정제소금이나 부유무, 이물질 등으로 인해 상기 구동모터(425)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여 잦은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425)를 상기 구동휠유닛(34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상기 구동휠유닛(340)과 구동모터(425)를 상기 관절링크(930)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구동휠유닛(34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접어 올리더라도 상기 구동휠유닛(340)과 구동모터(425)간 연결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를 살펴보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안착되고,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싱부(125)가 마련된다.
즉,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은 하측면에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풀리형 이동바퀴(111)가 설치되고, 상측면 중앙부에 센터봉(112) 및 회전유도체(113)가 설치된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하측면 중앙부가 상기 센터봉(112)에 끼움결합되는 메인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유도체(113)에 지지되는 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편(121)이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0)이 상기 회전유도체(113)와 지지편(121)에 의해 상기 센터봉(112)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과 동일한 방향, 동일한 폭을 갖는 한 쌍의 안착레일부(123)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레일부(123)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통해 상기 안착레일부(123)로 올라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레일부(123)에는 상기 소금운반카트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스토퍼나 걸림부재의 구성을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안착레일부(123)의 하부에는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싱부(125)가 설치되어 있어 후술되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의해 상기 소금운반카트로 소금을 적재하는 경우, 상기 소금운반카트의 중량을 감지하여 적절한 양의 소금이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은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형성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의 하측에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보조바퀴(21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지지수단(300)은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구동휠유닛(340)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한다.
즉, 상기 구동지지수단(3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브라켓(310)과, 상기 설치브라켓(310)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봉체(320)와, 상기 회전봉체(320)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구(330)와, 상기 지지구(3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구동휠(341) 및 상기 구동휠(34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체(342)로 이루어진 상기 구동휠유닛(3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봉체(320)에는 링크연결구(321)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이 상기 레일방향으로 내려지는 경우, 상기 구동휠유닛(340)의 구동휠(341)이 상기 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은 상기 지지구(330)에 의해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안착레일부(123)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시켜 접어올리는 경우, 상기 회전봉체(32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구(330)에 의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염전 바닥을 향해 비스듬히 설치되어 다수의 스크래퍼(460)에 의해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퍼올려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한다.
여기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은 스크래퍼(460)의 궤도운동에 의해 염전 바닥의 소금을 상부로 퍼올리는 경사컨베이어(410)와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상측 후방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스크래퍼(460)에 의해 퍼올려진 소금을 상기 소금운반카트로 공급하는 수평컨베이어(4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와 수평컨베이어(470)로 이루어진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연장되는 설치프레임(500)에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를 매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설치프레임(5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메인프레임(120)에서 염전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가이드바(510)와, 상기 연장가이드바(510)의 길이방향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5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장가이드바(510)에는 후술되는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의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51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은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를 지지한 상태로 구동엑츄에이터(6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를 염전바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편(511)에 안착되는 가이드롤러(611)가 구비된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과,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관절링크부(620)와, 신축로드(631)가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에 로드결합구(632)를 매개로 연결되는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폴(64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신축로드(631)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가 회전되면서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를 염전바닥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신축로드(631)가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회전되면서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를 염전바닥으로부터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는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경사봉(622)과 상기 제1경사봉(622)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수평봉(623)으로 이루어진 제1링크부(621)와, 상기 제1링크부(62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지지봉(612)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경사봉(626)과 상기 제2경사봉(626)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수평봉(628)으로 이루어진 제2링크부(6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봉(626)에는 상기 로드결합구(632)의 설치를 위한 보강연결봉(62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500)에는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방의 폭에 따라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조작레버(5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조작레버(530)는 