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87B1 - 미용기 - Google Patents

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87B1
KR101950787B1 KR1020120110420A KR20120110420A KR101950787B1 KR 101950787 B1 KR101950787 B1 KR 101950787B1 KR 1020120110420 A KR1020120110420 A KR 1020120110420A KR 20120110420 A KR20120110420 A KR 20120110420A KR 101950787 B1 KR101950787 B1 KR 10195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le piece
collar
shaf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622A (ko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3009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61H15/0085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구성에 제약되지 않고, 미용기 전체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조립 부착이 용이한 미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를 각각 가짐과 함께, 개구부의 주연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제 1 핸들 피스 및 제 2 핸들 피스를 구비하는 핸들과, 핸들로부터 돌출하도록 핸들에 지지된 한 쌍의 샤프트와, 샤프트의 선단부의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체를 구비하는 미용기가 제공된다. 핸들은, 제 1 핸들 피스 및 제 2 핸들 피스 사이에 샤프트 홀더를 구비한다. 제 1 핸들 피스는, 제 1 핸들 피스를 관통하는 한 쌍의 투공을 구비한다. 각 샤프트의 기단부는, 제 1 핸들 피스 및 제 1 핸들 피스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을 통해서 핸들 내에 삽입되어, 샤프트 홀더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미용기{BEAUTY DEVICE}
본 발명은 한 쌍의 회전체를 신체 상에서 전동시킴으로써, 신체에 고운 피부 작용 등의 미용 작용을 부여하도록 한 미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미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1-1587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 구성의 미용기에 있어서는, 핸들의 일단에 이차(二叉)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차부에는 한 쌍의 샤프트가 그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 상태로 돌출해서 고정되어 있다. 각 샤프트의 선단부에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회전체를 신체의 피부에 눌러서 미용기를 피부를 따라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체가 회전되어서, 신체에 대하여 고운 피부 작용 등의 미용 작용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이 종래의 미용기에 있어서는, 핸들이, 이차부를 갖는 베이스체와 그 베이스체의 외면을 정면 방향 및 배면 방향으로부터 각각 피복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핸들 피스(handle piece)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체에는, 회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샤프트가 이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양(兩) 핸들 피스는 베이스체의 외면을 덮도록, 샤프트를 끼워서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미용기는 핸들에 이차부가 형성되고, 그 이차부에 있어서 양 핸들 피스의 접합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샤프트가 고정되며, 샤프트에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미용기 전체의 형상은 구조 상의 제약을 받고, 디자인 상의 자유도가 부족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특정한 구성에 제약되지 않고, 미용기 전체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부착이 용이한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각각 가짐과 함께, 그 개구부의 주연(周緣)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제 1 핸들 피스 및 제 2 핸들 피스를 구비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핸들에 지지된 한 쌍의 샤프트로서, 그 돌출하는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진 상기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의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체를 구비하는 미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핸들은 상기 제 1 핸들 피스 및 상기 제 2 핸들 피스 사이에 샤프트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핸들 피스는 당해 제 1 핸들 피스를 관통하는 한 쌍의 투공(透孔)을 갖고 있다. 