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199B1 - 배기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열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199B1
KR101943199B1 KR1020170057984A KR20170057984A KR101943199B1 KR 101943199 B1 KR101943199 B1 KR 101943199B1 KR 1020170057984 A KR1020170057984 A KR 1020170057984A KR 20170057984 A KR20170057984 A KR 20170057984A KR 101943199 B1 KR101943199 B1 KR 10194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engine
exhaust heat
heat recovery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340A (ko
Inventor
도시오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7013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2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 F02N19/04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by heating of fluids used in engines
    • F02N19/10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by heating of fluids used in engines by heating of engine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01N3/04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without contact between liquid and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02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xhaust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6Outlet manif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배기열 회수기와 엔진 사이에서 엔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유통 유로에 있어서, 엔진보다 상류측의 상류 유로와 하류측의 하류 유로를 바이패스 유로로 연통하고, 배기열 회수기를 나온 엔진 냉각수가 엔진을 경유하는 경우보다 짧은 유로 길이의 단락 유로를 형성한다.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양을 조정 가능한 밸브와, 단락 유로의 펌프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배기열 회수 장치{EXHAUST HEAT RECOVERY SYSTEM}
본 개시의 기술은, 배기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배기열을 사용하여, 엔진 냉각수 등을 승온시키는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45663호에는, 배기가스의 열을 배기관에 형성한 배기열 회수기에 의해 회수하여 난방이나 엔진의 난기 촉진 등에 이용하는 기술에 있어서, 배기관 내의 동결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해, 주행 이력에 기초하여 배기열의 회수량을 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의 순환 경로에, 배기열 회수기를 개재하지 않는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여, 배기열 회수기를 통과하는 순환 유로와 통과하지 않는 순환 유로를 갖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밸브에 의해 2 개의 순환 유로를 전환함으로써, 배기열 회수기에 순환하는 냉각수량이 조정되어, 배기열의 회수량이 조정되는 구조이다. 전환 밸브는, 개도의 제어에 의해 배기열 회수기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해도 되고, 또 배기열 회수기에 흐르게 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해도 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45663호에는, 배기열 회수기에는, 냉각수가 워터 펌프에 의해 순환되고, 워터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배기열 회수기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에서는, 전환 밸브의 개도의 조정이나 펌프의 제어에 의해, 배기열 회수기로부터 회수하는 열량을 조정하고 있다. 즉, 배기열 회수기에 흐르는 냉각수의 양을 조정하고 있지만, 배기열의 회수량의 조정을 보다 짧은 시간으로,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의 하나의 양태는, 보다 짧은 시간으로,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엔진으로부터의 배기열의 회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의 제 1 양태에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 흐르는 배기관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의 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와,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부터 상기 엔진에 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상류 유로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배기열 회수기에 상기 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하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열 회수기와 상기 엔진 사이에서 상기 엔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유통 유로와, 상기 유통 유로에 있어서 상기 상류 유로와 상기 하류 유로를 연통하고, 상기 배기열 회수기를 나온 상기 엔진 냉각수가 상기 엔진을 경유하여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 돌아오는 경우보다 짧은 유로 길이로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 돌아오는 단락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유통 유로에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는 상기 엔진 냉각수의 양을 조정하는 밸브와, 상기 단락 유로에 형성되는 펌프를 갖는다.
이 배기열 회수 장치에서는, 바이패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단락 유로가 형성된다. 단락 유로의 유로 길이는, 배기열 회수기를 나온 엔진 냉각수가 엔진을 경유하여 배기열 회수기로 돌아오는 경우의 유로 길이보다 짧다. 즉, 단락 유로를 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경우에는 엔진을 경유하는 경우보다, 배기열 회수기를 순환하는 엔진 냉각수의 양이 적어지고, 수온이 단시간에 상승한다. 그리고, 수온이 상승한 엔진 냉각수에는, 배기열 회수기로부터 열이 이동하기 어렵다.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양은 밸브에 의해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단락 유로를 순환하는 엔진 냉각수의 양도 조정할 수 있고, 배기열 회수기로 회수하는 회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단락 유로에는 펌프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펌프의 구동에 의해, 단락 유로에서의 엔진 냉각수의 순환을 촉진시키거나, 단락 유로를 순환하는 엔진 냉각수의 유속을 조정하거나 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배기열의 회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밸브 및 펌프를 형성하면, 배기열의 회수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간이한 구성이다.
