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613B1 -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613B1
KR101947613B1 KR1020170159988A KR20170159988A KR101947613B1 KR 101947613 B1 KR101947613 B1 KR 101947613B1 KR 1020170159988 A KR1020170159988 A KR 1020170159988A KR 20170159988 A KR20170159988 A KR 20170159988A KR 101947613 B1 KR101947613 B1 KR 10194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owl
inclined surface
wall portio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444A (ko
Inventor
아키요시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요시모토 트레이딩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모토 트레이딩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요시모토 트레이딩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화장지를 용이하게 당겨 꺼낼 수 있는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변기(2), 세면볼(3) 및 화장지 홀더(4)가 설치된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1)에 있어서, 화장실룸(10)은, 적어도 일방에 변기(2)의 전후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12)을 갖고, 세면볼(3)은, 변기(2)보다 전방에 측벽(12)을 따라 배치되는 볼부(31)와, 볼부(31)의 변기(2)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측벽(12)과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사면부(352a)를 갖는 배관 커버(34), 를 구비하고, 경사면부(352a)와 변기(2)와의 거리는, 300mm~400mm이고, 화장지 홀더(4)는 경사면부(352a)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WASHBOWL IN TOILET ROOM}
본 발명은,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실룸 내에서 화장지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변기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손을 뻗어, 화장지를 화장지 홀더로부터 끌어당겨 절단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신체 어딘가가 부자유스럽거나 질병이 있는 경우, 착석한 상태에서 손을 뻗어 끌어당겨 절단하는 행위가 곤란할 수 있다. 그래서, 화장지 홀더를 벽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설치함으로써 화장지를 꺼내기 쉽게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0-19758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화장지 홀더를 비스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화장실룸 벽면의 각부(角部)가 변좌 근처에 있으면 상관 없으나, 화장실룸이 넓어서 각부가 먼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화장실룸의 구조에 따라서는, 화장지 홀더를 비스듬하게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예를 들면 요통이 있는 경우, 허리를 띄워 손을 뻗는 행위는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최근 요통으로 고생하는 고령자가 증가하고 있어, 착석한 상태에서 신체에 큰 부하를 가하지 않고 화장지를 꺼낼 수 있는 세면볼의 설치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장지를 용이하게 끌어 당길 수 있는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기, 세면볼, 및 화장지 홀더가 설치된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로서, 상기 화장실룸은, 적어도 일방에 상기 변기의 전후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을 갖고, 상기 세면볼은, 상기 변기보다 전방(前方)에서 상기 측벽을 따라 배치되는 볼(bowl)부와, 상기 볼부의 상기 변기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측벽과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사면부를 갖는 세면벽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부와 상기 변기와의 거리는, 300mm~400mm이고, 상기 화장지 홀더는 상기 경사면부에 배치되는,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세면벽부는 상기 볼부측에 배치되는 상부벽부와, 상기 상부벽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벽부보다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하부벽부,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지를 용이하게 끌어당길 수 있는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화장실룸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화장실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세면볼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세면볼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1)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화장실룸(10)의 평면도이고, 도어(11)가 생략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자가 변기에 착석한 상태의 전방을 앞, 후방을 뒤라 하고, 앞뒤를 잇는 방향을 전후방향,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화장실룸(10)에는 화장실룸(10)의 개구부에 도어(11)가 설치되고, 폐쇄된 공간내에, 변기(2)와, 세면볼(3)과, 화장지 홀더(4), 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룸(10)은, 평면보기에서 거의 장방형이고, 길이 방향의 일방의 측벽(12)이 변기(2)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폭 방향의 후벽(13)이 변기(2)의 후방에, 전방에 도어(11)가 배치되어 있다.
