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81B1 - X선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X선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81B1
KR101953581B1 KR1020177022886A KR20177022886A KR101953581B1 KR 101953581 B1 KR101953581 B1 KR 101953581B1 KR 1020177022886 A KR1020177022886 A KR 1020177022886A KR 20177022886 A KR20177022886 A KR 20177022886A KR 101953581 B1 KR101953581 B1 KR 10195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nspection
information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559A (ko
Inventor
아츠시 이와이
히카리 하라다
후토시 유루기
타카시 카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17010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10Power supply arrangements for feeding the X-ray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4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electric circuits,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2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adjustments of elements during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3The load being a medical device, a medical implant, or a life support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X선 검사 장치(1)는, 물품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원(11), 물품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13), 정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UPS(15)를 구비한다. UPS(15)는, X선원(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X선 검사 장치
본 발명의 일 측면은 X선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에 X선을 조사(照射)하는 X선원(線源)과, 물품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를 구비하는 X선 검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686080호 공보
전술한 X선 검사 장치에서는 통상 전원으로서 외부 전원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외부 전원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일시적인 정전 등이 발생하면 X선 검사 장치의 동작이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무정전(無停電) 전원 장치를 X선 검사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X선 검사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이 큰 경우, 정전시에 무정전 전원 장치가 X선 검사 장치에 공급하는 전력이 커지므로, 무정전 전원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무정전 전원 장치의 대형화가 억제 가능한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는, 물품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원, 물품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정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무정전 전원 장치는, X선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 X선 검사 장치에서는, 무정전 전원 장치는, X선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X선원에는 정전시에도 무정전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전시에 무정전 전원 장치가 공급하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정전 전원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에서는, X선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물품의 검사를 행하고, 그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무정전 전원 장치는,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물품의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부에는, 정전시에 무정전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정전이 발생했다고 해도, 검사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에서는, 처리부는, 검사 정보 중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를 일시적인 기억 영역인 제1 기억 영역에 기록하고, 검사 정보 중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를 항구(恒久)적인 기억 영역인 제2 기억 영역에 기록해도 된다. 이 경우에,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를 제1 기억 영역에 기록(예를 들면 RAM에 전개)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제1 기억 영역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제1 정보에 새로운 제1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를 제2 기억 영역(예를 들면 HDD)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제2 정보의 기록을 확실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에서는, 처리부는, X선원 또는 X선 검출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및 외부 전원의 이상으로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의 종류와,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X선원 또는 X선 검출부의 동작 상황을 관련지어 기록해도 된다. 이 경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의 종류,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X선원 또는 X선 검출부의 동작 상황이 관련지어 기록되기 때문에, 발생한 이상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또, 무정전 전원 장치가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전원의 정전시에도 처리부에서의 기록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무정전 전원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 가능한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일 실시 형태의 X선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선 검사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의 호적(好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X선 검사 장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1)는 물품에의 이물(異物) 혼입 유무 등을 검사하기 위해서, 물품을 반송하면서 해당 물품에 X선을 조사하여 해당 X선을 검출한다. X선 검사 장치(1)는, 장치 본체(2), X선 차폐막(3), 반송 컨베이어(4)를 구비한다.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물품(A)이 반송 방향 a로 반송되면서, 해당 물품(A)에의 이물 혼입 유무 등이 검사된다.
장치 본체(2)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검사실(2a)을 구비한다. 반송 방향 a에서의 상류 측 측벽(2b)에는, 물품(A)이 통과하는 반입구(2c)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방향 a에서의 하류 측 측벽(2d)에, 물품(A)이 통과하는 반출구(2e)가 설치되어 있다. 반입구(2c) 및 반출구(2e)의 각각에는, X선 차폐막(3)이 설치되어 있다. X선 차폐막(3)은, 검사실(2a) 밖으로의 산란 X선의 누설을 방지한다.
