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594B1 -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 Google Patents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594B1
KR101945594B1 KR1020160110997A KR20160110997A KR101945594B1 KR 101945594 B1 KR101945594 B1 KR 101945594B1 KR 1020160110997 A KR1020160110997 A KR 1020160110997A KR 20160110997 A KR20160110997 A KR 20160110997A KR 101945594 B1 KR101945594 B1 KR 10194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hard carbon
temperature furnace
active material
electrod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564A (ko
Inventor
김병주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1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594B1/ko
Priority to US15/322,412 priority patent/US10547050B2/en
Priority to PCT/KR2016/012032 priority patent/WO2018043800A1/ko
Publication of KR2018002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 C01B32/36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by physical processes, e.g. by irradiation, by using electric current passing through carbonaceous feedstock or by using recyclable inert heating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18Pr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36Preparation characterised by gaseous activat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4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non-gaseous activ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은 폴리우레탄을 고온로에 장입시키는 단계, 고온로에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폴리우레탄을 가열하여 탄화시킴으로써 하드카본을 생성하는 단계, 하드카본을 질소 분위기에서 가열한 후, 수증기를 공급하여 수증 기분위기에서 하드카본을 활성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단계 및 활성탄을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HIGH SPECIFIC SURFACE AREA HARD CARBON-BASED ELECTRODE ACTIVE MATERIAL THROUGH CARBONIZATION PROCESS CONTROL AND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THEREOF}
본 발명은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분자 물질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고온로에서 탄화할 때 탄화온도를 조절하여 하드카본의 결정성을 제어하고, 이를 이용하여 활성화 과정에서의 기공 구조를 제어하여 우수한 기공 특성 및 전기 화학적 특성을 구현하는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과 고비표면적 하드카본기반 전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유가와 스마트 휴대용 기기의 대중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활성탄은 특유의 기공특성으로 인하여 환경 정화 및 에너지 저장 등에 주요하게 적용되는 소재이다. 이러한 기존의 활성탄은 전구체 및 활성화 공정에만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활성탄의 제조 공정은 전구체를 탄화하여 흑연 결정립을 형성하게 되고, 활성화 공정에서 흑연 결정립을 산화하여 기공을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활성탄의 기공특성은 결정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구체 뿐만 아니라 탄화공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활성탄의 제조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하기의 특허문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폴리우레탄을 전구체로 이용하여 전극용 활물질을 제조할 뿐 활성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탄화공정에서의 결정성 제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75688호(등록일: 2014년 3월 12일), 발명의 명칭: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분자 물질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고온로에서 탄화할 때 탄화 온도를 조절하여 하드카본의 결정성을 제어하여 우수한 기공 특성 및 전기 화학적 특성을 구현하는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은 (a) 폴리우레탄을 고온로에 장입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온로에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을 가열하여 탄화시킴으로써 하드카본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하드카본을 질소 분위기에서 가열한 후, 수증기를 공급하여 수증 기분위기에서 상기 하드카본을 활성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활성탄을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b)는, 상기 고온로에 장입된 폴리우레탄이 탄화되도록 내부 온도가 600 내지 900℃로 상기 고온로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단계(b)는, 상기 고온로에 장입된 폴리우레탄을 가열시 상기 고온로 내부 온도가 600 내지 900℃가 되도록 상기 고온로를 가열하되, 10℃/min의 승온 속도로 승온한 후 1 내지 2시간 동안 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c)는, 상기 질소 가스가 공급된 질소 분위기의 고온로 내의 온도를 900℃로 유지한 이후에 상기 수증기가 공급하고, 수증기 분위기의 고온로에서 상기 하드카본을 10 내지 40분 동안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되, 비표면적이 1,620 내지 2,34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활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성탄의 결정성을 제어하여 더 높은 기공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의 약품활성화제와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활성탄 또는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상용화된 활성탄에 비해 더 높은 기공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기화학축전기용 전극소재, 수소저장용 전극소재, 수증기 저장소재, NOx 및 SOx 제거용 흡착제, 자동차용 캐니스터 등의 에너지 저장 및 환경정화용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온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600 내지 900℃의 탄화온도로 제조된 하드카본의 X선 회절곡선.