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096A - 미용기 - Google Patents

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096A
KR20190005096A KR1020170122771A KR20170122771A KR20190005096A KR 20190005096 A KR20190005096 A KR 20190005096A KR 1020170122771 A KR1020170122771 A KR 1020170122771A KR 20170122771 A KR20170122771 A KR 20170122771A KR 20190005096 A KR20190005096 A KR 2019000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andle
beauty
bear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4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01372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9000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4Layer between the skin and massage elements, e.g. fluid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Abstract

[과제] 미용 효과가 향상된 미용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미용기(1)는, 핸들(20)과, 각각 핸들(20)에 장착되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구비한다.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는, 탄소 성형체이며, 회전축의 간격이 핸들(20)로부터 멀어질수록 크다.

Description

미용기{COSMETIC DEVICE}
본 발명은 피부에 미용 효과를 주는 미용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체, 즉 롤러를 피부에 대고 굴리는 미용기가 알려져 있다. 얼굴에 사용하면, 턱 주위의 페이스 라인이 긴장되어, 리프트 업 효과를 실감할 수 있다. 보다 적극적으로, 림프 마사지의 요령으로 사용하면, 노폐물의 배출이 촉진되고, 신진대사가 올라가, 피부 광택을 개선할 수 있다. 다리에 사용하면 부어오름이나 셀룰라이트도 없애기 쉬워, 특히 여성에게는 기쁜 효과이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롤러를 피부에 대고 굴리는 미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미용기를 사용하면, 롤러에 의해 피부가 마사지 되어, 혈류의 촉진이나 리프트 업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9403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3-103086호 공보
미용기 이용자의 대부분은 여성이다. 미(美)를 의식하는 여성은, 보다 높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미용기를 항상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미용 효과의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미용기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미용 효과가 향상된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미용기이다. 본 미용기는, 핸들과, 각각 핸들에 장착되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구비한다.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는, 탄소 성형체이며, 회전축의 간격이 상기 핸들로부터 멀어질수록 크다.
이 양태에 따르면, 탄소 성형체인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과 그것들 2개의 회전체에 의해 피부가 집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피부의 혈류 및 림프액의 순환이 촉진되어, 세포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미용기에 의하면, 미용 효과가 향상된 미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핸들의 베이스체의 부분 상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 (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상면도, 도 16의 (b)는 정면도, 도 16의 (c)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a)의 D-D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b)의 E-E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롤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 유닛(30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 유닛(300)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 유닛(300)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 유닛(300)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2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G-G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의 (a) 및 (b)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미용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의 (a) 및 (b)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미용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롤러와 그 주변을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요소의 일부를 적절히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1)의 사시도, 도 2는 미용기(1)의 상면도, 도 3은 미용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미용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미용기(1)는, 한 쌍의 롤러(10) 및 핸들(20)을 가진다. 각 롤러(10)는, 구 모양으로 형성된 표면이 흑색인 회전체이며, 핸들(20)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두 갈래부(2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미용기(1)의 사용자는, 핸들(20)을 쥐고 얼굴이나 팔 등에 롤러(10)를 대고 굴린다. 롤러(10)의 사이에서 피부가 집어 올려지거나 밀려 넓혀져, 접촉 부분의 혈류나 림프액의 순환이 촉진한다. 또한, 피부가 리프트 업 되어 생기가 난다. 이와 같이, 미용기(1)에 의해, 여러 가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롤러(10)는, 표면에 다수의 삼각형의 면(101)을 가지는 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롤러(10)는, 구 모양 이외에, 타원체 형상, 원기둥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면(101)은, 삼각형 이외의 다각형이나 원형 등이어도 된다. 또한, 면(101)을 마련하지 않고, 전면 평활(平滑)면으로 할 수도 있다.
롤러(10)는, 탄소를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탄소 성형체이다. 원재료는, 흑연의 탄소 분말에 바인더가 첨가된 것이다. 이 원재료를 가압하여 구 모양으로 성형하고, 고온에서 장시간 걸쳐 소성(燒成)함으로써 롤러(10)가 된다. 소성함으로써, 탄소 분말끼리 결합해서 결정화, 즉 흑연화와 정형 탄소화가 이루어진다.
탄소의 특성에 의해, 롤러(10)는 열전도율 및 방사율이 높다. 이 때문에, 롤러(10)는, 미용기(1)의 사용 개시부터 단시간에 피부(30)와 같은 정도의 온도로 따뜻하게 되어,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증가한다. 롤러(10)로부터 피부(30)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면, 피부(30)의 혈류 및 림프액의 순환이 촉진된다.
롤러(10)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핸들(20)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10)의 회전축(X)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지름(L)은 40㎜로 한다. 롤러(10)의 최대 지름(L)은, 미용기(1)를 얼굴이나 팔에 사용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한 실험 결과로는, 15~60㎜가 바람직하고, 32~55㎜가 보다 바람직하며, 38~45㎜가 특히 바람직하다. 롤러(10)의 최대 지름(L)이 15㎜보다 작으면, 롤러(10)와 피부(30)의 접촉 영역이 작게 되어, 미용기(1)에 의한 충분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롤러(10)의 최대 지름(L)이 60㎜보다 크면, 신체의 부위에 따라서는, 롤러(10)를 눌러 대고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 쌍의 롤러(10)의 간격(D)은, 11.5㎜로 한다. 롤러(10)의 간격(D)은, 피부(30)의 집어 올림 또는 밀어 넓힘을 적절히 행하기 위해서, 8~25㎜가 바람직하고, 9~15㎜가 보다 바람직하며, 10~13㎜가 특히 바람직하다. 간격(D)이 8㎜보다 작으면, 피부(30)를 집어 올리는 힘이 너무 강해지거나, 밀어 넓히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간격(D)이 25㎜보다 크면, 피부(30)를 집어 올리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 쌍의 롤러(10)는, 각각, 핸들(20)의 일단 측에 마련되어 있는 후술하는 지지축에 장착되어 있다. 2개의 지지축은, 롤러(10)의 회전축(X)의 간격이 핸들(20)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10)를 피부(30)에 대고 화살표 R 방향으로 움직이면, 2개의 롤러(10)의 사이에 말려 들어가도록 피부(30)가 집어 올려진다. 반대로 화살표 L 방향으로 움직이면, 2개의 롤러(10)에 의해 피부(30)가 밀려 넓혀진다. 2개의 롤러(10)의 회전축(X)에 벌어짐 각(α)을 마련함으로써, 피부(30)의 집어 올림 및 밀어 넓힘이라고 하는 2가지의 사용법이 가능하게 된다.