상기 각 샤프트의 기단부는 제 1 핸들 피스 및 제 2 핸들 피스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을 통해서 핸들 내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 홀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용기에 있어서는, 제 1 핸들 피스 및 제 2 핸들 피스를 조립 부착한 후, 한 쌍의 샤프트를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으로부터 핸들 내에 삽입하여, 샤프트의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시킨 상태에서 샤프트 홀더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구성과 같이, 핸들에 이차부를 형성하고, 그 이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샤프트에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는 것과 같은 특정한 구성에 제약되지 않고, 미용기 전체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더에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너트 부재를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각 샤프트는 그 기단부에 형성된 볼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의 볼트부는, 상기 너트 부재에 나사 결합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너트 부재는 상기 너트 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볼트부의 나사 결합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더는 한 쌍의 유지실을 구비하고, 각 유지실은 일부에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너트 부재는 각각 개방부를 통해서 유지실 내에 삽입되어 유지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외면에 걸어 맞춰서 제 1 핸들 피스를 제 2 핸들 피스에 접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칼라(collar)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외면에 있어서, 각 투공의 주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회전체는 볼이며, 그 볼의 일부가 오목부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미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미용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미용기에 있어서의 핸들의 베이스체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
도 6은 도 4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미용기에 있어서의 샤프트 홀더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미용기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미용기(11)는 장척 형상의 핸들(12)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12)은 제 1 단부(端部)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제 1 단부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거의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2)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13)와, 그 베이스체(13)의 외면을, 베이스체(13)의 정면 방향 및 배면 방향으로부터 각각 덮도록 장착된 제 1 핸들 피스(14) 및 제 2 핸들 피스(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체(13), 제 1 핸들 피스(14) 및 제 2 핸들 피스(15)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핸들 피스(14) 및 제 2 핸들 피스(15)의 외표면에는 도전부로서 작용하는 금속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핸들 피스(14)의 제 1 단부에는, 한 쌍의 투공(14a)이 형성되고, 베이스체(13)의 제 1 단부에는 한 쌍의 투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핸들 피스(14)의 각 투공(14a)의 주위에는, 구면 형상의 오목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핸들 피스(15)는, 복수의 나사(16)에 의해 베이스체(13)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핸들 피스(14)의 제 2 단부의 내연에는 걸림 볼록부(17)가 형성됨과 함께, 제 2 핸들 피스(15)의 제 2 단부의 내연에는, 걸림 볼록부(17)에 결합 가능한 걸림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12)을 조립할 때는, 걸림 볼록부(17)가 걸림 오목부(18)에 걸어 맞춰진 후, 그 걸어 맞춤부를 중심으로 해서 제 2 핸들 피스(15)가 제 1 핸들 피스(14)를 향해서 회동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제 1 핸들 피스(14)의 개구부의 주연 및 제 2 핸들 피스(15)의 개구부의 주연이 서로 접합되어, 양 핸들 피스(14, 15)가 핸들(12)을 구성한다.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체(13)의 외주에는, 패킹(19)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19)의 외면에는, 제 2 핸들 피스(15)의 개구의 내주연에 걸어 맞춤 가능한 리브부(19a)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체(13)를 덮도록 핸들 피스(14, 15)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 패킹(19)의 리브부(19a)가 제 2 핸들 피스(15)의 개구의 내주연에 압접되어서 걸어 맞춤함과 함께, 리브부(19a) 이외의 패킹(19)의 본체 부분이 제 2 핸들 피스(15) 및 베이스체(13)에 압접된다. 