반송 컨베이어(4)에는, 일반적인 평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4)의 양단부는, 검사실(2a)의 반입구(2c) 및 반출구(2e)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4)는, 반송 방향 a에서의 상류 측 반입 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검사 전의 물품(A)을 받는다. 반송 컨베이어(4)는, 반입구(2c)에서 검사실(2a) 내로 물품(A)을 반입한다. 반송 컨베이어(4)는, 반출구(2e)에서 검사실(2a) 외로 물품(A)을 반출한다. 반송 컨베이어(4)는, 반송 방향 a에서의 하류 측의 반출 컨베이어(미도시)에 검사 후의 물품(A)을 주고 받는다. 그리고, 반출 컨베이어에서 물품(A)의 배분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1)는, 검사부(10), 처리부(20), UPS(무정전 전원 장치)(30), 주전원 스위치(S)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의 실선 화살표로 표시되는 전력의 공급에 관련되는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 접속 관계를 “전기적으로 접속”이라 하고, 도 3의 파선으로 표시되는 전력의 공급 이외에 관련되는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 접속 관계를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이라 한다.
검사부(10)는, X선원(11), 통신부(12), X선 검출부(1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원(11)은, 장치 본체(2) 내의 검사실(2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X선원(11)은, 슬릿 기구(미도시) 등을 통해 X선 조사 영역을 형성하면서, 검사실(2a) 내로 반입된 물품(A)에 X선을 조사한다. X선원(11)은, 통신부(12)에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X선원(11)은, X선원(11)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통신부(12)에 송신한다. X선원(11)은, X선원(11)의 동작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송신한다.
통신부(12)는, 검사부(10)와 처리부(20) 사이에서 정보의 입출력에 관련되는 통신을 집약적으로 행하는 I/O 기판이다. 통신부(12)는, 후술하는 제어부(22)에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2)는, 제어부(22) 사이에서 일정 주기마다(예를 들면 100ms마다)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12)는, X선원(11)의 이상 또는 X선 검출부(13)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제어부(22)에 송신한다. 통신부(12)는, X선원(11) 및 X선 검출부(13)에서 송신된 각각의 동작 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2)에 송신한다.
X선 검출부(13)는, 장치 본체(2) 내의 검사실(2a)의 하방에 X선원(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X선 검출부(13)는, 라인 센서(14)를 가진다. 라인 센서(14)는, 반송 방향 a에서의 폭 방향(반송 방향 a 및 연직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다. X선 검출부(13)는, 물품(A)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한다. X선 검출부(13)는, 처리부(20)(제어부(22))에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X선 검출부(13)는, 물품(A)이 X선 조사 영역을 통과할 때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검출 신호를 취득한다. X선 검출부(13)는, 해당 검출 신호에 관련되는 전기신호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 즉, 검사부(10)는, 물품(A)의 검사를 행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
X선 검출부(13)는, 통신부(12)에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X선 검출부(13)는, X선 검출부(13)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통신부(12)에 송신한다. X선 검출부(13)는, X선 검출부(13)의 동작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에 송신한다.
UPS(15)는, 배터리(16)을 가지고 있고, 외부 전원(E)에서의 정전시에 해당 배터리(16)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UPS(15)는, 후술하는 제어부(22)와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UPS(15)는, 제어부(22) 사이에서 일정 주기마다(예를 들면 10s마다) 통신을 행한다. UPS(15)는, 일정 주기마다, 또는 제어부(22)로부터의 문의에 따라, UPS(15)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2)에 송신한다. UPS(15)의 상태는, 외부 전원(E)의 전압, 외부 전원(E)에서의 정전의 유무, 배터리(16)의 잔량을 포함한다.
처리부(20)는, X선 검출부(13)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물품(A)의 검사를 행하고, 그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한다. 처리부(20)는, 모니터(21), 제어부(22), RAM[Random Access Memory](제1 기억 영역)(23)과, HDD[Hard Disk Drive](제2 기억 영역)(24)를 가진다.