벌어짐 각(α)은, 75도로 한다. 벌어짐 각(α)은, 롤러(10)가 피부(30)를 집어 올리기 쉽고 또는 밀어 넓히기 쉽게 되도록, 50~110도가 바람직하고, 50~90도가 보다 바람직하며, 65~80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벌어짐 각(α)이 50도보다 작으면, 피부(30)를 집어 올리는 힘이 너무 강해지거나, 밀어 넓히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벌어짐 각(α)이 110도보다 크면, 피부(30)를 집어 올리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롤러(10)는, 회전축(X)이 핸들(20)의 중심선(Y)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핸들(20)의 중심선(Y)은, 미용기(1)의 정면에서 볼 때 핸들(2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외주 접선(Z) 사이의 각도를 2분 하는 선과 평행한 선이다. 롤러(10)의 회전축(X)과 핸들(20)의 중심선(Y)의 경사각(β)은, 95도로 한다. 경사각(β)은, 사용자가 핸들(20)을 쥐고 롤러(10)를 피부(30)에 눌러 대어 회전시키기 쉬운 각도로 한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핸들(20)은, 베이스체(202), 상 커버체(204), 하 커버체(206)를 가진다. 이것들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 커버체(204) 및 하 커버체(206)는, 표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체(202)는, 상 커버체(204)와 하 커버체(205)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다. 상 커버체(204)는, 나사(210)에 의해 베이스체(202)에 고정되어 있다. 하 커버체(206)는, 상 커버체(204)의 외주 가장자리에 끼워넣어져 있다.
베이스체(202)의 외주에는, 링 모양의 패킹(212)이 이색 성형에 의해 베이스체(20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패킹(212)의 외주 가장자리는, 베이스체(202)가 상 커버체(204) 및 하 커버체(206)에 의해 덮여진 상태에서, 상 커버체(204)의 내주면에 압접(壓接)하여, 베이스체(202)와 상 커버체(204) 사이의 공간을 씰(seal) 한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핸들(20)에는, 롤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50)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축(50)은,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기단(基端) 측이 핸들(20)에 유지되어, 핸들(20)로부터 돌출되는 선단 측이 롤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핸들(20)의 베이스체(202)의 부분 상면도이며, 핸들(20)의 두 갈래부(201)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체(202)에는, 한 쌍의 지지통(22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221)은, 롤러(10)의 회전축(X)을 따라서 관통하는 축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222)에는, 지지축(50)의 기단 측이 삽입된다. 베이스체(202)에는, 지지축(50)이 축 구멍(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축(50)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230)가, 도 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장착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부재(230)이며, 베이스체(202)에 장착된 상태로 베이스체(202) 측이 되는 면에서 본 도면이다. 유지 부재(230)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231), 나사 구멍(232)을 가진다. 유지 부재(230)는, 나사 구멍(232)을 통해서 베이스체(202)의 고정 구멍(223)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베이스체(202)에 고정된다. 유지부(231)는, 반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 부재(230)가 베이스체(202)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축(50)의 기단부 측을 유지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50)은, 핸들(20)에 유지되는 기단부 측에, 다른 부분보다도 지름이 작은 피(被)유지부(5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유지부(501)보다도 지름이 큰 빠짐 방지부(50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50)은, 기단부 측이 베이스체(202)의 축 구멍(222)에 삽입되어, 피유지부(501)가 유지 부재(230)의 유지부(231)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빠짐 방지부(502)가 유지 부재(230)에 걸려, 지지축(50)이 핸들(2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핸들(20)의 롤러(10) 측의 단부에는, 캡(240)이 덮여 있다. 캡(240)은, 수지 재료에 의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체(202)와 상 커버체(204)의 사이, 및 베이스체(202)와 하 커버체(206)의 사이를 씰 한다. 또한, 한쪽의 개구가 지지축(50)의 플랜지부(505)에 끼워져, 지지축(50)의 흔들거림을 저감시킨다.
지지축(50)은, 베이스체(202)의 축 구멍(2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503)에, 씰 링(sealing ring, 504)이 장착되어 있다. 씰 링(504)은, 지지축(50)의 외주면과 축 구멍(222)의 내주면 사이를 씰 한다. 핸들(20)은, 캡(240) 및 씰 링(504)에 의해 롤러(10) 측이 이중으로 씰 된다.