본 개시의 기술의 제 2 양태에서는, 상기 펌프는, 상기 상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상류 분기부와 상기 배기열 회수기 사이에 배치된다.
엔진 냉각수를 엔진측에 흐르게 하는 경우와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게 하는 경우에서 펌프가 공용되는 구조이므로,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펌프를 형성한 구성과 비교하여 간이하다.
본 개시의 기술의 제 3 양태에서는, 상기 상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상류 분기부는, 상기 엔진보다 상기 배기열 회수기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분기된다.
상류 분기부가 상류 유로에 있어서 엔진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구조와 비교하여, 배기열 회수기에서 상류 분기부까지의 유로 길이가 짧다. 이 때문에, 엔진 냉각수가 바이패스 유로를 흐르도록 밸브를 전환한 후, 단시간에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의 제 4 양태에서는, 상기 밸브는, 상기 상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상류 분기부와 상기 엔진 사이에 배치된다.
밸브는, 상류 분기부와 엔진 사이에 배치되므로, 밸브의 개도를 작게 한 경우에도, 단락 유로의 유로 단면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락 유로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은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보다 짧은 시간으로,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엔진의 배기열의 열 회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도면을 근거하여 자세하게 설명된다 :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배기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은 제 1 실시형태의 배기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배기열 회수 장치에 있어서의 회수량 억제 제어의 플로 차트이다.
도 4 은 제 1 실시형태의 배기열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기술의 제 1 실시형태의 배기열 회수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열 회수 장치 (12) 는, 엔진 (14) 으로부터의 배기가 흐르는 배기관 (16) 을 갖는다. 이하에 있어서, 간단히「전방」및「후방」이라고 할 때에는, 이 배기의 흐름 방향 (화살표 F1 방향) 에 있어서의「전방」및「후방」을 의미하고, 배기의 흐름의 상류가「전방」, 하류가「후방」이다.
배기관 (16) 은, 제 1 배관 (16P) 및 제 2 배관 (16Q) 을 갖는다. 제 1 배관 (16P) 에는, 배기 중의 특정 성분을 제거하는 1 개 또는 복수의 촉매 컨버터 (15) 가 형성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개의 촉매 컨버터 (15A, 15B) 는, 배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직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배관 (16P) 로부터는, 촉매 컨버터 (15B) 의 후방측에 있어서 제 2 배관 (16Q) 이 분기되어 있다. 제 2 배관 (16Q) 의 내부에는, 배기열 회수기 (26)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열 회수기 (26) 의 더욱 후방측에서는, 제 2 배관 (16Q) 은 제 1 배관 (16P) 에 합류하고 있다.
제 1 배관 (16P) 에는, 제 2 배관 (16Q) 이 분기되는 위치보다 후방측에 밸브 부재 (34)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부재 (34) 는,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실선으로 나타내는 닫힘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열림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이로써, 밸브 부재 (34) 는, 닫힘 위치에서는, 제 1 배관 (16P) 의 유로 단면적을 작게 하므로 (단 완전히 폐색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배기의 대부분은 제 2 배관 (16Q) 에 흐른다. 이에 반해, 밸브 부재 (34) 는, 열림 위치에서는, 닫힘 위치보다 제 1 배관 (16P) 의 유로 단면적을 크게 하므로, 제 2 배관 (16Q) 에 흐르는 배기의 양은, 밸브 부재 (34)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보다 적어진다.
엔진 (14) 과 배기열 회수기 (26) 사이에는 유통 유로 (20) 가 형성되어 있다. 유통 유로는, 엔진 냉각수가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엔진 (14) 에 흐르는 상류 유로 (20A) 와, 엔진 (14) 으로부터 배기열 회수기 (26) 에 흐르는 하류 유로 (20B) 를 포함한다. 즉, 배기열 회수기 (26) 를 나온 엔진 냉각수가 상류 유로 (20A) 를 흘러 엔진 (14) 에 이르고, 엔진 (14) 으로부터 하류 유로 (20B) 를 흘러 배기열 회수기 (26) 에 순환하는 유로가 구성되어 있다.
