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036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036B1
KR101950036B1 KR1020120044233A KR20120044233A KR101950036B1 KR 101950036 B1 KR101950036 B1 KR 101950036B1 KR 1020120044233 A KR1020120044233 A KR 1020120044233A KR 20120044233 A KR20120044233 A KR 20120044233A KR 101950036 B1 KR101950036 B1 KR 10195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transverse frame
cutting device
drop guide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938A (ko
Inventor
마사루 구와지마
도모야 마쯔바야시
도시오 도미나가
다께시 가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12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3/00Outside dividers
    • A01D63/04Non-rotating divi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Abstract

예취부의 하부의 프레임에 대한 짚의 퇴적을 간단한 구성으로 해소하는 콤바인을 구성한다. 예취부의 하부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되는 횡 프레임(26)과, 주 프레임(25)과의 연결 위치에, 전방 하방 자세로 횡 프레임(26)의 상방을 덮는 낙하 가이드 부재(65)를 구비하고, 이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65B)이, 예취부의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의 하단부(Ka)가 이동하는 이동 궤적(L)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 관계를 설정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식립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이 절단 장치로 절단된 예취 곡물대를 반송해서 탈곡 장치의 피드 체인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갖는 예취부가 주행 기체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예취부의 하부에 횡방향 자세의 프레임에 대한 짚이나 풀 등의 퇴적을 억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예취부 저부의 프레임에 대한 짚이나 풀의 퇴적을 억제하는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예취부에 있어서 곡물대를 긁어 넣는 스타 호일에 근접하는 위치에 종방향 자세의 스크레이퍼 축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갖는 제거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거 기구는,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전후 방향 자세의 프레임(특허문헌에서는 2축 케이스)과, 이 프레임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횡방향 자세의 프레임(특허문헌에서는 3축 케이스)이 연결되는 부위의 상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스크레이퍼의 하단부를 연결 부위의 상면에 접근 배치함으로써, 이 연결 부위의 상면에 짚 풀이 저류되고, 덩어리가 형성되는 문제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8486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구동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임의 상면에 퇴적되는 짚을 제거하는 구성에서는, 스크레이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화되기 쉬워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는 구성에서는, 짚의 제거가 가능한 영역을 확대할 경우에도 한계가 있고, 복수의 스크레이퍼를 필요로 하게 되어 더욱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취부의 하부의 프레임에 대한 짚의 퇴적을 간단한 구성으로 해소하는 콤바인을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식립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이 절단 장치로 절단된 예취 곡물대를 반송해서 탈곡 장치의 피드 체인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갖는 예취부가 주행 기체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부가, 상기 식립 곡물대의 분초를 행하는 분초구와, 이 분초구에 의해 분초된 식립 곡물대를 일으켜 세우는 인기(引起) 장치와, 상기 절단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의 종 프레임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회전형의 전동축을 내장한 파이프 형상으로 되는 횡 프레임을 상기 예취부의 하부 위치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상기 종 프레임에 연결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 횡방향자세의 주축 코어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횡 프레임에 연결되는 주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절단 장치로 밑동이 절단된 예취 곡물대를 후방 경사 상방을 향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이 반송 경로의 하측에서, 상기 횡 프레임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 하방으로 되는 경사 자세로, 반송 기구로부터 낙하하는 짚을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측으로 안내해서 낙하시키는 낙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가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의 연결부에서 좌우 일방측과 좌우 타방측에 연장되어 연결되는 판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하단을 상기 횡 프레임의 전단보다 전방 위치이고, 상기 횡 프레임의 상단보다 하방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단을 상기 횡 프레임의 후단보다 후방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수평면에 대한 후방으로 상승하는 경사 각도를 상기 반송 장치로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하단의 이동 궤적의 수평면에 대한 후방으로 상승하는 경사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절단 장치로 밑동이 절단된 예취 곡물대를, 반송 경로를 따라 후방 경사 상방을 향해서 반송할 때에, 이 예취 곡물대에 부착된 짚이 횡 프레임의 상방에서 예취 곡물대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일이 있어도, 그 짚은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고,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 가이드 부재의 경사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해 전단부로부터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어, 횡 프레임의 상면에 퇴적되는 일이 적다.