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온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설명에 앞서 고온로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에 사용되는 고온로(100)는 회전 밀폐식 고온로(100)로 관튜브(110)의 내부에 질소와 수증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질소 공급관(130)과 수증기 공급관(14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튜브(110)는 고온로(100) 내에 배치된다. 관튜브(110)는 폴리우레탄이 장입되어 활성탄이 제조될 수 있도록 철(스테인레스스틸을 포함), 알루미나,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관튜브(110)는 고온에서 회전시 관튜브(110)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재질을 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튜브(110)는 전체적인 탄화 및 활성화 조건이 600 내지 1100℃의 고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SiC 발열체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고온로(100)는 질소공급관(130)을 통해 질소 가스를 공급하고 수증기공급관(140)을 통해 수증기를 투입받는다. 이때, 수증기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증기공급관(140)의 후단에 가열로(144)와 유량조절기(142)가 구비된다. 이때, 가열로(142)는 약 200℃로 가열되며, 수증기공급관(140)은 약 180℃로 유지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은 폴리우레탄을 고온로에 장입시키는 단계(S100), 질소분위기의 고온로를 가열하여 하드카본을 생성하는 단계(S200), 하드카본을 질소분위기에서 가열한 후, 수증기를 공급하여 활성탄을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질소분위기에서 냉각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폴리우레탄을 고온로(100)에 장입시킨다(S100). 이때, 폴리우레탄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 내지 3000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하고, 하기의 탄화 및 활성화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입자의 크기를 10~200매쉬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분자인 폴리우레탄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 미만일 경우, 모노올의 형성으로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열안정성이 저하되어 탄화공정에서 용융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폴리우레탄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0을 초과할 경우, 폴리우레탄 구조 내에 비정질 탄소사슬이 증가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의 열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폴리우레탄의 입자 크기가 10메쉬 미만일 경우에는 활성화 단계에서 수증기가 내부에 미치지 못하여 활성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기공 특성이 약화된다.
폴리우레탄의 입자 크기가 200 메쉬를 초과할 경우에는 탄화 및 활성화 단계에서 반응 기체에 의한 대류로 인하여 분진이 발생하며, 활성화시 작은 입자들의 산화로 인하여 활성탄의 수율의 감소가 일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고온로(100)에 장입된 폴리우레탄을 질소 가스가 공급된 질소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가열하여 탄화시킴으로써 하드카본(120)을 얻는다(S200).
폴리우레탄이 장입된 고온로(100)의 내부는 하드카본 분말과 활성탄을 제조하기 위하여 관튜브(110) 내부의 공기를 모두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99.99% 이상의 질소(N2) 가스를 질소투입관(130)으로부터 관튜브(110)의 내부에 30분 이상 충전시킴으로써 승온 전에 그 내부를 안정화시킨다. 이어서, 고온로(100)의 질소 분위기에서 미분쇄 고분자를 600 내지 1100℃까지 10℃/min의 승온 속도로 승온한 후 1 내지 2시간 동안 탄화시킨다.
이때 온도가 600℃ 미만일 경우 탄화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고, 활성화 공정에서 활성화 잘 되지 않아 기공 특성이 약화되며, 온도가 1100℃를 초과할 경우 구성 성분의 대부분이 탄소만 남게 되고 높은 결정성으로 인하여 기공특성이 낮게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제2 단계에서 얻은 하드카본(120)을 질소 가스가 투입되어 충전된 질소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가열한 후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충전된 수증기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활성화시켜 활성탄을 얻는다(S300).
질소로 충전된 관튜브(110)의 온도를 800 내지 1100℃로 유지시켜 고온로(100)가 활성 온도까지 상승되면, 질소 가스의 투입을 중지하고, 이어서 수증기를 관튜브(110)로 공급하여 관튜브(110) 내부를 수증기로 충전하여 수증기 분위기로 전환시킨 후에 하드카본을 10 내지 60분 동안 활성화시킨다. 이는 수증기에 의한 하드카본의 활성화 반응을 시간에 따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때, 활성화 온도가 800℃ 미만일 경우 온도가 낮아 하드카본의 활성화 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1100℃를 초과할 경우 과한 활성화 반응으로 인하여 수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하드카본의 활성화는 질소 가스가 공급되어 충전된 질소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900℃로 유지한 후에 수증기가 공급되어 충전된 수증기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10 내지 40분 동안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하드카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질소 가스가 투입되어 충전된 질소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1,000℃로 유지한 후에 수증기가 투입되어 충전된 수증기 분위기의 고온로(100)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하드카본을 활성화시켜 얻은 활성탄을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켜 활성탄을 제조한다(S400).