이에 따라, 핸들(12) 내부로의 물의 침입이 억제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체(13)의 제 1 단부에 있어서 제 2 핸들 피스(15)에 대향하는 면에는, 샤프트 홀더(20)가 복수의 나사(2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 홀더(2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짐과 함께, 외주면에 금속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홀더(20)는, 베이스체(13)의 투공(13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샤프트(24)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유지실(22)을 갖는다. 각 유지실(22)의 내부에는, 금속제의 너트 부재(23)를 받아들이도록 형성된 유지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2b)는 너트 부재(23)의 형상의 적어도 일부에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너트 부재(23)로서의 육각 너트의 반 정도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 홀더(20)의 양측부에는, 유지실(22) 내에 너트 부재(23)를 삽입하도록 개구한 개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너트 부재(23)는 유지실(22)의 개방부(22a)로부터 유지실(22) 내에 삽입되어, 유지부(22b)에 걸어 맞춤함으로써 유지실(22) 내에 있어서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샤프트(24)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 및 베이스체(13)의 투공(13a)을 통과해서 뻗어있다. 각 샤프트(24)의 기단부에는, 샤프트 홀더(20)의 유지실(22) 내에 배치되는 너트 부재(23)에 나사 결합 가능한 볼트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샤프트(2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확대된 칼라 지지부(24b) 및 칼라 누름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 누름부(24c)는 칼라 지지부(24b)보다도 샤프트(24)의 선단부에 근접해서 배치되며, 칼라 지지부(24b)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칼라 누름부(24c)와 칼라 지지부(24b)의 경계에 있어서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각 샤프트(24)의 선단부에는, 소경(小徑)의 볼 지지부(2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핸들 피스(14) 및 제 2 핸들 피스(15)가 조립 부착된 후, 각 샤프트(24)는 핸들(12)의 외측으로부터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 및 베이스체(13)의 투공(13a)에 삽입되어, 각 샤프트(24)의 볼트부(24a)가 너트 부재(23)에 나사 결합된다. 양 샤프트(24)가 샤프트 홀더(20)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양 샤프트(24)는 그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고, 또한 핸들(12)의 제 2 단부로부터 이간하도록 경사져서 배치된다. 또한, 샤프트(24)의 칼라 지지부(24b), 칼라 누름부(24c) 및 볼 지지부(24d)는 핸들(12)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너트 부재(23)에 있어서 제 2 핸들 피스(15)에 대향하는 단부의 근방의 내벽에는, 육각 형상의 풀림 방지 부재(25)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풀림 방지 부재(25)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23a)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샤프트(24)의 볼트부(24a)가 너트 부재(23)에 나사 결합될 때, 그 볼트부(24a)가 풀림 방지 부재(25)의 내주에 나사 홈을 형성하면서 풀림 방지 부재(25)를 관통한다. 이에 따라, 볼트부(24a)와 너트 부재(23)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샤프트(24)의 칼라 지지부(24b)의 외주에는, 칼라(26)가 끼워 넣어져 있다. 칼라(26)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나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칼라(26)의 외주면에는,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의 주연에 걸어 맞춤 가능한 단차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24)의 볼트부(24a)가 샤프트 홀더(20) 상의 너트 부재(23)에 나사 결합될 때, 샤프트(24)의 칼라 누름부(24c)에 의해 칼라(26)가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을 향해서 눌려진다. 이때, 칼라(26)의 단차부(26a)가 투공(14a)의 주연에 가압되기 때문에, 제 1 핸들 피스(14) 및 베이스체(13)는, 칼라(26) 및 샤프트 홀더(20)에 협지된다. 이에 따라, 제 1 핸들 피스(14)가, 베이스체(13)에 나사(16)로 고정되어 있는 제 2 핸들 피스(15)에 대하여 접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전기 절연성의 칼라(26)에 의해, 제 1 핸들 피스(14)의 금속 도금과 샤프트(24)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샤프트(24)의 볼 지지부(24d)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베어링 부재(27)가 끼워 맞춰져 있다. 