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59B1 - 진흙소기기 - Google Patents

진흙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59B1
KR101943559B1 KR1020120063092A KR20120063092A KR101943559B1 KR 101943559 B1 KR101943559 B1 KR 101943559B1 KR 1020120063092 A KR1020120063092 A KR 1020120063092A KR 20120063092 A KR20120063092 A KR 20120063092A KR 101943559 B1 KR101943559 B1 KR 10194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chain
treated water
flight
upp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552A (ko
Inventor
친 타카요시
노세 카즈히로
코지마 타쿠로우
오츠카 카나코
Original Assignee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키시마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6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이 진흙소기기에서는, 진흙 침전연못(P) 내에 무단 상에 감겨지도록 배설되어 주위를 주행하는 체인(6)에, 진흙 침전연못(P)의 저면(Q)에 퇴적한 진흙을 긁어모으는 플라이트(7)가 장착되어 진흙소기체(8)가 구성된다. 진흙소기체(8)는 진흙 침전연못(P) 내의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도록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진흙 침전연못(P) 내에 있어서의 위쪽의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에는, 진흙소기체(8)의 부상을 누르는 상부 레일(9A)과 상부 레일(9A)이 설치되지 않고 진흙소기체(8)의 처리수(W) 중에서의 부상을 허용하는 체인 긴장 영역(X)이 설치되고 있다.

Description

진흙소기기{Sludge Collector}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등의 진흙 침전연못에 설치되어 상기 진흙 침전연못의 못 바닥에 퇴적하는 진흙을 긁어모으는 진흙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진흙소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특개 2000-334216호 공보 및 특개 2009-241022호 공보)에 기재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진흙소기기에서는, 진흙 침전 못 바닥에 무단(無端)) 상에 감겨지도록 배설되어 주위를 주행하는 체인에 플라이트가 장착되고, 이 플라이트에 의해 진흙 침전연못의 못 바닥에 퇴적한 진흙을 긁어모은다. 이들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진흙소기기에서는, 체인 및 플라이트는, 그 자중에 의해서 진흙 침전 못 바닥의 처리 수중에 가라앉아, 침전연못의 저면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서, 플라이트의 슈가 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하여, 진흙을 긁어모은다.
그런데, 이러한 진흙소기기에서는, 진흙이 퇴적하는 침전연못의 저면에 부설된 레일을 따라서, 슈가 레일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것으로써 플라이트가 이동하기 때문에, 진흙에 의해서 레일이나 슈의 마모가 현저해진다. 또한, 침전연못의 저면에 레일이 부설되어 있으면, 레일의 주변에 퇴적한 진흙을 긁어모으는 것이 지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및 4(특개소 53-55655호 공보 및 특개평 3-238006호 공보)에서는, 플라이트를 부력에 의해서 체인과 함께 부상하도록 형성하고, 플라이트가 침전연못의 아래 쪽에 있을 때 부상을 방지하는 누름 레일을 플라이트 위에 마련한 진흙소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 진흙소기기에서는, 플라이트의 슈가 접동하는 누름 레일이 침전연못의 저면과 간격이 벌어지도록 배설되기 때문에, 침전연못의 저면에 퇴적하는 진흙에 의한 레일이나 슈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면에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퇴적한 진흙을 고르게 긁어모아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진흙소기기에서는, 체인 및 플라이트가, 자중에 의해 깊이 가라앉도록 된 장치에서도, 처리 수중을 부상하도록 된 장치에서도, 체인 자체가 마모 등에 의해서 늘어나고 장력이 약해져서, 안정되게 체인을 주위 주행시킬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따라서는 체인이 감겨진 스프로킷(sprocket)으로부터 빗나가 버리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체인이 늘어나고 커지면 소기기의 운전을 정지해 침전연못의 처리수를 뽑아, 스프로킷(sprocket)의 축을 이동시키거나 체인의 링크 수를 줄이거나 하여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사이에는 침전연못에 있어서 진흙의 침전 처리를 실시할 수 없게 된다.