따라서, 예취부의 하부의 프레임에 대한 짚의 퇴적을 간단한 구성으로 해소하는 콤바인이 구성되고, 짚의 퇴적물이 반송 장치로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를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하여 원활한 반송이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취부가 복수 조 깎기로 구성되고, 상기 반송 장치가 복수 조의 예취 곡물대 중 좌우 일방측의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전달하는 제1 반송 기구와 복수 조의 예취 곡물대 중 좌우 타방측의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제2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경로와 상기 제2 반송 기구의 반송 경로와 합류하는 위치의 하방의 위치에만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를 배치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횡 프레임 또는 상기 주 프레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경사 자세를 따라서 후방으로 상승하는 경사 자세로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를 지지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정하고, 이 낙하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부 위치에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가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부를 통과할 경우에는, 그 예취 곡물대의 하단부에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단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예취 곡물대에 부착되어 있는 짚 등을 적극적으로 탈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예취 곡물대에 부착되어 있는 짚을 적극적으로 탈락시킴으로써,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짚이 낙하해서 반송 장치의 구동계에 휘감기는 문제나, 짚이 탈곡 장치의 내부로 빨려들어가서 탈곡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도 해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절단 장치가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 절단 장치와 상기 횡 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짚을 낙하시켜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절단 장치의 후방에서, 횡 프레임의 전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개방하는 공간에 짚을 낙하시키게 되고, 짚을 무리없이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예취부의 전방부 위치의 측면도.
도 4는 예취부의 정면도.
도 5는 낙하 가이드 부재와 예취 장치와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예취 곡물대와 낙하 가이드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낙하 가이드 부재의 정면도.
도 8은 예취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 9는 공급 반송 체인으로부터 탈곡 장치에 이르는 반송 경로의 평면도.
도 10은 공급 반송 체인과 보조 협지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중계 부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A)의 전단부에 승강 실린더(10)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예취부(B)를 구비하는 동시에, 주행 기체(A)의 전방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C)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A)에 대하여 예취부(B)로부터 예취 곡물대(K)(도 6 참조)가 공급되는 탈곡 장치(D)와, 이 탈곡 장치(D)에서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E)를 구비해서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수확 작업시에 예취부(B)와 탈곡 장치(D)를 구동한 상태에서 주행 기체(A)를 전진시킴으로써 예취부(B)에서 식립 곡물대(J)(도 6 참조)의 밑동을 절단해서 곡물대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한 예취 곡물대(K)를 탈곡 장치(D)로 반송해서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장치(D)의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탱크(E)에 저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운전부(C)에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2)이 구비되는 동시에, 운전 좌석(12)의 전방 위치에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종 레버(13)가 구비되고, 운전 좌석(12)의 측방 위치에 복수의 조작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2)의 하부 위치에는 엔진(도시생략)이 구비되고, 주행 기체(A)의 전방부 위치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3)가 배치되고, 엔진의 구동력은 전동 케이스(3)에 전달된다.
이 전동 케이스(3)의 구동력으로 구동 회전하는 스프로킷(3S)으로부터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되고,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은 예취부(B)와, 탈곡 장치(D)에 전달된다.
조종 레버(13)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차단해서 주행 기체(A)의 조향을 실현한다. 또한, 이 조종 레버(13)가 전후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승강 실린더(1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給排)를 제어해서 예취부(B)의 승강을 행한다.
