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678A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678A
KR20140099678A KR1020130012393A KR20130012393A KR20140099678A KR 20140099678 A KR20140099678 A KR 20140099678A KR 1020130012393 A KR1020130012393 A KR 1020130012393A KR 20130012393 A KR20130012393 A KR 20130012393A KR 20140099678 A KR20140099678 A KR 20140099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ol air
discharge port
fa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566B1 (ko
Inventor
김성엽
현진수
최인혁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47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52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cooled storag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2003/046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shelves hav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공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저장된 물품의 냉장 성능을 높이는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는,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전단에 형성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토출하는 상면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토출하는 선반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 {Show case}
본 발명은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저장된 물품의 냉장 성능을 높이는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란, 식품 등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전면이 개방되는 저장실을 구비한다.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가 순환하는 유로 상에 증발기가 설치된다. 증발기와 냉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하여 저장실의 내부에 저온의 냉기가 공급된다. 냉기가 순환하는 유로는 저장실의 저면, 후면 및 상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저장실의 상면 전단에 냉기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구비된다. 저장실의 상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공급되는 냉기는 저장실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토출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하측으로 이동할수록 유속이 감소되어 에어커튼의 역할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공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저장된 물품의 냉장 성능을 높이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토출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토출되는 냉기의 유속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 성능을 높이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는,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전단에 형성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토출하는 상면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토출하는 선반 팬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되고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 냉기를 토출하여 상기 저장실의 전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상면 토출구;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가속하는 선반 팬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토출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토출되는 냉기의 유속을 가속화하여 외부공기가 저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복수의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단에 팬을 장착하여 간단한 구조로 토출구를 통하여 하측으로 토출되는 냉기의 유속을 가속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케이스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쇼케이스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쇼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케이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쇼케이스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는,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110)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상면 전단에 형성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토출하는 상면 토출구(121)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선반(111)과, 복수의 선반(111)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111)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토출하는 선반 팬(189)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저장실(110)을 형성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1)와, 외부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실(11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103)를 포함한다. 저장실(110)은 전면이 개방된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부 케이스(101)는 외관을 형성한다. 외부 케이스(101)는 전면 일부가 개방되는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케이스(101)는 측면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03)는 외부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된다. 내부 케이스(103)는 외부 케이스(101)와 유사하게 전면이 개방되는 대략적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내부 케이스(103)는 측면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03)는 물품이 수납되는 저장실(110)을 형성한다. 외부 케이스(101)와 내부 케이스(103)의 사이 및 내부 케이스(103)의 내부에는 저장실(110)에 저장된 물품을 냉장 또는 냉동하는 냉기가 유동된다.
내부 케이스(103)의 내부인 저장실(110)에는 복수의 선반(111)이 배치된다. 선반(111)의 상면에는 다양이 물품이 안착된다. 선반(111)은 내부 케이스(103)의 후면에 고정된다. 선반(111)은 내부 케이스(103)의 개구된 전면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선반(111)은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저장실(110)을 상하로 구획한다.
내부 케이스(103)의 후면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가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는 복수의 선반(111)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는 후술할 열교환기(160)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냉기를 전방으로 토출한다. 내부 케이스(103)의 후면에 구비된 형성된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는 냉기를 내부 케이스(103)의 개구된 전면으로 토출한다.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에서 토출된 냉기는 선반의 수평방향을 따라 유동되며 복수의 선반(111) 각각에 올려진 물품을 냉장하거나 냉각한다.
내부 케이스(103)의 상면 전단에는 냉기가 토출되는 상면 토출구(121)가 형성된다. 상면 토출구(121)는 내부 케이스(103)의 상면 전단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면 토출구(121)는 선반 팬(189)이 구비되지 않은 복수의 선반(111)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 토출구(121)는 후술할 열교환기(160)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냉기를 하측으로 토출한다.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선반 팬(189)에서 가속된 후 후술할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된다.
상면 토출구(121)는 토출된 냉기가 저장실(110)의 전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저장실(1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한다.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수직방향으로 유동하며,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게 유동할 수 있다.
선반 팬(189)은 복수의 선반(111)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111)의 전단에 배치된다. 선반 팬(189)은 복수의 선반(111) 중 가운데에 배치되는 선반(11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선반 팬(189)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선반 팬(189)은 상면 토출구(121)와 냉기 흡입구(130)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팬(189)은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토출한다. 선반 팬(189)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시로코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팬(189)은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가속하여 하측으로 토출하며, 선반 팬(189)에서 토출된 냉기는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된다.
