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521B1 -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 Google Patents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521B1
KR101946521B1 KR1020180052540A KR20180052540A KR101946521B1 KR 101946521 B1 KR101946521 B1 KR 101946521B1 KR 1020180052540 A KR1020180052540 A KR 1020180052540A KR 20180052540 A KR20180052540 A KR 20180052540A KR 101946521 B1 KR101946521 B1 KR 10194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riven
mat
driven pulle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영
Original Assignee
신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영 filed Critical 신기영
Priority to KR102018005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07Puls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매트와 하부 매트로 구성된 후 그 상부 및 하부 매트를 에어셀로 연결하는 한편, 상부매트 내부에는 사지 압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셀을 구성하고, 하부 매트 내부에는 상부 매트와 접촉되는 입체파동 생성부를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Stereophonic wave motion generation device and composite function motion b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를 에어 마시자가 가능한 상,하 적층되는 이중 매트로 구성하여둔 상태에서, 상부측 매트의 전개 각도를 에어셀을 이용하여 조절하고, 하부측 매트와 상부측 매트를 입체 파동부로 연결시켜 침대에 잔잔한 입체 파동이 느껴지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침대에서 숙면을 취할 때 기혈 순환을 촉진시키면서 기상시 피로 회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고, 설정된 기상 시간에 맞춰 기동하는 입체 파동을 통해 알람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단순히 잠을 자기 위한 가구로 인식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TV를 보거나 책을 읽는 등의 여러 가지 생활이 침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침대의 기능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건 매트리스의 각도가 조절되는 침대로서 특히 병원에서 불편하거나 특정부위의 통증을 느끼는 환자에게 보다 편안한 자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침대가 있다.
이러한 침대는 랙과 피니언의 결합으로 수동으로 조절이 되는 것에서 모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무거운 하중을 가진 침대의 경우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침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침대의 각도를 자동 조절하기 위해 적용되는 각도조절장치들은 모두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전개 동작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며, 한번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부품 교체 등의 A/S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침대에는 마사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진동 기구가 적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상기 진동 기구는 모터의 구동축에 진동 회전체를 편심되게 결합시키거나, 모터의 구동 풀리에 진동 회전체를 벨트로 연결하여, 모터 구동시 진동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대상물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진동 기구는 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진동 회전체가 회전할 때, 고속 회전과 동적 불균형으로부터 진동이 발생하여 마사지 또는 안마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진동 기구는 모터의 구동축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진동 회전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균열 및 파손 발생으로 잦은 고장은 물론 소음에 의해 사용 빈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소음에 의해 공동 주택 또는 아파트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041호(등록일 2006.07.2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371호(등록일 2002.12.03) 등록특허공보 제10-1496089호(등록일 2015.02.16)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1650호(공개일 2017.06.05)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침대를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로 구성한 후 그 상,하부 매트를 에어셀로 연결 구성하여, 사용자의 머리 부위가 위치하는 상부 매트의 상단과 사용자의 다리 부위가 위치하는 상부 매트의 하단에 대한 전개 각도를 소음 발생없이 간편하게 조절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매트 내부에 사지 압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셀을 구성하여, 에어셀의 전체 또는 부분 전개를 통해 상부 매트에 누운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하부 매트에 입체파동 생성부를 구성하여, 침대에서 사용자가 입체 파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입체 파동 생성시의 소음을 최소화시키며,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로 숙면을 취할 때 내장의 기능과 혈액 순환을 미리 활성화시켜 정신과 몸이 완전히 깬 상태로 기상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설정된 기상 시간에 맞춰 기동하는 입체 파동으로부터 알람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의 메인 매트; 상기 메인 매트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굽힘이 가능한 상부의 보조 매트; 상기 메인 매트와 보조 매트의 상단 부분을 연결하며, 굽힘이 가능한 상기 보조 매트의 상단 부분 전개 각도를 조절하도록 에어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 1 에어셀 모듈; 및, 상기 메인 매트의 내부에 형성되며, 입체 파동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보조 매트에 전달하는 입체파동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매트와 보조 매트의 하단 부분은 상기 보조 매트의 하단 부분 전개 각도를 조절하는 제 2 에어셀 모듈로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에어셀 모듈과 상기 제 2 에어셀 모듈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셀을 적층 구성한 것이고, 적층되는 상기 에어셀 일단은 접합된 후 상기 메인 매트 및 상기 보조 매트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셀 타단은 상기 에어셀 내부로 에어 공급시 