[예취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B)는 식립 곡물대(J)의 분초를 행하는 복수의 분초구(21)와, 식립 곡물대(J)를 일으켜 세우는 복수의 인기 장치(22)와, 식립 곡물대(J)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G)와, 이 예취 장치(G)에 의해 밑동이 절단된 곡물대를 반송해서 탈곡 장치(D)의 피드 체인(FC)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H)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G)에 의해 밑동이 절단되기 이전의 곡물대를 식립 곡물대(J)라고 칭하고, 예취 장치(G)에 의해 밑동이 절단되어 반송 장치(H)에 의해 반송되는 곡물대를 예취 곡물대(K)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예취부(B)는 기체 프레임의 전단부의 예취부 지지대(23)에 대하여 횡방향 자세의 주축 코어(X)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둥근 파이프 형상의 지지 프레임(24)과, 이 지지 프레임(2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파이프 형상의 주 프레임(25)과, 이 주 프레임(25)의 하단부 위치에 연결되는 횡방향 자세로 파이프 형상의 횡 프레임(26)과, 이 횡 프레임(26)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인기 장치(2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프레임(27)을 구비하는 동시에, 횡 프레임(26)의 양 단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자세의 좌우 한쌍의 종 프레임(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취부(B)에서는, 지지 프레임(24)과 주 프레임(25)과 횡 프레임(26)과 전동 프레임(27)의 내부에 전동축(도시생략)이 구비되고, 지지 프레임(24)의 전동축에 대하여 전동 케이스(3)로부터 주행 속도에 동기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계(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4)의 전동축의 구동력은 횡 프레임(26)의 전동축으로부터 전동 프레임(27)의 전동축에 순차로 전달되어 예취부(B)의 인기 장치(22), 반송 장치(H)에 전달된다. 또한, 종 프레임(28)은 예취부(B)의 저부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 예취 장치]
예취부(B)의 저부에는, 좌우의 종 프레임(28)에 양 단부가 연결되는 횡방향 자세의 각(角) 파이프 형상의 중간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중간 프레임(30)의 전방부 위치에 예취 장치(G)가 구비되어 있다.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장치(G)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날대(31)의 상면에 다수의 칼날체를 리벳 등으로 고정한 고정날(32)을 갖고, 이 상측에 배치되는 나이프 바(33)의 하면에 복수의 칼날체를 리벳 등으로 고정한 가동날(34)을 갖고, 고정날(32)에 가동날(34)을 압접시키는 압박 부재(35)를 갖고, 이들을 포갠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연결 볼트(36)에 의해 받침날대(31)를 연결 플레이트(37)에 연결하고, 이 연결 플레이트(37)가 종 프레임(28)에 연결됨으로써 예취 장치(G)가 좌우의 종 프레임(28)에 지지되어 있다.
이 예취 장치(G)는 고정날(32)과 가동날(34)을 구성하는 복수의 칼날체의 선단부가 첨예(尖銳)하게 되는 삼각 형상이며, 가동날(34)이 횡방향으로 왕복 구동됨으로써 각각의 칼날체로부터 식립 곡물대(J)에 대하여 전단 방향에 힘을 작용시켜서 식립 곡물대(J)의 절단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 반송 장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B)는 4개의 인기 장치(22)를 구비함으로써 4조 깎기로 구성되고, 반송계의 전방부 위치에서 각각의 인기 장치(22)의 후방부의 하부 위치에는, 식립 곡물대(J)의 밑동을 긁어모으도록 다수의 걸림 아암이 일체 형성된 반송 벨트(39)와, 이 반송 벨트(39)와 동기해서 회전하는 별형상의 패커(packer)(40)를 조합한 긁어모음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반송 장치(H)는, 전술한 우측의 긁어모음 기구로부터 2조분의 예취 곡물대(K)를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H1)와, 전술한 좌측의 긁기 포함 기구로부터 좌측의 2조분의 예취 곡물대(K)를 반송해서 제1 반송 기구(H1)에 합류시키는 제2 반송 기구(H2)를 구비하고, 예취 곡물대(K)를 후방 경사 상방을 향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반송 기구(H1)는 예취 곡물대(K)의 밑동을 전방부 협지 로드(41A)를 따라 협지 반송하는 전방부 반송 체인(41)과, 탈곡 깊이 조절을 위해 자세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예취 곡물대(K)의 밑동을 중간 협지 로드(42A)를 따라 협지 반송하는 중간 반송 체인(42)과, 예취 곡물대(K)의 밑동을 협지 로드(50)를 따라 협지 반송해서 탈곡 장치(D)에 공급하는 공급 반송 체인(43)을 반송 방향을 따라 