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267B1 -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267B1 KR101954267B1 KR1020180108660A KR20180108660A KR101954267B1 KR 101954267 B1 KR101954267 B1 KR 101954267B1 KR 1020180108660 A KR1020180108660 A KR 1020180108660A KR 20180108660 A KR20180108660 A KR 20180108660A KR 101954267 B1 KR101954267 B1 KR 1019542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e
- wall
- leg
- displacemen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 정밀안전진단의 과업 중, 교량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위계측기를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용된 폴대형 거치대를 구성하여, 종래 원형계측기의 변위가 수치화되는 단점과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 계측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막대형계측기의 교량의 하부면에 계측기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비계를 쌓아올리는 번거로움과 지리적 접근의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 정밀안전진단의 과업 중, 교량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위계측기를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용된 폴대형 거치대를 구성하여, 종래 원형계측기의 변위가 수치화되는 단점과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 계측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막대형계측기의 교량의 하부면에 계측기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비계를 쌓아올리는 번거로움과 지리적 접근의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 정밀안전진단의 과업 중, 교량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위계측기를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용된 폴대형 거치대를 구성하여, 종래 원형계측기의 변위가 수치화되는 단점과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 계측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막대형계측기의 교량의 하부면에 계측기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비계를 쌓아올리는 번거로움과 지리적 접근의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하는 과업에 있어서, 이의 세부항목 중에는 중차량을 교량에 적재시키고 교량의 변위를 계측해서 공용 중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차량재하시험이 있다.
이러한 차량재하시험은 교량 정밀안전진단의 평가항목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시험이다.
종래에는 차량재하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측기를 막대형 계측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교량 하부면까지 계측기가 접근할 수 있도록 지면에 비계를 쌓아올리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지면의 상태에 따라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고, 그렇다고 비계를 쌓아올리는 방법 외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에는 종래에 개발되지 않고 있던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막대형 계측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계측기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변위를 수치화시키는 원형 계측기를 피아노선 등을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막대형 계측기의 교량의 변위에 직접 반응한다는 장점을 살릴 수 없었으며, 센서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에는 계측기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의 막대형 계측기를 사용하되, 폴대형 거치대를 개발하여 계측기가 교량의 하부면으로 접근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면의 상태에 제한없이 계측기의 설치 및 지지가 가능한 기술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주요하게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13914호에는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계 설치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연직도를 완전하게 확보한 후 고정하는 방식으로 변위계 설치대를 구현함으로써 구성요소간의 결합 및 설치 과정에서 연직도를 항시 유지할 수 있고, 물리적인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위 소산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구성요소간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위계 설치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변위계의 계측값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자석과 롤러를 이용한 2중 제어 방식으로 변위계 설치대를 구현함으로써 강풍 등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종단 경사를 고려하여 상부판과 힌지가 일체화되도록 상부 조인트를 형성하며, 높이 조절봉, 커플러 및 하부 유동관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는, 교량 재하시험용 변위계 설치대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지면의 상태에 제한없이 상기 기술에 기재된 설치대의 안정적인 지지가 불가능하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170898호에는 변위 측정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10-1202190호에는 변위 측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703호에는 도로의 깊이별 처짐 측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술된 기술들은, 모두 본 출원발명과 목적상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지면에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지면에 매설되는 형태이거나, 혹은 교량을 일부 가공하여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본 출원발명에 대응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정밀안전진단의 과업 중, 교량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위계측기를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용된 폴대형 거치대를 구성하여, 종래 원형계측기의 변위가 수치화되는 단점과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 계측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막대형계측기의 교량의 하부면에 계측기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비계를 쌓아올리는 번거로움과 지리적 접근의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는, 