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901B1 - 지표 침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지표 침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901B1
KR101768901B1 KR1020150107397A KR20150107397A KR101768901B1 KR 101768901 B1 KR101768901 B1 KR 101768901B1 KR 1020150107397 A KR1020150107397 A KR 1020150107397A KR 20150107397 A KR20150107397 A KR 20150107397A KR 101768901 B1 KR101768901 B1 KR 10176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lide
settlement
main body
perfo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300A (ko
Inventor
김규선
Original Assignee
(주)성진지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지오텍 filed Critical (주)성진지오텍
Priority to KR102015010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자동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표 침하 측정장치는, 지반을 천공 후 천공홀에 삽입 고정하여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천공홀에 삽입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를 상부 지반에 고정하는 본체고정부와, 본체부의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인 길이가 변화되는 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부와 결합되어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천공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확장되어 슬라이드부를 원지반인 하부 지반에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 지반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슬라이드부의 길이 변위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표 침하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INKING OF UNDERGROUND OR SURFACE}
본 발명은 지표 침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라고 하면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는 상태의 지반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연약한 점토, 느슨한 사질토 및 유기질토 등이 이에 속한다.
연약한 점성토나 유기질토로 구성된 원지반 위에 공항, 항만, 도로, 교량, 건물 등을 그대로 건설하게 되면, 지반의 침하량이 과대해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공항, 항만, 도로 또는 공업단지 및 신시가지와 같은 부지를 조성하기 위한 토목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연약지반 위에 흙을 성토하여 연약지반을 다진 후, 토목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연약지반에 성토를 하였다 하더라도 성토층 위로 중장비나, 건설장비 등과 같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장비들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거나, 연약지반, 흙막이 공사와 같은 토목공사를 진행함에 따라 연약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또한, 연약 지반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도 서서히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 침하량을 측정하여 대상 지반 및 구조물의 침하 정도 및 안정성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한편, 지반 침하를 측정하는 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래의 지표침하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위치의 상부 지반(1), 예컨대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천공 후 지표침하핀(10)을 원지반인 하부 지반(3)까지 삽입 후 지표침하핀(10)의 상부 헤드를 에폭시(11)로 마감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지표침하핀(10)은 레벨을 이용한 수준 측량 및 광파측정기를 이용한 좌표 측량 시 대상 지반 또는 구조물이 고정 측정점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표침하핀(10)은 하나의 핀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지반의 침하량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지표침하핀(10)에 광파측정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직접 측정하게 되므로 지표침하핀(10)이 도로 지반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1325호(2012.12.05.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반 침하 시 지반의 침하량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는, 지반을 천공 후 천공홀에 삽입 고정하여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부 지반에 고정하는 본체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인 길이가 변화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확장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원지반인 하부 지반에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반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길이 변위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천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가이드홈이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천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본체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결합홀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판의 원주 상에 상기 고정판을 상부 지반에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로드; 및 상기 슬라이드로드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드몸체와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 시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로 자기 확개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몸체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천공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확장 탄성을 가지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하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반의 천공홀 벽면과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표 침하 측정장치는 항만, 교량, 도로, 댐 구조물 등과 같은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여 대상 지반 및 구조물의 침하 정도 및 안정성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 침하 시 원지반인 하부 지반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슬라이드부의 길이 변위량을 길이변위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길이변위량에 대응하는 지반 침하량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표 침하핀을 이용하여 지표 침하 측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를 지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지표 침하 측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지반 침하 시 지반 침하량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를 지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는 본체부(110), 본체고정부(120), 슬라이드부(130), 탄성지지부(140) 및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측정지점의 지반을 지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된 천공홀(2)에 삽입된다. 이때, 천공홀(2)은 지반 침하가 발생하지 않는 상부 지반(1), 예컨대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완전히 관통하고, 침하가 발생하는 원지반인 하부 지반(3), 예컨대 연약지반의 상층 일부까지 연장하여 관통하도록 천공한다.