이 점, 체인 및 플라이트가 자중으로 처리 수중에 깊이 가라앉도록 된 장치에서는, 위쪽의 체인의 주행 경로의 하향에 느슨해지는 듯한 부분을 마련하는 것으로, 이 부분에서 체인 및 플라이트가 자중으로 가라앉아 체인 전체에 장력을 줄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느 정도는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그렇지만, 체인 및 플라이트가 처리 수중에서 부상하도록 된 장치에서는,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장력을 줄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체인 및 플라이트가 처리 수중으로 부상하도록 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압압 부재와 같은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를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결과, 소기기의 구조가 복잡이 되는 것은 물론, 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듯이 항상 큰 장력이 체인에 부여되고 있으면, 오히려 체인이 늘어나게 조장되어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의 빈도가 많아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 근거하여 된 것으로, 체인과 플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진흙소기체가 처리 수중으로 부상하도록 구성된 진흙소기기에 대한 것이고, 상기 압압 부재와 같은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의 빈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진흙소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진흙소기기에서는, 진흙 침전연못 내에 무단(無端) 형상으로 감겨지도록 배설되어 주위를 주행하는 체인에, 상기 진흙 침전연못의 저면에 퇴적한 진흙을 긁어모으는 플라이트가 장착되게 진흙소기체가 구성된다. 이 진흙소기체는 상기 진흙 침전연못 내의 처리 수중에서 부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흙 침전연못 내에 있어서의 위쪽의 상기 진흙소기체의 주행 경로에는, 상기 진흙소기체의 부상을 누르는 상부 레일과 이 상부 레일이 설치되지 않고 상기 진흙소기체의 상기 처리 수중에서의 부상을 허용하는 체인 긴장 영역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진흙소기기에서는, 진흙 침전연못 내에 있어서의 위쪽의 진흙소기체의 주행 경로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레일과 이 상부 레일이 설치되지 않는 체인 긴장 영역이 설치된다. 그 때문에, 침전연못 내의 처리 수중에서 부상하도록 체인과 플라이트로 구성된 진흙소기체는, 이 체인 긴장 영역에 있어 처리 수중에서 부상하여, 이와 같이 부상한 부분에 끌려가도록 상기 체인 전체에 장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체인에 늘어남이 발생하여도, 이 늘어남을 체인 긴장 영역에서 흡수하여, 체인이 스프로킷으로부터 빗나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늘어남을, 체인 긴장 영역에 있어서의 진흙 침전연못의 처리수의 수면과 부상하는 진흙소기체의 표면과의 사이에 흡수하므로, 체인 의욕 조정 작업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인에 큰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 등을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체인 긴장 영역에 있어서의 진흙소기체의 부력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으로써, 체인 전체에 부여되는 장력이 너무 커지지 않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체인에 과대한 장력이 부여되어 오히려 체인이 늘어나 버리는 사태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체인 긴장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를, 상기 체인 긴장 영역 측을 향함에 따라 상향 만곡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써, 체인 긴장 영역에 있어 부상하는 체인이 상부 레일의 상기 단부에 걸려 손상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체인은, 상기 체인 긴장 영역 이외로 상기 위쪽의 주행 경로의 일부가 진흙 침전연못 내에 보관 유지된 처리수의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지만, 주행 경로의 전체가 상기 처리 수중에 배설되고 있어도 관계없다. 그 경우, 체인을 이 주행 경로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로킷에 권회하는 구조라고 하면, 스프로킷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진흙소기기의 구조를 한층 간략화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체인을 한 쌍의 스프로킷에 감아 돌려 주행 경로 전체가 처리 수중에 배설되도록 했을 경우에는, 상기 위쪽의 주행 경로와 플라이트가 진흙을 긁어모을 때의 아래쪽의 진흙소기체의 주행 경로를 상하에 근접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3, 4의 소기기와 같이, 아래쪽의 주행 경로에도 진흙소기체의 부상을 누르는 하부 레일을 마련했을 때에, 이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의 적어도 일부를, 진흙 침전연못 내에 설치된 공통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것에 의해서 소기기의 장치 구조를 간략화해 저비용으로 효율적인 진흙소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여 소기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체인 전체에 항상 적정한 장력을 줄 수 있어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의 빈도를 줄여 진흙 침전연못에서 처리가 막히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듯이, 평면 시에 장방형상을 이루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2개의 진흙 침전연못(P)이 병렬로 배설(配設)되고, 이러한 진흙 침전연못(P)의 양쪽 모두에, 역시 동일한 형상 및 크기, 동일한 구조의 본 실시 형태의 진흙소기기가 각각 배설된다. 