하드카본을 활성화시키는 단계가 종료된 이후에는 수증기 공급을 중지하고 질소를 충전하여 질소 분위기로 전환함으로써 관튜브(110)의 내부를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활성탄을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단계는 활성탄을 질소 분위기에서 상온으로 냉각시켜 기공 특성 등 물성이 우수한 최종 제품인 활성탄을 얻을 수 있다. 제조된 활성탄은 사용 용도에 맞게 10~1500 메쉬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10g을 상온에서 고온로(100)에 넣은 후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내부를 질소 분위기로 한 다음 고온로(100)의 온도를 600℃까지 10℃/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켜 120분간 탄화시켜 4 g의 하드카본(120)을 얻었다.
이어서, 고온로(100)의 온도를 900℃로 유지하면서 고온로(100)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내부가 수증기로 충전된 수증기 분위기로 전환한 후에 하드카본(120)을 900℃에서 30분간 활성화시켜 활성탄을 얻었다. 계속하여 고온로(100)에 질소를 공급하여 질소 분위기로 한 후에 활성탄을 상온으로 냉각시켜 최종 제품인 활성탄 1.22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탄화온도를 600℃ 대신에 700℃로 탄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탄화온도를 600℃ 대신에 800℃로 탄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탄화온도를 600℃ 대신에 900℃로 탄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30분 대신에 40분간 활성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과 비교하여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30분 대신에 40분간 활성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비교하여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30분 대신에 40분간 활성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4과 비교하여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30분 대신에 40분간 활성화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 공정은 동일하게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활성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활성탄의 기공 특성 분석
실시예 1 내지 20에서 제조된 활성탄의 기공 특성 분석을 위하여 각 시료들은 573K에서 잔류 압력을 10-3torr 이하로 유지한 상태로 6시간 동안 탈기시킨 후에 등온흡착장치(BELSORP-max, BEL JAPAN, Japan)를 이용하여 77K에서 상대압력 (P/P0)에 따른 질소(N2) 기체의 흡착량을 측정하여 활성탄의 비표면적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활성탄을 이용한 전기화학 축전기용 전극의 제조
바인더로서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1:2의 비율로 사용하고, 도전재로서 Timcal사의 Super-P를 사용하며,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활성탄을 10 : 10 : 80의 중량비로 하여 3차원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혼합한 후에는 0.125의 두께로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한 후에 이를 150에서 롤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을 한 다음 15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전기화학축전기용 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Coin cell 타입의 전기화학 축전기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전극을 직경 12mm로 천공하여 Coin cell 형태의 전극으로 가공하였으며, 분리막은 일본 NKK사의 셀룰로오스를 직경 18mm로 천공하여 사용하였다. 셀 제조 시에 직경 27mm에 높이가 12mm인 코인 유닛 제품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은 1 M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EABF4), 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orbonate)을 사용하여 Coin cell 타입의 전기화학축전기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2> 활성탄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충방전 테스트는 미국 MACCOR사의 충방전기기(MACCOR 4300K DESKTOP)를 사용하여 2 mA/cm2의 전류로 충방전 측정 후 방전그래프에서 도전재와 바인더를 합산한 중량당 축전용량(F/g)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Coin cell의 축전용량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활성탄의 기공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고분자의
종류
탄화
온도
(℃)
탄화 후
수율
(%)
활성화
온도
(℃)
활성화
시간
(min)
활성화
후 수율
(%)
활성탄의 비표면적
(m2/g)
활성탄의
축전용량
(F/g)
실시예 1 폴리우레탄 600 40 900 30 30.5 2230 113.2
실시예 2 폴리우레탄 700 40 30 31.3 1920 99.2
실시예 3 폴리우레탄 800 37 30 33.9 1800 92.4
실시예 4 폴리우레탄 900 35 30 42.3 1620 83.2
실시예 5 폴리우레탄 600 40 40 27.8 2340 118.0
실시예 6 폴리우레탄 700 40 40 29.1 2220 112.0
실시예 7 폴리우레탄 800 37 40 30.9 2080 105.6
실시예 8 폴리우레탄 900 35 40 32.3 1760 90.4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활성탄은 탄화온도가 낮을수록 동일한 활성화 조건에서 비표면적 및 총기공부피 등 기공 특성이 우수하였고, 전기화학적 특성인 축전용량도 대부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의 <표 2>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활성탄의 결정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고분자의