본체부(110)는 천공홀(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홀(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 또는 사각형 파이프관(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길이는 상부 지반(1)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0)는 후술할 슬라이드부(130)의 슬라이드로드(13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가이드홈(111a)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센서부(150)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센서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고정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110)를 상부 지반(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고정부(120)는 천공홀(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고정판(1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21)을 원형판 형상으로 제작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판 등과 같은 다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체고정부(120)는 고정판(121)의 중앙에 본체부(110)의 파이프관(111) 상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본체결합홀(121a)이 형성된다. 이때. 파이프관(111)의 상단과 고정판(121)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하여 파이프관(111)이 고정판(12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관(111)의 상단을 고정판(121)의 본체결합홀(121a)에 삽입한 후 용접에 의해 파이프관(111)과 고정판(121)을 부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이프관(111)의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미도시)를 형성하고 고정판(121)의 본체결합홀(121a)에 암나사(미도시)를 형성하여 파이프관(111)과 고정판(121)을 나사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체고정부(120)는 고정판(121)을 상부 지반(1)에 고정볼트(123)로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121b)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결합홀(121a)을 중심으로 고정판(121)의 원주 상에 동일한 회전각도로 3개의 볼트구멍(121b)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판(121)을 상부 지반(1)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121b)을 2개 이상 서로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 지반(3)의 침하에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본체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인 길이가 변화된다.
슬라이드부(130)는 슬라이드로드(131) 및 슬라이드본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로드(131)는 본체부(110)의 파이프관(111)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 삽입홀(110a)을 통해 삽입 결합된다. 슬라이드로드(131)는 후술할 센서부(150)의 중공홀(151a)을 관통한 상태에서 파이프관(111) 내부의 슬라이드 가이드홈(111a)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슬라이드로드(131)는 센서부(150)의 중공홀(151a)을 관통하도록 센서부(150)의 중공홀(151a)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다. 또한, 센서부(150)가 슬라이드로드(131)의 길이 변위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로드(131)는 파이프관(111)의 하단으로부터 센서부(150)가 위치한 부분까지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고 파이프관(111)의 전체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로드(131)는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이프관(111)의 중공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봉 형태, 예를 들어 파이프관(111)의 중공 단면이 사각형일 경우에는 슬라이드로드(131)를 사각형봉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슬라이드몸체(133)는 슬라이드로드(1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로드(131)의 하단이 파이프관(111)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 후술할 다수 개의 판스프링(141)이 슬라이드몸체(133)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몸체(133)는 슬라이드로드(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슬라이드로드(131)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원형봉 또는 사각형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몸체(133)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141)을 외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볼트(142)로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133a)이 다수 개 형성된다.
탄성지지부(140)는 슬라이드부(130)와 결합되며, 지반의 천공홀(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천공홀(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확장되어 슬라이드부(130)를 원지반인 하부 지반(3)에 지지한다. 탄성지지부(140)는 슬라이드몸체(133)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판스프링(14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판스프링(141)을 슬라이드몸체(133)에 결합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141)은 2개, 4개, 5개 등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다. 판스프링(141)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 시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로 자기 확개성을 가진다.
판스프링(141)은 체결판(141a), 탄성판(141b) 및 지지판(141c)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판(141a)은 슬라이드몸체(133)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되고, 체결판(141a)의 판면이 슬라이드몸체(133)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142)로 체결 고정된다. 탄성판(141b)은 체결판(141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천공홀(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확장 탄성을 가진다. 지지판(141c)은 탄성판(141b)의 하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하부 지반(3)의 천공홀(2) 벽면과 접촉 지지된다.
