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41B1 -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 Google Patents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41B1
KR101947041B1 KR1020130111101A KR20130111101A KR101947041B1 KR 101947041 B1 KR101947041 B1 KR 101947041B1 KR 1020130111101 A KR1020130111101 A KR 1020130111101A KR 20130111101 A KR20130111101 A KR 20130111101A KR 101947041 B1 KR101947041 B1 KR 10194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acing space
connection
side member
fl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645A (ko
Inventor
이문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은 차체의 소정 구조물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으로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단을 통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과 플로어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각 연결부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QUARTER FRAME SIDE MEMBER UNIT}
본 발명은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쿼터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쿼터프레임과 플로어 패널을 연결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시, 좌우 서스펜션으로 입력되는 하중의 차이는 비틀림 모드를 발생시키며 주행 성능 및 NVH(Noise Vibration Hardeness)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좌우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차체의 비틀림 강성은 차량 주행에 있어 특히 중요한 성능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강성을 확보하고자 차체의 쿼터프레임에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을 설치하고 있는데, 특히, 리어시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리어시트를 지지하고, 차 실내와 트렁크 룸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쿼터프레임의 하나인 리어 패키지 트레이(Rear Package Tray)의 양측 사이드에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을 설치하여 비틀림 강성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 플로어 패널 및 휠 하우징 패널을 상호 연결하여 비틀림 강성을 증대시킨다.
즉, 상기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와 연결되어 일측이 휠 하우징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휠 하우징과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과 플로워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은 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일정 수준 향상시켰으나,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키는 만큼 국부적 즉,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부위 및 상기 연결 프레임과 리어 플로워 패널의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전체적인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차량의 R&H(Riding & Handling)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체에 설치되어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구성품들 간의 연결부위에서 이격공간과, 이에 충진되는 접착제를 통해 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도록 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된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차량의 R&H(Riding & Handling)성능이 향상되도록 된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의 소정 구조물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으로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단을 통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과 플로어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각 연결부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과 접합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접합면 어느 한 쪽으로 단차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접합면의 외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연결 프레임과 플로어 패널의 연결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과 접합되는 상기 플로어 패널의 접합면 어느 한 쪽으로 단차지며,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플로어 패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접합면의 내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1 이격공간과, 상기 연결 프레임과 플로워 패널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2 이격공간이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시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패키지 트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에는 접착제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발포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성 접착제는 열경화성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 구성품들 간의 연결부위에 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도록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에는 접착제가 충진됨에 따라, 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격공간 및 접착제가 각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 및 분산시켜 제품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차량의 R&H(Riding & Handling)성능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추가로 설치하던 레인포스의 삭제를 통해 원가의 절감과,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각 구성품들 간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이에 충진되는 접착제에 의해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여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deness)성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차체의 구조물인 쿼터 프레임과 리어 패키지 트레이(3) 즉, 차체의 박스구조를 이루는 A-필러, B-필러, C-필러를 중심으로 제1박스구조, 제2박스구조, 제3박스구조를 이루는 쿼터프레임과, 차량의 후측에서 차량 실내와 트렁크 룸을 분리하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3)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차체의 강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은 쿼터프레임 및 리어 패키지 트레이(3)와 같이 차체를 차폭 방향으로 구획하는 넓은 의미의 크로스 멤버(cross member)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이 리어 패키지 트레이(3)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차체의 소정 구조물 예컨대, 리어 패키지 트레이(3)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3)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7), 연결 프레임(9) 및 보강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5)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3)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7)은 이의 상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5)의 하단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9)은 상기 하부 프레임(7)의 하단과 플로워 패널(13)을 수직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11)은 상기 상부 프레임(5) 및 하부 프레임(7)을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강성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7) 및 상기 연결 프레임(9)과 플로어 패널(13)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폿용접(spot weld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7) 및 연결 프레임(9)의 연결되는 연결부위(15a,15b) 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15a,15b)에 이격공간(17a,17b)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17a,17b)은 연결부위(15a,15b)를 이격시키는 바, 완충작용을 하는 쿠션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상,하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이격공간(17a,17b)은 제1 이격공간(17a)과, 제2 이격공간(17b)으로 구분되며, 상기 각 연결부위(15a,15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격공간(17a)은 상기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7)의 연결부위(15a)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이격공간(17b)은 상기 연결 프레임(9)과 플로어 패널(13)의 연결부위(15b)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격공간(17a,17b)은 어느 하나의 연결부위(15a,15b)에만 적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부 프에임(5)과 하부 프레임(7)의 연결부위(15a), 상기 연결 프레임(9)과 플로어 패널(13)의 연결부위(15b) 중 선택적인 연결부위(15a,15b)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이격공간(17a,17b)이 제1 이격공간과(17a), 제2 이격공간(17b)으로 구분되어 함께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상기 이격공간(17a,17b)을 제1 이격공간(17a)과, 제2 이격공간(17b)으로 구분하여 상기한 도 3을 인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격공간(17a)은 상기 상부 프레임(5)의 하단과 접합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7)의 제1 접합면(19)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21)을 통하여 상기 제1 접합면(19)과 단차지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5)의 하단 및 하부 프레임(7)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이격공간(17a)은 상기 상부 프레임(5)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접합면(19)의 외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격공간(17b)은 상기 연결 프레임(9)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13)과 접합되는 제2 접합면(23)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25)을 통하여 단차지면서 상기 연결 프레임(9)의 하단과 상기 플로어 패널(13)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이격공간(17b)은 제1 이격공간(17a)과는 반대로 상기 연결 프레임(9)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접합면(23)의 내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상부 프레임(5)과 하부 프레임(7)의 연결부위(15a)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이격공간(17a) 및 연결 프레임(9)과 플로어 패널(13)의 연결부위(15b)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이격공간(17b)에는 접착제(27)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27)는 상기 제1 이격공간(17a) 및 제2 이격공간(17b)에 충진되어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의 유동에 따른 하중의 흡수와 제1 및 제2 이격공간(17a,17b)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27)는 발포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발포성 접착재는 열경화성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27)는 테이프 형태로 되어 원하는 형상으로 제단되어 상기한 제1 및 제2 이격공간(17a,17b)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5)을 통해 리어 패키지 트레이(3)와 연결되어 휠 하우징 패널(29)과 플로어 패널(13)을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7), 연결 프레임(9) 및 보강 프레임(11)을 통해 차체의 비틀림 강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에 상하로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각 연결부위(15a,15b)에 형성된 제1 및 제2 이격공간(17a,17b)을 통해 흡수 및 분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은 내구성 향상으로 인한 차량의 R&H(Riding & Handling)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상기 제1 이격공간(17a)과 제2 이격공간(17b)에 충진되는 접착제(27)에 의해 전체 즉,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1)의 유동에 따른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이격공간(17a), 제2 이격공간(17b) 및 상기 접착제(27)에 의해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deness)성능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3: 리어 패키지 트레이
5: 상부 프레임 7: 하부 프레임
9: 연결 프레임 11: 보강 프레임
13: 플로워 패널 15a,15b: 연결부위
17a: 제1 이격공간 17b: 제2 이격공간
19: 제1 접합면 21: 제1 경사면
23: 제2 접합면 25: 제2 경사면
27: 접착제 29: 휠 하우징 패널