상류 유로 (20A) 와 하류 유로 (20B) 사이에는 바이패스 유로 (24) 가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 유로 (24) 는, 상류 유로 (20A) 와 하류 유로 (20B) 를 연통한다. 바이패스 유로 (24) 는, 상류 분기부 (28A) 에 있어서 상류 유로 (20A) 로부터 분기되고, 하류 분기부 (28B) 에 있어서 하류 분기부 (28B) 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상류 유로 (20A) 에 나온 엔진 냉각수에 대해, 밸브 (30) 를 조정함으로써, 상류 분기부 (28A) 로부터 바이패스 유로 (24) 에 흐르는 양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유로 (24) 를 흐른 엔진 냉각수는, 하류 분기부 (28B) 에 의해 하류 유로 (20B) 에 합류하고, 배기열 회수기 (26) 로 돌아온다. 따라서, 엔진 냉각수의 흐름에 주목하면, 상류 분기부 (28A) 는, 상류 유로 (20A) 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가 바이패스 유로 (24) 에 분류되는 분류부이다. 마찬가지로, 하류 분기부 (28B) 는, 바이패스 유로 (24) 를 흐른 엔진 냉각수가 하류 유로 (20B) 에 합류하는 합류부이다.
상류 유로 (20A) 에 있어서의 배기열 회수기 (26) 에서 상류 분기부 (28A) 까지의 부분, 바이패스 유로 (24), 하류 유로 (20B) 에 있어서의 하류 분기부 (28B) 에서 배기열 회수기 (26) 까지의 부분에 의해, 단락 유로 (22)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열 회수기 (26) 를 시점 및 종점으로 하여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유로를 생각하면, 이 유로는, 엔진 (14) 을 경유하는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 (24) 를 경유하는 유로 (단락 유로 (22)) 의 2 개가 있다. 단락 유로 (22) 는 엔진 (14) 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엔진 (14) 을 경유하는 유로와 비교하여 유로 길이가 짧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분기부 (28A) 는, 상류 유로 (20A) 에 있어서, 엔진 (14) 측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배기열 회수기 (26) 에 가까운 위치 (상류 유로 (20A) 의 중간보다 배기열 회수기 (26) 측) 에 있다. 마찬가지로, 하류 분기부 (28B) 는, 하류 유로 (20B) 에 있어서, 엔진 (14) 측이 아니라 배기열 회수기 (26) 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류 유로 (20A) 에 있어서, 상류 분기부 (28A) 와 엔진 (14) 사이에는 밸브 (30)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30) 는, 상류 유로 (20A) 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30) 를 전폐 상태로 하면,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상류 유로 (20A) 에 나온 엔진 냉각수는, 엔진 (14) 에는 흐르지 않게 되고, 바이패스 유로 (24) 에 흐른다. 밸브 (30) 의 개도를 전개 상태보다 작게 한 경우에는, 엔진 (14) 에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양이 적어지고, 대신에 바이패스 유로 (24) 에 흐르는 양이 많아진다.
상류 유로 (20A) 에 있어서, 배기열 회수기 (26) 와 상류 분기부 (28A) 사이에는 펌프 (32) 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32) 는, 배기열 회수기 (26) 와 상류 분기부 (28A) 사이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를 가압함으로써, 엔진 냉각수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30) 및 펌프 (32) 는 제어 장치 (40) 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40) 에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 (42), 외기온을 검출하는 외기온 센서 (44), 배기의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압 센서 (46), 배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기온 센서 (48) 및 엔진 컨트롤 유닛 (ECU) (50) 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 (40) 에는, 차량의 주행 이력 (주행 시간, 배기의 양, 연료 소비량 등) 이나 위치 정보의 데이터를, 차량의 각종 장치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 (40) 는, 이들 센서나 각종 장치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밸브 (30) 및 펌프 (32) 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엔진 (14) 으로부터의 배기의 열은, 배기열 회수기 (26) 에 의해 회수되고, 엔진 냉각수에 전달된다. 엔진 냉각수를 승온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엔진 (14) 의 난기 운전을 촉진시키거나, 엔진 냉각수의 열을 난방에 사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배기열 회수기 (26) 에 의해 배기로부터 회수하는 열량 (엔진 냉각수에 전달하는 열량) 을 적게 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고 있어, 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는 승온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이다. 또, 배기관 (16) 의 내부를 흐르는 배기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여, 배기관 (16) 의 내부의 동결을 억제하고자 하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 제어 장치 (40) 는, 밸브 (30) 및 펌프 (32) 를 제어함으로써, 배기열 회수기 (26) 로 회수하는 열량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배기열 회수기 (26) 로 회수하는 열량을 적게 하기 위해, 제어 장치 (40) 가 밸브 (30) 및 펌프 (32) 에 대해 실시하는 제어를「회수량 억제 제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 (40) 는, 회수량 억제 제어로서, 밸브 (30) 의 개도를 작게 함과 함께 펌프 (32) 를 구동시킨다.
