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862B1 -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 Google Patents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862B1
KR101948862B1 KR1020180102244A KR20180102244A KR101948862B1 KR 101948862 B1 KR101948862 B1 KR 101948862B1 KR 1020180102244 A KR1020180102244 A KR 1020180102244A KR 20180102244 A KR20180102244 A KR 20180102244A KR 101948862 B1 KR101948862 B1 KR 10194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ir
cooling chamber
evaporator
pcm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근
김현철
이광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80102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위 또는 지면에 탑재 또는 설치되는 저온 식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컨테이너 외부에 설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증발기의 증발관에는 PCM 모듈이 결합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감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전방의 냉각실과 상기 저온 식품 등을 저장하는 후방의 저장실로 구획하되, 상부에는 좌우 중간 지점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흡입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 상측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기 토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증발관에 결합된 PCM 모듈이 전후로 일정간격 분리 설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냉각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드 존 없이 PCM 모듈 전체를 통해 고르게 순환하면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각실 내부의 전후에 설치된 PCM 모듈이 적상(積想)으로 인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후 PCM 모듈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는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Low temperature storeroom with air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의 전방에 설치되는 격벽을 통해 PCM(Phase Change Material : 상변화 물질) 모듈이 설치되는 냉각실과 저온 식품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실로 구획하는 한편, 격벽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냉각실의 공기를 저장실로 순환시키고 상기 격벽의 하측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실로 순환시키도록 하되, 상기 흡입구를 통해 냉각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드 존 없이 PCM 모듈 전체를 통해 고르게 순환하면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냉각실 내부의 전후에 설치된 PCM 모듈이 적상(積想)으로 인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후 PCM 모듈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냉동/냉장) 저장식품 등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은 공냉 시스템을 갖춘 컨테이너를 탑재하고 있는데, 그 예로서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6217호 2009.09.01.등록.)에는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이 발명되어 있다.
상기 종래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저온 저장실 및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실로 구획하고, 상기 저온 저장실의 공기를 상기 냉각실로 흡입시키기 위한 흡입구 및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갖는 구획패널과, 상기 냉각실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냉각시 냉열을 방출할 수 있는 축냉 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축냉(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과, 상기 저온 저장실, 상기 냉각실 및 상기 냉기안내 유로 사이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축냉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축냉 모듈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발명을 도 1 및 도 2에 의거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송풍기(50)를 이용하여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42)는 구획패널(4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PCM 모듈(34b)은 냉각실(20a)의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PCM 모듈(34b)의 하부 중간 부분에는 상기 하부 양측의 흡입구(4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지 못하는 배드 존(bad zone)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 냉각실(20a) 내부에 설치된 PCM 모듈(34b)의 전후 간격이 협소하기 때문에 상기 PCM 모듈(34b)의 표면에 적상(積想) 발생시 서로 붙어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셋째, 상기 흡입구(42)는 구획패널(40)의 일정 높이를 관통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저장실 내부의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쉽게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증기의 유입을 억제하지 못하면 상대적으로 앞서 설명한 PCM 모듈(34b)에서 적상 현상이 촉진되는 단점이 있다.
넷째, 상기 컨테이너(20) 바닥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PCM 모듈(34b)을 포함하는 증발기(34) 프레임과 직접 맞닿는 바닥에 냉기전도 현상으로 인한 온도 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컨테이너(20) 바닥 부분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중간 또는 상부의 온도와 큰 편차를 보이는 단점이 있다.
다섯째, 차량 위에 압축기 등의 공냉 시스템 및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저온 저장고로 적용되는 구성이 필수적으로 차량 위에 탑재됨으로써 별도의 지면에 설치하여 저온 저장고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6217호 2009.09.01.등록.