팽창이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하되, 상기 에어셀 타단은 각각 상기 에어셀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에어셀을 지지하는 에어 지지봉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매트 내부에는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을 위해 에어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지는 제 3 에어셀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에어셀 모듈은, 신체의 각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매트의 내부에 포켓부를 배치하고, 상기 포켓부에 각각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에어셀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입체파동 생성부는, 하우징; 구동 풀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내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내의 동일 수평면에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를 각각 연결하는 동력 전달용 벨트; 상기 제 3 피동 풀리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동 풀리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 상기 편심축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보조 매트 저면과 밀착되고, 상기 편심축의 편심 회전에 따라 상하 유동의 진동을 통해 입체 파동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보조 매트에 전달하는 진동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고정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의 수평 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축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피동 풀리는 상기 고정프레임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시 소음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에서 상기 제 3 피동 풀리와 삼각 배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수직 직립 상태를 보정하는 보정부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정부재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보정나사;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소음 저감을 위해 서로 다른 회전 비율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 풀리는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와, 상기 제 2 피동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피동 풀리는 상기 제 1 피동 풀리의 2단 풀리부와 벨트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와, 상기 제 3 피동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의 1단 풀리부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의 2단 풀리부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 3 피동 풀리의 직경은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의 1단 풀리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편심축은, 상기 제 3 피동 풀리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동일 높이를 가지는 원판형의 고정체; 상기 고정체 상면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편심 원판; 및, 상기 편심 원판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편심축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에어셀 모듈은, 전동형 펌프 또는 수동 펌프와 연결호스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에어셀 모듈이 연결호스를 통해 전동형 펌프와 연결시, 상기 전동형 펌프의 온 또는 오프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동형 펌프의 온 또는 오프와 상기 구동부의 온 또는 오프 구동을 순차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가동 조건 또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가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체 파동 생성부는 음향 발생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체 파동 생성부의 동작에 앞서 먼저 동작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향 발생부는 적어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제품으로서 TV 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는, 상부 매트와 하부 매트로 구성된 후 그 상부 및 하부 매트를 에어셀로 연결하는 한편, 상부 매트 내부에는 사지 압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셀을 구성하고, 하부 매트 내부에는 상부 매트와 접촉되는 입체파동 생성부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첫째, 사용자의 머리 부위가 위치하는 상부 매트의 상단과 사용자의 다리 부위가 위치하는 상부 매트의 하단에 대한 전개 각도를 소음 발생없이 간편하게 조절가능하고, A/S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에어셀의 전체 또는 부분 전개를 통해 상부 매트에 누운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모션 침대에서 사용자가 입체 파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입체 파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로 숙면을 취할 때 내장의 기능과 혈액 순환을 미리 활성화시켜 정신과 몸이 완전히 깬 상태로 기상할 수 있게 하고, 설정된 기상 시간에 맞춰 기동하는 입체 파동을 통해 알람 기능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작동시 이를 도 4의 (a)방향에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작동시 이를 도 4의 (b)방향에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작동시 이를 도 4의 (c)방향에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작동시 이를 도 4의 (d)방향에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입체파동 생성장치의 작동시 입체 파동의 발생 흐름을 보인 평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의 측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셀을 통해 보조매트의 상단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의 측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셀을 통해 보조매트의 하단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의 측면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셀을 통해 보조매트의 상단 및 하단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의 측면 개략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셀을 통해 신체의 각 