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030B1 -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030B1
KR101937030B1 KR1020170069743A KR20170069743A KR101937030B1 KR 101937030 B1 KR101937030 B1 KR 101937030B1 KR 1020170069743 A KR1020170069743 A KR 1020170069743A KR 20170069743 A KR20170069743 A KR 20170069743A KR 101937030 B1 KR101937030 B1 KR 101937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hift
housing
button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515A (ko
Inventor
이원
권민석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1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과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과,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ELECTRONIC SH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한 각 변속 레인지별 버튼을 이용하여 변속 레인지 설정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핵심 구동 요소로서의 엔진 및 변속기에 대한 전자적 제어를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가 전자화되었거나 전자화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도심에서의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의 원활하면서도 여유 있는 주행을 위하여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통하여 원하는 변속 레인지를 설정하는 경우, 운전자의 설정 변속 레인지는 변속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및 각종 제어부로 전달되어 차량 시동 시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고, 주행 중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서의 변속단 설정, 해제 및 후진 등 전장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 편의를 위해 변속단 제어를 기계식이 아닌 전자식으로 수행하는 전자식 변속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식 변속장치인 SBW(Shift By Wire) 시스템은 기존의 기계식 변속장치와 달리 변속기와 변속 레버 간에 기계적인 연결 구조가 없는 전자식 변속 방식을 취한다. 즉, 변속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 시 발생된 센서값이 TCU에 전달되면, TCU에서 명령된 전자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가 동작하고,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 변속 레인지별 유압회로에 유압이 인가되거나 차단됨으로써,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가 수행된다.
SBW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는 변속 레버 또는 버튼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TCU에 전기신호로 전달함으로써 전진(D) 및 후진(R), 중립(N) 및 파킹(P) 레인지 등으로의 변속 조작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변속 레버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버튼형의 전자식 변속장치는 변속 레인지의 변속 수행이 직관적이기 때문에 변속 방법이 용이하고, 변속장치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438307호 (2014. 09. 15) 등록특허공보 제1624248호 (2016. 05. 2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한 각 변속 레인지별 버튼을 구비하여 변속 레인지 설정을 편리하게 제어하고, 후진(R) 레인지의 경우 운전자의 미숙한 조작 및 원치 않는 동작 제어를 방지하기 위해 당김(PULL) 동작을 통해 해당 레인지를 제어 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은 주행 레인지에 대응하는 D 버튼과, 중립 레인지에 대응하는 N 버튼과, 후진 레인지에 대응하는 R 버튼과, 주차 레인지에 대응하는 P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D 버튼과, 상기 N 버튼 및 상기 P 버튼은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이고, 상기 R 버튼은 상기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은 시프트 락 릴리즈 레인지에 대응하는 P release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P 버튼, 상기 R 버튼, 상기 N 버튼 및 상기 D 버튼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할 수 있는 버튼 조작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R 버튼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바디와, 상기 버튼 바디로부터 상기 버튼 조작 수용부 측으로 돌출되는 조작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R 버튼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 중 상기 R 버튼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직선 이동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R 버튼 플런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 중 상기 R 버튼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는 두 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R 버튼 플런저는, 상기 R 버튼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시프트 스위치를 각각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스위치 누름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R 버튼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압 로드 가이드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가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 버튼은 상기 복수의 가압 로드를 상기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가압 로드 각각의 타단과 접하는 복수의 누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 로드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돌기가 각각 접하여 슬립될 수 있도록 곡면형으로 이루어지는 접촉 곡면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과 각각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런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는 시프트 버튼 하나당 두 개 이상씩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런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시프트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상면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이 마련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심볼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복수의 