상기 연결바(520)에 마련된 회전안내브라켓(521)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531)와, 상기 회전레버(531)의 길이방향 타측에 설치되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32)와, 상기 회전레버(531)와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링크연결되는 푸쉬풀링크부(53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532)를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이 상기 연결바(520)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532)를 파지한 상태에서 밀게 되면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가이드바(510)에는 상기 설치프레임(500)을 따라 이동된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제한유닛(54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상기 이동제한유닛(540)은 상기 연장가이드바(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바디편(541)과, 상기 회전바디편(541)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구(5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조작레버(530)에 의해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을 상기 연장가이드바(510)를 따라 일정간격 이동시킨 후, 상기 회전바디편(541)을 회전시켜 상기 후크구(542) 사이의 공간부로 상기 연장지지봉(612)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가 회전되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을 승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관절링크(9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관절링크부(7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연동관절링크부(700)는, 상기 설치프레임(500)의 연결바(520)에 길이방향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메인프레임(120)에 길이방향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의 지지관절링크부(620)에 마련된 조작가이드유닛(65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연동조작프레임(710)과, 상기 연동조작프레임(7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커넥팅바(720)와, 상기 커넥팅바(7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일측단이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지지수단(300)의 회전봉체(320)에 설치된 상기 링크연결구(321)에 타측단이 힌지결합되는 신축견인부(730)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조작프레임(71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연결바(520) 및 메인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핀봉체(711)와, 상기 스핀봉체(711)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연장조인트구(712)와, 상기 연장조인트구(712)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조작가이드유닛(65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봉체(7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가이드유닛(650)은 상기 조작봉체(713)의 관통을 위한 봉체관통공(652)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에 설치되는 가이드모듈(651)과, 상기 가이드모듈(651)에 수직되게 장착되어 상기 조작봉체(713)가 간섭되는 간섭편체(6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넥팅바(720)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상기 스핀봉체(711)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신축견인부(73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커넥팅바(720)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되 상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732)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 걸림돌출구(733)가 마련된 중공형 수용바(731)와, 상기 링크연결구(321)에 길이방향 일측이 힌지결합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바(731)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장공(732)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돌출구(736)가 마련된 인입바(735)와, 상기 걸림돌출구(733)와 슬라이딩돌출구(736)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인입바(735)의 인입출을 제어하는 스프링부재(73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과 연동관절링크부(700)에 의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승하강시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의 연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의 신축로드(631)가 신장되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경사컨베이어(410)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가 힌지결합부위를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를 염전바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조작가이드유닛(650)을 관통하는 상기 연동조작프레임(710)의 조작봉체(713)가 상기 조작가이드유닛(650)의 간섭편체(653)에 간섭됨에 따라 상기 연동조작프레임(710)의 스핀봉체(711)가 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연동조작프레임(71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커넥팅바(720)에 연결된 신축견인부(730)가 조작되어 상기 구동휠유닛(340)의 연결봉체(342)가 회전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구(330)가 회전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넥팅바(7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바(731)가 상기 연결봉체(342)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돌출구(733)와 슬라이딩돌출구(736)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된 상기 스프링부재(737)의 인장력으로 인해 상기 인입바(735)가 상기 수용바(731)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아 상기 인입바(735)가 상기 연결봉체(34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봉체(342)의 회전이 완료되어 상기 구동휠(341)이 상기 레일에 안착되면 상기 인입바(735)가 상기 수용바(731)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737)가 인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의 절첩구동이 연동되어 작업자가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수동으로 절첩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의 절첩을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는, 내부에 수용공간(4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421)의 후방에 상기 수평컨베이어(470)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로프(422)를 갖는 하우징(420)과, 상기 하우징(420)의 수용공간(421)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축(430)과, 상기 하우징(420)의 수용공간(421) 하측에 설치되는 종동축(440)과, 상기 구동축(430)과 종동축(44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밸트(450)와, 상기 밸트(450)의 폭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밸트(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상기 스크래퍼(4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20)은 슬로프(422)의 양측에 결합된 측판(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423)에 의해 하우징(420)은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421)를 갖게 된다.