부위를 스트레칭 견인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는, 메인 매트(10), 보조 매트(20), 제 1 에어셀 모듈(3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제 2 에어셀 모듈(40), 제 3 에어셀 모듈(50), 입체파동 생성부(60), 전동형 펌프(70) 및/또는 수동 펌프(80), 제어부(90)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 매트(10)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일반적인 침대 매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 매트(20)는 상기 메인 매트(20)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이는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굽힘이 가능한 것이지만, 내부에 굽힘이 가능하도록 탄성 프레임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 매트(20)의 두께는 상기 메인 매트(10)에 대하여 얇게 구성되며, 그 두께는 상기 메인 매트(10)에 대하여 1/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두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 매트(20)에 대한 굽힘이 가능한 것이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1 에어셀 모듈(30)은 상기 메인 매트(10)와 보조 매트(20)의 상단 부분을 연결하는 것으로, 굽힘이 가능한 상기 보조 매트(20)의 상단 부분 전개 각도를 조절하도록 에어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셀(S1, S3, S3)을 적층 구성하고, 적층되는 상기 에어셀(S1, S2, S3)의 일단은 접합된 후 상기 메인 매트(10) 및 상기 보조 매트(20)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타단은 상기 에어셀(S1, S2, S3)의 내부로 에어 공급시 팽창이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하되,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타단은 각각 상기 에어셀(S1, S2, S3)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에어셀(S1, S2, S3)을 지지하는 에어 지지봉(31)으로 연결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에어셀 모듈(30)은 침대의 머리 부위에서 상기 메인 매트(10)와 상기 보조 매트(20)에 일단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에어 공급시 팽창이 가능하도록 분리된 것으로서,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팽창이 이루어지면 상기 보조 매트(20)의 상단이 굽힘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메인 매트(10)로부터 멀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보조 매트(20)의 상단 부분은 침대에서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어셀(S1, S2, S3)의 일단에서, 상기 에어셀(S1, S2, S3) 중 어느 하나에는 에어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이 에어주입구에는 전동형 펌프(70) 또는 수동형 펌프(80)가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에어셀(S1, S2, S3)로의 에어 주입이 가능하게 되며, 주입되는 에어는 에어 지지봉(31)내의 유로를 통해 다른 에어셀의 내부 공간으로 순차 공급되면서, 상기 에어 지지봉(31)이 팽창된 에어셀(S1, S2, S3)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매트(10)와 상기 보조 매트(20) 사이에 하나의 상기 제 1 에어셀 모듈(30)을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 1 에에설 모듈(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하여 배열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침대의 폭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에어셀 모듈(40)은 상기 보조 매트(20)의 하단 즉, 사용자가 침대에 누울 때 사용자의 다리 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상기 제 1 에어셀 모듈(30)을 구성하는 에어셀(S1, S2)들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3 에어셀 모듈(50)은 신체의 각 부위(예; 어깨, 등, 허리, 골반, 허벅지, 무릎, 종아리 등)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매트(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에어의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며, 포켓부(51)에 에어셀(S4)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에어셀(S4)에는 각각 미도시된 에어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신체의 각 부위에 대응한 개수로 상기 보조 매트(20)의 내부에 포켓부(51)를 형성한 후 이에 에어셀(S4)을 수용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에어셀(S4)이 전동형 펌프(70) 또는 수동형 펌프(80)에 의해 모두가 팽창 또는 선별적으로 팽창하여 신체의 각 부위 전체 또는 특정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이하 제 1 에어셀 모듈(30)에서 설명하는 에어 공급 여부에 따른 팽창 또는 수축 상태는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체파동 생성부(60)는 상기 메인 매트(10)의 내부에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측이 상기 보조 매트(20)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되는 입체 파동을 생성하는 것이며, 하우징(61), 구동부(62),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 벨트(66), 편심축(67), 고정부(68), 진동플레이트(69)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61)은 프레임들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구조물이고, 상기 구동부(62)는 모터로서 구동축(미도시)에 구동 풀리(62a)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 풀리(62a)는 상기 제 1 피동 풀리(63)와 상기 벨트(66)로 연결되는 것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는 상기 구동부(62)내의 동일 수평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61)에는 고정프레임(61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61a)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의 수평 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축부(61b)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3 피동 풀리(65)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는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시 소음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일단에서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삼각 배치 구조를 가지며,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61a)에는 상기 회전축부(61b)의 수직 