본 발명은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냉각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드 존 없이 PCM 모듈 전체를 통해 고르게 순환하면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각실 내부의 전후에 설치된 PCM 모듈이 적상(積想)으로 인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후 PCM 모듈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저장실 내부의 수증기가 냉각실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하는 증발기 프레임이 직접 맞닿는 바닥에 냉기전도 현상으로 인한 온도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는 것이 아닌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차량용이 아닌 지상용의 저온 저장고로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위에 탑재되는 저온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컨테이너 외부에 설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증발기의 증발관에는 PCM 모듈이 결합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감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전방의 냉각실과 상기 저온 식품 등을 저장하는 후방의 저장실로 구획하되, 상부에는 좌우 중간 지점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흡입구가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 상측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기 토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증발관에 결합된 PCM 모듈이 전후로 일정간격 분리 설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의 상단은 상기 컨테이너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된 단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된 단부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격벽의 절곡된 단부 상에 상기 냉기 토출팬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구 하측의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냉각실과 저장실로 구획하는 상기 격벽에는 전방측으로 하향 절곡된 경사 단면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벽의 후방 저장실측에는 상기 흡입구를 은폐시키면서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흡입구의 하부를 경유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커튼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전방 냉각실측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막아 상기 경사 단면을 경유하여 냉각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스크린이 설치된다.
상기 컨테이너의 냉각실 바닥에는 상기 컨테이너 바닥과 상기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의하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냉각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드 존 없이 PCM 모듈 전체를 통해 고르게 순환하면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각실 내부의 전후에 설치된 PCM 모듈이 적상(積想)으로 인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후 PCM 모듈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순환하는 공기의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의하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저장실 내부의 수증기가 냉각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PCM 모듈에 발생하는 적상 현상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고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의하면 컨테이너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의 프레임이 직접 맞닿는 바닥에 냉기전도 현상으로 인한 온도 저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하는 것이 아닌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차량용이 아닌 지상용의 저온 저장고로 활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공냉 시스템을 갖는 컨테이너 차량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를 도시한 전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대한 다른 사용상태로서, 차량 위에 탑재되는 것이 아닌 지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위에 탑재되는 저온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20)와, 상기 컨테이너(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20) 외부에 설치되는 압축기(31) 및 응축기(32)와 컨테이너(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압기(33) 및 증발기(34)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증발기(34)의 증발관(34a)에는 PCM 모듈(34b)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는 특히, 상기 컨테이너(20)를 상기 감압기(33) 및 증발기(34)가 설치되는 전방의 냉각실(20a)과 상기 저온 식품 등을 저장하는 후방의 저장실(20b)로 구획하되, 상부에는 좌우 중간 지점에 토출구(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흡입구(120)가 형성된 격벽(100); 및 상기 격벽 상측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기 토출팬(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증발관(34a)에 결합된 PCM 모듈(34b)이 전후로 일정간격('D') 분리 설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식품 등의 운송을 위한 통상의 화물용 차량으로서의 차량(10) 위에 탑재되되 특히, 차량(10)의 후방 위에 탑재되며, 물론 도 6을 참고하여 후술될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의 요부인 상기 컨테이너(20)는 저온(냉동/냉장을 포함한다.) 식품 등을 싣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차량에 탑재시 차량의 운전석 방향)에는 공냉 시스템이 설치되고, 후방(차량에 탑재시 차량의 후미 방향) 또는 측방에는 저온 식품 등을 싣거나 내리기 위한 개폐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냉 시스템(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20) 내부의 공기를 차갑게 유지하는 것으로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31)와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응축기(32)가 차량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에 설치되고,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기(33) 및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증발기(34)가 컨테이너(20) 내부의 전방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감압기와 증발기는 후술하는 격벽(100)으로 구획된 컨테이너(20)의 냉각실(20a)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34)는 냉매가 지나가는 증발관(34a)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증발관에 PCM 모듈(34b)을 설치한 것으로서, PCM(Phase Change Material: 상 변화 물질) 모듈(34b)은 액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주위 온도를 저온으로 오랜 시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격벽(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20)를 상기 감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전방의 냉각실(20a)과 상기 저온 식품 등을 저장하는 후방의 저장실(20b)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좌우 중간 지점에 토출구(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흡입구(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토출구(110)를 통해 배출된 차가운 공기가 컨테이너(20)의 저장실(20b) 전체를 순환한 후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20)를 통해 냉각실(20a)로 순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흡입구(120)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길게 형성된 흡입구(120)를 통해 냉각실(20a) 전체로 균일한 량의 공기가 흡입되고, 그로 인해 앞서 설명한 PCM 모듈(34b)을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배드 존 없이 PCM 모듈(34b) 전체를 통해 공기가 순환하면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격벽(100)은 일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컨테이너(20)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된 단부(130)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된 단부에 토출구(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곡된 단부(130)와 컨테이너(20)의 상면 사이에 이격된 높이는 후술하는 냉기 토출팬이 설치될 수 있는 높이로 한다.