순차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 전방부 반송 체인(41)과 중간 반송 체인(42)과 공급 반송 체인(43)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의 이삭끝부를 걸림반송하는 제1 이삭끝 반송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반송 기구(H2)는 예취 곡물대(K)의 밑동을 합류 협지 로드(46A)를 따라 협지 반송하는 합류 반송 체인(46)과, 이 합류 반송 체인(46)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의 이삭끝부를 걸림반송하는 제2 이삭끝 반송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삭끝 반송부(44)는 무단부 체인에 대하여 기복(起伏) 가능하게 다수의 걸림 갈고리(44A)를 구비한 구조를 갖고 있고, 예취 곡물대(K)의 반송을 행하는 영역에 있어서 걸림 갈고리(44A)를 인기시킴으로써, 이 걸림 갈고리(44A)를 예취 곡물대(K)의 이삭끝측에 접촉시켜서 반송력을 작용시킨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반송 체인(43)의 협지 로드(50)는 예취 곡물대(K)를 공급 반송 체인(43)을 향해서 압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협지 로드(50)에 연결하는 한쌍의 지지축(51)이 홀더(5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협지 스프링(53)에 의해 돌출 가압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홀더(52)는 프레임을 통해서 예취부(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공급 반송 체인(43)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의 밑동을 피드 체인(FC)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54)가 공급 반송 체인(43)의 하측으로부터 피드 체인(FC)의 근방에 도달하는 위치에 걸쳐서 구비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반송 체인(43)의 상부를 덮는 커버체(55)가 구비되고, 협지 로드(50)의 종단부[탈곡 장치(D)측의 단부]를 통과한 예취 곡물대(K)의 탈락을 저지하는 스프링판제의 보조 협지체(56)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보조 협지체(56)는 기단부(56A)를 볼트에 의해 홀더(52)의 상면에 고정하고, 중간부를 공급 반송 체인(43)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완만하게 만곡시키고, 후단부(56B)를 협지 로드(50)의 종단부 위치를 협지 로드(50)의 후단부 위치보다 더후방으로 돌출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보조 협지체(56)는 공급 반송 체인(4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작용시키고, 이 공급 반송 체인(4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주행 기체(A)의 외측]으로 양호하게 탄성 변형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의 변형을 행하기 어려운 자세로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공급 반송 체인(43)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가 협지 로드(50)의 종단부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보조 협지체(56)가 가압력을 작용시켜서 탈락을 방지한다.
탈곡 장치(D)의 전방면에는, 피드 체인(FC)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가 공급되는 곡물대 공급구(5)가 형성되고, 탈곡 장치(D)의 전방면에는 예취 곡물대(K)를 가로쓰러짐 자세로 곡물대 공급구(5)로 안내하는 공급 가이드판(6)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D)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 자세의 구동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급동(扱胴:도시생략)과, 이 하측에 있어서 급동의 외주를 따르는 원호 형상의 받침망(도시생략)이 구비되고, 이 급동과 받침망 사이의 공간에 예취 곡물대(K)의 이삭끝측을 가로쓰러짐 자세로 공급하기 위해서, 곡물대 공급구(5)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급 가이드판(6)은 곡물대 공급구(5)의 하측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55)의 후단부에는, 제1 이삭끝 반송부(44)보다 낮은 위치에서 후방을 향해서 지지 플레이트(57)가 돌출 설치되고, 이 지지 플레이트(57)의 상면과 공급 가이드판(6)의 상면에 걸쳐서 고무판제의 중계재(5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계재(58)는 예취부(B)의 승강에 수반하여 공급 반송 체인(43)과 탈곡 장치(D)의 상대 높이가 변동했을 경우에도 예취 곡물대(K)를 원활하게 곡물대 공급구(5)에 공급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변형가능한 소재가 사용되고, 가이드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중계재(58)로서 천재(布材)를 사용해도 된다.