그래서, 이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일방의 진흙 침전연못(P)에 있어서의 진흙소기기에 대한 도면 부호를 배치하고, 타방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진흙 침전연못(P)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장방형상을 이루는 저면(Q)과 이 저면(Q)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장방형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긴 벽면(R)과 이들 긴 벽면(R) 및 저면(Q)과 수직으로 된 상기 긴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벽면(S)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저면(Q) 중 일방의 짧은 벽면(S)(도 1, 도 2에 대해 좌측의 짧은 벽면(S)) 측은 일단이 깊게 되어 있고, 긁어 전해진 진흙이 배출되는 진흙 배출홀(T)로 되어 있다. 덧붙여 저면(Q)과 한 쌍의 긴 벽면(R)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는, 저면(Q)측을 향함에 따라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U)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나듯이, 이 진흙 배출홀(T)과 저면(Q)의 경계 부분의 바로 위쪽의 위치와 한 쌍의 짧은 벽면(S)의 안쪽 타방의 짧은 벽면(S)(도 1, 도 2에 대해 우측의 짧은 벽면(S)) 측의 저면(Q)의 바로 위쪽의 위치에는, 스프로킷(sprocket) 지지축(1)이, 양 긴 벽면(R)으로부터 같은 축선이 되도록 수직으로 각각 설치된다. 또한, 이들 스프로킷 지지축(1)의 선단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이 축선에 회전가능하게 스프로킷(2A,2B)이 장착된다. 덧붙여 상기한 타방의 짧은 벽면(S) 측의 스프로킷(2B)은 서로 독립해 스프로킷 지지축(1)에 장착되어 한쪽에 지지를 받고 있는데 비해, 진흙 배출홀(T) 측의 스프로킷(2A)은 축(3)에 의해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진흙 배출홀(T)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스프로킷(2A) 중 다른 한쪽에는, 이 다른 한쪽의 스프로킷(2A)과 상기 축선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 스프로킷(4)이 장착된다. 이 구동 스프로킷(4)은, 진흙 침전연못(P) 상에 설치된 구동장치(5)의 회전축에 체인 등을 개입시켜 연결되어 이 구동장치(5)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구동 스프로킷(4) 및 축(3)에 의해서 연결된 상기 2개의 스프로킷(2A)이 상기 축선에 소정의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덧붙여 이 구동 스프로킷(4)은, 상기 2개의 진흙 침전연못(P)에 있어서의 진흙소기기끼리의 사이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듯이, 서로 인접하는 긴 벽면(R)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킷 지지축(1)의 선단에 위치하는 스프로킷(2A)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진흙 침전연못(P) 내에 배설된 총 4개의 스프로킷(2A,2B)에서는, 한 쌍의 긴 벽면(R)의 안쪽의 동일한 긴 벽면(R)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로킷 지지축(1)의 선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프로킷(2A,2B) 사이가, 각 긴 벽면(R)으로부터 간격이 동일한 연직(鉛直)면 상에 각각 위치한다. 또한, 이들 한 쌍의 스프로킷(2A,2B)에는, 상기한 동일한 연직면 상에서 무단 형상으로 감겨지도록 체인(6)을 각각 감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듯이, 1개의 진흙 침전연못(P)에 대해 한 쌍의 체인(6)이 양 긴 벽면(R) 측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구동장치(5)에 의해서 스프로킷(2A)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체인(6)이 스프로킷(2B)을 종동 회전시키면서, 이들 한 쌍의 스프로킷(2A,2B) 사이를 상기 연직면 내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 같은 주행 방향(F)으로 주위를 주행한다. 덧붙여 이 체인(6)의 길이는, 한 쌍의 스프로킷(2A,2B)에 느슨해지지 않게 체인을 감았을 경우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양 긴 벽면(R) 측에 위치한 한 쌍의 체인(6)에는, 복수의 플라이트(7)가 걸쳐서 지지한다. 각각의 플라이트(7)는, 상기 연직면에 대해 수직으로 양 체인(6) 사이에 늘어나도록 걸쳐서 지지하고, 각각의 플라이트(7)의 양단부는, 각각의 체인(6)이 이루는 고리의 외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 플라이트(7)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듯이 상기 연직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가, 한 쌍의 체인(6) 사이의 간격보다 길고, 진흙 침전연못(P)의 상기 경사면(U) 사이에 있어서의 저면(Q)의 폭보다는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어 그 결과, 각각의 플라이트(7)는, 저면(Q) 상에 있고, 경사면(U)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플라이트(7)에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체인(6)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항상 수직이 되도록 소기면(7A)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플라이트(7)가 체인(6)의 긴 방향을 따라서 복수 등간격으로 배설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진흙소기체(8)가 구성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구성된 진흙소기체(8)는, 진흙 침전연못(P) 내에 도입된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진흙소기체(8)를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도록 하려면, 예를 들면 체인(6)이 처리수(W) 중에 가라앉는 경우에는 플라이트(7)를 처리수(W) 중으로 부상시켜, 진흙소기체(8)가 전체적으로 처리수(W) 중으로 부상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처리수(W) 중으로 부상하는 체인(6)으로 처리수(W) 중에 가라앉는 플라이트(7)를 조합해도 관계없다. 또한, 플라이트(7)로 체인(6)의 양쪽을 처리수(W) 중으로 부상하도록 구성해도 관계없다.