심볼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심볼 광원이 배치된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패드에는 상기 복수의 심볼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패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심볼 광원 광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상면 중간에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외측 바디와, 상기 하우징 외측 바디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튼 지지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버튼 지지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외측 바디와 상기 버튼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렌즈; 및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지지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광 발산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광 발산부 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한 쪽 끝단이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과 마주하고 상기 광 발산부 측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광 발산부와 연결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은 RGB LED이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 조작되는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이 배치된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패드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패드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를 향해 돌출되는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는 각각,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고정 접점과 마주하도록 상기 가요성 패드에 가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에 의해 눌려 상기 고정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우징 배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배수홀과 연결되는 기판 배수홀이 마련되며, 상기 가요성 패드는, 상기 고정 접점이 마련된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는 패드 바디와,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을 각각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패드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접점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배수홀 및 상기 기판 배수홀과 연결되는 패드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패드는, 내측에 상기 패드 배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 배수홀 및 상기 하우징 배수홀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 바디 상에 도달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배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누름 조작 또는 당김 조작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시프트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시프트 버튼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시프트 레인지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R 버튼 등 특히 조작에 주의가 요구되는 시프트 버튼이 당김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나 미숙한 조작으로 작동되는 위험이 적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는 하우징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어 유입 유체에 의한 고장이나 오작동의 위험이 작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의 인디케이터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의 P 버튼 및 P 버튼 플런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의 R 버튼 플런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의 하우징과, 기판 및 가요성 패드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의 시프트 레인지에 따른 인디케이터 렌즈의 발광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차량에 배치되는 하우징(110)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가동형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과,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에 대응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와, 시프트 스위치(1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170)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차량 내측의 센터페시아, 콘솔 등 운전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다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을 조작함에 따라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하우징(110)은 차량의 내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외측 바디(112)와,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을 지지하도록 하우징 외측 바디(112)와 결합되는 버튼 지지체(120)를 포함한다. 하우징 외측 바디(112)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외관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버튼 지지체(120)는 일부분이 하우징 외측 바디(112)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 외측 바디(112)의 중간에 배치된다.
하우징 외측 바디(112)는 외측 바디 베이스(113)와, 외측 바디 베이스(113)를 덮는 외측 바디 커버(116)를 포함한다. 외측 바디 베이스(113)와 외측 바디 커버(116)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외측 바디 베이스(113)에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하우징 배수홀(114)이 마련된다. 외측 바디 커버(116)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부(117)가 구비된다. 개방부(117)에 버튼 지지체(120)가 삽입되는 형태로 버튼 지지체(120)가 하우징 외측 바디(112)에 결합된다.