베어링 부재(27)는 샤프트(24)의 선단에 배치된 스톱 링(28) 및 쿠션 스페이서(28a)에 의해 탈락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각 베어링 부재(27)의 외주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 클로(27a)가, 베어링 부재(27)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샤프트(24) 상의 베어링 부재(27)에는, 회전체로서 작용하고, 또한 대략 구체 형상을 이루는 볼(2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볼(29)은 제 1 핸들 피스(14)에 있어서의 투공(14a)의 주위의 오목부(14b)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쿠션 스페이서(28a)는 베어링 부재(27)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볼(29)이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볼(29)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내부에 샤프트(24)를 받아 들이는 공간을 가짐과 함께, 구 형상의 외형을 갖는 심재(30)와, 그 심재(30) 내의 공간에 있어서, 샤프트(24)의 선단부의 근방에 끼워 넣어진 다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캡재(31)와, 심재(30) 및 캡재(31)의 외면을 덮어서 구 형상으로 형성된 다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피재(32)로 구성되어 있다. 외피재(32)의 외표면에는, 도전부로서의 금속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심재(30)의 내벽에는, 베어링 부재(27)의 걸림 클로(27a)에 걸어 맞춤 가능한 단차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심재(30)의 단차부(30a)가 베어링 부재(27)의 걸림 클로(27a)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그 걸림 클로(27a)를 타고 넘어서, 볼(29)이 베어링 부재(27)에 끼워 넣어진다. 걸림쇠(27a)가 단차부(30a)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볼(29)이 베어링 부재(27)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12)의 금속 도금과 볼(29)의 외표면의 금속 도금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핸들 피스(15)의 제 1 단부의 근방에는, 관통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3) 내에는,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광 렌즈(34)가 끼워 부착되어 있다. 수광 렌즈(34)에 대향하는 핸들(12)의 베이스체(13) 상에는 태양 전지 패널(35)이 배치되어 있다. 태양 전지 패널(35)의 출력 단자는 핸들(12) 및 볼(29)의 외표면의 금속 도금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미용기(11)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미용기(11)의 사용자는 핸들(12)을 파지하고, 양 볼(29)을 신체의 피부에 눌러서 회전시킨다. 양 볼(29)의 회전에 수반하여, 피부 및 그 하부 조직이 양 볼(29) 사이에 집어 올려지거나, 볼(29)에 의해 가압된다. 이것은, 신체를 마사지하도록 작용하고, 미용기(11)에 의해 고운 피부 작용 등의 미용 작용이 부여된다. 이때, 상기 태양 전지 패널(35)로 발전된 전력이 핸들(12) 및 볼(29)의 금속 도금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핸들(12)의 금속 도금과 볼(29)의 금속 도금 사이에 신체를 통한 전로가 형성되어서, 신체에 미전류가 흐른다. 이러한 미전류는 신체를 전기적으로 자극해서 미용적 효과를 더욱 높인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용기(11)의 조립 부착 방법 관하여 설명한다.
이 미용기(11)의 조립 부착 시에는 우선 샤프트 홀더(20)의 각 유지실(22) 내에 너트 부재(23)를 삽입한 상태에서, 그 샤프트 홀더(20)를 복수의 나사(21)에 의해 핸들(12)의 베이스체(13)에 부착한다. 태양 전지 패널(35) 및 수광 렌즈(34)는 베이스체(13) 상에 미리 부착된다. 다음으로, 제 2 핸들 피스(15)를 복수의 나사(16)에 의해 베이스체(13)에 고정한 후, 제 1 핸들 피스(14)의 걸림 볼록부(17)를 제 2 핸들 피스(15)의 걸림 오목부(18)에 걸어 맞춰서, 제 1 핸들 피스(14)의 개구부와 제 2 핸들 피스(15)의 개구부를 정합시킨다.
계속해서, 각 샤프트(24)의 칼라 지지부(24b)의 주위에 칼라(26)를 끼운 상태에서, 각 샤프트(24)를 핸들(12)의 외측으로부터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 및 베이스체(13)의 투공(13a)을 통과시켜서, 샤프트(24)의 기단부의 볼트부(24a)를 샤프트 홀더(20) 상의 너트 부재(23)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양 샤프트(24)는 그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고, 또한 핸들(12)의 제 2 단부로부터 이간하도록 경사져서, 샤프트 홀더(20)에 고정된다. 그와 함께, 칼라(26) 상의 단차부(26a)에 의해, 제 1 핸들 피스(15)의 투공(14a)의 주연부가 가압되어서, 제 1 핸들 피스(14)는 제 2 핸들 피스(15)에 접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각 샤프트(24)의 볼 지지부(24d)에 베어링 부재(27)를 끼워 맞춰서, 베어링 부재(27) 상에 볼(2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면, 미용기(11)의 조립 부착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 미용기에 있어서는, 핸들(12)의 제 1 핸들 피스(14)의 한 쌍의 투공(14a)을 통해서, 한 쌍의 샤프트(24)가 핸들(12) 내의 샤프트 홀더(20)에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24)는, 그들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샤프트(24)는, 제 1 핸들 피스(14) 및 제 2 핸들 피스(15)가 조립 부착된 후에,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을 통해 핸들(12) 