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431B1 - 저분자량의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및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저분자량의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및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431B1
KR101941431B1 KR1020137020320A KR20137020320A KR101941431B1 KR 101941431 B1 KR101941431 B1 KR 101941431B1 KR 1020137020320 A KR1020137020320 A KR 1020137020320A KR 20137020320 A KR20137020320 A KR 20137020320A KR 101941431 B1 KR101941431 B1 KR 10194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acid
phosphorus
aqueous solution
added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525A (ko
Inventor
위르겐 데터링
볼레테 우르텔
슈테판 니트
에발트 하인츠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546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414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0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10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02F5/14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0Redox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14Derivatives of phospho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8/00Compositions for drilling of boreholes or wells; Compositions for treating boreholes or wells, e.g. for completion or for remedial operations
    • C09K8/52Compositio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eliminating depositions, e.g. for cleaning
    • C09K8/528Compositio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eliminating depositions, e.g. for cleaning inorganic depositions, e.g. sulfates or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매로서 물 중에서 차아인산염의 존재 하에 개시제로서 퍼옥소디술페이트를 사용하는 공급 방식으로의 아크릴산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아크릴산 중합체의 수용액에 관한 것이며, 이때:
(i) 물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가 초기에 충전되고,
(ii) 산성, 미중화 형태의 아크릴산,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차아인산염 수용액이 연속적으로 추가되고,
(iii) 아크릴산 공급이 종료된 후 염기가 수용액에 추가되고,
이때 상기 공단량체 함량이 총 단량체 함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저분자량의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및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LOW MOLECULAR MASS, PHOSPHORUS-CONTAINING POLYACRYLIC ACIDS AND USE THEREOF AS SCALE INHIBITORS IN WATER-CARRYING SYSTEMS}
본 발명은 저분자량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이를 포함하는 수용액, 이의 제조 방법 및 또한 물 공급 시스템 (water-carrying system) 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물 중의 대부분 물질의 용해도는 제한적이다.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미네랄 침적물의 방지는 특히 산업용수 처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무기 물질 및 염,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및 인산칼슘은 물에서 낮은 용해도를 갖는다. 이들 용해된 성분이 수성 시스템에서 농축되는 경우, 그의 용해도 곱이 초과하여, 이들 물질이 침전되고 침적물을 형성하게 한다. 물질의 용해도는 온도 및 pH 에 의존적이다. 마찬가지로, 온도 및/또는 pH 증가는 냉각 및 보일러 급수 시스템, 열 전달 표면 또는 배관들에서의 원치않는 침전물 및 스케일 형성의 원인일 수 있다.
다시 제거하기에 매우 어렵기 때문에,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황산칼슘의 침전물 및 침적물은 특히 피해야 할 것이다. EDTA 와 같은 강력한 착화제의 비용- 및 시간-집중적 사용이 일반적으로 필수적인데, 이는 기계적 세정 또는 산의 사용과 같은 표준 방법이 상기 침적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단지, 황산칼슘 스케일 침적물 및 다른 염 스케일 침적물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시도되는 냉각 및 보일러 급수 시스템에서 뿐만의 경우가 아니다. 증류 및 멤브레인 방법 예컨대 역삼투 또는 전기투석에 의한 해수 담수화는 이들 필름 스케일 침적물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 또 다른 물 공급 시스템이다.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저분자량 폴리아크릴산 및 이의 염이, 이의 분산 및 결정 성장 억제 특성으로 인해 산업용수 처리 및 해수 담수화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양호한 성능을 위해서는 50 000 미만이어야 한다. Mw < 10 000 의 폴리아크릴산이 종종 특히 효과적이다. 저분자량 폴리아크릴산을 제조하기 위해서, 아크릴산의 자유-라디칼 중합 동안 분자량 조절제로서 사슬 전달제가 추가된다. 이들 조절제는 중합 개시제 및 또한 중합 방법에 대해 조정되어야 한다. 개시제의 예는 유기 및 무기 과화합물 (percompound), 예컨대 퍼옥소디술페이트 (퍼술페이트), 퍼옥시드, 히드로퍼옥시드 및 퍼에스테르, 아조 화합물 예컨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유기 및 무기 성분을 갖는 산화환원 시스템이다. 사용한 조절제는 종종 무기 황 화합물 예컨대 히드로겐술파이트, 디술파이트 및 디티오나이트, 유기 술피드, 술폭시드, 술폰 및 머캅토 화합물 예컨대 머캅토에탄올, 머캅토아세트산 및 또한 무기 인 화합물 예컨대 차아인산 (포스핀산) 및 이의 염 (예를 들어, 차아인산나트륨) 이다.