버튼 지지체(120)는 하우징 외측 바디(112)와 결합되는 버튼 지지체 바디(121)와, 버튼 지지체 바디(121)의 내측에 결합되는 버튼 지지체 베젤(127)을 포함한다. 버튼 지지체 바디(121)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개방부(122)와, 버튼 설치홈(123)이 마련된다. 버튼 지지체 바디(121)의 개방부(122)에 버튼 지지체 베젤(127)이 삽입되는 형태로 버튼 지지체 베젤(127)이 버튼 지지체 바디(121)에 결합된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버튼 지지체 바디(121)에는 피봇 연결부(124)와 가압 로드 가이드(125)가 구비된다. 피봇 연결부(124)와 가압 로드 가이드(125)는 R 버튼(147)과 R 버튼 플런저(155)를 각각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그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버튼 지지체 베젤(127)은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을 갖는다. 버튼 지지체 바디(121)의 버튼 설치홈(123)과 버튼 지지체 베젤(127)의 버튼 설치홈(123)에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이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은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의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은 버튼 지지체 베젤(127)에 형성된 관통구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소정의 관통 영역을 갖는 공간 부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에 의하여 구획되는 개방 영역에 시프트 버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이 가동 가능한 유격을 구비하며 완전하게 노출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이 시프트 버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이 가동 가능한 유격을 구비하며 완전하게 노출되는 관통 영역과 운전자 등의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조작 영역을 동시에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 중 적어도 일부에는 홈 형태의 버튼 조작 수용부(128)가 구비되는데, 버튼 조작 수용부(128)는 버튼 지지체 베젤(127)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다. 버튼 조작 수용부(128)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 속으로 진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버튼 지지체(120)의 상면과 하우징 외측 바디(112)의 상면은 다소 이격된다. 즉, 버튼 지지체(120)의 상면과 하우징 외측 바디(112)의 상면 사이에는 버튼 지지체(12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틈새가 존재한다. 그리고 버튼 지지체(120)와 하우징 외측 바디(112) 사이의 틈새에 인디케이터 렌즈(130)가 배치된다. 인디케이터 렌즈(130)는 버튼 지지체(120)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싼다. 인디케이터 렌즈(130)는 기판(170)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광원(188)의 빛을 하우징(110) 외부로 발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디케이터 렌즈(130)가 인디케이터 광원(188)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함으로써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렌즈(130)를 보고 차량의 현 주행 상태나,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의 시프트 레인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광원(188)의 구체적인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디케이터 렌즈(130)는 버튼 지지체(120)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광 발산부(131)와, 인디케이터 광원(188)에서 조사되는 빛을 광 발산부(131) 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광 가이드부(132)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 가이드부(132)는 광 발산부(131)의 하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들 광 가이드부(132)는 기판(170)에 설치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 광원(188)에 대응하는 개수로 각각의 인디케이터 광원(188)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광 가이드부(132)는 광 발산부(131) 측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한 쪽 끝단이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188)과 마주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광원(188)에서 발생하는 빛은 광 가이드부(132)를 통해 광 발산부(131) 측으로 확산되어 광 발산부(131)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렌즈(130)의 형태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인디케이터 광원(188)에서 발생하는 빛을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발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은 하우징(110)의 버튼 지지체(120)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은 각각에 대응하는 시프트 레인지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을 변속장치의 시프트 레인지에 따라 D 버튼(135), N 버튼(138), R 버튼(141), P 버튼(147) 및 P release 버튼(150)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변속장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D 버튼(135)은 주행 레인지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이고, N 버튼(138)은 중립 레인지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이고, R 버튼(141)은 후진 레인지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이고, P 버튼(147)은 주차 레인지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이며, P release 버튼(150)은 시프트 락 릴리즈 레인지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이다. 사용자가 이들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중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변속장치의 시프트 레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중 일부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하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다. 푸쉬 타입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프트 버튼을 의미한다. 그리고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프트 버튼을 나타낸다.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은 사용자가 당기면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한다. D 버튼(135)과, N 버튼(138)과, P 버튼(147) 및 P release 버튼(150)은 푸쉬 타입 버튼이고, R 버튼(141)은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다.