지지축(50)은, 핸들(2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506)에, 베어링(60)이 장착된다. 지지부(506)의 선단부에는, 빠짐 방지링(507)이 마련되어 있다. 빠짐 방지링(507)은, 지지축(50)의 선단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베어링(60)이 지지축(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베어링(60)은, 지지축(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주면이 지지축(50)의 외주면에 맞닿음하면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베어링(60)의 사시도이다. 베어링(60)은, 수지 재료에 의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60)은, 걸림 클로(claw)(601), 지지편(602)을 가진다. 걸림 클로(601)는, 지지편(602)의 일단으로부터 베어링(6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602)은, 걸림 클로(601)와는 반대 측의 단부가 베어링(60)의 측벽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편(602)은, 걸림 클로(601)가 베어링(60)의 내측을 향해서 눌리면, 휘도록 탄성 변형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축(50)은, 베어링(60)이 장착된 상태에서, 롤러(10)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구멍(110)에 삽입된다. 베어링 구멍(110)은, 개구 측과는 반대의 안쪽 단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R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R부(111)를 형성하여 안쪽 단부를 곡면으로 함으로써, 베어링 구멍(110)의 안쪽 단부의 둘레 가장자리에의 응력 집중을 막아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베어링 구멍(110)의 내주면에는, 베어링(60)의 걸림 클로(601)가 끼워지는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클로(601)는, 오목부(112)에 넣어지면, 오목부(112)의 핸들(20) 측에 형성되는 단차부(113)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지지축(50) 및 베어링(60)은 롤러(1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베어링 구멍(110)에 지지축(50) 및 베어링(60)이 삽입되면, 롤러(10)가 핸들(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가 된다. 롤러(10)는, 피부에 대고 굴려지면, 베어링(6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롤러(10)와 캡(240) 사이에, 충격 흡수부로서 코일 스프링(80)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0)은, 롤러(10)를 핸들(20)과는 반대 방향으로 압압(押壓) 하고 있다. 롤러(10)가 무언가에 부딪치거나, 바닥에 떨어지거나 했을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80)이 압축되어 롤러(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롤러(10)가 받는 데미지를 경감시킨다. 또한, 코일 스프링(80)은, 베어링(60)과 핸들(20)의 캡(240) 사이에 마련되어도 된다. 충격 흡수부로서는, 탄성 변형해서 충격을 흡수 가능한 탄성 부재이면, 코일 스프링(80) 이외의 고무, 발포 스티롤, 우레탄 시트여도 된다.
이상,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미용기(1)의 롤러(10)는 탄소 성형체이며, 원적외선의 효과에 의해 피부의 혈류 및 림프액의 순환이 촉진된다. 또한, 2개의 롤러(10)로 피부를 집어 올림으로써, 원적외선 효과에 더하여 한층 더 혈류촉진 효과나, 리프트 업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0의 (a), (b)는, 미용기(1)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피부(30)가 집어 올려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피부(30)가 2개의 롤러(10) 사이에 말려 들어가도록 피부(30)가 집어 올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미용기(1)에 의하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롤러(10) 사이에 말려 들어가도록 피부(30)가 집어 올려지고, 집어 올려진 피부(30)가 롤러(10)와 접촉한다. 즉, 피부(30)를 집어 올리는 것에 의해, 피부(30)와 2개의 롤러(10)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피부(30)로부터 보다 빠르고 보다 많은 열이 2개의 롤러(10)에 전해져, 2개의 롤러(10)가 보다 단시간에 피부(30)와 같은 정도의 온도로 따뜻하게 되거나, 혹은 보다 피부(30)에 가까운 온도 즉 보다 높은 온도로 2개의 롤러(10)가 따뜻하게 되어 원적외선의 방출량이 증가한다. 그런데, 체내의 물분자가 가지는 파장은 탄소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파장과 대략 동일하고, 원적외선이 체내의 물분자에 이르면 그 물분자는 공명에 의해 진동하여 다른 물분자와 충돌한다. 이 물분자의 충돌에 의해 열이 생겨, 혈류나 림프액의 순환이 촉진된다. 2개의 롤러(10)로부터의 원적외선의 방출량이 증가하면, 체내의 물분자의 진동이 보다 커지고, 따라서 물분자의 충돌에 의해서 보다 많은 열이 생겨, 혈류나 림프액의 순환이 더 촉진된다.
또한, 미용기(1)에 의하면, 2개의 롤러(10) 사이에 말려 들어가도록 피부(30)가 집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2개의 롤러(10)와 피부 심부(深部)의 거리가 짧아진다. 예를 들면, 2개의 롤러(10)와 피부(30)의 진피층(30a) 부분(예를 들면 피부 심부(S))과의 거리는, 도 10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30)가 집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짧아진다. 이것에 의해, 피부(30)를 집어 올리지 않는 경우에는 원적외선이 진피층(30a)에는 이르지 않는 경우가 있는바, 피부(30)를 집어 올리는 것에 의해서 원적외선을 보다 확실히 진피층(30a)까지 보낼 수 있어, 피부(30)의 보다 깊은 부분의 물분자를 공명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롤러(10)로부터 방사된 원적외선이 둘다 이르는 부분에서는, 물분자의 진동이 보다 커진다. 즉, 미용기(1)에 의하면, 피부(30)의 보다 깊은 부분에서 물분자의 보다 큰 진동을 일으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피부의 혈류 및 림프액의 순환이 보다 촉진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미용기(1A)에서는, 베어링(60)에 제1 돌기(605) 및 제2 돌기(60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서, 베어링(60)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베어링 구멍(110)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605)는, 베어링(60)이 베어링 구멍(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부(121)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113)에 걸린다. 제1 돌기(605) 및 제2 돌기(606)는, 각각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서 베어링 구멍(110)의 내주면에 접하여, 롤러(10)의 회전축 방향에 대한 흔들거림을 저감시킨다.
[제2 실시 형태]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2)의 단면도이다. 롤러(90)는, 베이스부(91) 및 커버부(92)를 가진다. 베이스부(91) 및 커버부(9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롤러(10)와 같은 재료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 탄소 성형체이며, 결합되어 1개의 구체가 되도록, 각각이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91)에는, 베어링(75)이 고정되는 베어링 구멍(910)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구멍(910)은, 연통되는 대경부(911) 및 소경부(912)를 가지며, 베이스부(91)을 관통한다. 베어링 구멍(910)에 고정되는 베어링(75)은, 원통부(751) 및 플랜지부(752)를 가진다. 베어링(75)은, 원통부(751)가 소경부(912)에 삽입되고, 플랜지부(752)가 대경부(911)와 소경부(912)의 단차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접착재로 베어링 구멍(910)에 고정된다.