종류
탄화
온도
(℃)
탄화 후
수율
(%)
활성화
온도
(℃)
활성화
시간
(min)
결정립
크기
(Å)
결정립 직경
(Å)
실시예 1 폴리우레탄 600 40 900 30 9.29 32.0
실시예 2 폴리우레탄 700 40 30 9.99 33.4
실시예 3 폴리우레탄 800 37 30 10.09 34.0
실시예 4 폴리우레탄 900 35 30 10.18 41.7
실시예 5 폴리우레탄 600 40 40 9.89 35.26
실시예 6 폴리우레탄 700 40 40 10.02 36.08
실시예 7 폴리우레탄 800 37 40 10.14 36.48
실시예 8 폴리우레탄 900 35 40 10.25 44.37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활성탄은 낮은 온도에서 탄화된 활성탄이 동일한 활성화 조건에서 결정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한 활성탄은 기존 야자각 기반 활성탄들의 단점인 회분이 없기 때문에 흡착이나 전극의 이용에 있어서 부반응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증기 활성화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활성화법을 사용하므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KOH 등의 활성화제를 이용하는 고가의 페놀계 활성탄과 비교하여도 기공 특성이 우수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을 이용한 전극을 전기화학축전기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고온로
110: 관튜브
130: 질소공급관
140: 수증기공급관

Claims (5)

  1. (a) 폴리우레탄을 고온로에 장입시키는 단계;
    (b) 상기 고온로에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을 가열하여 탄화시킴으로써 하드카본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하드카본을 질소 분위기에서 가열한 후, 수증기를 공급하여 수증 기분위기에서 상기 하드카본을 활성화시켜 활성탄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활성탄을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상기 고온로에 장입된 폴리우레탄이 탄화되도록 내부 온도가 600 내지 900℃로 상기 고온로를 가열하며,
    상기 단계(c)는,
    상기 질소 가스가 공급된 질소 분위기의 고온로 내의 온도를 800 내지 1100℃로 유지한 이후에 상기 수증기가 공급하고, 수증기 분위기의 고온로에서 상기 하드카본을 10 내지 60분 동안 활성화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300 내지 3000이며, 10~200메쉬 입자의 크기로 분쇄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고온로에 장입된 폴리우레탄을 가열시 상기 고온로 내부 온도가 600 내지 900℃가 되도록 상기 고온로를 가열하되, 10℃/min의 승온 속도로 승온한 후 1 내지 2시간 동안 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0997A 2016-08-30 2016-08-30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KR10194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97A KR101945594B1 (ko) 2016-08-30 2016-08-30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US15/322,412 US10547050B2 (en) 2016-08-30 2016-10-26 High specific surface area hard carbon-based electrode active material through carbonization process control and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thereof
PCT/KR2016/012032 WO2018043800A1 (ko) 2016-08-30 2016-10-26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97A KR101945594B1 (ko) 2016-08-30 2016-08-30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64A KR20180024564A (ko) 2018-03-08
KR101945594B1 true KR101945594B1 (ko) 2019-02-07

Family

ID=6130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997A KR101945594B1 (ko) 2016-08-30 2016-08-30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47050B2 (ko)
KR (1) KR101945594B1 (ko)
WO (1) WO2018043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086B1 (ko) * 2018-12-03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파괴적 활물질의 활성 면적 측정 방법
CN110330015B (zh) * 2019-07-17 2022-05-17 西北工业大学 一种聚合物基炭材料及其微孔结构的调控方法
CN111422864A (zh) * 2020-04-20 2020-07-17 东北大学 基于碳化-活化法将pet转化为多孔碳颗粒的方法及应用
CN112645305B (zh) * 2021-01-22 2022-07-1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预活化造孔与高温碳化组合的无烟煤基硬碳材料制备方法
CN114373929A (zh) * 2022-01-24 2022-04-19 天津大学 一种高功率特性钠离子电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551A (ja) * 2006-03-31 2007-10-18 Teijin Ltd 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855366A (zh) * 2012-11-28 2014-06-11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锂-空气电池正极用氮掺杂的多孔碳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927A (ja) * 1998-09-11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炭素負極材料の製造方法