다만, 체인(6)에는 후술하듯이 장력이 부여되므로, 체인(6)에 관해서는, 처리수(W) 중에 가라앉는다고 해도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를 채우기 위해서는, 체인(6)을, 예를 들면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서 형성한다. 또한, 플라이트(7)도, 보다 큰 부력에 의해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도록 구성하여, 진흙소기체(8) 전체를 처리수(W) 중에서 확실히 부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진흙소기체(8) 전체를 플라이트(7)보다 큰 부력으로 처리수(W) 중에서 확실히 부상시키려면, 예를 들면 플라이트(7) 자체를 섬유 강화 수지 등의 경량으로 고강도의 소재에 의해 중공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플라이트(7)의 상기 소기면(7A)의 이면에, 이러한 중공형상의 플로트나, 그 자체가 비중의 작은 발포스티롤 등으로 되는 플로트를 달거나 하면 좋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체인(6)의 외측에는 돌출된 플라이트(7)의 양단부에 각각 슈(7B)가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슈(7B)는,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에 하부로부터 접동 가능하게 접촉한다.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이란, 진흙 침전연못(P) 내에 있어 스프로킷(2A,2B)의 상하에 상기 긴 방향에 따라서 늘어나도록 설치된 긴 평판 모양의 부재로, 이들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려고 하는 진흙소기체(8)의 플라이트(7)를 위쪽으로부터 눌러 붙이고, 그 긴 방향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플라이트(7)의 상부 레일(9A)에 접하는 부분과 하부 레일(9B)에 접하는 부분과는 서로 반대 측이 된다. 그 때문에, 슈(7B)는 플라이트(7)의 양측으로 각각 장착된다.
또한, 하부 레일(9B)은, 도 2에 나타나듯이, 한 쌍의 스프로킷(2A,2B) 아래 가장자리 사이에 진흙 침전연못(P)의 저면(Q)과 평행하게, 이 저면(Q)의 대략 전체 길이에 늘어나도록 배설된다. 그리고, 이 하부 레일(9B)에 슈(7B)가 접동 가능하게 접촉한 플라이트(7)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듯이, 그 아래쪽을 향한 단부의 테두리가 진흙 침전연못(P)의 저면(Q)과의 사이에 작은 간격을 두어 이 저면(Q)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체인(6)이 진흙 침전연못(P) 내에 있어서의 스프로킷(2A,2B)의 아래 쪽의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를 주위 주행하면, 플라이트(7)는 이와 같이 저면(Q)과의 사이에 작은 간격을 둔 채로 상기 주행 방향(F), 즉 진흙 침전연못(P)의 상기 타방의 짧은 벽면(S)으로부터 진흙 배출홀(T)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하부 레일(9B)을 따라서 저면(Q)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이 저면(Q)에 퇴적한 진흙을 긁어모아 진흙 배출홀(T)로 배출한다.