이로써,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상류 유로 (20A) 에 나온 엔진 냉각수 중, 상류 분기부 (28A) 로부터 바이패스 유로 (24) 로 이동하는 양이 많아진다. 바이패스 유로 (24) 를 흐른 엔진 냉각수는, 하류 분기부 (28B) 로부터 하류 유로 (20B) 를 거쳐, 배기열 회수기 (26) 로 돌아온다. 즉, 엔진 냉각수는, 화살표 F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 유로 (22) 를 흐른다. 단락 유로 (22) 는, 엔진 (14) 을 경유하는 경우보다 유로 길이가 짧으므로, 배기열 회수기 (26) 의 위치에서 순환하는 엔진 냉각수의 양도 적어진다. 이로써, 배기열 회수기 (26) 의 열을 받은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단시간에 상승한다.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엔진 냉각수로의 열의 이동량은, 이들 온도차가 클수록 많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한 엔진 냉각수에 대해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전달되는 열량이 적어진다. 또,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엔진 냉각수에 전달되는 열량이 적어지면, 배기열 회수기 (26) 보다 하류측에서의 배기 온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배기열 회수기 (26) 보다 하류측에서의 배기관 (16) 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하는지의 여부 판정 요소 및 회수량 억제 제어의 목적 (목표) 으로는,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예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7044282585-pat00001
실제 제어 장치 (40) 에 있어서의 회수량 억제 제어는, 도 3 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에 기초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이 플로에서는, 제어 장치 (40) 는, 스텝 S102 에서 외기온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 온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임계값 온도는, 배기관 (16) 의 내부에 있어서 동결을 일으키게 할 우려가 높다고 판단하는 임계값의 온도이며, 예를 들어 0 ℃ 이다. 스텝 S102 에서 판단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4 로 이행된다.
스텝 S104 에서는, 밸브 (30) 및 펌프 (32) 에 대해, 회수량 억제 제어를 정지하도록 제어 (제어 정지) 한다. 이「제어 정지」에는, 이미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 이것을 정지하는 경우와,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 이 상태를 계속하는 것의 양방이 포함된다.
제어 장치 (40) 는, 스텝 S102 에서 판단이 긍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6 으로 이행된다. 스텝 S106 에서는, 제어 장치 (40) 는, 차량의 전회 주행에 있어서의 주행 시간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 시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임계값 시간은, 배기관 (16) 의 내부에 있어서 동결을 일으키게 할 우려가 높다고 판단하는 임계값의 차량 주행 시간이며, 예를 들어 10 분이다. 스텝 S106 에서의 판단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4 로 이행되고, 긍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8 로 이행된다.
제어 장치 (40) 는, 스텝 S108 에서는, 금회 주행에 있어서의 최대 배기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 배기량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말하는 배기량은, 단위 시간당에 엔진 (14)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양이다. 그리고, 임계값 배기량은, 배기관 (16) 의 내부에 있어서 동결을 일으키게 할 우려가 높다고 판단하는 임계값의 배기량이다. 스텝 S108 에서의 판단이 부정된 경우에는 스텝 S104 로 이행되고, 긍정된 경우에는 스텝 S110 으로 이행된다. 스텝 S110 에서는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한다. 그리고, 스텝 S102 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도 3 에 나타내는 플로에 있어서, 스텝 S102, S106, S108 에서의 판단이 모두 긍정된 경우에는, 외기온이 임계값 온도 이하이고, 전회 주행의 주행 시간이 소정 시간 이내이고, 또한 금회 주행의 최대 배기량이 임계값 배기량 이하이다. 즉, 이 경우에는 배기관 (16) 이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제어 장치 (40) 는, 배기관 (16) 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스텝 S110 에서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반해, 스텝 S102, S106, S108 에서의 판단 중 어느 것이 부정된 경우에는, 배기관 (16) 이 동결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제어 장치 (40) 는 스텝 S104 에서 회수량 억제 제어를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판정 요소를 사용하여,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실시함으로써, 배기관 (16) 의 동결이 상정되는 경우를 적확하게 판별하여, 배기열 회수기 (26) 에 있어서의 배기열의 회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 부재 (34) 의 개폐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밸브 부재 (34) 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온 감지식 서모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수온 감지식 서모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면, 회수량 억제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엔진 냉각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의 초기 단계에서는 제 2 배관 (16Q) 에 많은 배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단시간에 엔진 냉각수를 승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시간에 엔진 냉각수 온도를 승온시킴으로써, 제어 장치 (40) 에 의해 회수량 억제 제어로 조기에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펌프 (32) 는, 상류 유로 (20A) 에 형성되어 있고, 특히 배기열 회수기 (26) 에서 상류 분기부 (28A) 까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어 바이패스 유로 (24) 에 형성한 구성이어도, 바이패스 유로 (24) 는 단락 유로 (22) 의 일부이므로, 단락 유로 (22) 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를 가압하여, 엔진 냉각수의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배기열 회수기 (26) 에서 상류 분기부 (28A) 까지의 부분은, 밸브 (30) 의 열림 밸브 상태에서, 엔진 (14) 에 흐르는 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이기도 하다. 즉, 펌프 (32) 를 배기열 회수기 (26) 에서 상류 분기부 (28A) 까지의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엔진 냉각수를 엔진 (14) 에 흐르게 하는 경우와, 바이패스 유로 (24) 에 흐르게 하는 경우에서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경우에서 따로 펌프를 형성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간이이다.