센서부(150)는 하부 지반(3)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슬라이드부(130)의 길이 변위량을 감지하는 길이변위센서(151)이다. 이러한 길이변위센서(151)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부(15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센서부(150)는 슬라이드로드(131)가 중심을 관통하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부(150)에는 전기신호선(153)이 연결되고, 전기신호선(153)은 본체부(110)의 상단 구멍(110b)을 통해 외부의 통신도뎀(미도시)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센서부(150)는 지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슬라이드부(130)의 길이 변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길이변위신호를 전기신호선(153)을 통해 통신도뎀으로 전송하면, 통신모뎀은 관리자의 통신단말기 또는 중앙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길이변위량에 대응하는 지반 침하량을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는 항만, 교량, 도로, 댐 구조물 등과 같은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여 대상 지반 및 구조물의 침하 정도 및 안정성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본 발명의 지표 침하 측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지반 침하 측정을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목공사 시공 전에 토목공사 진행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지반에 지표면과 수직으로 소정 깊이 천공한다. 이때, 천공홀(2)은 지반 침하가 발생하지 않는 상부 지반(1)을 완전히 관통하고, 침하가 발생하는 원지반인 하부 지반(3), 예컨대 연약지반의 상층 일부까지 연장하여 관통하도록 천공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를 지반의 천공홀(2)에 삽입한다. 이때,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의 탄성지지부(14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 시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로 자기 확개성을 가지므로,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를 천공홀(2)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탄성지지부(140)의 다수 판스프링(141)이 외측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모은 상태에서 천공홀(2)에 삽입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수 개의 판스프링(141)을 내측으로 모은 후 끈(미도시) 등으로 결속하고, 끈을 천공홀(2)의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를 천공홀(2)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 침하 측정장치(100)를 천공홀(2)에 완전히 삽입한 후 판스프링(141)을 결속한 끈의 결속을 해제하면 판스프링(141)의 탄성부(141b)는 외측으로 탄성 확장되어 원지반인 하부 지반(3)에 지지된다. 이때, 탄성부(141b)의 하단을 외측으로 절곡 형성한 지지부(141c)는 탄성부(141b)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지반(3)의 천공홀(2) 벽면을 일부 파고들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체부(110)의 파이프관(111) 상단에 결합된 고정판(121)을 볼트(123)를 이용하여 상부 지반(1)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즉, 본체부(110)는 상부 지반(1)에 고정되고, 본체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인 길이가 변화되는 슬라이드부(130)는 탄성지지부(140)에 의해 하부 지반(3)에 고정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목공사 시 원지반인 하부 지반(3)이 H만큼 침하가 발생하게 되면, 하부 지반(3)에 판스프링(141)에 의해 지지된 슬라이드부(130)는 본체부(110)에 대하여 지반의 침하량 H만큼 길이가 변화되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110)에 내장된 센서부(150)가 슬라이드부(130)의 길이 변화량 L을 감지한다. 센서부(150)는 지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슬라이드부(130)의 길이 변위량 L을 감지하고 감지된 길이변위신호를 전기신호선(153)을 통해 통신모뎀으로 전송하면, 통신모뎀은 관리자의 통신단말기 또는 중앙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길이변위량에 대응하는 지반 침하량 H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본체부 111 : 파이프관
120 : 본체고정부 121 : 고정판
123 : 고정볼트 130 : 슬라이드부
131 : 슬라이드로드 133 : 슬라이드몸체
140 : 탄성지지부 141 : 판스프링
150 : 센서부 151 : 길이변위센서
153 : 전기신호선

Claims (6)

  1. 지반을 천공 후 천공홀에 삽입 고정하여 지반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부 지반에 고정하는 본체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인 길이가 변화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확장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원지반인 하부 지반에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반의 침하에 따라 거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길이 변위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로드; 및
    상기 슬라이드로드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드몸체와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 시 외측으로 확장된 상태로 자기 확개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천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가이드홈이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관을 포함하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천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본체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결합홀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판의 원주 상에 상기 고정판을 상부 지반에 볼트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몸체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천공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확장 탄성을 가지는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의 하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지반의 천공홀 벽면과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를 포함하는 지표 침하 측정장치.