베어링 구멍(910)의 소경부(912)에 고정된 베어링(75)에는, 지지축(50)이 삽입된다. 지지축(50)은, 베어링(75)을 관통하여, 선단부에 빠짐 방지링(507)이 장착된다. 빠짐 방지링(507)은, 지지축(50)의 선단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 넣어져, 베어링(75)이 지지축(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92)는, 베어링 구멍(910)의 소경부(912)와 같은 지름의 오목부(92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21)는, 지지축(50) 및 베어링(75)의 선단 측을 수용한다. 오목부(921)는, 개구 측과는 반대의 안쪽 단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R부(922)가 형성되어 있다. R부(922)에 의해 응력 집중이 막아져, 균열의 발생이 저감한다.
커버부(92)는, 오목부(921)에 베어링(75)이 끼워진 상태로 베이스부(91)에 고정된다. 베이스부(91)와 커버부(92)는, 접착재에 의해 접합된다. 접합 부분은, 접착재의 건조 후에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연마된다.
미용기(2)에는, 베이스부(91)의 베어링 구멍(910)의 대경부(911)와 소경부(912)의 단차면과, 핸들(20)의 캡(240)과의 사이에, 충격 흡수부로서 코일 스프링(80)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0)은, 롤러(90)를 핸들(20)과는 반대 방향으로 압압한다. 코일 스프링(80)은, 롤러(90)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압축되어, 롤러(90)가 받는 데미지를 경감시킨다. 코일 스프링(80)은, 축 홀더(75)의 플랜지부(752)와 핸들(20)의 캡(240)과의 사이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상,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2)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1)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미용기(2)에서는, 롤러(90)의 베어링 구멍(910)에 고정되는 베어링(75)에 지지축(5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롤러(90)의 베어링 구멍(910) 및 베어링(75)을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91)에 고정된 베어링(75)에 지지축(50)을 삽입하여 빠짐 방지링(507)을 장착 가능하면, 베이스부(91) 및 커버부(92)의 형상은, 각각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롤러(90)는, 3개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미용 시스템(100)은, 미용기(3), 어댑터(4)를 가진다. 미용기(3)는, 롤러(10)의 내부에 발열체를 가진다. 롤러(10)는 발열체에 의해 따뜻하게 되어 원적외선 방사량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한층 더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용기(3)의 핸들(20)에는, 어댑터(4)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로서, 제1 수전 단자(251) 및 제2 수전 단자(252)가 마련된다. 또한, 미용기(3)에는, 제1 수전 단자(251) 및 제2 수전 단자(252)로부터, 각 롤러(10)를 지지하는 지지축(50)에 연결되는 제1 도선(261) 및 제2 도선(262)이 마련된다.
어댑터(4)는, 제1 급전 단자(41), 제2 급전 단자(42), 전원 케이블(45)을 가진다. 제1 급전 단자(41) 및 제2 급전 단자(42)는, 전원 케이블(45)에 접속되어 있다. 어댑터(4)에 미용기(3)가 놓여지면, 제1 급전 단자(41)와 제1 수전 단자(251)가 접속하고, 제2 급전 단자(42)와 제2 수전 단자(252)가 접속한다.
도 14는, 미용기(3)의 부분 단면도이다. 미용기(3)는, 베어링(60)이 니크롬으로 형성된 발열체로 되어 있다. 베어링(60)은, 칸탈(kanthal), 백동 합금 등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그 일부가 발열체여도 된다.
지지축(50)에는, 제1 전극(511) 및 제2 전극(51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전극(511) 및 제2 전극(512)은, 각각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서 지지축(50)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어, 베어링(60)에 접촉한다. 지지축(50)은, 제1 전극(511) 및 제2 전극(512) 이외가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전극(511)에는, 제1 도선(261)이 접속된다. 또한, 제2 전극(512)에는, 제2 도선(262)이 접속된다.
미용기(3)가 어댑터(4)에 놓여지면, 제1 수전 단자(251) 및 제2 수전 단자(252)를 통해서 미용기(3)에 급전된다. 미용기(3)에서는, 통전되어 온도가 상승한 베어링(60)이, 롤러(10)를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롤러(10)는, 베어링(60)으로 가열되어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미용기(3)는, 원적외선 효과가 증대하여 보다 높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 시스템(100)의 미용기(3)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1)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미용 시스템(100)의 미용기(3)에서는, 내부의 발열체에 의해 롤러(10)가 따뜻하게 되므로, 보다 높은 원적외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용기(3)의 핸들(20)에는, 베어링(60)에 통전하는 전지와, 전지로부터 베어링(60)에의 통전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해서 롤러(10)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미용기(2)에 있어서, 베어링(75)을 발열체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3)와 마찬가지로, 제1 수전 단자(251), 제2 수전 단자(252), 제1 도선(261), 및 제2 도선(262)을 핸들(20)에 마련하고, 제1 전극(511) 및 제2 전극(512)을 지지축(50)에 마련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5)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미용기(5)의 상면도, 도 16의 (b)는 정면도, 도 16의 (c)는 저면도이다.