변기(2)는, 화장실룸(10) 후방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변기(2)는 서양식 변기이며, 변기 본체(21)와, 변좌(22)와, 변기뚜껑(23)과, 탱크(24), 를 갖는다. 변기 본체(21)는, 바닥면(14)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 개구부를 갖는 오목형상부이다. 변좌(22)는, 변기 본체(21)의 개구부를 따라 배치된다. 변기뚜껑(23)은, 변기 본체(21)의 개구부를 덮는다. 탱크(24)는, 변기 본체(21)의 후방에 배치되고, 변기(2)에 공급하는 물을 저장한다.
세면볼(3)은, 화장실룸(10)의 측벽(12)을 따라 배치되고, 예를 들면 변기(2) 사용 후에 손 등을 씻기 위해 이용된다. 세면볼(3)은, 볼부(31)와, 세면카운터(32)와, 수도꼭지(33)와, 세면벽부로서의 배관 커버(34), 를 갖는다.
볼부(31)는, 상부가 개구된 오목부이고, 물을 저장하고 배수하는 부분이다. 볼부(31)는, 변기(2)보다 전방에, 화장실룸(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측벽(12)을 따라 배치된다. 볼부(31)는, 오목부의 상단을 따르는 주연(周緣)(311)을 갖고, 주연(311)은, 평면보기에서 대체로 사각형으로, 화장실룸(10)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각부가 모따기된 형상을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부(31)는, 측벽(12)을 따른 후연(後緣)(311a)과, 측벽(12)에 대향하는 동시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연(前緣)(311b)과, 후연(311a) 및 전연(311b)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연(側緣)(311c)과, 모따기한 부분에서 측연(311c)과 전연(311b)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전사연(前斜緣)(311d), 을 포함하는 평면보기에서 거의 육각형으로 되어 있다. 볼부(31)는, 오목부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배수구(312)를 갖고, 배수구(3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관(미도시)에 연속된다.
세면카운터(32)는, 볼부(31)에서의 주연(311)에서 연속되고, 바닥면(1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탄한 면이다. 세면카운터(32)는 측벽(12)을 따라 화장실룸(10)의 후벽(13)에 도달된다. 세면카운터(32)는, 볼부(31)의 주위에서는, 볼부(31)의 전연(311b) 및 전사연(311d)의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고, 평면보기에서는 폭이 일정한 길고 가느다란 판면의 일부가, 볼부(31) 근방에서 사다리꼴 형상으로 팽출되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세면카운터(32)는, 바닥면(14)에서 거의 800mm~900mm 정도의 높이(H)에 위치하고(도 3 참조), 측벽(12)을 따른 면의 폭(W1)은 예를 들면 110mm~250mm 정도이다(도 2 참조).
수도꼭지(33)는, 세면카운터(32)상에서 볼부(31) 근방에 배치되어, 볼부(31)내에 물을 공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세면볼(3)의 정면도이다. 도 3에서는 화장지 홀더(4)를 생략하였다. 도 4는 세면볼(3)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 커버(34)는, 볼부(31)의 주연(3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배관 커버(34)는, 측벽(12)에 장착되고, 볼부(31)의 배수구(312)에 연결되는 배수관(미도시)을 덮도록 배치된다. 배관 커버(34)는, 평면보기에서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부(31)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부벽부(35)와 하부벽부(36)를 갖는다.
상부벽부(35)는, 배관 커버(34)의 볼부(31)측에 위치하는 정면보기에서 폭이 넓은 부분이다. 상부벽부(35)는, 세면카운터(32)로부터 하방으로 290mm~310mm 정도 확장된다. 상부벽부(35)는, 정면부(351)와 경사면부(352)를 갖는다.
정면부(351)는, 볼부(31)의 앞측의 주연(3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면이다. 정면부(351)는 측벽(12)에 대향하고, 측벽(12)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정면부(351)는, 사용자가 세면볼(3) 앞에 측벽을 향해 선 경우에 사용자에 면(面)하는 부분으로, 평탄한 거의 사각형의 면이다.