Claims (12)

  1. 차체의 소정 구조물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으로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단을 통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과 플로어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각 연결부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과 접합되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접합면 어느 한 쪽으로 단차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접합면의 외측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연결 프레임과 플로어 패널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과 접합되는 상기 플로어 패널의 접합면 어느 한 쪽으로 단차지며,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플로어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접합면의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1 이격공간과,
    상기 연결 프레임과 플로워 패널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제2 이격공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시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접착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발포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접착제는 열경화성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KR1020130111101A 2013-09-16 2013-09-16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KR10194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01A KR101947041B1 (ko) 2013-09-16 2013-09-16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01A KR101947041B1 (ko) 2013-09-16 2013-09-16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45A KR20150031645A (ko) 2015-03-25
KR101947041B1 true KR101947041B1 (ko) 2019-02-12

Family

ID=5302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101A KR101947041B1 (ko) 2013-09-16 2013-09-16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434A (ja) 2004-12-13 2006-06-29 Kanto Auto Works Ltd 車両のリヤボディ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0988B2 (ja) * 1993-01-28 1999-1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1143815B1 (ko) * 2009-12-01 201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434A (ja) 2004-12-13 2006-06-29 Kanto Auto Works Ltd 車両のリヤボディ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45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724B1 (ko) 전방 차체 구조
JP6128334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101755461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371466B1 (ko) 전방 차체 보강 구조
US20160107593A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hock absorber housing
KR10175571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부 구조
JPWO2016199499A1 (ja) 車体後部構造
US9242677B2 (en) Shock absorber housing for vehicle
KR101394760B1 (ko) 자동차의 프런트 쇽업소버용 강성 보강 장치
KR101744835B1 (ko) 휠 하우스 보강 구조체
US20140097590A1 (en) Reinforcement of shock absorber mount
US9415672B2 (en) Battery mounting unit for vehicle
KR101947041B1 (ko) 쿼터프레임 사이드 멤버유닛
CN102514460A (zh) 一种分离缓冲型减振器支柱及汽车
US8985605B2 (en)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US7370871B2 (en) Vehicle frame with shock absorbing system
JP6657923B2 (ja) 車両のボデー支持構造
KR101371733B1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CN202608501U (zh) 一种分离缓冲型减振器支柱及汽车
KR101189416B1 (ko) Fr차량의 엔진룸부 보강구조
KR20200068226A (ko) 구조 강성 차등화 방식 차량 전방 차체
KR101827010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부
KR100391657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 마운팅부 구조
CN218316162U (zh) 压缩机隔振支架
CN108116504B (zh) 用于外骨骼车辆的车体安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