미용기(5)는, 한 쌍의 롤러(11) 및 핸들(21)을 가진다. 각 롤러(1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롤러(10)와 같은 재료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 탄소 성형체이며, 핸들(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롤러(11)의 표면에는, 회전축을 따르게 연장되는 복수의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롤러(11)에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롤러(11)의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21)은, 사용자에 파지되는 본체부(211), 본체부(211)의 일단으로부터 분기(分岐)하는 두 갈래부(213)를 가진다. 두 갈래부(213)에는, 롤러(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다. 롤러(11)의 지름, 간격, 회전축의 벌어짐 각, 회전축이 핸들(21)의 중심선(Y)에 대한 경사각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7은, 도 16의 (a)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핸들(21)은, 상 커버체(215), 핸들 코어(217), 하 커버체(218)를 가진다. 핸들(2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상 커버체(215)를 수지로 성형한다. 상 커버체(215)에는, 핸들 코어(217)를 위치 결정하는 십자 보스(216)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이색 성형에 의해 핸들 코어(217)를 상 커버체(215)와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하 커버체(218)를, 상 커버체(215), 핸들 코어(217), 및 금형에 장착한 지지축(51)과 일체로 성형한다. 핸들(21)이 비교적 두꺼운 경우, 핸들 코어(217)를 핸들(21)의 두께에 맞추어 두껍게 하고, 상 커버체(215)와 핸들 코어(217)를 얇게 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상 커버체(215)와 핸들 코어(217)에 싱크(sink)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미관의 핸들(21)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지지축(51)을 핸들(21)에 고정함으로써, 지지축(51)의 조립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용기(5)의 개체 차이를 억제하고, 2개의 롤러(11)에 의한 집어 올림이나 밀어 넓힘이라고 하는 기능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a)의 D-D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지지축(51)은, 핸들(21)의 하 커버체(218)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51)은, 다른 부분보다 지름이 큰 대경부(513)를 가진다. 대경부(513)에는, D커트면(514)이 형성되어 있다. D커트면(514)을 포함하는 대경부(513)가 하 커버체(218)와 맞물림 되는 것으로, 지지축(51)이 핸들(21)에 고정된다. 하 커버체(218)는, 롤러(11)에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구멍(118)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114)를 덮는 스커트부(219)를 가진다. 스커트부(219)에 덮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114)의 깨짐이나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롤러(11)의 내부에의 이물의 침입이 저감한다. 스커트부(219)는, 상 커버체(215) 또는 핸들 코어(217)에 형성되어도 된다.
롤러(11)의 베어링 구멍(118)은, 원기둥 모양으로 움푹 패인 구멍이며, 지지축(51)이 삽입된다. 베어링 구멍(118)은, 개구 측과는 반대의 안쪽 단부에, 지지축(5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직경이 측면(115)으로부터 저면(116)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테이퍼면(117)이 형성되어 있다. 안쪽 단부에의 응력 집중이 억제되어, 베어링 구멍(118)으로부터 생기는 균열의 발생이 저감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베어링 구멍(118)의 안쪽 단부를 곡면으로 해도 된다. 베어링 구멍(118)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베어링(61)의 걸림 클로(607)가 끼워지는 오목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클로(607)는, 오목부(119)에 들어간 상태에서, 오목부(119)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113)에 걸린다.
지지축(51)에는, 베어링(61)이 장착된다. 베어링(61)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클로(607)를 가지는 미끄럼 베어링이다. 지지축(51)의 선단에는, 베어링(61)이 삽입된 상태에서 빠짐 방지링(508)이 장착된다. 지지축(51)과 함께 베어링(61)이 베어링 구멍(118)에 삽입되면, 걸림 클로(607)가 베어링 구멍(118)의 오목부(119)에 끼워지고, 베어링(61)의 플랜지부(608)가 베어링 구멍(118)의 개구부에 끼워진다. 롤러(11)가 피부에 눌러 대고 회전하면, 롤러(11)와 함께 베어링(61)도 지지축(51)에 대해서 회전한다.
핸들(21)의 두 갈래부(213)는, 롤러(11)를 향하여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도 18과 같은 단면에서 본 경우에, 그 연장선(L1, L2)이 롤러(11)의 외주에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두 갈래부(213) 나아가서는 핸들(21)과 롤러(11)가 일체의 부재인 것 같은 말끔한 외관이 된다.
도 19는, 도 16의 (b)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롤러(11)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평면(P)은, 핸들(21)의 두 갈래부(213)의 롤러(11) 측의 단면에 평행한 평면을 나타낸다. 도 19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롤러(11) 및 두 갈래부(213)는, 롤러(11)의 회전축(X)과 평면(P)의 법선(N)이 비(非)평행이며, 또한, 회전축(X)에 대해서 다른 쪽의 롤러(11)에 가까운 측 롤러(11)의 부분일수록, 두 갈래부(213)에 덮여져 있지 않은 노출 부분이 많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집어 올려진 피부를 두 갈래부(213)가 방해를 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사용자는 위화감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롤러(11)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에서는, 롤러(11)의 적도(赤道)를 포함하는 평면에 따른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롤러(11)의 적도란, 롤러(1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과 롤러(11)의 외주면이 교차할 수 있는 큰 원을 말한다. 각 롤러(11)의 회전축(X)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지름(L), 2개의 롤러(11)의 간격(D), 2개의 롤러(11)의 회전축의 벌어짐 각(α)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범위의 치수인 경우, 피부(30)의 집어 올림 또는 밀어 넓힘을 적절히 행하기 위해서는, 혹은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원적외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홈(15)에 관한 각 치수는 이하가 바람직하다.