중계재(58)는, 전단부가 지지 플레이트(57)의 전단부와 커버체(55)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상태에서 볼트(59)에 의해 고정되고, 후단부는 공급 가이드판(6)의 상면에 탑재 부착되어 있다. 특히, 중계재(58)가 유연하게 변형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공급 반송 체인(43)과 공급 가이드판(6)과의 중간 위치에서의 중계재(58)가 아래로 처지는 일도 있고, 이 처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지지 플레이트(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아래로 처짐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서 지지 플레이트(57)에는 주행 기체(A)의 중앙측으로 돌출하는 자세의 보조 플레이트(57A)를 구비하고, 공급 가이드판(6)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보조 브래킷(6A)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프레임(30)의 중간 위치에 3개의 보조 종 프레임(60)이 구비되고, 좌우의 종 프레임(28)과 3개의 보조 종 프레임(60)의 전단부에 분초구(分草具)(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5개의 분초구(21) 중 중앙측 3개의 분초구(21)는 보조 종 프레임(60)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중앙 위치의 분초구(21)와, 중앙 위치의 2개의 인기 장치(22) 상부의 중간 위치 사이에 분초 레버(61)가 구비되어 있다. 이 분초 레버(61)의 하단부는 중앙 위치의 분초구(21)를 상하로 관통해서 보조 종 프레임(60) 전단부의 브래킷(60A)에 연결하고, 상단부는 4개의 인기 장치(22)의 상부를 연결하는 횡방향 자세의 연결 프레임(6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 연결판(63)에 연결되어 있다.
이 분초 레버(61)는 중앙 위치의 분초구(21)의 선단 위치보다 조금 후방부에 배치되는 것이지만, 분초 레버(61)의 전체가 인기 장치(22)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식립 곡물대(J)가 서로 얽히는 상태에서 높은 위치까지 분초를 행하도록 기능한다.
[예취부: 낙하 가이드 부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프레임(25)의 하단부의 전면의 일부와, 이 주 프레임(25)에 연결되는 횡 프레임(26)의 일부에 걸치는 영역을 덮는 부위에 판형상의 낙하 가이드 부재(65)가 구비되어 있다. 이 낙하 가이드 부재(65)는, 예취 장치(G)에 의해 절단되어 반송 장치(H)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에 부착되어 이동하는 짚이나 풀 등의 부착물을 횡 프레임(26)의 전방에서, 중간 프레임(30)의 후방의 개방 공간(S)에 낙하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측면에서 보아 전방 하방으로 되는 경사 자세에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낙하 가이드 부재(65)에는 표면이 평활한 강판이 사용되고 있지만, 수지판을 사용해도 된다.
횡 프레임(26)은 좌측의 좌 프레임(26L)과 우측의 우 프레임(26R)으로 이루어지는 2부재를 동축심상에 배치하고, 서로의 플랜지 연결부(26A)에 있어서 볼트 연결하는 동시에, 이 플랜지 연결부(26A)의 근방에 피연결부(26B)를 형성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피연결부(26B)에 대하여 주 프레임(25)의 하단부의 플랜지부(25A)가 볼트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 부위에 주 프레임(25)의 내부의 전동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횡 프레임(26)의 내부의 전동축에 전달하는 베벨 기어 기구(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이 플랜지 연결부(26A)와 피연결부(26B)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하단부에는 개구(65A)가 형성되어 있다.
