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750B1 - 유체 게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게이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0750B1 KR101940750B1 KR1020180098166A KR20180098166A KR101940750B1 KR 101940750 B1 KR101940750 B1 KR 101940750B1 KR 1020180098166 A KR1020180098166 A KR 1020180098166A KR 20180098166 A KR20180098166 A KR 20180098166A KR 101940750 B1 KR101940750 B1 KR 101940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pipe
- flow
- water
-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유체 게이지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유체 게이지 장치는, 방유조; 상기 방유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유류 탱크;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유류관; 상기 유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유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유류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및 상기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 게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손이나 손상 시 누유(혹은 누수)가 대량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유(혹은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는 유체 게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게이지 장치 중에서 유류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 게이지(FUEL GAUGE)는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게이지로서 연료 탱크 내에 충전되는 연료의 액면에 위치하는 플로터(뜨개라고도 함)에 의해 잔량을 나타낸다.
연료 게이지는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가 흔한데, 도 1을 통해 상용차의 연료 탱크에 적용되는 것에 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 트럭 등과 같은 상용차의 연료 탱크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제작된다.
연료 탱크는 연료 공급을 위한 피더 파이프(10)와, 연료의 출렁거림을 억제하는 배플(18)과, 연료 주입을 위한 연료 주입구(17)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료 탱크에는 플로터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16)가 탑재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연료 게이지(16)는 연료의 액면에 위치하는 플로터의 작용으로 잔량을 나타낸다.
물론, 도 1의 연료 게이지(16)는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상용차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연료 게이지(16)는 상용차 외에도 공장이나 설비의 유류 탱크, 특히 보일러와 연계되어 보일러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류 탱크에도 널리 적용된다.
그런데, 보일러에 연료를 공급하는 유류 탱크에 적용되는 현존 연료 게이지 장치의 경우, 유량 확인용 튜브가 1중으로 된 단일의 관(pipe)으로 되어 있어서 파손이나 손상 시 누유(혹은 누수)가 대량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많은 피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누유(혹은 누수)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유체 게이지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손이나 손상 시 누유(혹은 누수)가 대량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유(혹은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는 유체 게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방유조; 상기 방유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유류 탱크;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유류관; 상기 유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유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유류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및 상기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 및 상기 1차 내부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누유 확인을 위하여 상기 1차 내부 튜브와 상기 2차 외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유 확인용 뜨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방유조; 상기 방유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유류 탱크;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유류관; 상기 유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유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유류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상기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 상기 확인 밸브와 상기 단속 밸브의 일부는 노출되게 하면서 상기 유류관을 커버링(covering)하여 유류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용 덮개;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마련되며,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1 유량 흐름 감지센서; 상기 보일러 측에 마련되며,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 상기 유류관에 마련되며, 상기 유류의 흐름을 통제하는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비상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외부 알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외부 알림부를 통해 누유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 상기 1차 내부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 및 누유 확인을 위하여 상기 1차 내부 튜브와 상기 2차 외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유 확인용 뜨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손잡이를 구비하는 방수조; 상기 방수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터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워터관; 상기 워터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수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워터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상기 워터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 상기 확인 밸브와 상기 단속 밸브의 일부는 노출되게 하면서 상기 워터관을 커버링(covering)하여 워터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용 덮개; 상기 물 탱크의 출구 배관에 마련되며, 워터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1 워터 흐름 감지센서; 상기 보일러 측에 마련되며, 워터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2 워터 흐름 감지센서; 상기 워터관에 마련되며, 상기 워터의 흐름을 통제하는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비상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외부 알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외부 알림부를 통해 누수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 상기 1차 내부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 및 누수 확인을 위하여 상기 1차 내부 튜브와 상기 2차 외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 확인용 뜨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손이나 손상 시 누유(혹은 누수)가 대량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유(혹은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용차의 연료 탱크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의 목업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들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유출 방지용 덮개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유출 방지용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 영역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유체 게이지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의 목업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들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유출 방지용 덮개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유출 방지용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 영역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유체 게이지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의 목업 이미지,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들, 도 5는 도 2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유출 방지용 덮개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유출 방지용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5의 B 영역의 확대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2의 유체 게이지 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100)는 파손이나 손상 시 누유가 대량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유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체가 유류(기름)이며, 이를 위해 유류 탱크(120)가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100)는 방유조(110), 유류 탱크(120), 유류관(130), 확인 밸브(141), 단속 밸브(143),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 그리고 유출 방지용 덮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유조(110)는 일종의 그릇이며, 유류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방유조(110)에 모아진 유류는 재활용이 가능하다. 방유조(110)의 양측에 손잡이(11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방유조(11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다.