직립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재(621)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정부재(621)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블럭(621a),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621a)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축부(61b)를 지지하는 보정나사(621b)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벨트(66)는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 풀리(62a)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를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는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소음 저감을 위해 서로 다른 회전 비율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피동 풀리(63)는 구동풀리(62a)와 벨트(66)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63a)와, 상기 제 2 피동 풀리(64)와 벨트(66)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63b)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63a)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63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피동 풀리(64)는 상기 제 1 피동 풀리(63a)의 2단 풀리부(63b)와 벨트(66)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64a)와,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벨트(66)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64b)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64a)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63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1단 풀리부(63a, 64a)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2단 풀리부(63b, 64b)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직경은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1단 풀리부(63a, 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편심축(67)은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피동 풀리(65)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며, 원판형의 고정체(67a), 편심 원판(67b), 편심축부(67c)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원판형의 고정체(67a)는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동일 높이를 가지는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편심 원판(67b)는 상기 고정체(67a)의 상면에 체결부재(100)로 결합되는 것으로, 편심 회전을 위해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편심축부(67c)는 상기 편심 원판(67b)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68)가 체결부재(100)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편심 원판(67b)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68)는 상기 편심축(67)의 상면에 체결부재(100)를 통해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원판형 구조물로서, 상기 고정부(68)에 체결부재(100)를 이용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보조 매트(20)의 저면과 밀착되는 것이며, 상기 편심축부(67c)의 편심 회전에 따라 상하 유동의 진동을 통해 입체 파동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상기 고정부(68)에 체결부재(100)를 통해 고정되는 중앙부(69a)와, 상기 중앙부(69a)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원판부(69b)와, 상기 원판부(69b)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가장자리부(69c)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플레이트(69)가 편심축(67)에 의해 편심 회전시, 상기 원판부(69b)와 상기 가장자리부(69c)의 경계부분(L2)이 상기 보조 매트(20)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보조 매트(20)에 상하 유동에 따른 진동의 입체 파동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플레이트(69)에 대하여, 메인 매트(10)와 보조 매트(20)의 적층 구조에 적용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보조 매트(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상기 메인 매트(10)의 내부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3 에어셀 모듈(30, 40, 50)이 연결호스를 통해 전동형 펌프(7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동형 펌프(70)의 온 또는 오프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구동부(62)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전동형 펌프(70)의 온 또는 오프와 상기 구동부(62)의 온 또는 오프 구동을 순차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가동 조건 또는 타이머(91)에 의해 이루어지는 설정시간에 따라 가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체 파동 생성부(60)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제품으로서 TV 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부(200)와 연동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음향 발생부(200)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체 파동 생성부(60)의 동작에 앞서 먼저 동작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이렇게 음향을 먼저 출력하는 이유는 상기 입체파동 생성부(60)의 동작을 예고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음향 발생부(200)가 동작한 사실로부터 기상시간이 되었다는 것과 곧이어 상기 입체파동 생성부(60)가 동작할 것임을 미리 알수 있는 것으로, 이는 숙면 상태인 사용자가 상기 입체파동 생성부(60)의 갑작스러운 동작에 이해 놀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와 입체 파동 및 자세 변환이 가능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침대 각도 조절에 따른 [자세 변환 모드]와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 모드], 그리고 [입체 파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실행하거나 또는 복수의 모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각 모드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자세 변환 모드]
머리는 보조 매트(20)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리는 상기 보조 매트(2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매트(20) 위에 사용자가 눕는다.