주 프레임(25)의 하단부의 플랜지부(25A)의 상면에는, 상단부측 일수록 후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 자세의 제1 지지 부재(66)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우 프레임(26R)의 상면에는, 상단부측 일수록 후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 자세의 제2 지지 부재(67)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1 지지 부재(66)와 제2 지지 부재(67)는 평행 자세로 구비되는 것이며, 제1 지지 부재(66)와 제2 지지 부재(67)의 전면측에 낙하 가이드 부재(65)를 배치하고, 낙하 가이드 부재(65)에 형성된 긴 구멍(65H)에 나사(68)를 삽입 관통하고, 제1 지지 부재(66)와 제2 지지 부재(67)의 너트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낙하 가이드 부재(65)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65H)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긴 구멍(65H)에 의해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설치 위치를 상하 방향에서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낙하 가이드 부재(65)는, 제1 반송 기구(H1)의 반송 경로에 대하여 제2 반송 기구(H2)의 반송 경로가 합류하는 위치의 하방 위치이며, 반송 장치(H)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의 하단부(절단부)가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부(65B)에 접촉하도록, 이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부(65B)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립 곡물대(J)의 밑동이 예취 장치(G)에 의해 절단되어, 예취 곡물대(K)로서 다시 후방으로 보내진 후에, 반송 장치(H)에 의해 반송될 경우에는, 예취 곡물대(K)가 후방 경사 상방으로 보내지게 되고, 하단부(Ka)(절단부)는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이동 궤적(L)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부(65B)를 이동 궤적(L)보다 조금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예취 곡물대(K)의 하단부(Ka)를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부(65B)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낙하 가이드 부재(6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취 곡물대(K)에 부착되는 짚이나 풀 등의 부착물이 자연히 낙하될 경우에는, 이 부착물은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면을 따라서 개방 공간(S)에 보내져 횡 프레임(26)보다 전방 위치의 포장면에 낙하한다. 또한, 짚이나 풀 등의 부착물이 자연히 낙하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어도, 반송에 수반하여 예취 곡물대(K)의 하단부(Ka)가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부(65B)에 접촉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낙하하는 것으로 되고, 부착물은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면을 따라서 개방 공간(S)에 보내져 횡 프레임(26)보다 전방 위치의 포장면에 낙하한다. 이에 의해 횡 프레임(26)의 상면이나 주 프레임의(24)의 전방부에 짚이나 풀 등이 퇴적하는 문제가 해소되고, 이 퇴적이 성장해서 예취 곡물대(K)의 반송을 저해하는 문제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한,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65B)의 위치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예취 곡물대(K)의 부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도 가능해지지만, 이 상단(65B)을 높게 설정했을 경우에는, 예취 곡물대(K)의 반송 저항을 증대시켜, 예취 곡물대(K)의 반송 자세를 혼란스럽게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짚이나 풀 등의 양은 작업 환경에 의해 다른 것이다. 따라서, 짚이나 풀 등의 양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는,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65B)의 위치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예취 곡물대(K)에 작용하는 반송 저항의 증대나 반송 저항의 흐트러짐의 문제를 다소 허용하면서 부착물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게도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수확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식립 곡물대(J)가 서로 얽히는 상태로 쓰러져 있어도 분초 레버(61)가 양호하게 분초하고, 인기 장치(22)가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기 장치(22)에 의해 일으켜 세워진 식립 곡물대(J)는 긁어 넣음 기구에 의해 긁어 넣어져, 밑동이 절단됨과 거의 동시에, 제1 반송 기구(H1)와 제2 반송 기구(H2)에 의한 반송이 개시되고, 제1 반송 기구(H1)에 의해 예취 곡물대(K)가 반송되는 경로에, 제2 반송 기구(H2)의 예취 곡물대(K)가 합류하는 상태로 반송된다. 이 합류부의 하방 위치에는 낙하 가이드 부재(6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합류 위치에 있어서 예취 곡물대(K)에 부착되어 있는 짚이나 풀이 예취 곡물대(K)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했을 경우에도, 낙하 가이드 부재(65)가 횡 프레임(26)의 전방의 개방 공간(S)으로부터 포장면으로 낙하시킴으로써, 짚이나 풀 등이 횡 프레임(26)의 상면이나 주 프레임(25)의 상면에 퇴적되는 일이 없다. 특히, 예취 곡물대(K)가 합류부를 통과할 때는 예취 곡물대(K)의 절단부에 낙하 가이드 부재(65)의 상단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예취 곡물대(K)에 부착되어 있는 짚이나 풀을 직접적으로 탈락시키는 것이나, 예취 곡물대(K)를 진동시킴으로써 짚이나 풀을 흔들어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도 짚이나 풀을 횡 프레임(26)의 상면 등에 퇴적시키는 문제를 해소한다.