변위계측기를 설치하여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한 폴대형 거치대(1)에 있어서,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하나의 폴대(1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인출을 통해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폴대(10)의 일측으로는 다리(12, 13)가 형성되어, 상기 폴대(10)의 지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상기 폴대(10)의 하측으로 받침폴대(11)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폴대(11)가 폴대(10)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서, 지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상기 폴대(1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상기 폴대(10)가 3개 내지 5개의 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된 폴대형 거치대(1)의 사용 방법은,
지면에 다리(12, 13)를 이용하여 폴대(10)를 고정하는 단계(S1); 및
상기 단계(S1) 후, 다리(12, 13)의 꺾임 각도와 길이 가변을 통해 폴대(10)를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S1)는 받침폴대(11)의 길이를 가변시켜 폴대(10)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단계(S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에 의하면,
첫째, 종래 원형계측기의 변위가 수치화되는 단점과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 계측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둘째, 종래 막대형계측기의 교량의 하부면에 계측기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비계를 쌓아올리는 번거로움과 지리적 접근의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폴대형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제2 다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제1 다리와 제2 다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폴대형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제2 다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제1 다리와 제2 다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 정밀안전진단의 과업 중, 교량의 변위를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위계측기를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채용된 폴대형 거치대를 구성하여, 종래 원형계측기의 변위가 수치화되는 단점과 사용빈도가 잦은 경우 계측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막대형계측기의 교량의 하부면에 계측기를 접근시키기 위하여 비계를 쌓아올리는 번거로움과 지리적 접근의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측기(도 1의 계측기)는, 교량의 하부면에 근접하도록 위치되되, 폴대형 거치대(1)에 의해 지면에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폴대형 거치대(1)에 대해 설명하면,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폴대형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다단의 폴대(10)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기준이 되는 하나의 폴대(10)의 상측으로 단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좁은 직경의 폴대가 넓은 직경의 폴대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가변구성되어 제n 번째 폴대(10n)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변구성이라 함은, 다양한 길이 가변을 위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좁은 직경의 폴대의 외면과, 넓은 직경의 폴대 내면에 나사산을 각각 형성하고, 나사산 결합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이 되는 폴대(10)의 하측으로는 받침폴대(11)가 복수 개의 폴대(10n) 간의 결합방식을 채용하여 하부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받침폴대(11)의 하측으로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받침다리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다리(12, 13)에 의해 기준이 되는 폴대(10)를 지면에 고정하려는 경우,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다소 굴곡지어 있더라도, 폴대의 하측으로 길이를 가변시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리(12, 13)는, 첨부된 도면에서는 1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폴대(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다리(12, 13)는 제1 다리(12) 및 제2 다리(13)로 구분되며, 상기 제2 다리(13)의 지면에 닿는 단부로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받침다리(13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다리(12)의 일 단부는 개방되어 제2 다리(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다리(12)의 다른 단부는 폴대(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폴대(10)의 외면 일측에는 연결대(12a)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12a)는, 폴대(10)의 외면에 직접 부착 형성되는 연결대 커버(12a1)와, 상기 연결대 커버(12a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대 몸체(12a2)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대 커버(12a1)는 내부가 관통된 형태의 원기둥으로서, 일측이 절단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연결대 몸체(12a2)는, 상기 연결대 커버(12a1)의 관통된 내부에 삽입되며, 연결대 커버(12a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일측으로 연장몸체(12a2a)가 돌출되어, 상기 연결대 커버(12a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연결대 커버(12a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장몸체(12a2a)의 돌출된 단부에 제1 다리(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다리(13)는 제1 다리(12)로부터 인출되어 다리(12, 13)의 총 길이가 가변(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를 통해 다리(12, 13)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제2 다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서 제1 다리와 제2 다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는 제2 다리(13)의 일면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2 다리(13)는 일면에 누름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홀(131)에는 누름부(132)가 버튼형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홀(131)에 삽입된다.