상기 구동축(430)은 상기 하우징(420)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425)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42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밸트(45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종동축(440)은 상기 구동축(430)과 함께 상기 밸트(45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축(440)은 상기 하우징(420)의 하측에 한 쌍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크래퍼(460)에 의한 소금의 이송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서, 소금의 적재작업의 계속적인 수행으로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밸트(450)가 늘어나 상기 구동축(430)과 종동축(440)의 회전에 의한 상기 밸트(450)의 회전이 완활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트(450)의 처짐이나 늘어남에 따라 상기 종동축(4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밸트(45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부재(480)가 설치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480)는 상기 종동축(44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서 상기 하우징(420)의 측판(423)에 형성된 가이드장공(42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컨트롤연장구(481)와, 상기 가이드장공(424)의 길이방향 하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측판(423)에 설치되는 장착편(482)과, 상기 장착편(482)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연장구(481)에 나사결합되는 볼트결합구(48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볼트결합구(483)의 회전시키면 상기 컨트롤연장구(481)가 상기 장착편(482)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상기 종동축(440)을 감싸는 상기 밸트(45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밸트(450)는 상기 구동축(430)과 종동축(440)에 의해 캐터필러식으로 회전되고, 유연성을 갖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링크가 결합된 체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크래퍼(460)는 상기 밸트(45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밸트(450)가 상기 구동축(430)과 종동축(440)에 의해 캐터필러식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래퍼(460)가 상기 밸트(450)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방측으로 모아진 소금을 퍼 올려 상기 하우징(420)의 개구된 방향에서 상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수평컨베이어(47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컨베이어(470)는 유연성을 갖는 면체로 이루어진 밸트체(471)가 캐터필러식으로 회전되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로부터 공급된 소금을 상기 소금운반카트로 적재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는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래퍼(460)에 의해 소금을 퍼 올리는 경우 상기 스크래퍼(460)가 염전 바닥의 PVC장판을 쓸면서 소금을 퍼 올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PVC장판이 들뜨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420)의 길이방향 하측에 상기 PVC장판을 따라 회전롤링되는 롤러부재(490)를 설치하여 상기 PVC장판를 평평하게 펴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롤러부재(490)는 상기 하우징(420)의 측판(423)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브라켓(491)의 일측 단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브라켓(491)은 상기 염전 바닥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상기 롤러부재(490)가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측판(4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브라켓(491)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롤러부재(490)의 회전을 제어하는 탄성스프링(49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20)의 길이방향 하측에는 상기 스크래퍼(460)에 의해 퍼올러지지 않은 여분의 소금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밀대(42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염전 바닥과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의해 퍼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외측으로 소금이 밀려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집가이드부(8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경사컨베이어(410)가 염전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래퍼(460)에 의해 퍼올려지지 않는 소금이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하우징(420) 외측으로 밀려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420)의 하부 측면에 상기 포집가이드부(800)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420)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소금을 상기 하우징(420)의 내측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컨베이어(410)의 이동시 제방측에 수집된 소금을 상기 포집가이드부(800)에 의해 상기 하우징(420)의 내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스크래퍼(460)에 의한 소금의 수집량 증가를 통한 상기 소금운반카트로의 소금 적재시간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가이드부(800)는 소금이 유입되는 방향에서 상기 차단밀대(426)가 설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부공간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집가이드부(800)의 하측에는 염전 바닥에 밀착되는 가이드밀대(81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포집가이드부(800) 내부로 유입된 소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스크래퍼(460)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박스(900)는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휠유닛(340)에 관절링크(930)를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부재(9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어박스(900)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에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바디(910)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센싱부(125)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부재(920)는 상기 제어박스(90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회전축(921)이 상기 관절링크(9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관절링크(930)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구동휠유닛(340)의 구동휠(341)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재(9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휠(341)이 회전되어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이 상기 레일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동지지프레임 110: 하부프레임
120: 메인프레임 125: 센싱부
200: 절첩경사채널 300: 구동지지수단
310: 설치브라켓 320: 회전봉체
330: 지지구 340: 구동휠유닛
321: 링크연결구 400: 적재컨베이어수단
410: 경사컨베이어 470: 수평컨베이어
480: 장력조절부재 490: 롤러부재
500: 설치프레임 510: 연장가이드바
520: 연결바 600: 관절승하강지지수단
610: 하부슬라이딩프레임 620: 지지관절링크부
621: 제1링크부 625: 제2링크부
630: 구동엑츄에이터 640: 지지폴
650: 조작가이드유닛 700: 연동관절링크부