모니터(21)는, 장치 본체(2)의 전면부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모니터(21)는, X선 검사 장치(1)의 동작 상황, 물품(A)의 X선 화상 및 검사 결과 등이 나타나는 표시부이다. 모니터(21)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고, 입력 조작을 위한 표시를 행한다. 입력 조작은, 예약 설정의 입력 조작, 검사부(10)의 기동 정지 조작 및 그 외의 검사 관리 조작(패스워드 설정 등)을 포함한다. 예약 설정은, 검사 개시 전에 또는 검사 중에 설정되는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에 관한 설정이다. 모니터(21)는, 제어부(22)에 전기 신호적으로 접속되고 있고, 상기 입력 조작에 관련되는 조작 정보를 제어부(22)에 송신한다.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은, X선원(11) 및 X선 검출부(13)의 동작 상황을 포함한다. X선원(11)의 동작 상황은, 예를 들면 X선원(11)이 출력하는 X선의 강도이다. X선의 강도는, 예를 들면 X선원(11)에서의 전압 및 전류에 기초하여 취득해도 된다. X선 검출부(13)의 동작 상황은, 예를 들면 X선 검출부(13)가 검출하는 X선의 검출 강도이다. X선의 검출 강도는, 예를 들면 라인 센서(14)의 출력에 기초하여 취득해도 된다. 또,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은, 검사부(10)의 운전 상황을 포함한다. 검사부(10)의 운전 상황은, 예를 들면, 물품(A)의 종류와 성상(性狀)(반송 방향 a에 따르는 길이 등),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 속도, X선원(11)에서의 전압 및 전류의 설정치, 라인 센서(14)의 감도, 검사의 기준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2)는, 처리부(20)에서의 검사에 관련되는 처리를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는, X선 검출부(13)로부터 출력된 물품(A)의 X선 화상에 관련되는 전기신호를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물품(A)에의 이물 혼입 등을 검사한다. 제어부(22)는, RAM(23)을 포함함과 함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제어부(22)는, 물품(A)의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한다. 제어부(22)는, 검사 정보 중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를 RAM(23)에 기록(전개) 한다. RAM(23)은, 일시적인 기억 영역이다. 제어부(22)는, RAM(23)에 기록한 제1 정보를 적절히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제1 기억 영역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제1 정보에 새로운 제1 정보를 추가하는 편집을 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을 포함한다. 또, 제1 정보는, 조작 이력 정보(조작 기록), NG 이력 정보, 집계 데이터, X선 검사 장치(1)의 사용자, 사용 일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조작 이력 정보는, 모니터(21)로부터 수신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22)에 의해 작성된다. 조작 이력 정보는, 예를 들면 검사 개시, 검사 정지, 설정의 변경과 같은 조작이 될 때마다, 그 조작 내용을 추가하는 편집이 되어 작성된 시계열 리스트이다. NG 이력 정보는, 이물이 있던 것이나 결품(缺品) 등, 검사 결과에 문제가 있는 물품(A)마다 그 내용을 추가하는 편집이 되어 작성된 시계열 리스트이다. 집계 데이터는, 이물 유무나 결품 등으로 분류하여 물품(A)의 개수를 집계하고, 그 내용을 추가하는 편집이 되어 작성된 일정 시간마다의 리스트이다.
제어부(22)는, 검사 정보 중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를 HDD(24)에 기록한다. HDD(24)는, 항구적인 기억 영역이다. 제어부(22)는, 각 물품(A)의 검사마다(실시간으로) 제2 정보를 HDD(24)에 기록한다. 제2 정보는, 물품(A)의 검사의 결과인 X선 화상 데이터 및 검사 결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검사 결과 데이터는, 각 물품(A)의 X선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사 결과의 상세한 내용이다. 검사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면 검사의 판정 결과(이물 유무, 결품 등), 검사 일시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2)는, X선 검사 장치(1)의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RAM(23)에 기록하고 있던 제1 정보를 HDD(24)에 기록한다. 또, 제어부(22)는, 이상의 발생에 의해 X선 검사 장치(1)의 운전이 정지할 우려가 있는 경우, RAM(23)에 기록하고 있던 제1 정보를 HDD(24)에 기록한다. 제어부(22)는, X선 검사 장치(1)의 운전을 정지한 후에 운전을 기동(재개)하는 경우, HDD(24)에 기록한 제1 정보를 RAM(23)에 기록(전개)한다. 이상의 발생은, 검사부(10)의 이상(즉, X선원(11) 또는 X선 검출부(13)의 이상)이 발생하는 것, UPS(15)의 이상이 발생하는 것 및 외부 전원(E)의 이상으로서 정전 등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22)는, X선원(11) 또는 X선 검출부(13)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통신부(12) 사이에서 일정 주기마다의 통신에서 통신부(12)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22)는, UPS(15)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 외부 전원(E)의 이상으로서 정전이 발생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UPS(15) 사이에서 일정 주기마다의 통신 또는 제어부(22)로부터의 문의에 따른 통신에서, UPS(15)로부터 수신한다.