내에 삽입되어, 샤프트 홀더(2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12)의 제 1 핸들 피스(14) 및 제 2 핸들 피스(15)를 조립 부착한 후, 한 쌍의 샤프트(24)를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을 통해서 핸들(12) 내에 삽입하여, 그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샤프트 홀더(20)에 고정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투공(14a)을 통해서 샤프트 홀더(20)의 너트 부재(23)에 샤프트(24)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샤프트(24)가 핸들(12)에 부착되어, 샤프트(24)를 핸들(12)의 접합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종래 구성과 같이, 핸들에 이차부를 형성하여, 그 이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샤프트에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과 같은 특정한 구성에 제약되지 않고, 미용기 전체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2) 이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더(20)에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에 대향하도록, 너트 부재(23)가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24)는 상기 투공(14a)을 통과하여, 샤프트(24)의 기단부에 형성된 볼트부(24a)가 상기 너트 부재(23)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을 통해서, 너트 부재(23)에 샤프트(24)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샤프트(24)를 샤프트 홀더(20)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립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3) 이 미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너트 부재(23)에 볼트부(24a)와의 나사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풀림 방지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24)의 볼트부(24a)와 샤프트 홀더(20) 상의 너트 부재(23)의 나사 결합의 풀림이 생길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4) 이 미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샤프트 홀더(20)에 개방부(22a)를 갖는 유지실(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실(22) 내에는, 상기 너트 부재(23)가 개방부(22a)로부터 삽입되어 유지된다. 이 때문에, 너트 부재(23)를 샤프트 홀더(20)에 대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5) 이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4)에는 칼라(26)가 설치되어 있고, 칼라(26)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14)의 외면에 걸어 맞춰서, 제 1 핸들 피스(14)를 제 2 핸들 피스(15)에 대하여 접합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을 통해서 샤프트(24)를 샤프트 홀더(20)에 고정함으로써, 칼라(26)가 제 1 핸들 피스(14)를 제 2 핸들 피스(15)에 대한 접합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칼라(26)가 양 핸들 피스(14, 15)를 고정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나사 등의 고정 부재를 줄이고,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6) 이 미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칼라(26)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칼라(26)에 의해 제 1 핸들 피스(14)와 샤프트(24)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12)을 파지하여 볼(29)을 신체의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핸들(12) 내의 태양 전지로부터 핸들(12)과 볼(29) 사이에 있어서의 피부를 포함하는 신체에 미전류가 흐르고, 미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7) 이 미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14)의 투공(14a)의 주위에 오목부(14b)가 형성되고, 상기 볼(29)의 일부가 오목부(14b)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샤프트(24)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볼(29)이 핸들(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참신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변경예)
한편, 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할 수 있다.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너트 부재(23)로서,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너트 부재(23)의 나사의 부분에 풀림 방지용의 합성 수지를 도포하거나, 유지실(22)의 내면에 가압되는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좌금(座金)을 설치하거나, 너트 부재(23)의 나사 부분에 풀림 방지용의 패널을 설치해도 된다.
·회전체로서, 볼(29) 대신에 원통 형상의 롤러를 이용하여도 된다.
·태양 전지 패널(35)을 생략해도 된다.