이러한 누름부(132)는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패널(132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패널(1321)의 연장된 단부로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22)에는 2개의 링크(1323a, 1324a)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때 제1 링크(1323)와 제2 링크(1324)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링크(1323a, 1324a)는 각각 돌출부(1322)에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홀이 형성된 단부의 다른 단부로는 각각의 링크(1323a, 1324a)로부터 양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된 가이드봉(1323b, 132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323b, 1324b)은 각각의 링크(1323a, 1324a)를 기준으로 일측은 다른 일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돌출되어, 양측이 다른 길이를 갖으면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다리(13)의 다른 마주하는 2개의 면으로는 고정부 관통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다리(13)의 내측 중, 상기 고정부 관통홀(133)의 길이방향 기준의 각 단부 내측벽에는 단속 내벽(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속 내벽(134)은 'ㅛ'자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된 2개 벽 사이로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은 상기 단속 내벽(134)의 돌출된 2개 벽 사이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벽으로서, 각각 돌출 고정벽(135a, 136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돌출 고정벽(135a, 136a)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다른 위치를 갖도록 돌출되며, 각각 가로방향 가이드홀(a)과 세로방향 가이드홀(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패널(1321)의 돌출부(1322)가 세로방향 가이드홀(b)에 삽입되고, 각각의 링크(1323a, 1324a)의 가이드봉(1323b, 1324b)이 상기 돌출 고정벽(135a, 136a)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은 사이에는 스프링(137)이 위치되어,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간의 탄성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각각의 가로방향 가이드홀(a)과 세로방향 가이드홀(b)이 형성된 다른 일면에는 고정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38)는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에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관통홀(133)을 관통하여 제2 다리(13)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고정부(138)의 형상은 제2 다리의 상/하 움직임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직선형태로 구성되고, 하측은 하부방향으로 굴곡진 곡선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다리(12)는 상기 고정부(138)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벽에 고정돌기(1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부(138)는 고정돌기(121)에 의해 제2 다리(13)가 제한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고정부(138)의 하측 곡선형태가 고정돌기(121)에 닿는 경우, 곡선작용에 의해,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사이가 가까워지도록 구동되면서, 상기 고정부(138)가 어느 하나의 고정돌기(121)에서 하측으로 인접한 다른 고정돌기(121)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고정부(138)가 상측의 고정돌기(121)로 이동되는 것은, 상기 고정부(138)의 직선형태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다리(13)를 제1 다리(12) 내부로 삽입하여 길이를 짧게 가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다리(13)에 구성된 상술된 누름부(132)를 외력을 가해 누르게 되면, 연장패널(1321)이 하강하게 되면서, 세로방향 가이드홀(b)의 가이드에 따라, 돌출부(1322)가 하강하게 되면서,
돌출부(1322)와 세로방향 가이드홀(b) 사이에 위치된 링크(1323a, 1324a)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가이드봉(1323b, 1324b)이 가로방향 가이드홀(a)에 가이드되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323b, 1324b)의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된 영역은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각각의 일면에 접착 또는 용접 등으로 결합되게 되며, 이러한 상기 가이드봉(1323b, 1324b)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이 상호 인접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다리(13)를 제1 다리(12) 방향으로 밀어 삽입하면, 길이를 짧게 가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누름부(132)를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3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이 본래 위치로 원상복귀될 수 있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연결대(12a)의 구성에 있어서, 연결대 커버(12a1)에 삽입된 연결대 몸체(12a2)의 외면에 토션스프링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연결대 몸체(12a2)가 상기 연결대 커버(12a1)로부터 자유 회전이 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다리(12, 13)에 대하여, 어느 하나는 상기와 같이 토션스프링으로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편, 나머지 다리에는 토션스프링을 적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폴대형 거치대(1)를 설치하는 지면의 굴곡이 심한 경우, 굴곡의 하측으로 토션스프링이 적용된 다리(12, 13)를 지지하고, 나머지 다리는 굴곡의 상측 영역으로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고정함에 따라,
굴곡이 심한 지면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폴대형 거치대(1)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지면에 다리(12, 13)를 이용하여 폴대(10)를 고정한다(S1).
이후, 지면의 높이 및 굴곡에 기반하여 받침폴대(11)의 길이를 가변시켜 보조 고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S11).