선반 팬(189)은 선반 팬(189)이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선반(111)의 전단보다 돌출되어 배치된다. 선반 팬(189)은 상면 토출구(121)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팬(189)은 상면 토출구(121)와 냉기 흡입구(130)를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팬(189)은 선반 팬 하우징(1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선반 팬 하우징(180)은 선반 팬(189)이 배치되는 선반(111)의 전단에 형성된다. 선반 팬 하우징(180)은 선반 팬(189)이 배치되는 선반(1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선반(111)과 결합된다. 선반 팬 하우징(180)은 선반 팬(189)이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선반(111)의 전단보다 돌출되어 배치된다.
선반 팬 하우징(180)의 상측에는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는 선반 흡입구(181)가 형성된다. 선반 흡입구(181)는 상면 토출구(121)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팬 하우징(180)의 하측에는 선반 흡입구(181)로 흡입된 냉기를 토출하는 선반 토출구(182)가 형성된다. 선반 토출구(182)는 하측으로 냉기를 토출한다. 선반 토출구(182)는 냉기 흡입구(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 팬 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선반 팬(189)이 구비된다. 선반 팬 하우징(180)은 선반 팬(189)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선반 팬 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선반 팬(189)을 회전하는 선반 팬 모터(188)가 구비된다.
내부 케이스(103)의 저면에는 냉기가 흡입되는 냉기 흡입구(130)가 형성된다. 냉기 흡입구(130)는 내부 케이스(103)의 저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기 흡입구(130)는 선반 팬(189)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기 흡입구(130)는 선반 팬 하우징(180)의 선반 토출구(182)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기 흡입구(130)는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되어 선반 팬(189)에 의하여 선반 흡입구(181)로 흡입된 후 선반 토출구(182)로 토출된 냉기를 흡입한다. 냉기 흡입구(130)는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에서 토출된 냉기를 흡입한다.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된 냉기는 내부 케이스(103)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 유로(141)로 유동된다.
하부 유로(141)는 내부 케이스(103)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다. 하부 유로(141)는 내부 케이스(103) 저면과 외부 케이스(101)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다. 하부 유로(141)는 냉기 흡입구(130)와 연통된다. 하부 유로(141) 내부에는 송풍 팬(150)이 구비된다.
송풍 팬(150)은 내부 케이스(103)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하부 유로(141) 내부에 배치된다. 송풍 팬(150)은 내부 케이스(103)의 저면과 외부 케이스(101)의 저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송풍 팬(150)은 냉기 흡입구(130)로 냉기가 흡입되도록 냉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송풍 팬(150)은 냉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후면 토출구(123) 및 상면 토출구(121)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하부 유로(141)는 후방 유로(143)와 연결된다. 후방 유로(143)는 내부 케이스(103)의 후면과 외부 케이스(101)의 후면 사이에 형성된다.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되어 하부 유로(141)로 유동된 냉기는 송풍 팬(150)에 의하여 후방 유로(143)를 따라 상승한다.
후방 유로(143)는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와 연통된다. 후방 유로(143)를 유동하는 냉기는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 각각으로 분배되어 토출된다.
후방 유로(143) 내부에는 냉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160)가 배치된다. 열교환기(160) 내에는 냉매가 유동하여 열교환기(160)의 냉매는 후방 유로(143)를 유동하는 냉기와 열교환한다. 열교환기(160)는 쇼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와 연결된다.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후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는 열교환기(160)에서 냉기와 열교환되며 증발한다. 열교환기(160)를 유동하는 냉매는 냉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증발하고 냉기는 냉각된다.
후방 유로(143)는 상부 유로(145)와 연결된다. 상부 유로(145)는 내부 케이스(103)의 상면 상측에 형성된다. 상부 유로(145)는 내부 케이스(103)의 상면과 외부 케이스(10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유로(145)는 상면 토출구(121)와 연통된다. 후방 유로(143)를 통하여 상부 유로(145)로 유동된 냉기는 상면 토출구(121)를 통하여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 팬(150)이 구동되면, 저장실(110) 내부의 냉기가 냉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하부 유로(141) 내부로 흡입된다. 하부 유로(141)로 유동된 냉기는 송풍 팬(150)에 의하여 후방 유로(143)를 따라 상승한다.
후방 유로(143)로 유동된 냉기는 열교환기(160)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열교환기(160)에서 냉각된 냉기는 후방 유로(143)를 따라 상승하며 일부가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를 통하여 토출된다.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에서 토출된 냉기는 선반의 수평방향을 따라 유동되며 복수의 선반(111) 각각에 올려진 물품을 냉장하거나 냉각한다.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에서 토출되어 복수의 선반(111) 각각을 따라 유동된 냉기는 하측으로 유동되어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된다.