경사면부(352)는, 정면부(351)의 좌우 단부에서 안쪽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면으로, 변기(2)측과 도어(11)측에 설치된다. 경사면부(352)는, 정면부(351)에 대하여 예를 들면 40°~50°, 바람직하게는 45° 경사진다. 경사면부(352)는, 변기(2)측의 경사면부(352a)와 도어(11)측의 경사면부(352b)를 갖는다. 변기(2)측의 경사면부(352a)는, 볼부(31) 주연(311)의 변기(2)측으로부터 하방으로 확장된다. 도어(11)측의 경사면부(352b)는, 볼부(31) 주연(311)의 도어(11)측으로부터 하방으로 확장된다. 경사면부(352)는, 정면부(351)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변기(2)측의 경사면부(352a)와 변기(2)의 외연과의 거리(L1)는 300mm~400mm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부(352)와 측벽(12)이 이루는 각도(θ)는 둔각이다. 경사면부(352a) 및 경사면부(352b)의 각각이, 측벽(12)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는, 동일하다.
하부벽부(36)는, 상부벽부(35)의 하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부벽부(36)는, 상부벽부(35)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면(14)까지 연장되고, 상부벽부(35)와 함께 세면볼(3)의 배관 등을 덮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벽부(36)의 정면보기에서의 폭 치수(W3)는, 상부벽부(35)의 폭(W2)보다 작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벽부(36)는, 내측(내부 배관에 가까워지는 측)을 향해 오므라들고 있어, 상부벽부(35)의 외주보다 하부벽부(36)의 외주가 작다. 하부벽부(36)의 깊이 방향의 치수(D2)는, 상부벽부(35)의 깊이 방향의 치수(D1)보다 작다. 하부벽부(36)는, 상부벽부(35)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하부벽부(36)의 상부의 소정 위치까지 만곡되고, 폭 및 깊이의 치수가 작아지고, 소정 위치에서부터 하방을 향해 치수가 일정해진다. 예를 들면, 하부벽부(36)의 치수가 일정한 부분에서는, 깊이 방향의 치수(D2)가, 상부벽부(35)의 하단에서의 깊이 방향의 치수보다 55mm~65mm 정도 작아져 있다.
그리고 하부벽부(36)의 바닥면(14)측에서는, 폭 치수(W3)보다 한층 더 내측으로 오므라든 외주가 작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지 홀더(4)는, 변기(2)측의 경사면부(352a)에 설치된다. 화장지 홀더(4)는, 내부에 화장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미도시)와, 축부를 유지하는 유지부(41)와, 화장지를 덮는 커버(42), 를 갖는다. 화장지 홀더(4)는, 경사면부(352a)로부터 변기(2)를 향해 돌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지 홀더(4)의 변기(2)측의 단부와, 변기(2)의 외연과의 거리(L2)는, 예를 들면 200~300mm이다.
이상의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1)에 의해, 사용자가 변기(2)의 변좌(22)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고통 없이 손을 뻗은 위치에 화장지 홀더(4)가 위치한다.
또한 세면볼(3)의 형상이 평면보기에서 거의 사다리꼴이기 때문에, 직선상의 주연이 출현한다. 또한 배관 커버(34)의 하부벽부(36)가 상부벽부(35)보다 오므라들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휠체어나 지팡이, 카트와 같은 보행 지원의 지지체를 사용하고 있거나, 질병에 관련된 기구를 장착하고 있는 등의 경우에도, 세면볼(3)의 근방에서 장치나 기구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1)에 있어서, 화장실룸(10)을, 적어도 일방에 변기(2)의 전후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1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세면볼(3)을, 변기(2)보다 전방에 측벽(12)을 따라 배치되는 볼부(31)와, 볼부(31)의 변기(2)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측벽(12)과 이루는 각도(θ)가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사면부(352a)를 갖는 배관 커버(34), 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경사면부(352a)와 변기(2)와의 거리는, 300mm~400mm이고, 화장지 홀더(4)를 경사면부(352a)에 배치하였다.