홈 폭(W): 1.1~1.4㎜
홈의 간격(G): 0.5~0.7㎜
홈의 깊이(H): 0.4~0.5㎜
홈의 수: 50~60개
또한, 홈 폭(W)과 홈의 깊이(H)의 관계에 대해서, 홈 폭(W)에 대한 홈의 깊이(H)의 비가 0.36이 바람직하다. 홈 폭(W)에 대한 홈의 깊이(H)의 비가 2.0보다 크면, 즉 홈(15)이 너무 깊으면 피부가 홈(15)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아, 홈(15)이 있는 것에 의해서 오히려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이상,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5)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1)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미용기(5)에 의하면, 롤러(11) 표면에 형성된 홈(15)에 의해 롤러(11)의 그립력이 향상하기 때문에, 보다 가벼운 힘으로 간단하게 피부를 집어 올리거나 밀어 넓히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핸들(21)의 스커트부(219)가 롤러(11)의 베어링 구멍(118)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114)를 덮으므로, 롤러(11)의 깨짐이나 균열, 내부에의 이물의 침입이 저감한다. 이것에 의해, 롤러(11)가 장수명화하여 안정적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으므로, 원적외선 및 집어 올림이나 밀어 넓힘에 의한 미용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발휘할 수 있다. 베어링(61)과 핸들(21) 사이에 충격 흡수부를 마련해도 된다. 낙하시에 롤러(11)가 받는 데미지를 경감시켜, 보다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롤러(11)의 표면에 오목부로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홈(15)을 형성한 구성을 설명했지만, 오목부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자 모양의 홈이나, 골프 볼과 같은 복수의 딤플을 롤러(11)의 표면에 오목부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홈(15)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집어 올림이나 밀어 넓힘이라고 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미용기(5)에 의하면, 롤러(11)에 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롤러(11)에 홈(1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롤러(11)의 표면적이 크고, 따라서 피부(30)와 롤러(11)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피부(30)로부터 보다 빠르고 보다 많은 열이 2개의 롤러(10)에 전해져, 2개의 롤러(10)가 보다 단시간에 피부(30)와 같은 정도의 온도로 따뜻하게 되거나, 혹은 보다 피부(30)에 가까운 온도 즉 보다 높은 온도로 2개의 롤러(10)가 따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부의 혈류 및 림프액의 순환이 보다 촉진된다.
또한, 미용기(5)에 의하면, 롤러(11)에 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롤러(11)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 롤러(11)가 회전하고 있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제품 출하 전의 품질 시험의 하나로서의 눈으로 보는 회전성의 체크가 용이해진다.
또한, 싱크가 생기지 않는 양호한 미관의 핸들(21)을 실현할 수 있으면, 핸들(21)은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핸들(21)은, 2개의 부재, 특히, 싱크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각각이 얇은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핸들(2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핸들(21)은,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핸들(21)을 성형하는데 필요한 금형이 1개로 되므로, 핸들(2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부의 치수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벌어짐 각(α): 70°
롤러간의 간격(D): 11.2㎜
롤러의 최대 지름(L): 40㎜
홈 폭: 1.4㎜
홈과 홈의 거리: 0.7㎜
홈의 깊이: 0.4~0.5㎜
홈의 수: 60개
(제2 실시예)
벌어짐 각(α): 70°
롤러간의 간격(D): 7.6㎜
롤러의 최대 지름(L): 33㎜
홈 폭: 1.1㎜
홈과 홈의 거리: 0.5~0.6㎜
홈의 깊이: 0.4~0.5㎜
홈의 수: 60개
(제3 실시예)
벌어짐 각(α): 70°
롤러간의 간격(D): 7.45㎜
롤러의 최대 지름(L): 27㎜
홈 폭: 1.1~1.2㎜
홈과 홈의 거리: 0.5㎜
홈의 깊이: 0.4~0.5㎜
홈의 수: 50개
본 발명자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5)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실시예의 미용기(5)와, 롤러(11)에 홈(1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미용기(5)와 동일하게 구성된 비교예에 따른 미용기를 이용하여, 체감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을 행했다.
시험은, 20대~40대의 남녀 10명(남성: 5명, 여성: 5명)에 대해서 실시했다. 피험자에게는, 각 시험 전은 20~30분간 안정시켜, 미용기(5)는 오른쪽 뺨에, 비교예의 미용기는 왼쪽 뺨에, 각각 10분간 사용시켰다. 미용기를 움직이는 속도는, 메트로놈(metronome)에 맞추어 1분당 60 왕복의 속도로 하고, 롤러(11)를 피부에 눌러 대는 강도는 본인이 기분 좋다고 생각하는 강도로 했다.
시험 후, 각 피험자에게, 사용 후의 따뜻함(따끈따끈한 느낌)의 체감을 5점 만점으로 하여 평가시켰는데, 미용기(5)에서는 평균으로 4.7점, 비교예의 미용기에서는 평균으로 3.7점이라고 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 시험으로부터, 홈(15)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피부가 따뜻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1~24는 각각,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용기 유닛(300)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25는, 거치대(302)의 사시도이다. 미용기 유닛(300)은, 미용기(5), 거치대(302)를 가진다.
거치대(302)는, 대략 원추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오목부(302a)가 형성되어 있다.