EP-A 405 818 은 사슬 전달제로서 차아인산염의 존재 하에 개시제로서 나트륨 퍼술페이트를 사용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임의로는 추가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체 형성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때 알칼리 중화제가 20% 이상의 산성 기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중합 동안 존재한다. 수득한 저분자량 중합체는 차아인산염으로부터의 80% 이상의 인을 포함한다. 70% 이상의 인은 중합체 사슬 내에서 디알킬 포스피네이트로서 끝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수득한 중합체는 그 중에서도 세탁용 세제 첨가제, 클레이 슬러리용 분산제 또는 수 처리용 스케일 억제제로서 사용된다.
예시적 구현예에서, 아크릴산은 추가적인 연속 공급으로서 중합 동안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추가되는 공급 방법을 사용하여 사슬 전달제로서 차아인산염 및 개시제로서 나트륨 퍼술페이트의 존재 하에 물 중에서 중합된다. 이것으로, 2700 g/mol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를 갖는 수성 폴리아크릴산이 수득되며, 이는 차아인산나트륨 중에서 디알킬 포스피네이트로서 72%, 모노알킬 포스피네이트로서 18% 및 무기 염으로서 10% 의 인을 포함한다. 비교예는 수성 수산화나트륨 공급물을 없애며 중합이 종료된 후에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킨다. 수득한 생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 Mw 4320 g/mol 의 수성 폴리아크릴산이며, 이는 차아인산나트륨 중에서 디알킬 포스피네이트로서 45%, 모노알킬 포스피네이트로서 25% 및 무기 염으로서 30% 의 인을 포함한다.
EP-A 0 510 831 은 사슬 전달제로서 차아인산의 존재 하에,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임의로는 추가의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포함하지 않음) 로부터의 중합체 형성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중합체 중 혼입된 40% 이상의 인은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모노알킬 포스피네이트 및 모노알킬 포스포네이트로서 존재한다. 공중합체는 그 중에서도 분산제, 스케일 억제제 및 세탁용 세제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EP-A 0 618 240 은 수용성 개시제 및 차아인산 또는 이의 염의 존재 하 물 중에서의 단량체 중합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중합 종료시 중합체 함량이 50 중량% 이상이 되도록 실행된다. 상기 방법은 중합체 중의 인 혼입을 증가시킨다. 차아인산염 인은 디알킬 포스피네이트, 모노알킬 포스피네이트 및 또한 모노알킬 포스포네이트의 형태로 중합체에 존재한다. 인의 분포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공중합체는 그 중에서도 분산제, 스케일 억제제 및 세탁용 세제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EP-A 1 074 293 은 60 중량% 이상의 고체 함량을 갖는 탄산칼슘, 카올린, 클레이, 탈크 및 산화금속의 수성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분산제로서의 분자량 Mw 2000 내지 5800 g/mol 의 포스포네이트-종결 폴리아크릴산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과제는, 특히 물 공급 시스템에서 황산칼슘의 침전물 및 침적물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개선된 스케일-억제 성능을 갖는 저분자량 폴리아크릴산, 및 또한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용매로서 물 중에서 사슬 전달제로서 차아인산염의 존재 하에 개시제로서 퍼옥소디술페이트를 사용하는 공급 방식으로의 아크릴산 중합에 의해 수득가능한 아크릴산 중합체의 수용액에 의해 해결되며, 이때:
(i) 물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가 초기에 충전되고,
(ii) 산성, 미중화 (un-neutralized) 형태의 아크릴산,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차아인산염 수용액이 연속적으로 추가되고,
(iii)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염기가 수득한 용액에 추가되고,
이때 상기 공단량체 함량은 총 단량체 함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용매로서 물 중에서 사슬 전달제로서 차아인산염의 존재 하에 개시제로서 퍼옥소디술페이트를 사용하는 공급 방식으로의 아크릴산 중합에 의해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물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가 초기에 충전되고, 산성, 미중화 형태의 아크릴산,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차아인산염 수용액이 연속적으로 추가되고,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수득한 용액이 염기를 추가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고, 이때 상기 공단량체 함량이 총 단량체 함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물은 초기에 충전되고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 범위의 반응 온도로 가열된다. 75℃ 미만의 온도에서, 퍼옥소디술페이트의 분해 속도는 일반적으로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또한, 아인산 수용액이 부식 억제제로서 초기 충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아크릴산, 임의로는 추가의 단량체, 개시제 및 사슬 전달제의 연속 공급이 개시된다. 아크릴산은 미중화된, 산성 형태로 추가된다. 일반적으로, 공급은 동시에 개시된다. 개시제로서의 퍼옥소디술페이트 및 사슬 전달제로서의 차아인산염 둘 모두 그의 수용액 형태로 추가된다. 퍼옥소디술페이트는 일반적으로 나트륨 염 또는 암모늄 염 형태로 사용된다. 차아인산염은 차아인산 (포스핀산) 형태 또는 차아인산의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차아인산 또는 나트륨 염으로서 차아인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의 퍼옥소디술페이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이다. 차아인산염 수용액의 차아인산염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내지 70 중량%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퍼옥소디술페이트는 단량체의 총량 (아크릴산 + 임의의 공단량체) 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8 중량%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차아인산염은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8 중량%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15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개별적인 공급물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추가되는데, 즉, 단위 시간 당 공급물 품질 △m/△t (= 공급 속도) 는 공급의 전체 지속 기간에 걸쳐 일정하다.