한편, 상부 레일(9A)은 또한 도 2에 나타나듯이, 일방의 스프로킷(2A)의 위쪽 가장자리보다 약간 위쪽에, 하부 레일(9B)과 평행하면서 타방의 스프로킷(2B) 측으로 늘어나도록 배설된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레일(9B)이 한 쌍의 스프로킷(2A,2B) 간에 배설되는 것에 비하여, 상부 레일(9A)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방의 스프로킷(2A) 측으로부터 타방의 스프로킷(2B)에 이르는 도중에 중단된다. 이것에 의해, 진흙 침전연못(P) 내에 있어서의 스프로킷(2A,2B)의 위쪽의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에는, 이 타방의 스프로킷(2B) 측에 상부 레일(9A)이 설치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고, 이 영역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체인 긴장 영역(X)이 된다.
이 체인 긴장 영역(X)에서,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도록 구성된 진흙소기체(8)는, 상부 레일(9A)을 누르지 못하고 부상하며 위쪽에 부풀어 오르도록 내밀어진다. 그 후, 체인(6)이 타방의 스프로킷(2B)에 감기는 것으로 아래 쪽에 되돌려져 상기 아래쪽의 주행 경로로 내보내진다. 덧붙여 체인 긴장 영역(X)에 대해 부상하는 진흙소기체(8)는, 진흙 침전연못(P)에 모인 처리수(W)의 내부에서만 부상하도록 체인(6)의 길이가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체인 긴장 영역(X)에 대해 플라이트(7)나 체인(6)이 처리수(W)의 수면상으로 부상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레일(9A)의 체인 긴장 영역(X)에 인접하는 단부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체인 긴장 영역(X) 측을 향함에 따라 상향 만곡하도록 형성된다.
덧붙여 이들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은, 상부 레일(9A)이 설치되지 않는 체인 긴장 영역(X)를 제외하고, 진흙 침전연못(P) 내에 설치된 공통의 지지 부재(10)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다. 즉, 하부 레일(9B)에 대해서 상부 레일(9A)이 평행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나듯이 상하 방향에 대해 상부 레일(9A)이 배설되는 위치에, 지지 부재(10)의 네모기둥(角柱) 형상의 위쪽 지지부(10A)가, 상기 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진흙 침전연못(P)의 상기 한 쌍의 긴 벽면(R)으로부터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어 이 위쪽 지지부(10A)의 선단부의 아래쪽 면에 상부 레일(9A)이 장착된다.
또한, 이 상부 레일(9A)이 장착된 선단부에서 약간 후단측(긴 벽면(R)측)의 위쪽 지지부(10A)의 아래쪽 면에는, 하부를 향해서 연장된 후에 위쪽 지지부(10A)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L자 네모기둥 형상의 아래쪽 지지부(10B)가, 경사면(U)과 간섭하지 않게 장착되어 이 아래쪽 지지부(10B)의 선단부 하면에, 하부 레일(9B)이 장착된다. 덧붙여 상부 레일(9A)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체인 긴장 영역(X)에 대해서는, 상부 레일(9A)이 장착되는 위쪽 지지부(10A)의 선단부가 제거된 지지 부재(10)를 배설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흙소기기에 대해서는, 체인(6)과 플라이트(7)로부터 구성된 진흙소기체(8)가 진흙 침전연못(P) 내의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고, 아래쪽의 주행 경로에서는, 플라이트(7)의 위쪽에 배설되는 하부 레일(9B)에 플라이트(7)의 슈(7B)가 하부로부터 접촉하는 한편, 하부 레일(9B)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으로써, 플라이트(7)가 위쪽으로부터 눌러 붙일 수 있으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행 방향(F)으로 이동하고 진흙을 긁어모아 진흙 배출홀(T)에 배출한다. 따라서, 진흙이 퇴적하는 진흙 침전연못(P)의 저면(Q)과 하부 레일(9B)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그 결과, 퇴적한 진흙 중에서 슈(7B)가 하부 레일(9B)에 대해 접동하는 것이 없고, 이들 하부 레일(9B)이나 슈(7B)의 마모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부 레일(9B)이 저면(Q)과 간격을 두고 위쪽에 배치되고, 저면(Q)에 장애물이 배치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이 저면(Q)에 퇴적한 진흙을 플라이트(7)에 의해서 고르게 긁어모아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하부 레일(9B)이나 상부 레일(9A)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0)나, 스프로킷(2A,2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로킷 지지축(1)도, 진흙 침전연못(P)의 긴 벽면(R)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진흙소기 때의 장애물이 될 수도 없다.