[이상의 종류와 검사부의 동작 상황을 관련짓는 기록]
여기서, 제어부(22)는, X선원(11) 또는 X선 검출부(13)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UPS(15)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및 외부 전원(E)의 이상으로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의 종류,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검사부(10)(X선원(11) 및 X선 검출부(13))의 동작 상황을 관련지어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해당 이상이 발생한 시각을 파일명에 붙인 단일 파일을 생성한다. 제어부(22)는, 이 파일에서, 이상의 종류,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에 관련되는 정보를 병기하는 것에 의해 이들을 관련짓는다. 제어부(22)는, 이 파일을 HDD(24)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이상의 발생 전에서는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에 관련되는 정보를 RAM(23)에 전개하고 있다. 제어부(22)는,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에 관련되는 정보로서, 이상이 발생한 시점에서 RAM(23)에 전개하고 있던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에 관련되는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제어부(22)는, 이상의 종류,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을 관련지을 수 있다. 이 정보는, 해당 이상이 발생한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이다.
이상의 종류로서는, 검사부(10)의 이상, UPS(15)의 이상 및 외부 전원(E)의 이상으로서 정전 등을 들 수 있다. 검사부(10)의 이상은, X선원(11)의 이상, 통신부(12)의 이상, X선 검출부(13)의 이상을 포함한다. X선원(11)의 이상은, 예를 들면 X선원(11)이 출력하는 X선의 강도 저하이다. 통신부(12)의 이상은, 예를 들면 검사부(10)와 제어부(22) 사이에서 정보의 입출력에 관련되는 통신 불능이다. X선 검출부(13)의 이상은, 예를 들면 X선 검출부(13)가 검출하는 X선의 검출 강도 저하이다. UPS(15)의 이상은, 예를 들면, 배터리(16)의 열화나 배터리(16)의 충전 불능이다. 외부 전원(E)의 이상으로서 정전은, 계속적으로 외부 전원(E)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끊어지는 정전(이하, 단순히 “정전”이라 함)과, 순간적으로 외부 전원(E)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끊어지는 순간 정전(瞬停)을 포함한다.
또,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검사부(10)의 동작 상황으로서는, 이상의 발생시에서, X선원(11)이 출력하는 X선의 강도(X선원(11)에서의 전압 및 전류)는 어느 정도의 힘이었는지, X선 검출부(13)가 검출하는 X선의 검출 강도는 어느 정도의 힘이었는지, X선 검사 장치(1)가 어떤 물품(A)을 검사 대상 물건으로 하고 있었는지, 반송 컨베이어(4)의 반송 속도는 어느 정도의 속도였는지, 또는 검사의 기준은 어땠는지 등을 들 수 있다.
[전력 공급 경로]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X선 검사 장치(1)에서의 전력 공급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전원 스위치(S)는, X선 검사 장치(1)에서의 주된 전원 스위치이다. 주전원 스위치(S)는, 외부 전원(E)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전원 스위치(S)가 닫혀 있는 경우, 주전원 스위치(S)는, 외부 전원(E)으로부터 전류를 흘린다. 주전원 스위치(S)가 열려 있는 경우, 주전원 스위치(S)는, 외부 전원(E)으로부터의 전류를 차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전원 스위치(S)는 닫혀 있는 것으로 한다.