미용기(5)는, 핸들(21)의 일부가 오목부(302a)에 수용되는 형태로 거치대(302)에 놓여진다. 미용기(5)는 특히, 롤러(11)가 미용기(5)에 있어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고, 핸들(21)의 롤러(11)와는 반대 측의 단부가 미용기(5)에 있어서 가장 하측에 위치한 자세로 거치대(302)에 놓여진다. 이때, 핸들(21)의 상 커버체(215)가 대략 원추 형상의 일부를 이루고, 핸들(21) 나아가서는 미용기(5)와 거치대(302)가 일체의 부재인 것 같은 말끔한 외관이 된다. 또한, 롤러(11)는, 뜬 것 같은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롤러(11)는, 거치대(302) 및 그 외의 받침이나 바닥면 등과는 비접촉(즉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또한, 그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그 50%, 또는 예를 들면 그 90%)가 거치대(302)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롤러(11)가 거치대(302) 등과는 비접촉인 것으로, 이것에 의해 롤러(11)를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2의 F-F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거치대(302)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하 커버체(218)가 거치대(302)의 오목부(302a)의 둘레 벽에 기대어진다. 또한, 상 커버체(215)의 롤러(11)와는 반대 측의 단부 측이 거치대(302)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롤러(11)의 중량으로 미용기(5)가 넘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미용기(5)가 거치대(302)에 재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27은, 도 24의 G-G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18에 대응한다. 다만, 도 27에서는, 미용기(5)가 거치대(302)에 놓여진 자세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베어링 구멍(118)은, 개구가 개구와는 반대 측의 단부 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욕실에서 미용기(5)를 사용해, 베어링 구멍(118)에 물이 침입했을 경우, 미용기(5)를 거치대(302)에 놓아두면, 베어링 구멍(118)으로부터 물이 흘러나온다. 스커트부(219)는, 베어링 구멍(118)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핸들(21) 내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과 함께 그 물이 미용기(5) 밖으로 흘러나가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미용기 유닛(300)에 의하면, 미용기(5)의 롤러(11)가 접지하지 않기 때문에, 롤러(11)가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 형태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그들 각 구성요소 혹은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예를 들어, 롤러를 1개 또는 2개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미용기에 마련되는 롤러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은, 롤러가 탄소 성형체 이외의 수지나 금속으로 구성된 미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롤러는, 세라믹, 유리 등, 방사율이 높고 원적외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변형예 1)
도 28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미용기(8)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의 (a)는 미용기(8)의 상면도, 도 28의 (b)는 그 정면도이다. 미용기(8)는, 한 쌍의 롤러(13) 및 핸들(23)을 가진다. 각 롤러(13)는, 각각 핸들(23)의 일단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축(53)에 장착되어 있다. 2개의 지지축(53)은, 롤러(13)의 회전축의 간격이 핸들(23)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롤러(13)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롤러(10)와 같은 재료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구 모양의 탄소 성형체이다. 지지축(53)은 핸들(23)의 하측 또한 타단 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고, 롤러(13)의 회전축(X)과 핸들(20)의 중심선(Y)의 경사각(β)은 90도 미만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중심선(Y)이 피부의 표면에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핸들(23)을 쥐어, 도 28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 L 방향으로 움직이면, 2개의 롤러(13)로 피부를 집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화살표 R 방향으로 움직이면, 2개의 롤러(13)로 피부를 밀어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각(β)을 90도 미만으로 해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같은 사용법이 가능하여, 높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2)
도 29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미용기(9)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의 (a)는 미용기(9)의 상면도, 도 29의 (b)는 그 정면도이다. 미용기(9)는, 4개의 롤러(14) 및 핸들(24)을 가진다. 각 롤러(1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롤러(10)와 같은 재료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구 모양의 탄소 성형체이다. 핸들(24)의 일단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지지축(54)에, 각각 롤러(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핸들(24)의 타단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지지축(54)에, 각각 롤러(14)가 장착되어 있다. 각 지지축(54)은, 롤러(14)에 마련되어 있는 오목부에 삽입되어, 롤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핸들(24)의 일단 측의 2개의 지지축(54)은, 2개의 롤러(14)의 회전축의 간격이 핸들(24)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타단 측의 2개의 지지축(54)도 마찬가지로, 2개의 롤러(14)의 회전축의 간격이 핸들(24)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게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미용기(9)는, 핸들(23)의 일단 측의 2개의 롤러(14) 및 타단 측의 2개의 롤러(14) 각각에 의해, 피부를 집어 올리거나 밀어 넓히거나 하여, 동시에 2군데를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일단 측의 롤러(14) 및 타단 측의 롤러(14)는, 적어도 한쪽의 경사각(β)이 90도 미만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같은 사용법이 가능하여, 높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3)
제1~제5 실시 형태 및 상술한 변형예에서는, 롤러에 형성되는 베어링 구멍이 비(非)관통 구멍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베어링 구멍은 관통 구멍이어도 된다. 이 경우, 롤러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제5 실시 형태 및 상술한 변형예에서는, 롤러의 베어링 구멍에 베어링이 삽입되고, 그 베어링을 통해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시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어링 구멍 대신에 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 구멍의 지지축 구멍이 롤러에 형성되고, 지지축이 지지축 구멍에 삽입되어 지지축 구멍에 직접 고정되어, 핸들이 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 베어링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즉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미용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0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미용기의 롤러(16)와 그 주변을 나타낸다. 도 30의 예에서는, 롤러(16)에는 지지축 구멍(16a)이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350)은, 지지축 구멍(16a)에 삽입되어 지지축 구멍(16a)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350)의 선단(350a)은, 롤러(1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축 구멍(16a)에 진입 불가능하게 변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지축(350)이 수지제인 경우, 열에 의해 선단(350a)을 변형시켜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지지축(350)이 금속인 경우, 압력을 가해 선단(350a)을 변형시켜도 된다. 또한, 지지축(350)의 선단(350a)을 변형시키는 대신에, 지지축(350)의 선단에 지지축 구멍(16a)에 진입 불가능한 다른 부재를 장착해도 된다.
(변형예 4)
제3 실시 형태의 기술 사상과 제5 실시 형태의 기술 사상을 조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5 실시 형태의 거치대(302)는, 제3 실시 형태의 어댑터(4)와 마찬가지로, 제1 급전 단자(41), 제2 급전 단자(42) 및 전원 케이블(45)을 가진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미용기(5)의 핸들(21)에는, 제3 실시 형태의 미용기(3)와 마찬가지로, 제1 수전 단자(251) 및 제2 수전 단자(252)가 마련된다. 또한, 미용기(5)에는, 제1 수전 단자(251) 및 제2 수전 단자(252)로부터 지지축(350)에 연결되는 제1 도선(261) 및 제2 도선(262)이 마련된다. 또한, 각 롤러(11)의 내부에는, 지지축(3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발열체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베어링(61)이 발열체여도 된다. 거치대(302)에 미용기(5)가 놓여지면, 제1 급전 단자(41)와 제1 수전 단자(251)가 접속하고, 제2 급전 단자(42)와 제2 수전 단자(252)가 접속한다. 그리고, 이들 단자, 도선, 및 지지축(350)을 통해서 발열체에 급전되어, 발열체가 발열한다. 각 롤러(11)는 발열체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따뜻하게 되어,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증가한다.