한편, 진흙 침전연못(P) 내에 있어서의 위쪽의 주행 경로에는, 플라이트(7)의 슈(7B)에 접촉해 진흙소기체(8)의 부상을 구속하는 상부 레일(9A)이 설치된 영역과 이 상부 레일(9A)가 설치되지 않는 체인 긴장 영역(X)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체인 긴장 영역(X)으로 진흙소기체(8)가 처리수(W) 중에서 자유롭게 부상하는 것으로써, 체인(6) 전체에 장력이 주어진다. 이 때문에, 마모 등에 의해서 체인(6)이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체인(6)이 늘어나는 것은 체인 긴장 영역(X)에 있어서의 체인(6)의 부상에 의해서 흡수되고, 체인(6)의 장력이 약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진흙소기기에 의하면, 진흙소기체(8)의 부력이나 체인 긴장 영역(X)을 마련하는 구간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으로써, 체인 긴장 영역(X)으로 진흙소기체(8)가 부상하는 것만으로 항상 체인(6)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늘어남이 발생한 체인(6)이 스프로킷(2A,2B)으로부터 빗나가거나 하지 않고, 안정적인 한편 효율적으로 진흙의 소기를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체인(6)이 늘어나는 것을, 체인 긴장 영역(X)에 있어서의 처리수(W)의 수면과 부상한 진흙소기체(8)의 표면과의 사이에 흡수하기 때문에, 처리수(W)의 수면과 진흙소기체(8)의 표면과의 간격에 여유를 갖게 하는 것으로,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장력을 체인(6)에 부여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 마련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진흙소기기의 구조가 복잡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필요 이상으로 큰 장력을 체인(6)에 부여하여, 오히려 체인(6)의 수명을 단축해 버릴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체인 긴장 영역(X)에 인접하는 상부 레일(9A)의 단부가, 체인 긴장 영역(X) 측을 향함에 따라 상향 만곡하도록 된다. 그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인 긴장 영역(X)으로 부상하는 진흙소기체(8)의 체인(6)이나 플라이트(7)가 이 단부에 걸리거나 하여 손상될 것도 없다. 따라서, 체인(6) 및 플라이트(7)를 체인 긴장 영역(X)에 대해 원활히 부상시켜, 보다 확실히 체인 당김 조정 작업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의 전체가 진흙 침전연못(P)에 보관 유지된 처리수(W) 중에 배설되어 각각의 체인(6)은, 그 주행 경로의 양단에 배설된 한 쌍의 스프로킷(2A,2B)에 감겨져 주위를 주행한다. 즉, 1개의 체인(6)에 대해서 최소한의 수의 스프로킷(2A,2B)에 의해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진흙소기기의 구조를 한층 간략화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체인(6)이 한 쌍의 스프로킷(2A,2B)에 감겨져 주행 경로 전체가 처리수(W) 중에 배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로킷(2A,2B)의 위쪽의 주행 경로와 아래쪽의 주행 경로를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행 경로를 주위 주행하는 진흙소기체(8)의 체인 긴장 영역(X) 이외의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의 간격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0)도, 이들이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공통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진흙소기기의 구조를 한층 더 간략으로 할 수 있어 보다 저비용이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된 진흙의 소기가 가능한 진흙소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6)이 한 쌍의 스프로킷(2A,2B)에 감겨지고,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의 전체가 처리수(W) 중에 배설된다. 한편,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이, 체인(6)이 2개 이상의 스프로킷(2)에 감겨 주행 경로가 형성되고 있어도 관계없다. 또한, 상기 체인 긴장 영역(X) 이외의 부분에서, 진흙소기체(8)의 플라이트(7)가 처리수(W)의 수면상으로 부상해도 관계없다. 덧붙여 이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배치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CC단면, DD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이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이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 중 한 쌍의 스프로킷(2A,2B)의 아래쪽 부분과 상기 체인 긴장 영역(X)의 부분은 제1의 실시 형태와 같다. 