후방 유로(143)를 통하여 상승하여 상부 유로(145)로 유동된 냉기는 상면 토출구(121)를 통하여 토출된다. 선반 팬(189)의 구동에 따라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된 냉기는 선반 팬 하우징(180)의 선반 흡입구(181)로 흡입되어 선반 토출구(182)로 토출된다. 상면 토출구(121)에서 토출된 냉기는 선반 팬(189)에 의하여 가속되어 선반 토출구(182)로 토출된 후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된다.
상면 토출구(121)를 통하여 토출되어 선반 팬(189)에 의하여 가속된 후 냉기 흡입구(130)로 흡입되는 냉기는 저장실(110)의 전면에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냉기가 형성하는 에어커튼은 외부공기가 저장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복수의 후면 토출구(123)로 토출된 냉기가 저장실(1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케이스 101: 외부 케이스
103: 내부 케이스 110: 저장실
111: 선반 121: 상면 토출구
123: 후면 토출구 130: 냉기 흡입구
160: 열교환기 141: 하부 유로
143: 후방 유로 145: 상부 유로
150: 송풍 팬 180: 선반 팬 하우징
181: 선반 흡입구 182: 선반 토출구
189: 선반 팬

Claims (8)

  1.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전단에 형성되어 냉기를 하측으로 토출하는 상면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토출하는 선반 팬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팬이 배치되는 상기 선반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팬이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 팬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쇼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팬 하우징은 상측에 상기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는 선반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냉기를 토출하는 선반 토출구가 형성되는 쇼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팬은 상기 선반 팬이 배치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전단 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쇼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흡입하는 냉기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쇼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팬은 상기 상면 토출구와 상기 냉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되는 쇼케이스.
  7. 전면이 개방되고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실;
    냉기를 토출하여 상기 저장실의 전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상면 토출구;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품이 안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가속하는 선반 팬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팬에 의하여 가속된 냉기를 흡입하는 냉기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쇼케이스.
KR1020130012393A 2013-02-04 2013-02-04 쇼케이스 KR10207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93A KR102077566B1 (ko) 2013-02-04 2013-02-04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393A KR102077566B1 (ko) 2013-02-04 2013-02-04 쇼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678A true KR20140099678A (ko) 2014-08-13
KR102077566B1 KR102077566B1 (ko) 2020-02-14

Family

ID=5174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393A KR102077566B1 (ko) 2013-02-04 2013-02-04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06Y1 (ko) 2018-11-02 2020-05-07 아르네코리아(주) 에어커튼 가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235U (ko) * 1997-06-05 1999-01-15 윤종용 냉장고용 에어커튼장치
KR20040017969A (ko) * 2002-08-23 2004-03-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235U (ko) * 1997-06-05 1999-01-15 윤종용 냉장고용 에어커튼장치
KR20040017969A (ko) * 2002-08-23 2004-03-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06Y1 (ko) 2018-11-02 2020-05-07 아르네코리아(주) 에어커튼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566B1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876B2 (en) Refrigerated display merchandiser with microchannel evaporator oriented to reliably remove condensate
KR101570221B1 (ko) 냉기유출 방지구조를 구비하는 과냉각기
JP2015116202A (ja) ショーケース
JP2017129345A (ja) ショーケース
JP2014020680A (ja) 冷蔵庫
KR200443435Y1 (ko) 냉각실을 갖는 쇼케이스
KR102077566B1 (ko) 쇼케이스
KR101948862B1 (ko) 공냉 시스템을 갖는 저온 저장고
JP5143162B2 (ja) 冷凍冷蔵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100132609A (ko) 전면 냉기 유출구조를 갖는 쇼 케이스
JP6801262B2 (ja) ショーケース
KR101813275B1 (ko) 쇼 케이스
JP7222280B2 (ja) ショーケース
KR100408241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JP7233021B2 (ja) 解凍保冷庫
JP3837251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0710224Y2 (ja) 冷蔵,冷凍ショーケース等の冷却装置
KR20040009895A (ko) 직냉식 냉장고
KR100884953B1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JPH09280717A (ja) 冷却貯蔵庫
KR100567014B1 (ko) 양문형 냉장고의 냉기유로개선구조
JP2017215090A (ja) 冷蔵庫
JP6249738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3860295B2 (ja) 冷却貯蔵庫
JPH06147721A (ja) 冷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