1, 1A, 2, 3, 5, 7, 8, 9: 미용기, 10, 11, 12, 13, 14: 롤러, 15: 홈, 20, 21, 22, 23, 24: 핸들, 50, 51, 53, 54: 지지축, 60, 61, 75: 베어링, 110, 118, 910: 베어링 구멍, 113: 단차부, 601, 607: 걸림 클로.

Claims (4)

  1. 핸들과,
    각각 상기 핸들에 장착되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탄소 성형체이며, 회전축의 간격이 상기 핸들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해 연장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KR1020170122771A 2017-07-05 2017-09-22 미용기 KR20190005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2141 2017-07-05
JPJP-P-2017-132141 2017-07-05
JP2017174381A JP2019013722A (ja) 2017-07-05 2017-09-11 美容器
JPJP-P-2017-174381 2017-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096A true KR20190005096A (ko) 2019-01-15

Family

ID=6490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71A KR20190005096A (ko) 2017-07-05 2017-09-22 미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08718A1 (ko)
KR (1) KR20190005096A (ko)
CN (1) CN109199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12316S (ko) * 2017-12-19 2021-08-23
JP1611940S (ko) * 2017-12-19 2021-08-23
JP1610485S (ko) * 2018-02-14 2021-08-02
USD872294S1 (en) * 2018-02-24 2020-01-07 Shenzhen Upbuty Technology Co., Ltd. Facial massage device
JP1611946S (ko) * 2018-04-11 2021-08-23
JP1612317S (ko) * 2018-04-11 2021-08-23
US10327980B1 (en) * 2018-05-20 2019-06-25 Zafer Termanini Facial roller massager
JP1628351S (ko) * 2018-07-20 2019-04-01
JP1628248S (ko) * 2018-09-14 2019-04-01
JP1646528S (ko) * 2018-10-11 2019-11-25
USD894414S1 (en) * 2019-01-24 2020-08-25 Nurse Jaime, Inc. Sonic massaging beauty roller
KR102356710B1 (ko) * 2019-08-02 2022-0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32524U1 (de) * 1982-11-16 1983-03-31 Niessen, Karl Otto, 1000 Berlin Massagestreckwalze
JP3055522U (ja) * 1998-07-02 1999-01-22 株式会社福島発條製作所 吸引マッサージローラー
WO2004066899A2 (en) * 2003-01-24 2004-08-12 Engii (2001) Ltd. System and method for face and body treatment
US7169120B2 (en) * 2004-05-11 2007-01-30 Murdock Matthew 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ssage
US9345921B2 (en) * 2007-07-11 2016-05-24 Performance Solutions, Llc Therapeutic, fitness, and sports enhancement device
US20080058687A1 (en) * 2006-09-01 2008-03-06 Tzu-Keng Cheng Muscle rolling and pinching structure
CN200987832Y (zh) * 2006-12-13 2007-12-12 范萌 磁性远红外线凸块按摩健康垫
KR100917431B1 (ko) * 2008-09-03 2009-09-14 (주)디티에스랩 피부자극기
KR200457485Y1 (ko) * 2009-07-03 2011-12-22 김문희 휴대용 피부 마사지 기구
JP2012100777A (ja) * 2010-11-08 2012-05-31 Oki Kogei:Kk マッサージ具
JP2012105701A (ja) * 2010-11-15 2012-06-07 Eagle Japan:Kk 美容ローラ
JP2012249821A (ja) * 2011-06-03 2012-12-20 Takeshi Watanabe 人体用刺激伝達装置
JP2013103086A (ja) * 2011-11-16 2013-05-30 Mtg:Kk 美容器
JP5937375B2 (ja) * 2012-02-08 2016-06-22 株式会社 Mtg 美容器
SG11201502547WA (en) * 2012-10-04 2015-05-28 Ya Man Ltd Cosmetic roller
JP6382489B2 (ja) * 2013-02-08 2018-08-29 株式会社 Mtg 美容器
JP5356625B2 (ja) * 2013-06-20 2013-12-04 株式会社 Mtg 美容器
US20180078447A1 (en) * 2016-07-01 2018-03-22 Victor Viner Heated Rolling Massager
KR101699227B1 (ko) * 2016-07-07 2017-01-25 (주)아모레퍼시픽 마사지기
CN206273277U (zh) * 2016-08-17 2017-06-23 郑鹏显 一种新型按摩推拿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9829A (zh) 2019-01-15
US20190008718A1 (en) 2019-01-10
CN109199829B (zh)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5096A (ko) 미용기
WO2013073252A1 (ja) 美容器
WO2015146272A1 (ja) 美容器
US20180140500A1 (en) Beauty device
JP2013176681A (ja) 美容器
US20130281894A1 (en) Thermal type massage device
CN107801115B (zh) 一种基于生理参数设计的耳罩壳体可旋转的头戴式耳机
JP2012100777A (ja) マッサージ具
WO2018189936A1 (ja) 美容器
JP6121026B2 (ja) 美容器
US8622941B2 (en) Hand-held massage device
US20090270779A1 (en) Face Massage Roller
JP7182972B2 (ja) 美容器
JP5702019B2 (ja) 美容器
JP2019013722A (ja) 美容器
JP2020048709A (ja) 美容器
TW201842891A (zh) 美容器
JP2018171333A (ja) 美容器
TWM493300U (zh) 塗抹器
JP3194033U (ja) マッサージ具
JP3194033U7 (ko)
WO2019085552A1 (zh) 一种滚压按摩头及其保健垫
CN218685193U (zh) 眼部按摩棒
JP5840320B2 (ja) 美容器
JP3154366U (ja) 美容ローラー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