이후, 사용자가 수동형 펌프(80)를 펌핑시키거나 또는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90)에 펌핑신호를 입력하여 전동형 펌프(70)의 펌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수동형 펌프(80) 또는 상기 전동형 펌프(70)의 펌핑 동작으로부터 연결호스를 통해 제 1 에어셀 모듈(30) 및/또는 제 2 에어셀 모듈(40)을 구성하는 에어셀(S1, S2, S3)의 내부 공간으로 에어 주입구를 통해 에어 주입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셀(S1, S2, S3)은 팽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셀(S1, S2, S3)의 일단은 접합이 이루어져 상기 메인 매트(10)와 상기 보조 매트(2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타단은 에어 지지봉(31)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 주입에 따라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팽창시 상기 에어 지지봉(31)도 함께 팽창하게 되면서, 적층 구조를 이루는 상기 에어셀(S1, S2, S3)은 상기 에어 지지봉(31)에 의해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고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적층 구조를 이루는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팽창으로부터 머리 부분 및/또는 다리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 매트(20)는 상승하는 전개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매트(20)의 상단은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쳐주지만, 상기 보조 매트(20)의 하단은 사용자의 다리 부위를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는 복잡한 각도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침대의 머리부분과 다리부분의 전개 각도를 에어셀(S1, S2, S3)을 통해 간편하게 조절 가능한 것이다.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 모드]
머리는 보조 매트(20)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리는 상기 보조 매트(2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매트(20) 위에 사용자가 눕는다.
이후, 사용자가 수동형 펌프(80)를 펌핑시키거나 또는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90)에 펌핑신호를 입력하여 전동형 펌프(70)의 펌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수동형 펌프(80) 또는 상기 전동형 펌프(70)의 펌핑 동작으로부터 연결호스를 통해 신체의 각 부위(예; 어깨, 등, 허리, 골반, 허벅지, 무릎, 종아리)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매트(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포켓부(51)에 수용된 제 3 에어셀 모듈(50)의 에어셀(S4) 내부 공간으로 에어 주입구를 통해 에어 주입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셀(S4)은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팽창된 상기 에어셀(S4)을 다시 수축시키면서, 상기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보조 매트(20)의 위에 누운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는 올림과 내림이 반복되면서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은 보조 매트(20)의 위에 누워 있는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 전체 또는 특정부위를 에어셀(S4)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움직이게 함으로써,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허리 부위의 일측(왼쪽)에 위치하는 에어셀은 팽창하고, 허리 부위의 타측(오른쪽)에 위치하는 에어셀이 수축하게 되면, 수축된 에어셀에 의해 타측 허리 부위는 보조 매트(20)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팽창하는 에어셀에 의해 일측 허리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일측 허리 부위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허리 부위의 양측에 위치하는 에어셀은 모두 팽창시키면, 팽창되는 에어셀에 의해 신체의 중심부위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서, 양쪽에서 팽창하는 에어셀에 의해 허리 양측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입체 파동 모드]
제어부(90)의 제어신호를 통해 입체파동 생성부(60)에 포함되는 구동부(62)를 온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부(62)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62a)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풀리(62a)를 벨트(66)를 통해 제 1 피동 풀리(63)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피동 풀리(63)는 벨트(66)를 통해 제 2 피동 풀리(64)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피동 풀리(64)는 벨트(66)를 제 3 피동 풀리(65)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는 상기 구동풀리(62a)와 벨트(66)를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고정프레임(61a)에 형성되는 회전축부(61b)를 중심으로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피동 풀리(65)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일단에서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삼각 배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고정프레임(61a)에 형성되는 보정부재(621)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61b)의 수직 직립 상태가 보정 즉, 수직 직립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시 소음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에 형성되는 편심축(67)으로서, 원판형의 고정체(67a)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형의 고정체(67a) 상면에는 편심 원판(67b)이 결합되고, 상기 편심 원판(67b)에는 편심축부(67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3 피동 풀리(65)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원판형의 고정체(67a) 및 편심 원판(67b), 그리고 상기 편심축부(67c)는 편심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심축부(67c)의 상면에는 고정부(68)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68)에는 보조 매트(20)와 접촉되는 진동플레이트(69)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편심축(67)의 편심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회전하면서 상하 유동의 진동으로 입체 파동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상기 고정부(68)에 체결부재(100)를 통해 고정되는 중앙부(69a)와, 상기 중앙부(69a)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원판부(69b)와, 상기 원판부(69b)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가장자리부(69c)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진동플레이트(69)가 편심축(67)에 의해 편심 회전시, 상기 원판부(69b)와 상기 가장자리부(69c)의 경계부분(L2)이 상기 보조 매트(20)의 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보조 매트(20)에 상하 유동에 따른 진동의 입체 파동을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보조 매트(20) 위에 누워 있는 사용자는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되어져 오는 입체 파동의 진동을 느끼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신체에 대해 마사지 및 안마, 그리고 기혈 순환 마사지를 통한 비만 다이어트 효과 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어부(90)를 통해 기상을 위한 알람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타이머(91)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구동부(62)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메인 매트(10) 또는 메인 매트(10) 위에 형성되는 보조 매트(20)에 입체 파동을 전달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설정된 시간에 보조 매트(20)로 전달되어져 오는 입체 파동을 느낄 때 내장의 기능과 혈액 순환이 미리 활성화되고, 따라서 정신과 몸이 완전히 깬 상태로 상쾌하게 기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메인 매트 20; 보조 매트