한편, 한 쌍의 스프로킷(2A,2B)의 상기 일방의 스프로킷(2A)의 위쪽에는, 제3의 스프로킷(2C)이 처리수(W)의 수면의 위치보다 약간 하부에 배설된다. 게다가 이 제3의 스프로킷(2C)의 상기 타방의 짧은 벽면(S) 측에는, 제3의 스프로킷(2C)과 상기 긴 방향으로 간격을 둔 제4의 스프로킷(2D)이, 역시 처리수(W)의 수면의 위치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설된다. 덧붙여 구동 스프로킷(4)은 제3의 스프로킷(2C)에 장착되어 구동장치(5)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레일(9A)의 일방의 짧은 벽면(S) 측의 단부가 상기 제4의 스프로킷(2D)의 위쪽에 있어 처리수(W)의 수면상에 위치한다. 상부 레일(9A)은, 타방의 짧은 벽면(S) 측, 즉 체인 긴장 영역(X) 측을 향함에 따라 하강하여 처리수(W) 중에 잠겨, 진흙 침전연못(P)의 긴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서 하부 레일(9B)과 평행으로 된 후,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이 체인 긴장 영역(X) 측을 향함에 따라 상향 만곡해서 중단된다. 덧붙여 이와 같이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이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같게,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은, 진흙 침전연못(P)의 긴 벽면(R)으로부터 돌출하는 공통의 지지 부재(10)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의 실시 형태의 진흙소기기에 대해도,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이 체인(6) 및 플라이트(7)로 이루어지는 진흙소기체(8)가 체인 긴장 영역(X)에서 처리수(W) 중에 부상하는 것으로써, 체인(6) 전체에 장력이 부여된다. 그 때문에, 마모 등에 의해서 체인(6)에 늘어남이 발생하여도, 체인(6)이 늘어나는 것을 체인 긴장 영역(X)에 있어서의 체인(6)의 부상에 의해 흡수하고, 안정된 체인(6) 및 플라이트(7)의 주위 주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체인 긴장 영역(X)에 인접하는 상부 레일(9A)의 단부는 상향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이트(7) 등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상부 레일(9A)과 하부 레일(9B)이 평행한 부분에서는 이들을 공통의 지지 부재(10)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 구조의 복잡화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이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6)이 처리수(W)의 수면의 위치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제4의 스프로킷(2C,2D)에도 감겨진다. 따라서, 이들 제3, 제4의 스프로킷(2C,2D)의 사이의 부분에서는 플라이트(7)가 체인(6)의 위쪽에 위치한다. 그 결과, 이들 체인(6) 및 플라이트(7)로 이루어지는 진흙소기체(8)가 처리수(W) 중에서 부상하는 구성에 의해 서로 작용하여, 도 7에 나타나듯이, 이 제3, 제4의 스프로킷(2C,2D) 간으로, 플라이트(7)의 상부를 처리수(W)의 수면으로부터 부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라이트(7)에 의해서 진흙 침전연못(P)의 저면(Q)에 퇴적하는 진흙을 긁어모아 진흙 배출홀(T)에 배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 제3, 제4의 스프로킷(2C,2D) 간에 처리수(W)의 수면으로부터 부상한 플라이트(7)에 의해, 해수면 부근에 부유하는 찌꺼기를 긁어모으는 일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긁어모아진 찌꺼기를 배출하는 수단을, 예를 들면 제4의 스프로킷(2D)에 인접해 체인(6)의 주행 방향(F) 측에 마련하는 것으로, 진흙 침전연못(P)에 도입된 처리수(W)의 청정화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덧붙여 이들 제1,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 긴장 영역(X)을, 위쪽의 진흙소기체(8)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의 주행 방향(F) 측의 단부(타방의 스프로킷(2B)에 체인(6)이 감겨지는 부분)에 마련하고 있다. 그렇지만, 제1의 실시 형태와 같이 체인(6)의 주행 경로 전체가 진흙 침전연못(P) 내의 처리수(W) 중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체인 긴장 영역(X)을, 위쪽의 주행 경로의 주행 방향(F)의 전방 측의 단부인, 일방의 스프로킷(2A)에 체인(6)이 감겨지는 부분에 설치해도 무관하다. 혹은, 예를 들면 이들 한 쌍의 스프로킷(2A,2B)의 위쪽에 각각 상부 레일(9A)을 배설하고, 그 외의 부분은 상부 레일(9A)을 마련하지 않고 체인 긴장 영역(X)이라고 해도 무관하다. 게다가 체인 긴장 영역(X)은 복수 설치되고 있어도 관계없다.