Claims (9)

  1. 개구부를 각각 가짐과 함께, 그 개구부의 주연(周緣)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제 1 핸들 피스(handle piece) 및 제 2 핸들 피스를 구비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핸들에 지지된 한 쌍의 샤프트로서, 그 돌출하는 선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이간하도록 경사진 상기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의 근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체를 구비하는 미용기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 1 핸들 피스 및 상기 제 2 핸들 피스 사이에 샤프트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핸들 피스는, 당해 제 1 핸들 피스를 관통하는 한 쌍의 투공(透孔)을 가지며, 상기 각 샤프트의 기단부는, 제 1 핸들 피스 및 제 2 핸들 피스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을 통해서 핸들 내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 홀더에 고정되고,
    각 회전체는, 각 샤프트의 선단부에 베어링 부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각 샤프트의 선단부를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더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너트 부재를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각 샤프트는, 그 기단부에 형성된 볼트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의 볼트부는, 상기 너트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너트 부재는, 당해 너트 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볼트부의 나사 결합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더는 한 쌍의 유지실을 구비하고, 각 유지실은 일부에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너트 부재는 각각 개방부를 통해서 유지실 내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외면에 걸어 맞춰서 제 1 핸들 피스를 제 2 핸들 피스에 접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칼라(colla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샤프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확대된 칼라 지지부 및 칼라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 누름부는, 상기 칼라 지지부보다도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근접해서 배치되며, 상기 칼라 지지부보다도 큰 지름을 갖고, 상기 칼라 누름부와 칼라 지지부의 경계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칼라 지지부의 외주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칼라 누름부에 의해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을 향해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투공의 주연에 걸어 맞춤 가능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핸들 피스의 외면에 있어서, 각 투공의 주위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 회전체는 볼이며, 그 볼의 일부가 오목부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KR1020120110420A 2012-02-08 2012-10-05 미용기 KR101950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5259 2012-02-08
JP2012025259A JP5937375B2 (ja) 2012-02-08 2012-02-08 美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204A Division KR101627703B1 (ko) 2012-02-08 2015-07-29 미용기
KR1020150107205A Division KR101634689B1 (ko) 2012-02-08 2015-07-29 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622A KR20130091622A (ko) 2013-08-19
KR101950787B1 true KR101950787B1 (ko) 2019-02-21

Family

ID=4793385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420A KR101950787B1 (ko) 2012-02-08 2012-10-05 미용기
KR1020150107204A KR101627703B1 (ko) 2012-02-08 2015-07-29 미용기
KR1020150107205A KR101634689B1 (ko) 2012-02-08 2015-07-29 미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204A KR101627703B1 (ko) 2012-02-08 2015-07-29 미용기
KR1020150107205A KR101634689B1 (ko) 2012-02-08 2015-07-29 미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7375B2 (ko)
KR (3) KR101950787B1 (ko)
CN (1) CN202822042U (ko)
TW (1) TWI5804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4883B2 (ja) * 2013-06-07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美容装置
JP6116393B2 (ja) * 2013-06-17 2017-04-19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美容マッサージ機
JP2015163177A (ja) * 2014-01-30 2015-09-10 株式会社 Mtg 美容器
SG11201606741WA (en) * 2014-02-28 2016-10-28 Mtg Co Ltd Cosmetic device
KR20170024674A (ko) 2015-08-26 2017-03-08 박성훈 피부 당김 맛사지기
CN206404021U (zh) 2015-10-14 2017-08-15 朴圣薰 双向按摩器
WO2017217537A1 (ja) * 2016-06-16 2017-12-21 株式会社 Mtg 押圧器具
JP6824010B2 (ja) * 2016-11-21 2021-02-03 株式会社 Mtg 美容器
KR20190005096A (ko) * 2017-07-05 2019-01-15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미용기
KR102166358B1 (ko) * 2017-08-16 2020-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용기
KR102176079B1 (ko) * 2018-03-30 2020-11-09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미용기기
JP2020000463A (ja) * 2018-06-27 2020-01-09 株式会社 Mtg 美容器
KR102137645B1 (ko) * 2018-12-12 2020-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전류 자극 기능을 구비한 롤러형 마사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494B2 (ja) 1991-04-09 2001-01-31 ソシエテ・ド・コンセイユ・ド・ルシエルシエ・エ・ダアツプリカーション・シヤンテイフイツク・(エス.セー.エール.アー.エス) ギンクゴライドcからギンクゴライドbの製造方法
US20040015110A1 (en) 2002-07-18 2004-01-22 Kuo-Chin Chen Massaging device
KR200453658Y1 (ko) * 2009-10-02 2011-05-17 이근량 저출력 레이저 치료용 마사지기
JP2012161517A (ja) 2011-02-08 2012-08-30 Louvredo Japan Kk マッサージ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2223A (en) * 1982-06-30 1985-01-08 Jack B. Hosid Fluid dispensing massage device
JP2003079690A (ja) * 2001-09-11 2003-03-18 Shoei Kurotaki マッサージ具
CN101184524A (zh) * 2005-04-28 2008-05-21 卡罗·科尔公司 微型表皮弹性刺激器
US20060276732A1 (en) * 2005-06-01 2006-12-07 Chen Chen C Roller massager
FR2891731B1 (fr) * 2005-10-12 2008-10-31 Oreal Dispositif de massage a branches deformables et/ou mobiles.