DE10322182A1 (de) 2003-05-16 2004-12-02 Blue Membrane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rösem, kohlenstoffbasiertem Material
WO2004112174A1 (ja) * 2003-06-11 2004-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酸素還元用電極の製造方法ならびに酸素還元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KR100912203B1 (ko) * 2009-04-09 2009-08-14 주식회사 퓨어스피어 탄소 함유 입자의 안정화 방법, 활성탄소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1112992A1 (en) * 2010-03-12 2011-09-15 Energ2, Inc. Mesoporous carbon materials comprising bifunctional catalysts
JP5886875B2 (ja) * 2010-12-31 2016-03-16 エギョン ペトロ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Aekyung Petrochemical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こ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30083164A (ko) * 2012-01-12 2013-07-22 한중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대마) 활성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15513570A (ja) * 2012-02-09 2015-05-14 ジョージア − パシフィック ケミカルズ エルエルシー ポリマ樹脂および炭素材料の調製
US9464162B2 (en) * 2013-03-13 2016-10-11 Georgia-Pacific Chemicals Llc Emuls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and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carbon derived from same
KR101653488B1 (ko) 2015-03-31 2016-09-01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수증기로 활성화시킨 고분자 기반의 활성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551A (ja) * 2006-03-31 2007-10-18 Teijin Ltd 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855366A (zh) * 2012-11-28 2014-06-11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锂-空气电池正极用氮掺杂的多孔碳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64A (ko) 2018-03-08
US20180212229A1 (en) 2018-07-26
US10547050B2 (en) 2020-01-28
WO2018043800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594B1 (ko) 탄화공정 제어를 통한 고비표면적 하드카본 기반 전극 활물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활물질
JP7114260B2 (ja) 電気化学特性が向上した炭素材料
US10008337B2 (en) Activated carbon for an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5018213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リン化合物複合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EP2221841A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lithium-type storage element
JP5271851B2 (ja) 活性炭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活性炭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TW200929660A (en) Non-aqueous lithium storage device
JP2017522417A (ja) 無溶媒中におけるゾル−ゲル重合のための新規方法、及びゾル−ゲル重合由来の可変炭素構造の作製
KR101653488B1 (ko) 수증기로 활성화시킨 고분자 기반의 활성탄 제조방법
CN105016337B (zh) 一种可用于超级电容器电极的活性炭材料及其制备方法
Liao et al.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JP2007221108A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JP6453560B2 (ja) 非水系リチウム型蓄電素子用負極、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リチウム型蓄電素子
JP3973183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KR102177976B1 (ko) 그래핀 복합체, 전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83006B1 (ko) 수증기로 활성화시킨 폴리올레핀 기반의 활성탄 제조방법
KR101695343B1 (ko) 결정성이 제어된 활성탄 제조 방법
JP2016051728A (ja) 活性炭、活性炭の炭素原料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9187333B2 (en) Carbon activation in a microwave fluidized bed process
KR20210110198A (ko) 다중 기공구조를 갖는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다중 기공구조를 갖는 활성탄소
JP4718320B2 (ja) 多孔質材料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3872494B1 (ja) 捲回型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CN115036488B (zh) 一种泡沫状的三维多孔碳材料及其制备和应用
JP2006100725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有機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6151699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電極用活性炭製造用の炭素化物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電極用活性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