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325Y1 - 준설기 - Google Patents

준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325Y1
KR930001325Y1 KR2019870024057U KR870024057U KR930001325Y1 KR 930001325 Y1 KR930001325 Y1 KR 930001325Y1 KR 2019870024057 U KR2019870024057 U KR 2019870024057U KR 870024057 U KR870024057 U KR 870024057U KR 930001325 Y1 KR930001325 Y1 KR 930001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dredger
scraper
guide
fee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430U (ko
Inventor
이문영
Original Assignee
이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영 filed Critical 이문영
Priority to KR2019870024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325Y1/ko
Publication of KR890013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3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0Wheeled apparatu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준설기
제1도는 본 고안 준설장치의 기복 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준설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방향에서 본 준설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를 부설한 일부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준설기 13 : 가이드 부재
16 : 기복용 유압실린더 23 : 이송 스크류 준설장치
26 : 승강 조절용 유압 실린더 28' :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
29 : 안내레일체
본 고안은 스크레이퍼(Scraper)와 이송 스크류(Screw)라고 하는 두개의 기본적 요소를 구비하고, 하수관내에 침적된 침적물을 준설시키기 위한 준설기에 관한 것으로 이송 스크류가 탑재된 준설기 자체의 구조상의 안전성과 작업 현장에서의 설치준비 작업의 간편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준설 작업의 능률성과 연속성을 얻고자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고안의 준설기로서 준설 작업과 그 준비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스크레이퍼가 양쪽 맨홀 사이의 하수관로 상만을 수평적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하수관로상의 침적물을 맨홀 내부로 집중적으로 긁어 모아주는 역할만 하고, 맨흘 내부에 모아진 침적물을 직접 지상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은 이송스크류가 담당하게 구성하여 스크레이퍼와 이송 스크류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준설 작업의 연속성을 기할수 있고, 작업 능률도 뛰어나 경제적인데다 이송 스크류와 스크레이퍼의 와이어용 가이드 로울러의 승강 조절이 용이하게 준비 작업의 간편성도 있을 뿐 아니라, 이송 스크류 장치가 재치된 가이드 부재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기복(起伏) 이 자재로운데도 불구하고 주행시나 작업시에 준설기의 구조상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는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에서는 준설기의 후면에다 유압실린더로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기복(起伏)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를 축설하고, 가이드 부재 상면에다는 이송 스크류 장치와 이송 스크류 장치의 승강조절용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면서, 가이드 부재의 하측면 상에는 랙크 기어에 의하여 승강조절되는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를 부설한 것이고, 본 고안에서는 바로 이러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 구성을 갖춘 준설기의 가이드 부재는 준설 작업시를 제외하고는 준설기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재치되어 있어서 준설기가 육교를 통과한다든지, 주책이 밀접되어 있는 좁은 골목길을 통과한다든지 할경우에는 높이의 제한이나 가이드 부재로 인한 장애를 받지 않을 뿐 아니라, 준설기 전체적 규모 면에서도 구조의 간단화 및 안정화를 이룬 것이며, 이송 스크류 장치를 내설한 가이드 부재를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직립시켜놓은 상태에서도 구조역학상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또한 상부에 모터가 설치된 이송 스크류장치를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맨홀 내부로 조용히 착좌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승강조작의 간편성이 있으며, 가이드 부재의 하단에다는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를 랙크 기어에 의하여 승강되게 하였으므로, 하수관로 내에서 작동되고 있는 스크레이퍼의 작업 위치와 동일 위치로의 와이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준비 작업상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준설기는 버켓으로 침적물을 끌어 올렸기 때문에 준설기 후면에는 수직상의 후레임을 불가피하게 설치하여야 했는데, 본 고안에서는 맨호 내부로만 집중적으로 침적물을 긁어 모아주는 스크레이퍼를 버켓 대신 사용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후레임이 생략되면서, 이송 스크류를 갖는 가이드 부재가 수직상의 후레임 역할과 침적물의 연속 이송 역할을 겸용하게 되기 때문에 준설기의 전체 구조가 간단화되게 되고, 그 규모면에서도 소형화를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동기(1)를 갖는 공지의 준설기(11)의 후면에다 지지대(12)에 축핀(14)으로 유착시킨 가이드 부재(13)와 전방 지지구(15)에는 기복용 유압실린더(16)를 유착하고, 피스톤롯드(17)의 선단은 가이드 부재(13)에 고착된 브라켓 축핀(18)에 유착하여 가이드 부재(13)의 수평, 수직 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하게 하고, 가이드 부재(13) 내면 양측에는 안내로울러(19)(19')를 종설하여 이송 스크류 장치(23)의 승강레일(20) (20') 내에서 활동안내되게 하며, 스크류 준설 장치(23)의 상단부에는 스크류(22)를 회전시키는 모터(21)를 설치하면서 스크류 준설장치(23)의 일측면에는 연결구(24)와 가이드 부재(13)내 상부에 부착된 고정구(25) 사이에다 승강조절용 유압실린더(26)와 피스톤 롯드(27)를 연결하고 또한, 가이드 부재(13)의 하부 일측에는 스크레이퍼용 와이어가이드 로울러(28')를 유착한 랙크기어(28)가 종설된 안내레일체(29)를 부설하고, 안내레일체(29)에는 핸들회전축(30')이 형성된 평기어(30)와 스톱퍼(31)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2는 벨트, 3은 구동풀리, 4는 구동축, 5는 구동체인기어, 6은 연동축, 7은 연동체인기어, 8은 체인, 9는 윈치드럼, 23'는 배출구, 32는 낙하 안내판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 스크류 장치(23)와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28')가 수축된 상태로 적재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3)를 수평 방향으로 준설기(11)에 탑재시켜 준설기를 작업장 위치로 주행 이동하여 맨흘 상부에 안정되게 정치시킨 후 기복용 유압실린더(16)로서 가이드 부재(13)를 직립시킨 다음 승강용 유압실린더(26)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 장치(23)를 맨홀(10') 하부에 조용히 착좌시킨 후, 핸들 조작에 의하여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28')를 하수관(10)내의 스크레이퍼의 작동이 원활한 상태의 위치까지 조정해 두고, 준설기의 원동기(1)에 의하여 스크레이퍼의 와이어를 좌우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이송 스크류 장치(23)의 상단부의 모터(21)를 회전시켜 스크류(22)를 서서히 회전시켜 주면,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맨홀(10')내로 침적물이 집중되면서 이송 스크류 장치(23)에 의하여 지상으로 이렇게 집적된 침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 운반되게 되므로 준설 작업의 자동화와 능률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준설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이송 스크류 장치의 승강 유압실린더와 가이드 부재의 기복용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 장치를 수축시키고 가이드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적재시켜서 준설기를 원상태대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이다.
가이드 부재상에 이송 스크류 장치를 탑재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방향 조절을 자재롭게 구성하였으므로 준설기의 주행시는 물론이고, 작업시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송 스크류 장치 역시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승강되게 하였으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는 안내레일체 내에서 승강되게 하였으므로, 손쉽게 스크레이퍼용 와이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스크레이퍼와 이송 스크류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준설 작업을 연속화 및 자동화할 수 있어서 준설작업 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을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준설기(11)의 후면에다 기복용 유압실린더(16)로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기복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13)를 축설하고, 가이드 부재(13) 상면에는 이송 스크류 장치(23)와 이송 스크류 장치(23)의 승강조절용 유압실린더(26)를 구비하면서 가이드 부재(13)의 하측면상에는 랙크기어(28)에 의하여 승강조절되는 스크레이퍼용 와이어 가이드 로울러(28')를 부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기.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3)의 하부 일측에다 스크레이퍼용 가이드 로울러(28')를 유착한 랙크기어(28)를 종설한 안내레일체(29)를 부설하고, 안내레일체(29)에는 핸들 회전축(30')이 형성된 평기어(30)와 스톱퍼(31)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기.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3) 내면 양측에다 안내로울러(19)(19')를 종설하고, 이송 스크류 장치(23)의 승강레일(20)(20')내에서 활동 안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기.
KR2019870024057U 1987-12-31 1987-12-31 준설기 KR930001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057U KR930001325Y1 (ko) 1987-12-31 1987-12-31 준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057U KR930001325Y1 (ko) 1987-12-31 1987-12-31 준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430U KR890013430U (ko) 1989-08-08
KR930001325Y1 true KR930001325Y1 (ko) 1993-03-22