30; 제 1 에어셀 모듈 31; 에어 지지봉
40; 제 2 에어셀 모듈 50; 제 3 에어셀 모듈
51; 포켓부 60; 입체파동 생성부
61; 하우징 61a; 고정프레임
61b; 회전축부 62; 구동부
62a; 구동 풀리 621; 보정부재
621a; 고정블럭 621b; 보정나사
63, 64, 65; 제 1,2,3 피동풀리 63a, 64a; 1단 풀리부
63b, 64b; 2단 풀리부 66; 벨트
67; 편심축 67a; 원판형 고정체
67b; 편심 원판 67c; 편심축부
68; 고정부 69; 진동플레이트
69a; 중앙부 69b; 원판부
69c; 가장자리부 70; 전동형 펌프
80; 수동형 펌프 90; 제어부
91; 타이머 100; 체결부재
S1,S2,S3,S4; 에어셀

Claims (36)

  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의 메인 매트(10); 상기 메인 매트(20)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굽힘이 가능한 상부의 보조 매트(20); 상기 메인 매트(10)와 보조 매트(20)의 상단 부분을 연결하며, 굽힘이 가능한 상기 보조 매트(20)의 상단 부분 전개 각도를 조절하도록 에어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 1 에어셀 모듈(30); 및, 상기 메인 매트(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입체 파동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하는 입체파동 생성부(60); 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파동 생성부(60)는, 하우징(61); 구동 풀리(62a)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61)내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동부(62); 상기 구동부(62)내의 동일 수평면에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 상기 구동 풀리(62a)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를 각각 연결하는 동력 전달용 벨트(66);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67); 상기 편심축(67)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부(68); 및, 상기 고정부(68)에 결합되면서 상기 보조 매트(20)의 저면과 밀착되고, 상기 편심축(67)의 편심 회전에 따라 상하 유동의 진동을 통해 입체 파동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보조 매트(20)에 전달하는 진동플레이트(69);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1)에는 고정프레임(61a)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프레임(61a)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의 수평 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축부(61b)를 형성하며,
    상기 제 3 피동 풀리(65)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는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시 소음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일단에서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삼각 배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매트(10)와 보조 매트(20)의 하단 부분은 상기 보조 매트(20)의 하단 부분 전개 각도를 조절하는 제 2 에어셀 모듈(40)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셀 모듈(30)과 상기 제 2 에어셀 모듈(4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셀(S1, S3, S3)을 적층 구성한 것이고,
    적층되는 상기 에어셀(S1, S2, S3)의 일단은 접합된 후 상기 메인 매트(10) 및 상기 보조 매트(20)에 고정되며,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타단은 상기 에어셀(S1, S2, S3)의 내부로 에어 공급시 팽창이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하되,
    상기 에어셀(S1, S2, S3)의 타단은 각각 상기 에어셀(S1, S2, S3)의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에어셀(S1, S2, S3)을 지지하는 에어 지지봉(31)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매트(20) 내부에는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에어 마사지와 스트레칭을 위해 에어 공급 여부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지는 제 3 에어셀 모듈(5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에어셀 모듈(50)은,
    신체의 각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 매트(20)의 내부에 포켓부(51)를 배치하고, 상기 포켓부(51)에 각각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에어셀(S4)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 풀리(63)와 벨트(66)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62a)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62)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61a)에는 상기 회전축부(61b)의 수직 직립 상태를 보정하는 보정부재(6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621)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블럭(621a); 및,
    상기 고정블럭(621a)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축부(61b)를 지지하는 보정나사(621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는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소음 저감을 위해 서로 다른 회전 비율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 풀리(63)는 구동풀리(62a)와 벨트(66)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63a)와, 상기 제 2 피동 풀리(64)와 벨트(66)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63b)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63a)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63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동 풀리(64)는 상기 제 1 피동 풀리(63)의 2단 풀리부(63b)와 벨트(66)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64a)와,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벨트(66)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64b)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64a)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63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1단 풀리부(63a, 64a)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2단 풀리부(63b, 64b)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직경은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1단 풀리부(63a, 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67)은,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동일 높이를 가지는 원판형의 고정체(67a);