D 버튼(135)과, N 버튼(138)과, P 버튼(147) 및 P release 버튼(150)은 푸쉬 타입 버튼이므로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을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R 버튼(141)은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므로 푸쉬 타입 버튼보다는 조작이 번거롭지만,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조작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미숙한 조작 및 원치 않는 동작 제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의 후진 시 운전자의 큰 주의가 요구되는데, 운전자가 의도치 않게 변속장치를 후진 레인지로 전환시키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은 차량의 안전성과 직결될 수 있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은 버튼 지지체(120)의 버튼 지지체 바디(121) 및 버튼 지지체 베젤(127)의 각 버튼 설치홈(123)에 배치된다. 이들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은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P 버튼(147), R 버튼(141), N 버튼(138), D 버튼(135) 및 P release 버튼(150)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된다. 이들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 버튼(135)은 버튼 지지체(120)의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 중 하나의 버튼 설치홈(123)에 삽입되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버튼 지지체(1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D 버튼(135)의 상면에는 주행 레인지를 표시하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136)이 마련된다. 시프트 레인지 심볼(136)은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N 버튼(138)은 버튼 지지체(120)의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 중 하나의 버튼 설치홈(123)에 삽입되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버튼 지지체(1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N 버튼(138)의 상면에는 중립 레인지를 표시하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139)이 마련된다. 시프트 레인지 심볼(139)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R 버튼(141)은 버튼 지지체(120)의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 중 하나의 버튼 설치홈(123)에 삽입되며, 버튼 지지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R 버튼(141)은 버튼 지지체(120)의 피봇 연결부(1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버튼 바디(142)와, 버튼 바디(142)에 결합되는 조작 돌기(144) 및 누름 돌기(145)를 포함한다. 후진 레인지를 표시하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143)은 버튼 지지체 베젤(127)의 일측에 버튼 바디(142)와 인접하여 마련된다. 시프트 레인지 심볼(143)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시프트 레인지 심볼(143)은 다른 시프트 버튼처럼 버튼 바디(142)의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조작 돌기(144)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것으로 버튼 바디(142)의 상측 부분에 버튼 지지체 베젤(127)의 버튼 조작 수용부(128) 측으로 돌출된다. 즉, 버튼 바디(142)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 상에 조작 돌기(144)를 투영할 경우, 조작 돌기(144)는 버튼 조작 수용부(128) 내측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조작 돌기(144)는 버튼 조작 수용부(128) 속에 배치될 수도 있고, 버튼 조작 수용부(128)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버튼 지지체 베젤(127)의 버튼 조작 수용부(128)에 손가락을 넣어 조작 돌기(144)를 당김으로써 R 버튼(141)을 손쉽게 당김 조작할 수 있다. 누름 돌기(145)는 R 버튼(141)의 하측에 배치되는 R 버튼 플런저(155)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 바디(142)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누름 돌기(145)는 복수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P 버튼(147)은 버튼 지지체(120)의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 중 하나의 버튼 설치홈(123)에 삽입되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버튼 지지체(1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P 버튼(147)의 상면에는 주차 레인지를 표시하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148)이 마련된다. 시프트 레인지 심볼(148)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P release 버튼(150)은 버튼 지지체(120)의 복수의 버튼 설치홈(123) 중 하나의 버튼 설치홈(123)에 삽입되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눌릴 수 있도록 버튼 지지체(1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P release 버튼(150)의 상면에는 시프트 락 릴리즈 레인지를 표시하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151)이 마련된다. 시프트 레인지 심볼(151)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또는 당김 조작되어 각각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166)를 작동시킨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과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 사이에는 복수의 플런저(153)(154)(155)(161)(164)가 설치된다. 이들 플런저(153)(154)(155)(161)(164)는 각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과 각각 연동하여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각각 작동시킨다. 각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166)는 각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의 하측에 복수로 배치된다. 즉, 하나의 시프트 버튼에 대해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가 대응하여 각 시프트 버튼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시프트 버튼에 대해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배치해 놓으면, 시프트 버튼 조작 시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 중 하나만 작동하여도 각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플런저(153)(154)(155)(161)(164)를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즉, D 버튼(135)에 대응하는 플런저는 D 버튼 플런저(153)로, N 버튼(138)에 대응하는 플런저는 N 버튼 플런저(154)로, R 버튼(141)에 대응하는 플런저는 R 버튼 플런저(155)로, P 버튼(147)에 대응하는 플런저는 P 버튼 플런저(161)로, P release 버튼(150)에 대응하는 플런저는 P release 버튼 플런저(164)로 명명한다.