유류 탱크(120)는 유류가 저장되는 탱크이다. 유류 탱크(120)는 방유조(110)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류 탱크(120)의 하단부에는 출구 배관(122)이 마련되고 상단부에는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123)이 마련된다.
유류관(130)은 유류 탱크(120)의 출구 배관(122)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미도시)로 향하는 유류 이동관이다. 유류관(130)은 여러 개의 관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인 밸브(141)는 유류관(130)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유의 확인을 위해 마련된다. 즉 확인 밸브(141)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과 연결되고 누유의 확인 시 사용된다.
참고로, 종전에는 확인 밸브(141)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유량 게이지 파손으로 누유 발생 시 탱크 내의 다량의 유류가 누유되어 큰 피해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확인 밸브(141) 등이 구비되기 때문에 종래 문제를 사전에 해결할 수 있다. 즉 유량 확인시에만 확인 밸브(141)를 열어 확인하고, 정비시에는 확인 밸브(141)를 잠가 정비할 수 있다. 특히, 확인 밸브(141)로 인해 누유 발생 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진다.
단속 밸브(143)는 확인 밸브(141)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유류관(130)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단속 밸브(143) 역시, 전자식일 수 있다.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은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123)과 확인 밸브(141)를 연결하는 투명한 튜브관이다.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151)와, 1차 내부 튜브(15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152)와, 누유 확인을 위하여 1차 내부 튜브(151)와 2차 외부 튜브(152)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누유 확인용 뜨개(153)를 포함한다. 누유 확인용 뜨개(153)는 1개일 수도 있고, 도면처럼 여러 개일 수도 있다.
기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중으로 되어있어 파손, 손상 시 대량 누유 발생으로 많은 피해가 야기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및 2차 외부 튜브(151,152)를 포함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이 적용되기 때문에 내부에 손상으로 누유 발생 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에 누유 확인용 뜨개(153)가 적용되기 때문에 유량 확인을 비롯해서 1차 및 2차 외부 튜브(151,152) 내의 누유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유출 방지용 덮개(160)는 확인 밸브(141)와 단속 밸브(143)의 일부는 노출되게 하면서 유류관(130)을 커버링(covering)하여 유류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혹시, 누유된 유류는 유출 방지용 덮개(160)에 가이드되어 방유조(110)에 모아질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는 동파 및 노후(녹) 등으로 밸브류 및 밸브 연결부위의 파손으로 인하여 유출 시 압력으로 주변 유출 범위가 넓어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출 방지용 덮개(160)가 적용되기 때문에 누유가 발생되더라도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손상이나 파손이 우려되는 곳에 유도관(미도시)을 설치함으로써 누유 발생 시 유도가 가능하다. 예컨대, 대량 유류 탱크 방유조(110) 상부 및 외부 설치된 밸브 등에서 누유 발생 시 방유조(110) 내부로 유도관을 설치함으로 피해 최소화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171,172),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173,174), 외부 알림부(175) 및 컨트롤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량 흐름 감지센서(171)는 예컨대, 저장시설인 유류 탱크(120)의 출구 배관(122)에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172)는 예컨대, 사용시설인 보일러 측에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173,174)는 유류관(130)에 마련되며, 유류의 흐름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173,174)는 전자식으로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외부 알림부(175)는 비상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수단이다. 부저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171,172)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173,174)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외부 알림부(175)를 통해 누유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한다.
특히, 보일러 정지(미사용) 시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172)가 작동하여 유류 미사용 시 제1 유량 흐름 감지센서(171)에서 흐름이 감지되면 컨트롤러(180)가 외부 알림부(175)를 동작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게끔 한다.