상기 격벽(100)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0) 하측의 격벽에는 전방측으로 하향 절곡된 경사 단면(14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벽(100)의 후방 저장실측에는 상기 흡입구(120)를 은폐시키면서 상기 저장실(20b)의 냉기가 흡입구(120)의 하부를 경유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커튼(150)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100)의 전방 냉각실측에는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막아 상기 경사 단면(140)을 경유하여 냉각실(20a)로 유입되도록 하는 스크린(16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커튼(150), 스크린(160) 및 경사 단면(140)을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상부에서 다시 하부로 하부에서 다시 상부로 역전되는 과정을 통해 냉각실(20a)로 유입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저장실 내부의 수증기가 냉각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내지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냉기 토출팬(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00) 상측의 토출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실(20a)의 공기를 상기 저장실(20b)로 강제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냉기 토출팬(200)을 하나만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전류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이고, 저장실(20b) 내부로 냉기를 고르게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냉기 토출팬(200)은 앞서 설명한 격벽(100)의 절곡된 단부(130) 상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저장실(20b)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기 토출팬(200)은 상기 격벽(100) 상측의 토출구(110)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실(20a)의 공기를 상기 저장실(20b)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팬으로서, 특히 시로코 팬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실(20a)에 상기 증발기(34)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34a)에 결합된 PCM 모듈(34b)이 전후로 일정간격('D') 분리 설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은 전후에 설치되는 PCM 모듈(34b)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적상으로 인해 전후의 PCM 모듈(34b) 사이가 달라붙어 공기의 순환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전후 PCM 모듈(34b)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하면서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20)의 냉각실(20a) 바닥에 상기 컨테이너(20) 바닥과 상기 PCM 모듈(34b)을 포함한 증발기(34)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단열부재(300)는 금속 재질의 컨테이너(20) 바닥과 증발기(34)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20)의 냉각실(20a) 바닥에는 상기 컨테이너(20)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34)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300)가 설치되되, 상기 단열부재(300)는 상기 컨테이너(20)의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34) 사이와 함께, 상기 컨테이너(20)의 냉장실(20b) 하부영역과 냉각실(20a) 하부영역 사이에 대하여서도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열부재(3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실(20a)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격벽의 경사 단면 상단부분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20)가 차량이 아닌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압축기(31)도 상기 컨테이너(20)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컨테이너(20)의 외부 일 측에 대한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는 선택적으로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 차량에 탑재하는 것이 아닌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차량용이 아닌 지상용의 저온 저장고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부의 좌우로 길게 형성된 흡입구(120)를 통해 냉각실(20a)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드 존 없이 PCM 모듈(34b) 전체를 통해 고르게 순환하면서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각실(20a) 내부의 전후에 설치된 PCM 모듈(34b)이 적상(積想)으로 인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후 PCM 모듈(34b)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순환하는 공기의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하부의 흡입구(120)를 통해 저장실(20b) 내부의 수증기가 냉각실(2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PCM 모듈에 발생하는 적상 현상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고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20) 바닥과 PCM 모듈(34b)을 포함한 증발기(34)의 프레임이 직접 맞닿는 바닥에 냉기전도 현상으로 인한 온도 저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차량
20: 컨테이너 20a: 냉각실
20b: 저장실
30: 공냉 시스템 31: 압축기
32: 응축기 33: 감압기
34: 증발기 34a: 증발관
34b: PCM 모듈
100: 격벽 110: 토출구
120: 흡입구 130: 단부
140: 경사 단면 150: 커튼
160: 스크린
200: 냉기 토출팬
300: 단열부재

Claims (6)