변기(2)의 전방에 세면볼(3)이 배치되고, 이러한 세면볼(3)의 하방의 배관 커버(34)에 있어서, 변기(2)와의 거리가 300mm~400mm인 동시에, 측벽(12)과 이루는 각도(θ)가 둔각인 경사면부(352a)에 화장지 홀더(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기(2)의 변좌(22)에 걸터앉은 사용자는, 경사면부(352a)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화장지 홀더(4)에 무리 없는 자세로 손을 뻗어, 편하게 화장지를 화장지 홀더(4)로부터 당겨,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어딘가가 부자유스러운 부분이나, 질병이 있는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화장지를 용이하게 당겨 꺼낼 수 있으므로, 신체에 부담이 가해지기 어렵다.
(2) 배관 커버(34)를, 볼부(31)측에 배치되는 상부벽부(35)와, 상부벽부(35)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부벽부(35)보다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하부벽부(36), 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배관 커버(34)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벽부(36)가, 상부벽부(35)보다 오므라들었기 때문에, 만일 화장실룸(10)이 좁은 경우에도, 변기(2)와 하부벽부(36) 사이에, 변기(2)와 상부벽부(35) 사이보다 넓은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화장실룸(10)이 청소하기 쉬워지거나, 변기(2)와 세면볼(3) 사이를 빠져 나가기 쉽다. 사용자가 지팡이 등의 지지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지팡이 등을 조작하기 쉽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거의 장방형의 화장실룸(10)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변기의 전후방향에 거의 평행한 측벽을 갖고 있으면, 화장실룸(1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욕실과 화장실룸이 일체적인 유닛으로 되어 있는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세면볼(3)이 설치되는 측벽(12)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오른쪽이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착석한 상태에서 왼쪽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면벽부로서 배관 커버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세면벽부는 배관을 덮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세면볼의 볼부(31)의 변기측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있으면, 배관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볼부(31)와 일체의 캐비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관 커버(34)는, 정면부(351)와, 정면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면부(352a, 352b)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지 홀더(4)가 세면볼(3)의 변기(2)측의 주연에서 하방으로 확장되고, 경사면부(352a)와 측벽(12)이 이루는 각도(θ)가 둔각으로, 경사면부(352a)와 변기(2)와의 거리가 300mm~400mm이면, 배관 커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명한 화장실룸 내의 배치는 예시에 불과하며, 변기의 전후방향을 따른 화장실룸의 측벽에 세면볼이 배치되는 것이면 되며, 다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어(11)는 변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나, 변기의 왼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1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
2 변기
3 세면볼
4 화장지 홀더
10 화장실룸
12 측벽
31 볼부
34 배관 커버(세면벽부)
35 상부벽부
36 하부벽부

Claims (2)

  1. 변기, 세면볼 및 화장지 홀더가 설치된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룸은, 적어도 일방에 상기 변기의 전후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화장실룸의 둘레에 연속되는 세면카운터를 갖고,
    상기 세면볼은, 상기 변기보다 전방에 상기 측벽을 따라 배치되는 볼부와,
    상기 볼부의 상기 변기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측벽과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사면부를 갖는 세면벽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부와 상기 변기와의 거리는, 300mm~400mm이고,
    상기 화장지 홀더는 상기 경사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장지 홀더의 상기 세면카운터 측의 폭 방향의 단부는, 적어도 상기 경사면부에 장착되는 부분이 평면보기에서 상기 세면카운터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세면벽부는, 상기 볼부 측에 배치되는 상부벽부와, 상기 상부벽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벽부보다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하부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벽부는, 상기 상부벽부와의 연결부분에서 하방으로 폭과 깊이의 치수가 작아지는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의 설치 구조.