710: 연동조작프레임 720: 커넥팅바
730: 신축견인부 800: 포집가이드부
900: 제어박스 910: 연장프레임바디
920: 모터부재 930: 관절링크

Claims (5)

  1. 제방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소금운반카트에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어 제방의 일측에 모아진 소금을 수거하여 적재하기 위한 소금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안착되고,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되는 소금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싱부(125)가 마련된 이동지지프레임(100);
    상기 소금운반카트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형성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첩경사채널(200);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구동휠유닛(340)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첩경사채널(200)을 지지하는 구동지지수단(300);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염전 바닥을 향해 비스듬히 설치되어 다수의 스크래퍼(460)에 의해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퍼올려 상기 소금운반카트에 적재하는 적재컨베이어수단(400);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구동휠유닛(340)에 관절링크(930)를 매개로 연결되는 모터부재(920)가 설치된 제어박스(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연장되는 설치프레임(500)에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를 매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500)에는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방의 폭에 따라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조작레버(5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500)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에서 염전방향으로 연장되되 일측에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한 가이드편(511)이 설치된 한 쌍의 연장가이드바(510)와, 상기 연장가이드바(510)의 길이방향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5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승하강지지수단(600)은 상기 가이드편(511)에 안착되는 가이드롤러(611)가 구비된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과,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길이방향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관절링크부(620)와, 신축로드(631)가 상기 지지관절링크부(620)에 로드결합구(632)를 매개로 연결되는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엑츄에이터(63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부슬라이딩프레임(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폴(6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 바닥과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100)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방측으로 수집된 소금을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에 의해 퍼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컨베이어수단(400)의 외측으로 수집된 소금이 밀려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집가이드부(8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KR1020180058254A 2018-05-23 2018-05-23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KR10206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54A KR102069171B1 (ko) 2018-05-23 2018-05-23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254A KR102069171B1 (ko) 2018-05-23 2018-05-23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87A true KR20190133387A (ko) 2019-12-03
KR102069171B1 KR102069171B1 (ko) 2020-02-11

Family

ID=6883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54A KR102069171B1 (ko) 2018-05-23 2018-05-23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180B1 (ko) * 2020-12-30 2021-06-29 (유)장성테크 고품질의 천일염 생산시스템
KR20210143442A (ko) * 2020-05-20 2021-11-29 (유)장성테크 통합형 소금수집적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087A (ko) * 2003-02-08 2004-08-18 주식회사 더불어 사는집 이동가능한 벌크 적재터미널
KR101348243B1 (ko) * 2012-04-09 2014-01-08 추민구 천일염 채취기
KR101367303B1 (ko) * 2013-09-04 2014-02-27 김미복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KR101547695B1 (ko) * 2015-05-05 2015-08-26 (주)블루모션 스윙가능한 자동 채염장치
KR20170041394A (ko) * 2015-10-07 2017-04-17 노희정 염전구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비트를 이용한 소금 자동 채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087A (ko) * 2003-02-08 2004-08-18 주식회사 더불어 사는집 이동가능한 벌크 적재터미널
KR101348243B1 (ko) * 2012-04-09 2014-01-08 추민구 천일염 채취기
KR101367303B1 (ko) * 2013-09-04 2014-02-27 김미복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KR101547695B1 (ko) * 2015-05-05 2015-08-26 (주)블루모션 스윙가능한 자동 채염장치
KR20170041394A (ko) * 2015-10-07 2017-04-17 노희정 염전구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비트를 이용한 소금 자동 채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442A (ko) * 2020-05-20 2021-11-29 (유)장성테크 통합형 소금수집적재장치
KR102270180B1 (ko) * 2020-12-30 2021-06-29 (유)장성테크 고품질의 천일염 생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171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526A (en) Conveyor
CA2927471C (en) Portable conveyor system with drive-over unloading ramp and a longitudinal conveyor feeding a bucket elevator
KR102069171B1 (ko) 염전용 소금 적재장치
EP0004985A1 (fr) Train de renouvellement d'une voie de chemin de fer
KR101348243B1 (ko) 천일염 채취기
KR101547695B1 (ko) 스윙가능한 자동 채염장치
KR101810380B1 (ko) 비닐하우스 설치용 수확물 운반장치
KR101005327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US8245832B2 (en) Belt conveyor device
CN214326231U (zh) 一种基坑土方运输装置
EP0386209A1 (fr) Machine autopropulsee pour betonner des fosses.
FR2662452A1 (fr) Machine de coulee en continu de beton pour la realisation des ornieres, rigoles ou voies etroites en beton.
KR100855362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EP0939166A2 (en) Paving materials loading apparatus and paving machine
US4462747A (en) Material conveyor for use with a backhoe
KR101544692B1 (ko) 일체형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113605459A (zh) 岩土工程边坡用的防渗水铺设装置及方法
US1828532A (en) Elevating grader
CN109607250A (zh) 混合料侧向输送僚机
KR930001325Y1 (ko) 준설기
CN209601699U (zh) 混合料侧向输送僚机
US20060225314A1 (en) Excavator
KR102426060B1 (ko) 통합형 소금수집적재장치
KR100679139B1 (ko) 콤바인
JPH07259125A (ja) 水路用掘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