검사부(10)는, UPS(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지 않고, 주전원 스위치(S)를 통해 외부 전원(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UPS(15)는, 검사부(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접속되어 있지는 않다. 외부 전원(E)의 정전이 발생한 경우, 외부 전원(E)으로부터의 전력도 UPS(15)로부터의 전력도, 검사부(10)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X선원(11)에는, 외부 전원(E)의 정전시에 UPS(15)에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처리부(20)는, UPS(15)를 통해 외부 전원(E)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UPS(15)는, 처리부(2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전원(E)의 정전이 발생한 경우, UPS(15)의 배터리(16)로부터의 전력이 처리부(20)에 공급된다. 따라서, 물품(A)의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부(20)에는, 정전시에 UPS(15)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작용 및 효과]
X선 검사 장치(1)는, 물품(A)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원(11), 물품(A)을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13), 정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UPS(15)를 구비한다.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UPS(15)가 X선원(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X선원(11)과 UPS(15) 사이에서는, 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기적인 접속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X선원(11)에는, 정전시에도 UPS(15)에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전시에 UPS(15)가 X선 검사 장치(1)에 공급하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UPS(15)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X선원(11)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이 큰 경우에는, 정전시에 UPS(15)가 X선 검사 장치(1)에 공급하는 전력을 크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UPS(15)의 대형화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예를 들면 X선 검사 장치(1)의 설치 장소의 조명이 꺼지는 것에 의해, 검사부(10)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 점은,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검사부(10)가 UPS(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X선 검출부(13)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물품(A)의 검사를 행하고, 그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부(20)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UPS(15)는, 처리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처리부(20)와 UPS(15) 사이에서는, 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기적인 접속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물품(A)의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부(20)에는, 정전시에 UPS(15)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정전이 발생했다고 해도, 검사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처리부(20)는, 검사 정보 중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를 일시적인 기억 영역인 RAM(23)에 기록하고, 검사 정보 중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를 항구적인 기억 영역인 HDD(24)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를 RAM(23)으로 전개(기록)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RAM(2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제1 정보에 새로운 제1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를 HDD(24)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제2 정보의 기록을 확실화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검사 장치(1)의 운전 중에 RAM(23)에 기억시킨 제1 정보는, X선 검사 장치(1)의 운전 정지시에 HDD(24)에 보존되기 때문에, 검사 정보 중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동작 기록)와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 모두가 항구적으로 기록되고, 보호되게 된다.
X선 검사 장치(1)에서는, 처리부(20)는, X선원(11) 또는 X선 검출부(13)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UPS(15)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및 외부 전원(E)의 이상으로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의 종류,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X선원(11) 또는 X선 검출부(13)의 동작 상황을 관련지어 기록한다. 이 경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의 종류,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X선원(11) 또는 X선 검출부(13)의 동작 상황이 관련지어 기록되기 때문에, 발생한 이상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또, UPS(15)가 처리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전원(E)의 정전시에도, 처리부(20)에서의 기록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사부(10) 및 처리부(20)를 구비하는 검사 장치로서 X선 검사 장치(1)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금속 검출기, 근적외선 검사 장치, 웨이트 체커(중량 검사 장치) 및 실 체커 등의 다른 검사 장치에서도 UPS(15)가 검사부(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구성으로 할 수 있고, UPS(15)가 처리부(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 X선 검사 장치, 2 … 장치 본체, 10 … 검사부, 11 … X선원, 13 … X선 검출부, 15 … UPS(무정전 전원 장치), 20 … 처리부, A … 물품, E … 외부 전원

Claims (4)

  1.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물품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원(線源),
    상기 물품을 투과한 상기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부,
    외부 전원의 정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無停電) 전원 장치,
    상기 X선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검사를 행하고, 그 검사에 관한 검사 정보를 기록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상기 X선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상기 처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사 정보 중 상기 검사에 수반하는 제1 정보를, 일시적인 기억 영역인 제1 기억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검사 정보 중 상기 검사의 결과에 관한 제2 정보를, 항구(恒久)적인 기억 영역인 제2 기억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X선 검사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경우 및 이상의 발생에 의해 운전이 정지할 우려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기록하고 있던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2 기억 영역에 기록하고,