반송 장치(H)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K)는 공급 반송 체인(43)에서 협지 반송될 때에, 가이드 로드(54)에 의애 밑동측이 들어 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가로로 쓰러지는 자세가 되고, 밑동이 피드 체인(FC)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예취 곡물대(K)가 피드 체인(FC)에 전달될 경우에는, 협지 로드(50)의 후단부로부터 이탈하게 되기 때문에, 비협지 상태에 빠져 협지 로드(50)의 후단부로부터 탈락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그러나, 보조 협지체(56)가 예취 곡물대(K)를 공급 반송 체인(43)이나 커버체(55)에 압박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예취 곡물대(K)의 탈락이 억제된다.
다음에, 피드 체인(FC)에 의해 예취 곡물대(K)가 탈곡 장치(D)에 공급될 경우에는, 이삭끝 부분이 제1 이삭끝 반송부(44)로부터 이탈하는 동시에, 예취 곡물대(K)의 줄기대가 공급 반송 체인(43)의 상부의 커버체(55)의 상면을 활주하는 상태로 중계재(58)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이동시에는 예취 곡물대(K)의 중량에 의해 중계재(58)의 중간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기 쉬운 상태로 되지만, 중계재(58)의 하측에 지지 플레이트(57)와, 보조 플레이트(57A)와, 보조 브래킷(6A)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계재(58)의 중간 부분의 처짐이 억제되어, 예취 곡물대(K)를 원활하게 공급 가이드판(6)으로부터 곡물대 공급구(5)로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취 곡물대를 반송해서 탈곡 장치로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21 : 분초구
22 : 인기 장치
26 : 횡 프레임
28 : 종 프레임
65 : 낙하 가이드 부재
65B : 상단
A : 주행 기체
B : 예취부
D : 탈곡 장치
FC : 피드 체인
G : 절단 장치
H : 반송 장치
J : 식립 곡물대
K : 예취 곡물대
Ka : 하단부
S : 공간(개방 공간)

Claims (9)

  1. 식립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와, 이 절단 장치로 절단된 예취 곡물대를 반송해서 탈곡 장치의 피드 체인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갖는 예취부가 주행 기체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가, 상기 식립 곡물대의 분초를 행하는 분초구와, 이 분초구에 의해 분초된 식립 곡물대를 일으켜 세우는 인기 장치와, 상기 절단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의 종 프레임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회전형의 전동축을 내장한 파이프 형상으로 되는 횡 프레임을 상기 예취부의 하부 위치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상기 종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 횡방향자세의 주축 코어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횡 프레임에 연결되는 주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절단 장치에 의해 밑동이 절단된 예취 곡물대를 후방 경사 상방을 향하는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이 반송 경로의 하측에서, 상기 횡 프레임의 상측에 있어서 전방 하방으로 되는 경사 자세로, 반송 기구로부터 낙하하는 짚을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측으로 안내해서 낙하시키는 낙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가 상기 횡 프레임과 상기 주 프레임의 연결부에서 좌우 일방측과 좌우 타방측에 연장되어 연결되는 판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하단을 상기 횡 프레임의 전단보다 전방 위치이고, 상기 횡 프레임의 상단보다 하방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단을 상기 횡 프레임의 후단보다 후방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수평면에 대한 후방으로 상승하는 경사 각도를 상기 반송 장치로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하단의 이동 궤적의 수평면에 대한 후방으로 상승하는 경사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가 복수 조 깎기로 구성되고,
    상기 반송 장치가 복수 조의 예취 곡물대 중 좌우 일방측의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전달하는 제1 반송 기구와 복수 조의 예취 곡물대 중 좌우 타방측의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제2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기구의 반송 경로와 상기 제2 반송 기구의 반송 경로와 합류하는 위치의 하방의 위치에만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 또는 상기 주 프레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경사 자세를 따라서 상단부측 일수록 후방을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콤바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정하고, 이 낙하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부 위치에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의 상단부를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상태로 설정하고, 이 낙하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부 위치에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가,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 절단 장치와 상기 횡 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짚을 낙하시키는, 콤바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가,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 절단 장치와 상기 횡 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짚을 낙하시키는, 콤바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가,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 절단 장치와 상기 횡 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짚을 낙하시키는, 콤바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가, 상기 횡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 절단 장치와 상기 횡 프레임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짚을 낙하시키는, 콤바인.