이상,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될 것은 없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외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될 것은 없고, 첨부의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5)

  1. 진흙 침전연못 내에 무단(無端) 형상으로 감겨지도록 배설되어 주위를 주행하는 체인에, 상기 진흙 침전연못의 저면에 퇴적한 진흙을 긁어모으는 플라이트가 장착되게 진흙소기체가 구성되어, 이 진흙소기체는 상기 진흙 침전연못 내의 처리 수중에서 부상하도록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진흙 침전연못 내에 있어서의 위쪽의 상기 진흙소기체의 주행 경로에는, 상기 진흙소기체의 부상을 누르는 상부 레일과, 이 상부 레일이 설치되지 않고 상기 진흙소기체의 상기 처리 수중에서의 부상을 허용하고 동시에 부상하는 진흙소기체는 처리수의 수면 위로 부유하지 않는 체인 긴장 영역이 설치되는 진흙소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긴장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는, 상기 체인 긴장 영역 측을 향함에 따라 상향 만곡하도록 형성되는 진흙소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의 전체가 상기 처리 수중에 배설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체인이 이 주행 경로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로킷에 감겨지는 진흙소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 침전연못 내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상기 진흙소기체의 주행 경로에, 상기 진흙소기체의 부상을 누르는 하부 레일이 설치되고 있어 이 하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흙 침전연못 내에 설치된 공통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 진흙소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 침전연못 내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상기 진흙소기체의 주행 경로에, 상기 진흙소기체의 부상을 누르는 하부 레일이 설치되고 있어 이 하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진흙 침전연못 내에 설치된 공통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 지지를 받는 진흙소기기.
KR1020120063092A 2012-06-13 2012-06-13 진흙소기기 KR10194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92A KR101943559B1 (ko) 2012-06-13 2012-06-13 진흙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92A KR101943559B1 (ko) 2012-06-13 2012-06-13 진흙소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52A KR20130139552A (ko) 2013-12-23
KR101943559B1 true KR101943559B1 (ko) 2019-01-29

Family

ID=4998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92A KR101943559B1 (ko) 2012-06-13 2012-06-13 진흙소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2777B1 (ja) * 2016-12-20 2018-02-21 月島機械株式会社 汚泥掻寄機、フライトおよびシュー
CN117463013B (zh) * 2023-12-26 2024-03-01 河北中瀚水务有限公司 一种高效智能的积泥斗排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627A (ja) * 2003-10-11 2005-05-26 Fujika:Kk 汚泥掻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8006A (ja) * 1990-02-15 1991-10-23 Hitachi Kiden Kogyo Ltd 汚泥掻寄機
US5788837A (en) * 1996-04-29 1998-08-04 Polychem Corporation Plastic flight type water treatment system for rectangular clarifiers
KR100277507B1 (ko) * 1998-08-18 2001-01-15 강준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627A (ja) * 2003-10-11 2005-05-26 Fujika:Kk 汚泥掻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52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6386C (en) Chip discharge conveyor system
JP5743527B2 (ja) 汚泥掻寄機
JP2006326483A (ja) 汚泥掻寄せ機
KR101540242B1 (ko)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JP7023705B2 (ja) 汚泥掻寄機
KR101943559B1 (ko) 진흙소기기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JP6970504B2 (ja) チェーン及び汚泥掻寄機
JP4584744B2 (ja) 沈殿池
US2102570A (en) Screening apparatus for liquids
JP5774418B2 (ja) ノッチチェーン式汚泥掻寄機
JP6921013B2 (ja) 汚泥掻寄方法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CN111148557B (zh) 污泥收集器
KR101199266B1 (ko) 수처리장치
JP6984811B2 (ja) 沈殿池設備
KR100894829B1 (ko) 높이 가변형 플라이트를 이용한 슬러지 수집기 및 이를적용한 침전지
JP2017077507A (ja) スカム寄せ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汚泥掻寄機
JP5828160B2 (ja) 沈澱物除去装置
JP2007117870A (ja) 移床式集泥装置及び集泥方法
JP2004016862A (ja) 油回収装置及び油汚染土壌の洗浄処理装置
JP2018130667A (ja) 汚泥掻寄機
JP6357690B2 (ja) 汚泥掻寄装置のスクレーパ本体を生産する方法
KR10259504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