개시제 공급의 지속 기간은 아크릴산 공급 지속 기간보다 50% 까지 더 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시제 공급의 지속 기간은 아크릴산 공급 지속 기간보다 약 3 내지 25% 더 길다. 사슬 전달제 공급의 지속 기간은 아크릴산 공급의 지속 기간보다 30% 까지 더 짧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슬 전달제 공급의 지속 기간은 아크릴산 공급의 지속 기간보다 약 3 내지 20% 더 짧다.
아크릴산 공급의 지속 기간은 예를 들어 3 내지 6 시간의 범위이다. 모든 공급이 동시에 개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슬 전달제 공급은 아크릴산 공급 종료 10 내지 20 분 전에 종료될 것이며, 개시제 공급은 아크릴산 공급 종료 10 내지 20 분 후에 종료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수용액은 염기를 추가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된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바람직하게는 염기로서 사용된다. 중화는 일반적으로, 중화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½ 시간 내지 3 시간 범위의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pH 가 이후 3 내지 9 범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5 범위가 되도록 충분한 염기가 추가된다.
한 형태에서, 중합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실행된다. 이로써, 이의 말단 결합 인이 실질적으로 (일반적으로 90% 이상)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는 아크릴산 중합체가 수득된다.
이것으로,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70 중량% 범위, 보다 특히 40 중량% 내지 55 중량% 범위의 고체 함량을 갖는 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액이 수득된다.
아크릴산 중합체는 또한 분무 건조, 분무 과립화, 롤 건조 또는 패들 건조와 같은 적합한 건조 방법을 사용하여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득가능한 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액은 일반적으로 유기적 및 가능하게는 무기적으로 결합한 인의 총 인 함량을 가지며, 이때:
(a) 인의 제 1 부분이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b) 인의 제 2 부분이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포스피네이트 및/또는 포스포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c) 가능하게는 인의 제 3 부분이 인의 용해된 무기 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6 중량% 이상의 총 인 함량이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한다.
많은 경우, 심지어 78 중량% 이상의 총 인 함량이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최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16 중량% 의 인이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포스피네이트 및/또는 포스포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한다. 8 내지 16 중량% 의 인이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포스피네이트 및/또는 포스포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액에 존재하는 20 중량% 이하의 인은 무기 인의 형태, 보다 특히 차아인산염 및 아인산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1 중량% 의 총 인이 무기적으로 결합한 인의 형태로 존재한다.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인 대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인의 비는 적어도 4:1 이다. 상기 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1 내지 10:1, 보다 특히 5:1 내지 8:1 이다.
아크릴산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1000 내지 5000 g/mol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 g/mol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 g/mol 범위, 보다 특히 1200 내지 2500 g/mol 범위이다.
아크릴산 중합체의 분자량은 사슬 전달제의 사용량을 통해 특정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분자량은 고정상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표준으로서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네트워크 (HEMA) 를 사용하여 아크릴산 중합체의 중성 수용액에 대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측정된다.
아크릴산 중합체의 Mw / Mn 다분산 지수는 일반적으로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H. Fikentscher, Cellulose-Chemie volume 13, p. 58-64 및 71-74 (1932)] 에 따라 25℃ 에서 1 중량% 수용액 중 pH 7 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중합체의 K-값은 1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이다.