KR1020150107397A 2015-07-29 2015-07-29 지표 침하 측정장치 KR10176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97A KR101768901B1 (ko) 2015-07-29 2015-07-29 지표 침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97A KR101768901B1 (ko) 2015-07-29 2015-07-29 지표 침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00A KR20170014300A (ko) 2017-02-08
KR101768901B1 true KR101768901B1 (ko) 2017-08-17

Family

ID=5815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97A KR101768901B1 (ko) 2015-07-29 2015-07-29 지표 침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9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67B1 (ko) 2018-09-12 2019-03-05 주식회사 남양이엔씨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91503B1 (ko) 2018-11-19 2019-10-01 주식회사 무진이엔씨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KR102213826B1 (ko) * 2020-09-16 2021-02-05 김중철 지반침하 계측장치용 스파이더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지반침하 계측장치
KR102397535B1 (ko) 2021-12-07 2022-05-16 (주)부산미르구조진단 공동주택의 설치 지반 상태 안전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8027B (zh) * 2021-04-28 2023-07-21 深圳大学 一种土体沉降光纤感应监测装置及沉降量测量方法
CN113625229A (zh) * 2021-09-06 2021-11-09 四川数字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永久散射点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512A (ja) * 2001-03-26 2002-10-03 Minebea Co Ltd 地盤内沈下感知測定器
KR200397338Y1 (ko) 2005-05-18 2005-10-04 주식회사 이제이텍 지중경사계의 진동방지 장치
KR200422104Y1 (ko) 2006-04-21 2006-07-24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지층별 침하량 측정을 위한 층별침하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46B1 (ko) 2011-05-25 2013-02-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관 지표 침하계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512A (ja) * 2001-03-26 2002-10-03 Minebea Co Ltd 地盤内沈下感知測定器
KR200397338Y1 (ko) 2005-05-18 2005-10-04 주식회사 이제이텍 지중경사계의 진동방지 장치
KR200422104Y1 (ko) 2006-04-21 2006-07-24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지층별 침하량 측정을 위한 층별침하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67B1 (ko) 2018-09-12 2019-03-05 주식회사 남양이엔씨 폴대형 거치대를 이용한 변위계측기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91503B1 (ko) 2018-11-19 2019-10-01 주식회사 무진이엔씨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KR102213826B1 (ko) * 2020-09-16 2021-02-05 김중철 지반침하 계측장치용 스파이더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지반침하 계측장치
KR102397535B1 (ko) 2021-12-07 2022-05-16 (주)부산미르구조진단 공동주택의 설치 지반 상태 안전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00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901B1 (ko) 지표 침하 측정장치
CN102607488B (zh) 一种监测滑坡滑动面位移变形的装置及方法
KR101688045B1 (ko) 내부변위 및 간극수압 통합 계측기
KR101991503B1 (ko)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CN102878893B (zh) 滑坡深部位移监测系统及方法
KR101219468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KR101162918B1 (ko) 경사계를 이용한 지중변위 계측 방법
CN102162234B (zh) 一种岩土体表面位移实时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2829728A (zh) 边坡、滑坡综合监测系统
WO2016178684A1 (en) Borehole inspecting and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69352B1 (ko) 충진식 싱크홀 측정방법
KR101917881B1 (ko) 지진 및 지반침하 측정방법
KR101710499B1 (ko) 연약지반의 침하량 자동계측장치
KR101235746B1 (ko) 이중관 지표 침하계 및 이를 이용한 침하 측정 방법
CN209589038U (zh) 一种高度可调的地表沉降测点
KR101265437B1 (ko) 콘 관입시험기
KR102011891B1 (ko) 지진 및 지반침하 측정수단
CN106918319B (zh) 一种路基空洞尺寸测量装置及方法
KR101113728B1 (ko) 시추공 삽입용 센트랄라이저
CN109029340B (zh) 一种路基空洞尺寸测量装置
KR102622455B1 (ko) 공동조사 복구 및 모니터링 캐비티플러그
KR20130118566A (ko) 지하수위 및 침하 측정방법 및 장치
CN106096292B (zh) 确定潜在滑动边坡的主滑动方向和主滑动面的监测装置及确定方法
KR20180007065A (ko) 지진에 의한 지반침하 측정방법
CN204313816U (zh) 基点植入式水库大坝位移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