    상기 고정체(67a)의 상면에 체결부재(100)로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편심 원판(67b); 및,
    상기 편심 원판(67b)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68)가 체결부재(100)를 통해 결합되는 편심축부(67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상기 고정부(68)에 체결부재(100)를 통해 고정되는 중앙부(69a)와, 상기 중앙부(69a)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원판부(69b)와, 상기 원판부(69b)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가장자리부(69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에어셀 모듈(30, 40, 50)은, 전동형 펌프(70) 또는 수동 펌프(80)와 연결호스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에어셀 모듈(30, 40, 50)이 연결호스를 통해 전동형 펌프(70)와 연결시, 상기 전동형 펌프(70)의 온 또는 오프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2)의 구동은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전동형 펌프(70)의 온 또는 오프와 상기 구동부(62)의 온 또는 오프 구동을 순차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가동 조건 또는 타이머(91)에 의해 이루어지는 설정시간에 따라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파동 생성부(60)는 음향 발생부(200)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향 발생부(200)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체 파동 생성부(60)의 동작에 앞서 먼저 동작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200)는 적어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제품으로서 TV 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23. 매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하우징(61); 구동 풀리(62a)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61)내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동부(62); 상기 구동부(62)내의 동일 수평면에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 상기 구동 풀리(62a)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를 각각 연결하는 동력 전달용 벨트(66);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동 풀리(65)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편심축(67); 상기 편심축(67)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부(68); 및, 상기 고정부(68)에 결합되고, 상기 편심축(67)의 편심 회전에 따라 상하 유동의 진동을 통해 입체 파동을 생성하는 진동플레이트(69); 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61)에는 고정프레임(61a)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61a)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의 수평 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축부(61b)를 형성하며,
    상기 제 3 피동 풀리(65)는 상기 고정프레임(61a)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는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시 소음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고정프레임(61a)의 일단에서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삼각 배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메인 매트(10) 또는 적층 구조를 이루는 메인매트(10)와 보조매트(2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상기 메인 매트(10)의 내부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25. 삭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 풀리(63)와 벨트(66)로 연결되는 구동 풀리(62a)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62)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27. 삭제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61a)에는 상기 회전축부(61b)의 수직 직립 상태를 보정하는 보정부재(6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621)는,
    상기 고정프레임(61a)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블럭(621a); 및,
    상기 고정블럭(621a)을 관통하면서, 상기 회전축부(61b)를 지지하는 보정나사(621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피동 풀리(63, 64, 65)는 상기 구동부(62)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소음 저감을 위해 서로 다른 회전 비율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 풀리(63)는 구동풀리(62a)와 벨트(66)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63a)와, 상기 제 2 피동 풀리(64)와 벨트(66)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63b)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63a)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63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동 풀리(64)는 상기 제 1 피동 풀리(63)의 2단 풀리부(63b)와 벨트(66)로 연결되는 1단 풀리부(64a)와,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와 벨트(66)로 연결되는 2단 풀리부(64b)를 가지되, 상기 1단 풀리부(64a)의 직경은 상기 2단 풀리부(63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1단 풀리부(63a, 64a)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2단 풀리부(63b, 64b)도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직경은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 풀리(63, 64)의 1단 풀리부(63a, 64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67)은,
    상기 제 3 피동 풀리(65)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동일 높이를 가지는 원판형의 고정체(67a);
    상기 고정체(67a)의 상면에 체결부재(100)로 결합되고, 일단과 타단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편심 원판(67b); 및,
    상기 편심 원판(67b)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68)가 체결부재(100)를 통해 결합되는 편심축부(67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69)는,
    상기 고정부(68)에 체결부재(100)를 통해 고정되는 중앙부(69a)와, 상기 중앙부(69a)로부터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원판부(69b)와, 상기 원판부(69b)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가장자리부(69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3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2)의 구동은 제어부(90)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구동부(62)의 온 또는 오프 구동을 순차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가동 조건 또는 타이머(91)에 의해 이루어지는 설정시간에 따라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파동 생성장치.