아크릴산 중합체는 모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기준으로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를 중합 단위로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의 예는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비닐술폰산, 알릴술폰산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술폰산 및 또한 이의 염이다. 이들 공단량체의 혼합물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공단량체는 초기 반응 충전에서 전체가 포함되고; 부분적으로 초기에 충전되고 공급물로서 부분적으로 추가되거나; 공급물로서 독점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이들이 공급물로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추가되는 경우, 이들은 일반적으로 아크릴산과 동시에 추가된다.
공단량체 함량을 갖지 않는 아크릴산 단일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물 공급 시스템에서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액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산 중합체는 특히 황산칼슘 스케일 침적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아크릴산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는 물 공급 시스템은 보다 특히 해수 담수화 플랜트, 냉각수 시스템 및 보일러 급수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0.1 mg/l 내지 100 mg/l 의 양으로 물 공급 시스템에 추가된다. 최적의 용량은 특정 공정의 작동 조건 및/또는 특정 용도의 필요 조건에 의존적이다. 열 해수 담수화는 바람직하게는 0.5 mg/l 내지 10 mg/l 의 농도로 중합체를 이용한다. 산업 냉각 회로 또는 보일러 급수 시스템은 100 mg/l 이하의 농도로 중합체를 이용한다. 스케일-형성 염의 비율 및 이에 따른 최적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물 분석이 종종 실행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에 추가로, 그 중에서도 필요 조건에 따라, 포스포네이트, 폴리포스페이트, 아연 염, 몰리브덴 염, 유기 부식 억제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 톨릴트리아졸, 벤즈이미다졸 또는 에티닐카르비놀 알콕실레이트, 살생물제, 착화제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는 제형으로 물 공급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다. 포스포네이트의 예는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HEDP),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르복실산 (PBTC),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ATMP)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DTPMP)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EDTMP) 이며, 이는 각각 그의 나트륨 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모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사용한 GPC 조건은 하기와 같다: 2 개 컬럼 (Suprema Linear M) 및 예비컬럼 (Suprema Vorsaule) (모두 Polymer Standard Services (Mainz, Germany) 사제 브랜드 Suprema-Gel (HEMA)) 을 35℃ 에서 0.8 ml/분의 유속으로 가동하였다. 사용한 용리액은 0.15 M NaCl 및 0.01 M NaN3 과 혼합되고 pH 7 에서 TRIS 로 완충된 수용액이었다. Na-PAA 표준으로 교정을 수행하였고, M.J.R. Cantow et al. (J. Polym. Sci., A-1, 5(1967) 1391-1394) 의 교정 방법을 사용하여, SEC 레이저 광 분산 커플링에 의해 측정한 누적 분자량 분포 곡선을, 농도 보정 없이 나타내었다. 샘플을 모두 pH 7 로 조정하고, 용액 일부를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1.5 mg/mL 의 고체 함량으로 희석하고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샘플을 이후 여과하고, 각각의 경우 100 μL 를 Sartorius Minisart RC 25 (0.2 μm) 를 통해 주입하였다.
발명예
실시예 A
반응기에 425.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한 후, 102℃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81.0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206.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246.0 g 의 59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25 시간 내에, 그리고 차아인산나트륨을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536.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100℃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고체 함량 및 잔류 아크릴산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B
반응기에 425.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한 후, 102℃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81.0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138.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164.0 g 의 59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25 시간 내에, 그리고 차아인산나트륨을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525.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102℃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C
밀폐된 반응기에 425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하였다. 물을 이후 98℃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81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69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82 g 의 59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25 시간 내에, 그리고 차아인산나트륨을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상기 아크릴산 라인을 3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한 후 55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98℃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225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추가하고,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D
반응기에 실시예 9 로부터의 50 g 의 중합체를 초기에 충전하였다. 실온에서, 17.5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98℃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E
반응기에 2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한 후, 102℃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80.8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69.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57.0 g 의 59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5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5.25 시간 내에, 그리고 차아인산나트륨을 4.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상기 배치를 95℃ 내부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75.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추가하고 그 과정에서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중합체 용액을 이후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 로 조정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F
반응기에 425.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한 후, 100℃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81.0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69.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41.0 g 의 59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25 시간 내에, 그리고 차아인산나트륨을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527.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100℃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고체 함량 및 잔류 아크릴산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G
반응기에 325.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한 후, 95℃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562.5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250 ppm 의 MEHQ 로 안정화시킨 542.4 g 의 49 중량%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나트륨 염 (Na-AMPS) 수용액, 533.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127.1 g 의 59 중량% 차아인산나트륨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및 Na-AMPS 를 3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5 시간 내에, 그리고 차아인산나트륨을 2.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175.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2 시간 내에 95℃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고체 함량 및 잔류 아크릴산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H