    상기 X선 검사 장치의 운전을 정지한 후에 운전을 재개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억 영역에 기록한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1 기억 영역에 기록하는, X선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X선원 또는 상기 X선 검출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이상으로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상의 종류, 상기 이상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상기 X선원 및 상기 X선 검출부의 동작 상황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X선 검사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7022886A 2015-02-20 2016-02-03 X선 검사 장치 KR101953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2301A JP6530926B2 (ja) 2015-02-20 2015-02-20 X線検査装置
JPJP-P-2015-032301 2015-02-20
PCT/JP2016/053239 WO2016132907A1 (ja) 2015-02-20 2016-02-03 X線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59A KR20170102559A (ko) 2017-09-11
KR101953581B1 true KR101953581B1 (ko) 2019-03-04

Family

ID=5669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886A KR101953581B1 (ko) 2015-02-20 2016-02-03 X선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59514B2 (ko)
EP (1) EP3260848A4 (ko)
JP (1) JP6530926B2 (ko)
KR (1) KR101953581B1 (ko)
CN (1) CN107250776A (ko)
WO (1) WO201613290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2505A (ja) * 2001-06-13 2002-12-26 Rigaku Industrial Co 瞬間停電保護機能付き試料分析装置
JP2004020297A (ja) * 2002-06-14 2004-01-22 Chubu Medical:Kk X線異物検査装置
JP2009005451A (ja) * 2007-06-20 2009-01-08 Tdk Lambda Corp バックアップ給電システム
JP4686080B2 (ja) 2001-09-11 2011-05-18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7907A (en) * 1987-08-07 1989-01-10 Diasonics Inc. Battery enhanced power generation for mobile X-ray machine
CN2167366Y (zh) 1993-05-26 1994-06-01 能源部电力建设研究所 裂缝检测仪
JP3349555B2 (ja) 1993-06-24 2002-11-25 フマキラー株式会社 発熱発泡型消臭剤組成物
JP3449555B2 (ja) 2000-11-01 2003-09-22 理学電機工業株式会社 分析装置
ATE343192T1 (de) * 2002-06-24 2006-11-15 Angeleyel Inc Alarm
US7514703B2 (en) * 2003-06-10 2009-04-07 Fujifilm Corporation Image information detecting cassette
JP4773049B2 (ja) 2003-10-17 2011-09-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放射線撮像装置
US7916834B2 (en) 2007-02-12 2011-03-29 Thermo Niton Analyzers Llc Small spot X-ray fluorescence (XRF) analyzer
KR101141324B1 (ko) * 2007-07-17 2012-06-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검출기용 전원장치 및 이것을 갖춘 광 또는 방사선 검출시스템
WO2009101772A1 (ja) * 2008-02-12 2009-08-20 Ishida Co., Ltd. X線検査装置
US7852985B2 (en) * 2009-03-13 2010-12-14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image detector with removable battery
WO2012057729A1 (en) 2010-10-26 2012-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ckup power supply systems and methods
WO2012067171A1 (ja) * 2010-11-18 2012-05-24 株式会社 日立メディコ 移動型x線装置
WO2013140512A1 (ja) * 2012-03-19 2013-09-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誤接続検出方法、及び誤接続検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2505A (ja) * 2001-06-13 2002-12-26 Rigaku Industrial Co 瞬間停電保護機能付き試料分析装置
JP4686080B2 (ja) 2001-09-11 2011-05-18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JP2004020297A (ja) * 2002-06-14 2004-01-22 Chubu Medical:Kk X線異物検査装置
JP2009005451A (ja) * 2007-06-20 2009-01-08 Tdk Lambda Corp バックアップ給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59514B2 (en) 2020-12-08
EP3260848A1 (en) 2017-12-27
JP6530926B2 (ja) 2019-06-12
JP2016153770A (ja) 2016-08-25
US20180027640A1 (en) 2018-01-25
KR20170102559A (ko) 2017-09-11
EP3260848A4 (en) 2018-10-24
CN107250776A (zh) 2017-10-13
WO2016132907A1 (ja)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042B2 (ja) X線発生装置及びx線検査装置
US8019040B2 (en) X-ray inspection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KR101953581B1 (ko) X선 검사 장치
RU22984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цени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0286424A (ja) 物品検査装置
JP6510264B2 (ja) 物品検査装置
WO2009101772A1 (ja) X線検査装置
JP2004226253A (ja) X線異物検査装置
JP6310659B2 (ja) 潤滑油劣化判定装置、潤滑油劣化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57775B1 (ja) 異物検査装置及び異物検査システム
KR101094158B1 (ko) 전신오염감시기 기체 흐름 비례계수기형 방사선검출기 이상검사회로 및 방법
JP5855530B2 (ja) X線検査装置
JP3943002B2 (ja) X線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3116336U (ja) X線異物検査装置
JP4005117B2 (ja) X線検査装置
JP2009192267A (ja) X線検査装置
JP7042166B2 (ja) 物品検査装置、物品検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3160569A (ja) X線検査装置
JP2009192268A (ja) X線検査装置
WO2016204269A1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システム
US5574529A (en) Method of inspecting a negative film in a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Moreira Component misplacement prevention on the ICOS tape & reel process using TRIZ & lean
JP2014002023A (ja) X線検査装置
JP2020204491A (ja) X線検査装置
JPH06194901A (ja) 高圧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