그리고, 지면의 굴곡에 기반하여 상기 다리(12, 13)의 꺾임 각도와 길이 가변을 고정하도록 한다(S12).
상기와 같이 폴대형 거치대(1)의 지면 고정이 완료되면, 최상측의 폴대(10n)에 변위계측기를 설치하고, 복수 개의 폴대(10n)의 길이를 가변시켜 교량의 하부면까지 변위계측기를 접근시킨다(S2).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폴대형 거치대
10 : 폴대
10n : 제n 번째 폴대, 복수 개의 폴대
11 : 받침폴대
12 : 제1 다리
12a : 연결대
121 : 고정돌기
13 : 제2 다리
13a : 받침다리
131 : 누름홀
132 : 누름부
133 : 고정부 관통홀
134 : 단속 내벽
135 : 제1 구동벽
136 : 제2 구동벽
137 : 스프링
138 : 고정부
a : 가로방향 가이드홀
b : 세로방향 가이드홀
10 : 폴대
10n : 제n 번째 폴대, 복수 개의 폴대
11 : 받침폴대
12 : 제1 다리
12a : 연결대
121 : 고정돌기
13 : 제2 다리
13a : 받침다리
131 : 누름홀
132 : 누름부
133 : 고정부 관통홀
134 : 단속 내벽
135 : 제1 구동벽
136 : 제2 구동벽
137 : 스프링
138 : 고정부
a : 가로방향 가이드홀
b : 세로방향 가이드홀
Claims (4)
- 교량의 하부면까지 접근시키기 위해 폴대형 거치대(1)를 이용하여 변위계측기를 설치한,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에 있어서,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하나의 폴대(1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인출을 통해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폴대(10)의 일측으로는 다리(12, 13)가 형성되어, 상기 폴대(10)의 지지가 가능하고,
상기 제2 다리(13)는,
그 일면에 형성되되, 버튼형식의 누름부(132)가 삽입되는 누름홀(131);
상기 누름홀(131)에 삽입되는 방향의 일면에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패널(1321)과 상기 연장패널(1321)의 연장된 단부로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22)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1322)에는 2개의 링크(1323a, 1324a)가 각각 상호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링크(1323a, 1324a)는 각각 돌출부(1322)에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홀이 형성된 단부의 다른 단부로는 각각의 링크(1323a, 1324a)로부터 양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된 가이드봉(1323b, 1324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1323b, 1324b)은 각각의 링크(1323a, 1324a)를 기준으로 일측은 다른 일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돌출되어, 양측이 다른 길이를 갖으면서 돌출되도록 구성된 상기 누름부(132);
상기 제2 다리(13)의 다른 마주하는 2개의 면으로 형성된 고정부 관통홀(133);
상기 제2 다리(13)의 내측 중, 상기 고정부 관통홀(133)의 길이방향 기준의 각 단부 내측벽에 형성되되, 'ㅛ'자 형태로 구성되어, 돌출된 2개 벽 사이로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단속 내벽(134);
상기 단속 내벽(134)의 돌출된 2개 벽 사이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벽으로서, 각각 돌출 고정벽(135a, 136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돌출 고정벽(135a, 136a)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다른 위치를 갖도록 돌출되며, 각각 가로방향 가이드홀(a)과 세로방향 가이드홀(b)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패널(1321)의 돌출부(1322)가 세로방향 가이드홀(b)에 삽입되고, 각각의 링크(1323a, 1324a)의 가이드봉(1323b, 1324b)이 상기 돌출 고정벽(135a, 136a)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 간의 탄성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프링(137); 및
상기 제1 구동벽(135) 및 제2 구동벽(136)에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 관통홀(133)을 관통하여 제2 다리(1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제2 다리(13)의 상/하 움직임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직선형태로 구성되고, 하측은 하부방향으로 굴곡진 곡선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다리(1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돌기(12)에 닿는 고정부(1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상기 폴대(10)의 하측으로 받침폴대(11)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폴대(11)가 폴대(10)로부터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서, 지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상기 폴대(1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대형 거치대(1)는,