반응기에 20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2.7 g 의 50 중량% 아인산 수용액과 함께 초기에 충전한 후, 101℃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28.0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123.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108.0 g 의 2-머캅토에탄올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5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5.25 시간 내에, 그리고 2-머캅토에탄올을 4.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공급 완료시, 101℃ 내부 온도에서 추가 15 분 동안 교반을 지속한 후, 80℃ 내부 온도로 냉각하였다. 80℃ 내부 온도에서, 16.2 g 의 5.38 중량% 아조 개시제 수용액 (Wako V50) 을 30 분 내에 추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475.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80-95℃ 내부 온도에서 추가한 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4.0 g 의 50 중량%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30 분 내에 추가한 후, 80℃ 에서 4 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I
반응기에 2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3.05 g 의 50 중량% 아인산 수용액과 함께 초기에 충전한 후, 99℃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79.35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68.65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59.9 g 의 2-머캅토에탄올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5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5.25 시간 내에, 그리고 2-머캅토에탄올을 4.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12.5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공급 완료시 105℃ 내부 온도에서 추가 15 분 동안 교반을 지속한 후, 80℃ 내부 온도로 냉각하였다. 80℃ 내부 온도에서, 5.0 g 의 6 중량% Wako V50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상기 추가 완료시 라인을 5.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한 후 8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521.5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최대 105℃ 내부 온도에서 추가하였다. 이후 10 분 동안 교반한 후, 26.25 g 의 50 중량%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1.3 시간 내에 추가한 후 80℃ 에서 15 분 동안 중합하였다. 그 후, 14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추가하고 그 과정에서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J
반응기에 23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3 kg 의 50 중량% 아인산 수용액과 함께 초기에 충전한 후, 99℃ 내부 온도로 질소 하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516.9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67.4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44 g 의 2-머캅토에탄올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 시간 내에, 그리고 2-머캅토에탄올을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상기 아크릴산 라인을 12.5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추가적인 2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을 30 분 내에 추가하였다. 이후 99℃ 내부 온도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80℃ 내부 온도로 냉각하였다. 80℃ 내부 온도에서, 10 g 의 6 중량% Wako V50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추가하고, 라인을 5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고 1 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이후, 56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95℃ 내부 온도에서 추가한 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0 g 의 50 중량%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추가한 후 80℃ 에서 15 분 동안 중합하였다. 그 후, 1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추가하고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고체 함량 및 잔류 아크릴산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K
50 g 의 56 중량% 2-머캅토에탄올 용액 및 단지 62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을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L
2L 반응기에 23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3.1 g 의 50 중량% 아인산 수용액과 함께 초기에 충전하였다. 이후 99℃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520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74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23.4 g 의 2-머캅토에탄올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 시간 내에, 그리고 2-머캅토에탄올을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50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5 분 내에 추가하였다. 이후 99℃ 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80℃ 내부 온도로 냉각하였다. 80℃ 내부 온도에서, 10.1 g 의 6 중량% Wako V50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추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525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2.8 시간 내에 95℃ 내부 온도에서 추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10.75 g 의 50 중량%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0.5 시간 내에 추가한 후 80℃ 에서 15 분 동안 중합하였다. 그 후, 125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추가하고 그 과정에서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고체 함량 및 잔류 아크릴산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M
밀폐된 반응기에 4525 k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하였다. 이후 95℃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11 096 kg 의 증류한 아크릴산, 4756 k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4993 kg 의 40 중량% 나트륨 바이술파이트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5.5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5.75 시간 내에, 그리고 나트륨 바이술파이트를 5.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50 k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플러싱하였다. 이후 95℃ 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80℃ 내부 온도로 냉각하였다. 이 온도에서, 189 kg 의 6 중량% Wako V50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그 후, 12 505 k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내부 온도가 85℃ 를 초과하지 않게 하면서 추가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N
반응기에 304.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1.84 g 의 50 중량% 아인산 수용액을 초기에 충전한 후, 98℃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461.0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132.0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196.0 g 의 40 중량% 나트륨 바이술파이트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4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4.25 시간 내에, 그리고 나트륨 바이술파이트를 3.7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496.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 시간 내에 98℃ 내부 온도에서 추가한 후 98℃ 에서 1 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그 후,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고체 함량 및 잔류 아크릴산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O
반응기에 184.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초기에 충전하였다. 이후 95℃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647.7 g 의 증류한 아크릴산, 277.6 g 의 7 중량%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105.3 g 의 40 중량% 나트륨 바이술파이트 수용액을 따로따로 및 함께 교반 하에 동시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을 5 시간 내에,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를 5.25 시간 내에, 그리고 나트륨 바이술파이트를 5 시간 내에 추가하였다.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라인을 10.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로 6 분 동안 플러싱한 후, 95℃ 내부 온도에서 추가 35 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728.0 g 의 50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내부 온도가 95℃ 를 초과하지 않게 하면서 추가한 후, 95℃ 에서 30 분 동안 중합하였다. 이후, 136.0 g 의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을 추가하고 그 과정에서 중합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내부 온도가 75℃ 미만으로 감소된 후, 5.8 g 의 49 중량%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추가하였다. pH, 분자량 Mn 및 Mw 및 고체 함량을 측정하고, 용액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중합체의 분석 데이터를 하기 표 1 에서 요약하였다.