물론, 이 외에도 유류 탱크(120)의 배출 부위에 전자식 차단밸브(미도시)를 설치하는 한편, 보일러에 전자식 차단밸브 통제장치(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보일러 가동 시 유/무선을 통하여 전자식 차단밸브를 개방하고, 미가동시 전자식 차단밸브를 차단하게 컨트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171,172)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173,174)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외부 알림부(175)를 통해 누유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171,172)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173,174)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외부 알림부(175)를 통해 누유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손이나 손상 시 누유가 대량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유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의 구조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체가 유류(기름)이었기 때문에 유류 탱크(120)가 적용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체가 워터(water)이다. 이럴 경우, 유류 탱크(120) 대신 물 탱크(220)가 방수조(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게이지 장치(200)는 방수조(210), 물 탱크(220), 워터관(230), 확인 밸브(141), 단속 밸브(143),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 그리고 유출 방지용 덮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유체가 물(water)라서 방수조(210), 물 탱크(220), 워터관(230)가 적용되는 것일 뿐 그 외의 확인 밸브(141), 단속 밸브(143), 투명 이중 튜브유닛(150), 그리고 유출 방지용 덮개(160)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파손이나 손상 시 누수가 대량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서 피해 확산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유체 게이지 장치 110 : 방유조
111 : 손잡이 120 : 유류 탱크
121 : 눈금 122 : 출구 배관
123 :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 130 : 유류관
141 : 확인 밸브 143 : 단속 밸브
150 : 투명 이중 튜브유닛 151 : 1차 내부 튜브
152 : 2차 외부 튜브 153 : 누유 확인용 뜨개
160 : 유출 방지용 덮개 171 : 제1 유량 흐름 감지센서
172 :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
173 : 제1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174 :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175 : 외부 알림부 180 : 컨트롤러
111 : 손잡이 120 : 유류 탱크
121 : 눈금 122 : 출구 배관
123 :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 130 : 유류관
141 : 확인 밸브 143 : 단속 밸브
150 : 투명 이중 튜브유닛 151 : 1차 내부 튜브
152 : 2차 외부 튜브 153 : 누유 확인용 뜨개
160 : 유출 방지용 덮개 171 : 제1 유량 흐름 감지센서
172 :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
173 : 제1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174 :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175 : 외부 알림부 180 : 컨트롤러
Claims (5)
- 방유조;
상기 방유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유류 탱크;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유류관;
상기 유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유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유류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및
상기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 및
상기 1차 내부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누유 확인을 위하여 상기 1차 내부 튜브와 상기 2차 외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유 확인용 뜨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
- 손잡이를 구비하는 방유조;
상기 방유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유류 탱크;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유류관;
상기 유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유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유류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상기 유류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
상기 확인 밸브와 상기 단속 밸브의 일부는 노출되게 하면서 상기 유류관을 커버링(covering)하여 유류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용 덮개;
상기 유류 탱크의 출구 배관에 마련되며,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1 유량 흐름 감지센서;
상기 보일러 측에 마련되며,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
상기 유류관에 마련되며, 상기 유류의 흐름을 통제하는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비상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외부 알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외부 알림부를 통해 누유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
상기 1차 내부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 및
누유 확인을 위하여 상기 1차 내부 튜브와 상기 2차 외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유 확인용 뜨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
- 손잡이를 구비하는 방수조;
상기 방수조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측벽에 눈금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출구 배관이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터 확인용 상부 배관이 마련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의 출구 배관에 연결되되 단부가 보일러로 향하는 워터관;
상기 워터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누수의 확인을 위한 확인 밸브;