KR1020120044233A 2011-04-28 2012-04-27 콤바인 KR101950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1471 2011-04-28
JP2011101471A JP5778468B2 (ja) 2011-04-28 2011-04-2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938A KR20120122938A (ko) 2012-11-07
KR101950036B1 true KR101950036B1 (ko) 2019-02-19

Family

ID=4743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233A KR101950036B1 (ko) 2011-04-28 2012-04-27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78468B2 (ko)
KR (1) KR101950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282B1 (ko) * 2014-02-26 2022-07-1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6861023B2 (ja) * 2016-12-20 2021-04-2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KR20210001949A (ko) * 2019-06-27 2021-01-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019A (ja) * 2002-09-13 2004-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燃料タンク構造
JP2007143476A (ja) * 2005-11-28 2007-06-1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JP4594514B2 (ja) 2000-12-12 2010-12-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16Y2 (ko) * 1978-06-05 1986-02-01
JPS5711928U (ko) * 1980-06-24 1982-01-21
JPS60262529A (ja) * 1984-06-12 1985-12-25 井関農機株式会社 刈取機のフレ−ム
JPH11137053A (ja) * 1997-11-13 1999-05-25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JP4111665B2 (ja) 2000-09-07 2008-07-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4514B2 (ja) 2000-12-12 2010-12-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04105019A (ja) * 2002-09-13 2004-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燃料タンク構造
JP2007143476A (ja) * 2005-11-28 2007-06-1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938A (ko) 2012-11-07
JP2012231712A (ja) 2012-11-29
JP5778468B2 (ja)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5917B2 (en) Combine head with conveyor belt assemblies
US8166738B1 (en) Combine header with crop compression rollers
CN107258217B (zh) 收割机用的收割预处理装置
KR101950036B1 (ko) 콤바인
KR101300922B1 (ko) 탈곡 장치
JP6704137B2 (ja) 根菜類収穫機
JP2020065501A (ja) コンバイン
JP2020065502A (ja) コンバイン
JP5200390B2 (ja) 根菜類収穫機
JP2013220054A (ja) 収穫機
JP5321391B2 (ja) 根菜類収穫機
JPH10313634A (ja) 農産物収穫機における収穫物搬送装置
JP5975632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2020110109A (ja) 作物収穫機
JP5864353B2 (ja) 収穫機用の収穫前処理装置
JP7105741B2 (ja) コンバイン
JP2020039294A (ja) コンバイン
JP7275077B2 (ja) コンバイン
JP3662726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JP3300180B2 (ja) 農産物収穫機
JP7123012B2 (ja) コンバイン
JP6211050B2 (ja) 収穫機用の収穫前処理装置
JP2003000033A (ja) コンバインの株元移送装置
JP2002272233A (ja) 乗用型根菜類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