표 1
Figure 112013069490815-pct00001
a) ISO 3251, (0.25 g, 150℃, 2 시간)
b) 완전히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 중의 1% 용액을 사용하여 Fikentscher 법에 의해 측정
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
d) 31P{1H} 및 31P NMR 로 측정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용도
황산칼슘 억제 시험
NaCl, Na2SO4, CaCl2 및 중합체의 용액을 수조에서 24 시간 동안 70℃ 에서 진탕하였다. 아직 따뜻한 용액을 0.45 μm Milex 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 여과물의 Ca 함량을 착물 형성적으로 또는 Ca2 +-선택적 전극에 의해 측정하고 CaSO4 억제를 비교 전/비교 후 % 로 측정하였다 (식 I 참조).
조건
Ca2 + 2940 mg/l
SO4 2 - 7200 mg/l
Na+ 6400 mg/l
Cl- 9700 mg/l
중합체 5 mg/l (100%)
온도 70℃
시간 24 시간
pH 8.0-8.5
식 I:
CaSO4 억제 (%) = 24 시간 후 mg (Ca2 +) - 24 시간 후 mg (Ca2 +) 블랭크 값 / mg (Ca2 +) 널 (null) 값 - 24 시간 후 mg (Ca2 +) 블랭크 값 x 100
표 2
Figure 112013069490815-pct00002
NPS = 나트륨 퍼옥소디술페이트
NHP = 차아인산나트륨
MCE = 머캅토에탄올
NBS = 나트륨 바이술파이트
Azo = 2 차 중합에 대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상기 결과로, 실시예 H, I, J, M, N 에 따른 비교 중합체에 대한 실시예 A, B 및 D 에 따른 본 발명의 중합체의 우수성이 명백히 입증된다. 실시예 A, B 및 D 에 따르면, 바람직한 분자량 Mw 는 4000 미만, 보다 특히 2500 미만이다.

Claims (14)

  1. 용매로서 물 중에서 차아인산염의 존재 하에 개시제로서 퍼옥소디술페이트를 사용하는 공급 방식으로의 아크릴산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0 내지 2500 g/mol 범위인 아크릴산 중합체의 수용액으로서, 이때:
    (i) 물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가 초기에 충전되고,
    (ii) 산성, 미중화 형태의 아크릴산,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차아인산염 수용액이 연속적으로 추가되고,
    (iii)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염기가 수용액에 추가되고,
    이때 상기 공단량체 함량이 총 단량체 함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를 초과하지 않고,
    이때 차아인산염은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8 내지 25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되고,
    이때 아크릴산 중합체 수용액은 유기적 및 무기적으로 결합한 인의 총 인 함량을 가지며, 이때:
    (a) 인의 제 1 부분이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b) 인의 제 2 부분이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포스피네이트 및/또는 포스포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c) 인의 제 3 부분이 인의 용해된 무기 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때 8 내지 16 중량% 의 인이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포스피네이트 및/또는 포스포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4 내지 11 중량% 의 총 인이 무기적으로 결합한 인의 형태로 존재하는 수용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중합체의 Mw / Mn 다분산 지수가 2.5 이하인 수용액.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적 및 무기적으로 결합한 인의 총 인 함량을 갖는 수용액으로서, 이때:
    (a) 인의 제 1 부분이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b) 인의 제 2 부분이 중합체 사슬 말단에서 결합한 포스피네이트 및/또는 포스포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고,
    (c) 인의 제 3 부분이 인의 용해된 무기 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때 70 중량% 이상의 총 인 함량이 아크릴산 중합체의 중합체 사슬 내에 결합한 포스피네이트기의 형태로 존재하는 수용액.