또한, 엔진 냉각수를 엔진 (14) 에 흐르게 하는 경우와 바이패스 유로 (24) 에 흐르게 하는 경우에서 펌프를 공용하는 관점에서는, 펌프 (32) 를, 하류 유로 (20B) 에 있어서, 하류 분기부 (28B) 와 배기열 회수기 (26) 사이에 형성해도 된다. 펌프 (32) 를 상류 유로 (20A) 에 형성함으로써, 배기열 회수기 (26) 로부터 나온 직후의 엔진 냉각수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엔진 냉각수의 순환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상류 분기부 (28A) 는, 상류 유로 (20A) 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엔진 (14) 에 가까운 위치가 아니라, 배기열 회수기 (26) 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류 분기부 (28A) 가 엔진 (14) 에 가까운 위치인 구조와 비교하여, 단락 유로 (22) 를 짧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류 분기부 (28B) 는, 하류 유로 (20B) 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엔진 (14) 에 가까운 위치가 아니라, 배기열 회수기 (26) 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하류 분기부 (28B) 가 엔진 (14) 에 가까운 위치인 구조와 비교하여, 단락 유로 (22) 를 짧게 할 수 있다.
밸브 (30) 는, 상류 유로 (20A) 에 있어서, 상류 분기부 (28A) 와 엔진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단락 유로 (22) 를 피한 위치이다. 따라서, 밸브 (30) 의 개도를 작게 한 경우나, 닫힘 밸브 상태로 한 경우에도, 단락 유로 (22) 의 유로 단면적은 작아지지 않고, 단락 유로 (22) 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밸브 (30) 가 상류 유로 (20A) 에 배치된 예를 들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하류 유로 (20B) (하류 분기부 (28B) 와 엔진 (14) 사이) 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밸브 (30) 로는, 예를 들어, 상류 분기부 (28A) 나 하류 분기부 (28B) 에 배치되는 삼방 밸브여도 된다.
2016년 6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113693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Claims (7)

  1.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 흐르는 배기관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의 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기와,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부터 상기 엔진에 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상류 유로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배기열 회수기에 상기 엔진 냉각수가 흐르는 하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열 회수기와 상기 엔진 사이에서 상기 엔진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유통 유로와,
    상기 유통 유로에 있어서 상기 상류 유로와 상기 하류 유로를 연통하고, 상기 배기열 회수기를 나온 상기 엔진 냉각수가 상기 엔진을 경유하여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 돌아오는 경우보다 짧은 유로 길이로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 돌아오는 단락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유통 유로에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흐르는 상기 엔진 냉각수의 양을 조정하는 밸브와,
    상기 단락 유로에 형성되는 펌프를 갖고,
    상기 펌프는, 상기 상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상류 분기부와 상기 배기열 회수기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열 회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상류 분기부는, 상기 엔진보다 상기 배기열 회수기에 가까운 위치에서 분기되는 배기열 회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하류 분기부는, 상기 엔진보다 상기 배기열 회수기에 가까운 위치에서 분기되는 배기열 회수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상류 유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가 분기되는 상류 분기부와 상기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열 회수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배기열 회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열 회수기로 회수하는 열량을 억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밸브의 개도를 작게 하는 배기열 회수 장치.