상기 확인 밸브에 이웃하게 배치되되 상기 워터관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속 밸브;
상기 워터 확인용 상부 배관과 상기 확인 밸브를 연결하는 투명 이중 튜브유닛;
상기 확인 밸브와 상기 단속 밸브의 일부는 노출되게 하면서 상기 워터관을 커버링(covering)하여 워터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용 덮개;
상기 물 탱크의 출구 배관에 마련되며, 워터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1 워터 흐름 감지센서;
상기 보일러 측에 마련되며, 워터의 흐름을 감지하는 제2 워터 흐름 감지센서;
상기 워터관에 마련되며, 상기 워터의 흐름을 통제하는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
비상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외부 알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량 흐름 감지센서의 센싱값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자식 유량 흐름 통제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외부 알림부를 통해 누수 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이중 튜브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1차 내부 튜브;
상기 1차 내부 튜브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2차 외부 튜브; 및
누수 확인을 위하여 상기 1차 내부 튜브와 상기 2차 외부 튜브 사이의 공간에 플로팅(floating)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 확인용 뜨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게이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8166A KR101940750B1 (ko) | 2018-08-22 | 2018-08-22 | 유체 게이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8166A KR101940750B1 (ko) | 2018-08-22 | 2018-08-22 | 유체 게이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0750B1 true KR101940750B1 (ko) | 2019-01-21 |
Family
ID=6527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8166A KR101940750B1 (ko) | 2018-08-22 | 2018-08-22 | 유체 게이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0750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181A (ko) * | 2003-04-04 | 2004-10-13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복합식 유량 레벨 확인장치 |
KR20100128696A (ko) | 2009-05-29 | 2010-12-08 | (주)오성교육 |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 방법및 그 교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구동 원리 |
KR20100128697A (ko) | 2009-05-29 | 2010-12-08 | 김동업 | 포장봉지용 비닐 필름을 생산하는 압출기 |
KR20100128695A (ko) | 2009-05-29 | 2010-12-08 | 한국원자력연구원 |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
JP2012076788A (ja) * | 2010-10-01 | 2012-04-19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組立式防油堤 |
KR20150125234A (ko) * | 2014-04-30 | 2015-11-09 | (주)피피아이평화 | 누수탐지와 청소가 용이한 물탱크 |
JP2016217551A (ja) * | 2015-05-14 | 2016-12-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貯湯式給湯機 |
-
2018
- 2018-08-22 KR KR1020180098166A patent/KR101940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181A (ko) * | 2003-04-04 | 2004-10-13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복합식 유량 레벨 확인장치 |
KR20100128696A (ko) | 2009-05-29 | 2010-12-08 | (주)오성교육 |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 방법및 그 교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구동 원리 |
KR20100128697A (ko) | 2009-05-29 | 2010-12-08 | 김동업 | 포장봉지용 비닐 필름을 생산하는 압출기 |
KR20100128695A (ko) | 2009-05-29 | 2010-12-08 | 한국원자력연구원 | 나노입자의 제조장치 |
JP2012076788A (ja) * | 2010-10-01 | 2012-04-19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組立式防油堤 |
KR20150125234A (ko) * | 2014-04-30 | 2015-11-09 | (주)피피아이평화 | 누수탐지와 청소가 용이한 물탱크 |
JP2016217551A (ja) * | 2015-05-14 | 2016-12-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貯湯式給湯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9228849A (ja) | フランジ接合構造 | |
US2944563A (en) | Safety oil tank | |
JP2020501106A (ja) | 使用済み燃料プールからの液体漏れの監視システム | |
KR101940750B1 (ko) | 유체 게이지 장치 | |
US7073976B1 (en) | Under-dispenser containment system | |
CN210662284U (zh) | 一种液位可视疏水器 | |
JP2017138289A (ja) | 原子力発電プラント | |
CN1837673B (zh) | 用于水管的排气装置 | |
JP5260263B2 (ja) | フランジ接合構造 | |
JP2009258096A (ja) | キャスク洗浄装置及びキャスク洗浄方法 | |
JP4513628B2 (ja) | 燃料オイル用サブタン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 |
JP2017141873A (ja) | 配管漏洩防止システム | |
CN208344998U (zh) | 一种埋地卧式储罐系统 | |
JP2010058792A (ja) | 二重殻タンクの漏洩検知装置 | |
CN204201330U (zh) | 酸管道法兰防喷溅与检测装置 | |
KR100932469B1 (ko) | 상수도 공급시스템용 관말의 정체수 순환장치 | |
KR20180002240U (ko) | 멀티형 가스압력조절장치 | |
CN208252835U (zh) | 一种气体隔断系统及隔断阀 | |
JPH0348798A (ja) | ライニング槽の漏洩検出装置 | |
CN221424061U (zh) | 一种具有防泄漏功能的阀门 | |
JP6582573B2 (ja) | 原子力発電プラント及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の制振方法 | |
JP2008128155A (ja) | 屋内燃料タンクを備えたエンジン発電装置 | |
US2017037061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drain of water heater | |
CN210567540U (zh) | 一种隔离排空装置 | |
CN218543373U (zh) | 一种防外漏自密封阀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