  4.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중합체가 아크릴산 단일중합체인 수용액.
  5.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중합체가 모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기준으로, 중합 단위로서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비닐술폰산, 알릴술폰산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30 중량% 이하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공중합체인 수용액.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용액으로부터 수득된 아크릴산 중합체.
  7. 용매로서 물 중에서 사슬 전달제로서 차아인산염의 존재 하에 개시제로서 퍼옥소디술페이트를 사용하는 공급 방식으로의 아크릴산 중합에 의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용액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때 물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가 초기에 충전되고, 산성, 미중화 형태의 아크릴산,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공단량체, 퍼옥소디술페이트 수용액 및 차아인산염 수용액이 연속적으로 추가되고, 아크릴산 공급 완료시, 염기가 수용액에 추가되며, 이때 상기 공단량체 함량이 총 단량체 함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를 초과하지 않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중합이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실행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7020320A 2011-02-04 2012-02-01 저분자량의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및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KR101941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53341.0 2011-02-04
EP11153341 2011-02-04
PCT/EP2012/051614 WO2012104325A1 (de) 2011-02-04 2012-02-01 Niedermolekulare phosphorhaltige polyacrylsäuren und deren verwendung als belagsinhibitoren in wasserführenden system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25A KR20140003525A (ko) 2014-01-09
KR101941431B1 true KR101941431B1 (ko) 2019-01-23

Family

ID=4555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320A KR101941431B1 (ko) 2011-02-04 2012-02-01 저분자량의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및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670523B1 (ko)
JP (1) JP5890433B2 (ko)
KR (1) KR101941431B1 (ko)
CN (1) CN103347600B (ko)
BR (1) BR112013018785B1 (ko)
CA (1) CA2824904C (ko)
ES (1) ES2636413T3 (ko)
MX (1) MX351944B (ko)
PL (1) PL2670523T3 (ko)
RU (1) RU2593591C2 (ko)
WO (1) WO2012104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3008974A (es) 2011-02-04 2013-11-01 Basf Se Acidos poliacrilicos de bajo peso molecular que contienen fosforo y uso de los mismos como dispersantes.
US9382377B2 (en) 2011-08-10 2016-07-05 Basf Se Polymer mixtures as deposit inhibitors in water-bearing systems
JP6434039B2 (ja) 2014-02-04 2018-12-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無機マトリクス内に無機リガンドを有する量子ドット
CN105940081B (zh) 2014-02-04 2020-06-09 亮锐控股有限公司 用于量子点的基于配位氧和配位羟的复合无机配体
EP3164543A1 (de) 2014-07-03 2017-05-10 Basf Se Wässriges oberflächenbeschichtungsmittel für papier und pappe
KR101781503B1 (ko) 2015-05-07 2017-09-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고온의 일부 효용기에 부분적으로 산을 투입하는 다중효용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JP6512007B2 (ja) * 2015-07-16 2019-05-15 東亞合成株式会社 アクリル酸系重合体水溶液の製造方法
CN109661378A (zh) * 2016-09-05 2019-04-19 凯米罗总公司 用于控制、防止和/或减少无机垢形成的组合物和方法以及该组合物的用途
WO2018081964A1 (en) 2016-11-02 2018-05-11 Basf Se Acrylic acid polymers neutralized with sodium and calcium ions and having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EP3763786A4 (en) 2018-03-08 2021-12-01 Nippon Shokubai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ACID (METH)-BASED COPOLYMER, AND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CRYLIC ACID (METH)-BASED COPOLYMER
RU2764516C1 (ru) * 2020-09-16 2022-01-1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ИБУР Холдинг» Полимер 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получение раствора полимера 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отложений в водопроводящих системах
JP2024520356A (ja) 2021-05-24 2024-05-2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淡水化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ールを抑制するためのアクリル酸のポリマーの使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778A (ja) 1999-08-02 2001-03-21 Rohm & Haas Co 粒状固体のディスパージョン
KR100309221B1 (ko) 1993-03-29 2001-12-15 마크 에스. 아들러 하이포포스포러스산혹은그염을사슬전달제로사용한에틸렌계불포화단량체로부터유도된중합체제조방법
JP2010077340A (ja) * 2008-09-29 2010-04-08 Nippon Shokubai Co Ltd (メタ)アクリル酸系重合体、その用途、および(メタ)アクリル酸系重合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0848D0 (en) 1984-01-13 1984-02-15 Ciba Geigy Ag Cotelomer compounds
US5077361A (en) 1989-06-26 1991-12-31 Rohm And Haas Company Low molecular weight water soluble phosphinate and phosphonate containing polymers
US5256746A (en) * 1991-04-25 1993-10-26 Rohm And Haas Company Low molecular weight monoalkyl substituted phosphinate and phosphonate copolymers
US5681479A (en) * 1991-05-31 1997-10-28 Fmc Corporation (Uk ) Limited Phosphonic cotelomers and method of use
US6297336B1 (en) * 1998-07-02 2001-10-02 Nippon Shokubai Co., Ltd. Detergent builder, production process therefor, and poly(meth)acrylic acid (or salt) polymer and use thereof
EP1074293B1 (en) * 1999-08-02 2005-10-12 Rohm And Haas Company Aqueous dispersions
JP4332415B2 (ja) 2002-12-25 2009-09-16 株式会社日本触媒 (メタ)アクリル酸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MX328675B (es) * 2008-05-02 2015-03-20 Basf Se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on continua de polimeros mediante polimerizacion de radicales.