JP3131494U (ja) * 2007-02-22 2007-05-10 株式会社コジット フェイス用マッサージ具
FR2919493B1 (fr) * 2007-07-30 2010-07-30 Oreal Dispositif de massage
KR20090007499U (ko) * 2008-01-21 2009-07-24 (주)아모레퍼시픽 안면 마사지기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100024189A (ko) * 2008-08-25 2010-03-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도구
JP2011015874A (ja) * 2009-07-10 2011-01-27 Mtg:Kk 美容器
JP5652782B2 (ja) * 2009-11-12 2015-01-14 ヤーマン株式会社 ローラマッサージ器
TWM399718U (en) * 2010-08-23 2011-03-11 Ming-Hong Liang Face 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494B2 (ja) 1991-04-09 2001-01-31 ソシエテ・ド・コンセイユ・ド・ルシエルシエ・エ・ダアツプリカーション・シヤンテイフイツク・(エス.セー.エール.アー.エス) ギンクゴライドcからギンクゴライドbの製造方法
US20040015110A1 (en) 2002-07-18 2004-01-22 Kuo-Chin Chen Massaging device
KR200453658Y1 (ko) * 2009-10-02 2011-05-17 이근량 저출력 레이저 치료용 마사지기
JP2012161517A (ja) 2011-02-08 2012-08-30 Louvredo Japan Kk マッサージ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622A (ko) 2013-08-19
JP2013158608A (ja) 2013-08-19
CN202822042U (zh) 2013-03-27
TW201332537A (zh) 2013-08-16
KR20150091294A (ko) 2015-08-10
KR101634689B1 (ko) 2016-06-30
TWI580417B (zh) 2017-05-01
KR101627703B1 (ko) 2016-06-07
JP5937375B2 (ja) 2016-06-22
KR20150091293A (ko) 201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87B1 (ko) 미용기
WO2013073251A1 (ja) 美容器
KR20180057502A (ko) 미용기
US10653580B2 (en) Beauty device
WO2011004627A1 (ja) 美容器
CN109199829B (zh) 美容器
WO2015146272A1 (ja) 美容器
JP5847904B2 (ja) 美容器
JP5828987B2 (ja) 美容器
JP6313365B2 (ja) 美容器
CN106344251B (zh) 具有发热功能的美容仪器的美容头组件
JP2017192415A (ja) 美容器
JP6283052B2 (ja) 美容器
JP2018089521A (ja) 美容器
JP2018089395A (ja) 美容器
KR101164569B1 (ko) 사용이 편리한 피부미용장치의 이온헤드 손잡이
JP6971373B2 (ja) 美容器
CN217744972U (zh) 手持按摩器
KR200190843Y1 (ko) 헤어 부러쉬
KR200492965Y1 (ko) 피부 마사지기
KR102531623B1 (ko) 플라즈마 갈바닉 겸용 미용기구
JP2006204369A (ja) ヘアーアイロン
KR200181054Y1 (ko) 복합 기능의 머리빗
JP2019130027A (ja) 美容器
KR20130000735U (ko) 진동 및 냉온 자극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