  2. 삭제
KR1020170159988A 2017-02-28 2017-11-28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 KR101947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7540 2017-02-28
JP2017037540A JP6602327B2 (ja) 2017-02-28 2017-02-28 トイレルーム内の手洗ボウルの設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444A KR20180099444A (ko) 2018-09-05
KR101947613B1 true KR101947613B1 (ko) 2019-02-13

Family

ID=6337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88A KR101947613B1 (ko) 2017-02-28 2017-11-28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2327B2 (ko)
KR (1) KR101947613B1 (ko)
CN (1) CN108497959A (ko)
TW (1) TWI687186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583A (ja) * 1998-12-29 2000-07-18 Inax Corp トイレットペ―パ―ホルダ―の設置構造
JP2001065033A (ja) * 1999-08-25 2001-03-13 Inax Corp トイレの照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534U (ko) * 1985-07-19 1987-02-06
JP2591471Y2 (ja) * 1992-08-17 1999-03-03 東陶機器株式会社 住宅用システムトイレルーム
JPH0731553A (ja) * 1993-07-22 1995-02-03 Toto Ltd トイレ用手洗いキャビネット
DE59503301D1 (de) * 1994-04-12 1998-10-01 Wilhelm Kraft Kg Sanitaergrosh Waschtischanlage
JP3458361B2 (ja) * 1998-06-16 2003-10-20 株式会社Inax ベースキャビネット装置
JP2002219078A (ja) * 2001-01-25 2002-08-06 Asahi Eito Co Ltd 手摺り付きトイレカウンター
CN101449946B (zh) * 2007-11-30 2011-02-02 Toto株式会社 卫生洗净装置
DE202008003122U1 (de) * 2008-03-05 2008-06-26 Alape Gmbh Waschtisch und Handtuchhalter
US9527591B2 (en) * 2012-02-14 2016-12-27 C&D Zodiac, Inc. Modular lavatory with alcove
TWD164199S (zh) * 2013-07-31 2014-11-11 里凡生活有限公司 洗臉台
CN204266306U (zh) * 2014-06-10 2015-04-15 南京布尔特医疗技术发展有限公司 六角洗手台
TWM519941U (zh) * 2015-11-12 2016-04-11 Highmore Art Co Ltd 廁所衛生紙架之改良構造
JP2016214998A (ja) * 2016-09-27 2016-12-22 Toto株式会社 トイレ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583A (ja) * 1998-12-29 2000-07-18 Inax Corp トイレットペ―パ―ホルダ―の設置構造
JP2001065033A (ja) * 1999-08-25 2001-03-13 Inax Corp トイレの照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40084A (ja) 2018-09-13
KR20180099444A (ko) 2018-09-05
JP6602327B2 (ja) 2019-11-06
TWI687186B (zh) 2020-03-11
CN108497959A (zh) 2018-09-07
TW201832706A (zh) 201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6070B2 (ja) トイレユニット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JP6333142B2 (ja) 電気温水器の設置構造
JP4993412B2 (ja) 浴室ユニット
KR101947613B1 (ko) 화장실룸 내의 세면볼 설치 구조
JP6434757B2 (ja) トイレユニット
JP2008154997A (ja) 浴室ユニット
JP6697186B2 (ja) トイレユニット
JP2008138504A (ja) 浴室ユニット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JP3242283U (ja) 便座
WO2021241060A1 (ja) 便器装置及びこの便器装置の設置構造
JP7500357B2 (ja) 配管ユニット
JP7255776B2 (ja) 浴室トイレ
JP2016214998A (ja) トイレユニット
JP7062487B2 (ja) 風呂蓋
JP3554688B2 (ja) 浴室用片引戸
JP4187048B2 (ja) 浴室ユニット
JP2005253748A (ja) 洋式便器
JP2016022319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01032344A (ja) 洗面台及びその給排水構造
JP2007151709A (ja) 簡易浴槽装置
JP2003301620A (ja) 浴室ユニット
JP2002322719A (ja) 便器を備えたベンチ及び便器を備えたベンチを配置したトイレルーム
KR200395187Y1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