Family

ID=1927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057U KR930001325Y1 (ko) 1987-12-31 1987-12-31 준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3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457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512A (ko) * 2001-08-30 2003-03-06 봉화토건 합자회사 오, 우수받이 연결관의 준설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457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430U (ko) 198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632A (en) Trenching machine with laterally adjustable chain-type digging implement
KR100703620B1 (ko) 토양 작업을 위한 절단기 및 방법
CN1211659A (zh) 地下连续壁的装置
KR930001325Y1 (ko) 준설기
US2205490A (en) Hydraulic shovel
US4695204A (en) Traveling trench shore
JP3460029B2 (ja) 水路用掘削機
US2686981A (en) Crumber adjustment for endlesstype trench digging machines
CN111636503A (zh) 一种水利管道铺设用具有限位纠偏结构的土地开沟装置
KR910001748Y1 (ko) 준설기
US1703320A (en) Trench-excavating machine
KR910002916Y1 (ko) 준설기
JPH053544Y2 (ko)
JPH07259124A (ja) 水路用掘削機
JPS6313771Y2 (ko)
JPS64969Y2 (ko)
US993706A (en) Excavating-machine.
US2336658A (en) Apparatus for laying tile drains
KR950005540Y1 (ko) 차집관로 준설장치(遮集管路 浚渫裝置)
JPS6313772Y2 (ko)
CN209838475U (zh) 井下扒煤机
KR910005067Y1 (ko) 준설기의 준설장치
KR920002041B1 (ko) 맨홀등의 침전물의 준설방법과 그 준설장치
SU516792A1 (ru) Машина дл бестраншейной прокладки труб методом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бурени
KR960007009Y1 (ko) 침사지의 침사인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