상기 폴대(10)가 3개 내지 5개의 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660A KR101954267B1 (ko) | 2018-09-12 | 2018-09-12 |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660A KR101954267B1 (ko) | 2018-09-12 | 2018-09-12 |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267B1 true KR101954267B1 (ko) | 2019-03-05 |
Family
ID=6576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8660A KR101954267B1 (ko) | 2018-09-12 | 2018-09-12 |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2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65849A (zh) * | 2021-07-22 | 2021-10-01 | 广东合众路桥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桥梁多点挠度同步测试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739Y1 (ko) | 2001-04-17 | 2001-10-26 |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
KR101170898B1 (ko) * | 2012-05-04 | 2012-08-03 | (주)백산엔지니어링 | 변위 측정장치 |
KR101582629B1 (ko) | 2015-09-23 | 2016-01-05 |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 교량 변위 측정장치 |
KR101768901B1 (ko) | 2015-07-29 | 2017-08-17 | (주)성진지오텍 | 지표 침하 측정장치 |
-
2018
- 2018-09-12 KR KR1020180108660A patent/KR1019542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739Y1 (ko) | 2001-04-17 | 2001-10-26 |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
KR101170898B1 (ko) * | 2012-05-04 | 2012-08-03 | (주)백산엔지니어링 | 변위 측정장치 |
KR101768901B1 (ko) | 2015-07-29 | 2017-08-17 | (주)성진지오텍 | 지표 침하 측정장치 |
KR101582629B1 (ko) | 2015-09-23 | 2016-01-05 |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 교량 변위 측정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65849A (zh) * | 2021-07-22 | 2021-10-01 | 广东合众路桥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桥梁多点挠度同步测试系统 |
CN113465849B (zh) * | 2021-07-22 | 2023-08-15 | 广东合众路桥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桥梁多点挠度同步测试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6793B1 (ko) |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 |
US5881468A (en) | Spirit level | |
KR101695324B1 (ko) |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의 연단거리 측정장비 | |
KR100667579B1 (ko) | 건축물의 처짐 계측장치 | |
KR102191175B1 (ko) |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 |
KR101954267B1 (ko) |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 |
KR102219862B1 (ko) | 시설물 안전진단시 자석 다림추를 이용한 구조물의 변위 측정 장치 | |
JPH05240601A (ja) | 変位量、好ましくは、土、岩、基礎土の変位量、或いは、建造物の変位量を決定するための測定器 | |
KR100903164B1 (ko) | 인장 크리프 시험기용 그립 | |
KR100592734B1 (ko) | 구조물의 균열측정기 | |
CN210862870U (zh) | 钢筋重量偏差检测仪 | |
KR101818486B1 (ko) | 토목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거동부위 3차원 변위 계측기 | |
JPH1194503A (ja) | 深さ測定器 | |
JP3452886B2 (ja) | 車輌フレームの歪み計測機具 | |
JP3909843B2 (ja) | 連成振動実験器 | |
US5309644A (en) | Sewer invert elevation measuring instrument | |
KR20110076270A (ko) | 레벨 계측용 스타프 | |
CN211504138U (zh) | 一种智能响应的激光钢筋混凝土结构摆动光学探测器 | |
JP4514592B2 (ja) | 鉄塔主脚材据付チェック器具 | |
CN218937393U (zh) | 水平及垂直度测量装置 | |
KR100235703B1 (ko) | 차량용 도어 처짐 시험 장치 | |
CN219121538U (zh) | 一种便携式可升降的水听器试验架 | |
JP3158852B2 (ja) | 光波距離計の支持装置 | |
KR102652606B1 (ko) |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시 사용 가능한 교량받침 수직 및 수평변위 측정 장치 | |
KR102677737B1 (ko) | 교량의 연단 거리 측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