  1. 차량(10) 위에 탑재되는 저온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20)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컨테이너 외부에 설치되는 압축기(31) 및 응축기(32)와 컨테이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감압기(33) 및 증발기(34)로 이루어지되, 상기 증발기(34)의 증발관(34a)에는 PCM 모듈(34b)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컨테이너(20)를 상기 감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전방의 냉각실(20a)과 상기 저온 식품을 저장하는 후방의 저장실(20b)로 구획하되, 상부에는 좌우 중간 지점에 토출구(1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흡입구(120)가 형성된 격벽(100); 및 상기 격벽 상측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상기 저장실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기 토출팬(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냉각실에는 상기 증발관(34a)에 결합된 PCM 모듈(34b)이 전후로 일정간격('D') 분리 설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된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20) 하측의 상기 컨테이너(20)를 상기 냉각실(20a)과 상기 저장실(20b)로 구획하는 상기 격벽(100)에는 전방측으로 하향 절곡된 경사 단면(14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벽의 후방 저장실측에는 상기 흡입구를 은폐시키면서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흡입구의 하부를 경유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커튼(150)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전방 냉각실측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막아 상기 경사 단면을 경유하여 냉각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스크린(1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00)의 상단은 상기 컨테이너(20)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절곡된 단부(130)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된 단부에 토출구(11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격벽(100)의 절곡된 단부(130) 상에 상기 냉기 토출팬(2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20)의 냉각실(20a) 바닥에는 상기 컨테이너(20)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34)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20)의 냉각실(20a) 바닥에는 상기 컨테이너(20)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34)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300)가 설치되되,
    상기 단열부재(300)는 상기 컨테이너(20)의 바닥과 PCM 모듈을 포함한 증발기(34) 사이와 함께, 상기 컨테이너(20)의 냉장실(20b) 하부영역과 냉각실(20a) 하부영역 사이에 대하여서도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실(20a)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격벽의 경사 단면 상단부분에 이르도록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20)는 차량이 아닌 지면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압축기(31)도 상기 컨테이너(20)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컨테이너(20)의 외부 일 측에 대한 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KR1020180102244A 2018-08-29 2018-08-29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KR10194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44A KR101948862B1 (ko) 2018-08-29 2018-08-29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244A KR101948862B1 (ko) 2018-08-29 2018-08-29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862B1 true KR101948862B1 (ko) 2019-02-18

Family

ID=6556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244A KR101948862B1 (ko) 2018-08-29 2018-08-29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32A (ko) * 2020-12-14 2022-06-21 조항우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855A (ja) * 1998-09-01 2000-03-07 Daishin Sangyo:Kk コンテナ着脱式運搬車
KR100916217B1 (ko) 2008-12-03 2009-09-08 주식회사 이에스티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KR20130011288A (ko) * 2011-07-21 2013-01-30 박혜원 열에너지 이송 방식 공기순환 멀티 냉각 p.c.m 축냉 트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1855A (ja) * 1998-09-01 2000-03-07 Daishin Sangyo:Kk コンテナ着脱式運搬車
KR100916217B1 (ko) 2008-12-03 2009-09-08 주식회사 이에스티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KR20130011288A (ko) * 2011-07-21 2013-01-30 박혜원 열에너지 이송 방식 공기순환 멀티 냉각 p.c.m 축냉 트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32A (ko) * 2020-12-14 2022-06-21 조항우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KR102418889B1 (ko) * 2020-12-14 2022-07-07 조항우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9826A (en) Refrigerator
US8863537B2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 for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 appliance with isolated air flows
US8359876B2 (en) Refrigerated display merchandiser with microchannel evaporator oriented to reliably remove condensate
KR101948862B1 (ko)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CN107062748B (zh) 冰箱
JPH07301479A (ja) 冷凍冷蔵庫の製氷ユニット
JP4599207B2 (ja) ショーケース
JP2018048798A (ja) 冷蔵庫
JP6940424B2 (ja) 冷蔵庫
EP3497386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zero-degree compartment having optimized structure for cooling
JPH1038446A (ja) 冷却貯蔵庫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950000970Y1 (ko) 냉동쇼케이스의 냉기순환장치
JP3649966B2 (ja) 冷蔵庫
KR20140099678A (ko) 쇼케이스
JP3625712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KR100567014B1 (ko) 양문형 냉장고의 냉기유로개선구조
US10184713B2 (en) Evaporator shields
JP3860295B2 (ja) 冷却貯蔵庫
KR19990056249A (ko) 세미 간냉식 냉장고
JP2003329359A (ja) 冷蔵庫
JP2002228327A (ja) 冷蔵庫
JP2016090073A (ja) 冷蔵庫
JPH07139866A (ja) 冷蔵庫の放熱装置
KR20040068791A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