JP5159467B2 (ja) 2008-06-26 2013-03-06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開放時における座板の揺動防止装置
RU2373228C1 (ru) * 2008-07-22 2009-1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рила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сополимеров
EP2182011A1 (de) * 2008-10-29 2010-05-0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ässrigen Polyacrylsäurelösungen mittels kontrollierter radikalischer Polymerisation
KR101783494B1 (ko) * 2009-11-04 2017-09-29 바스프 에스이 폴리아크릴산 수용액의 제조 방법
MX2013008974A (es) 2011-02-04 2013-11-01 Basf Se Acidos poliacrilicos de bajo peso molecular que contienen fosforo y uso de los mismos como dispersan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221B1 (ko) 1993-03-29 2001-12-15 마크 에스. 아들러 하이포포스포러스산혹은그염을사슬전달제로사용한에틸렌계불포화단량체로부터유도된중합체제조방법
JP2001070778A (ja) 1999-08-02 2001-03-21 Rohm & Haas Co 粒状固体のディスパージョン
JP2010077340A (ja) * 2008-09-29 2010-04-08 Nippon Shokubai Co Ltd (メタ)アクリル酸系重合体、その用途、および(メタ)アクリル酸系重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8785A2 (pt) 2016-10-25
MX351944B (es) 2017-11-03
WO2012104325A1 (de) 2012-08-09
ES2636413T3 (es) 2017-10-05
CN103347600A (zh) 2013-10-09
BR112013018785B1 (pt) 2021-03-02
EP2670523A1 (de) 2013-12-11
RU2013140614A (ru) 2015-03-10
JP5890433B2 (ja) 2016-03-22
MX2013008520A (es) 2013-08-12
EP2670523B1 (de) 2017-05-03
JP2014511402A (ja) 2014-05-15
PL2670523T3 (pl) 2017-10-31
KR20140003525A (ko) 2014-01-09
CA2824904A1 (en) 2012-08-09
RU2593591C2 (ru) 2016-08-10
CN103347600B (zh) 2016-04-20
CA2824904C (en)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431B1 (ko) 저분자량의 인-함유 폴리아크릴산 및 물 공급 시스템에서의 스케일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US8889033B2 (en) Low molecular weight phosphorus-containing polyacrylic acids and use thereof as scale inhibitors in water-carrying systems
WO2012132892A1 (ja) 逆浸透膜用スケール防止剤及びスケール防止方法
AU612603B2 (en) Calcium phosphonate scale inhibition
US5023001A (en) Calcium phosphonate scale inhibition
US7960455B2 (en) Use of copolymers containing alkylene oxide units as an additive to aqueous systems
KR101904716B1 (ko) 말레산-이소프레놀 공중합체 제조 방법
CA2844514C (en) Copolymers of isoprenol,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and sulphonic acid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deposit inhibitors in water-bearing systems
US5627145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sphonates tending to precipitate metal ions in water
US20130180926A1 (en) Preparing maleic acid-isoprenol copolymers
RU2764516C1 (ru) Полимер 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получение раствора полимера 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а отложений в водопроводящих системах
US2009002072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ckening of aqueous systems
US8002119B2 (en) Control of the thickening of silicate-containing aqueous systems
JPS63114986A (ja) マレイン酸系重合物を含有するアニオン界面活性剤
US20130178574A1 (en) Copolymers of isoprenol,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and sulfonic acid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deposit inhibitors in water-bear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