KR1020180052540A 2018-05-08 2018-05-08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KR10194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540A KR101946521B1 (ko) 2018-05-08 2018-05-08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540A KR101946521B1 (ko) 2018-05-08 2018-05-08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521B1 true KR101946521B1 (ko) 2019-02-11

Family

ID=6537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540A KR101946521B1 (ko) 2018-05-08 2018-05-08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048B1 (ko) 2019-10-14 2020-08-31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KR102518858B1 (ko) * 2022-05-11 2023-04-10 서범준 맞춤형 기능성 경사 조절 매트리스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45A (ja) * 2001-10-18 2003-04-22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機
KR200415701Y1 (ko) * 2006-02-23 2006-05-04 남정희 안마용 침대
KR100839128B1 (ko) * 2007-03-30 2008-06-20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소아용 마사지매트 장치
KR101033730B1 (ko) * 2009-01-29 2011-05-09 서효석 다용도 매트리스
KR101810501B1 (ko) * 2016-06-27 2017-12-20 김영해 매트리스용 안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45A (ja) * 2001-10-18 2003-04-22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機
KR200415701Y1 (ko) * 2006-02-23 2006-05-04 남정희 안마용 침대
KR100839128B1 (ko) * 2007-03-30 2008-06-20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소아용 마사지매트 장치
KR101033730B1 (ko) * 2009-01-29 2011-05-09 서효석 다용도 매트리스
KR101810501B1 (ko) * 2016-06-27 2017-12-20 김영해 매트리스용 안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048B1 (ko) 2019-10-14 2020-08-31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WO2021075809A1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US11759023B2 (en) 2019-10-14 2023-09-19 Ghl Co., Ltd. Three-dimensional wave generating device and multifunctional motion bed having the same
KR102518858B1 (ko) * 2022-05-11 2023-04-10 서범준 맞춤형 기능성 경사 조절 매트리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1913B2 (ja) マッサージ機
US20070050910A1 (en) Vibrating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a spring loaded percussion device
EP1473013B1 (en) Vibrational and pulsating cushioning device
KR101946521B1 (ko) 입체파동 생성장치와 이를 적용한 복합 기능성 모션 침대
TW201236608A (en) Stiffness-adjustable mattress structure
JP2004283266A (ja) 休息用椅子型施療機
US11759023B2 (en) Three-dimensional wave generating device and multifunctional motion bed having the same
KR102171708B1 (ko) 이분할 구조의 다단변형 모션침대
JP2013215402A (ja) マッサージ椅子及び当該マッサージ椅子を用いたマッサージ方法
JP3548052B2 (ja) マッサージ機
JPH0852185A (ja)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KR20070101708A (ko) 인체를 요동 및 온열시키는 체중감량용 의자
TWI253928B (en) Massage machine
JP2001112829A (ja) マッサージ機
CN103948494B (zh) 按摩仪
JP2020529908A (ja) ストレッチング機能性を向上させた按摩椅子
JP2003325608A (ja) マッサージ機
JP3655156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2001258971A (ja) マッサージ機
CN109009764B (zh) 一种可调整姿态和按摩的医用病床
CN2508632Y (zh) 遥控升降振动靠床
KR102016291B1 (ko) 등판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JP3998507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4173934A (ja) マッサージ機
KR102453235B1 (ko) 접철구동체를 갖는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