KR1020170057984A 2016-06-07 2017-05-10 배기열 회수 장치 KR101943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3693 2016-06-07
JP2016113693A JP6604273B2 (ja) 2016-06-07 2016-06-07 排気熱回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340A KR20170138340A (ko) 2017-12-15
KR101943199B1 true KR101943199B1 (ko) 2019-01-28

Family

ID=5869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84A KR101943199B1 (ko) 2016-06-07 2017-05-10 배기열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08636B2 (ko)
EP (1) EP3255259B1 (ko)
JP (1) JP6604273B2 (ko)
KR (1) KR101943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2063C2 (en) * 2016-03-15 2020-02-18 Scania Cv Ab A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haust gas flow in an exhaust line of a combustion engine
KR102466050B1 (ko) * 2018-02-21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1022236B (zh) * 2019-12-26 2021-11-19 宁波吉利罗佑发动机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热管理系统及车辆
EP3879083A1 (en) * 2020-03-10 2021-09-15 Alfa Laval Corporate AB Boiler and method of operating a boiler
JP7251564B2 (ja) * 2021-02-25 2023-04-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熱回収機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427A1 (en) 2001-09-20 2003-04-17 Behr Gmbh & Co Coolant circuit for motor vehicle
JP2005344572A (ja) 2004-06-01 2005-12-15 Denso Corp 熱電発電装置
JP2010138697A (ja) 2007-04-05 2010-06-24 Calsonic Kansei Corp 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US20110088378A1 (en) 2009-10-21 2011-04-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Inc. Exhaust heat recovery for transmission warm-up
JP2015086794A (ja) * 2013-10-31 2015-05-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熱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7849B2 (en) * 2008-04-07 2012-07-10 Intelleflex Corporation Small profile antenna and RFID device having same
JP4911126B2 (ja) * 2008-06-27 2012-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暖機制御システム
JP4883324B2 (ja) * 2008-10-09 2012-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熱交換システム
JP2011236863A (ja) 2010-05-13 2011-11-24 Calsonic Kansei Corp 排気ガス熱回収装置
US20150233337A1 (en) * 2012-08-20 2015-08-20 Borgwarner Inc. Thermal cold start system with multifunction valve
US8997464B2 (en) * 2013-05-31 2015-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aste heat recovery system with integrated hydrocarbon adsorber, and method thereof
JP5987848B2 (ja) * 2014-02-04 2016-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熱回収制御装置
JP6167998B2 (ja) 2014-06-05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熱回収装置
JP2016074380A (ja) * 2014-10-09 2016-05-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427A1 (en) 2001-09-20 2003-04-17 Behr Gmbh & Co Coolant circuit for motor vehicle
JP2005344572A (ja) 2004-06-01 2005-12-15 Denso Corp 熱電発電装置
JP2010138697A (ja) 2007-04-05 2010-06-24 Calsonic Kansei Corp 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US20110088378A1 (en) 2009-10-21 2011-04-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Inc. Exhaust heat recovery for transmission warm-up
JP2015086794A (ja) * 2013-10-31 2015-05-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熱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04273B2 (ja) 2019-11-13
US10508636B2 (en) 2019-12-17
EP3255259A1 (en) 2017-12-13
US20170350361A1 (en) 2017-12-07
EP3255259B1 (en) 2018-12-26
JP2017218966A (ja) 2017-12-14
KR20170138340A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199B1 (ko) 배기열 회수 장치
JP4755687B2 (ja) 電気機械式の構成部分の温度の調整のための方法及び該方法の実施のための装置
US9334783B2 (en) Exhaust throttling for cabin heating
US9404409B2 (en) Exhaust throttling for cabin heating
JP5987848B2 (ja) 排気熱回収制御装置
EP2863030A1 (en) Cooling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170253104A1 (en) Vehicle heat management system
US8485142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failure therein
US9874134B2 (en) Cooling water control apparatus
EP3364012B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267602A1 (en) Cooling apparatus for engine
JP5899834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US10766475B2 (en) Device for preventing dilution of engine oil
EP2674586A1 (en) Cool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353851B2 (ja) エンジン冷却系制御方法およびエンジン冷却系制御装置
JP2013113118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2017218941A (ja) 排気熱回収装置
JP2018013074A (ja) 排気熱回収制御装置
JP3900934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排気浄化装置
CN108291472B (zh) 引擎冷却装置
US20220063394A1 (en) Cool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JP2020104676A (ja) 車速制御装置
JP2010156231A (ja) 内燃機関のegr制御装置
JP2016098659A (ja) 吸気冷却装置
JP5556582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