복수의 플런저(153)(154)(155)(161)(164) 중에서 D 버튼 플런저(153)와, N 버튼 플런저(154)와, P 버튼 플런저(161) 및 P release 버튼 플런저(164)는 각각에 해당하는 시프트 버튼의 모양에 따라 그 모양이나 길이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개략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이들 D 버튼 플런저(153)와, N 버튼 플런저(154)와, P 버튼 플런저(161) 및 P release 버튼 플런저(164) 중에서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P 버튼 플런저(16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플런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 버튼 플런저(161)는 P 버튼(147)의 하측에 결합되어 P 버튼(147)과 함께 직선 이동하여 P 버튼(147)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작동시킨다. P 버튼 플런저(161)는 P 버튼(147)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156)를 갖는다. P 버튼(147)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될 때 P 버튼 플런저(161)의 스위치 누름부들(156)이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와 접하여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작동시키게 된다. P 버튼 플런저(161)에 구비되는 스위치 누름부(156)의 개수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P 버튼 플런저(161)의 구체적인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P 버튼 플런저(161)의 스위치 누름부들(156)에 의해 작동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 중에서 하나의 시프트 스위치(166)만 작동하여도 주차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R 버튼 플런저(155)는 R 버튼(141)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R 버튼 플런저(155)는, R 버튼(141)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각각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156)와,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156)를 연결하는 연결부(157)와, 일단이 각각의 스위치 누름부(156)와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 로드(158)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압 로드(158)는 각각의 타단이 R 버튼(141)의 누름 돌기(145)와 접한다. 각 가압 로드(158)의 타단에는 누름 돌기(145)와 접하는 접촉 곡면(159)이 마련된다. 누름 돌기(145)는 가압 로드(158)의 접촉 곡면(159)에 접촉하여 접촉 곡면(159)에서 슬립될 수 있다. 복수의 가압 로드(158)는 버튼 지지체(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 로드 가이드(12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압 로드(158)는 가압 로드 가이드(125)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R 버튼(141)이 사용자에 의해 당김 조작되어 회전할 때, R 버튼(141)의 누름 돌기(145)가 R 버튼 플런저(155)의 가압 로드(158) 끝단에 접하여 가압 로드(158)를 누른다. 즉, R 버튼(141)이 회전하면 누름 돌기(145)가 가압 로드(158)의 접촉 곡면(159)에 접하여 가압 로드(158)를 시프트 스위치(166) 쪽으로 가압한다. 이때, 누름 돌기(145)가 가압 로드(158)의 접촉 곡면(159)에서 원활하게 슬립되면서 가압 로드(158)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로드(158)가 시프트 스위치(166) 쪽으로 이동하면, 가압 로드(158) 끝단에 배치된 스위치 누름부(156)가 시프트 스위치(166)를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R 버튼(141) 조작 시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156)가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를 눌러 작동시키게 되는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 중 하나의 시프트 스위치(166)만 작동되어도 후진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R 버튼 플런저(155)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 버튼(141)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R 버튼(141)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166)를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시프트 스위치(166)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는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시프트 스위치(166)는 하나의 시프트 버튼에 대해 복수가 배치됨으로써, 시프트 버튼의 조작 시 안정적으로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기판(17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1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시프트 스위치(166)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송한다. 기판(170)에는 시프트 스위치(166) 이외에 각종 전자부품이나 전기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170)에는 하우징(110)의 기판 배수홀(171)에 대응하는 기판 배수홀(171)이 마련된다. 기판 배수홀(171)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프트 스위치(166)는 기판(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접점(167)과, 고정 접점(167)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접점(167)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동 접점(168)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168)은 기판(170)과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173)에 가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요성 패드(173)는 고정 접점(167)이 배치된 기판(170)의 일면을 덮는 패드 바디(174)와, 복수의 가동 접점(168)을 각각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패드 바디(174)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접점 지지부(175)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하우징의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배수 가이드(176)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요성 패드(173)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과 마주하는 기판(170)의 일면을 덮음으로써,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기판(170)에 도달하지 못하게 막아주고 기판(170)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패드(173)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드 바디(174)가 기판(170)의 일면을 덮으면서 배수 가이드(176)가 기판(170)의 기판 배수홀(171) 및 하우징(110)의 하우징 배수홀(114)에 삽입된다. 배수 가이드(176)의 내측에는 하우징(110)의 하우징 배수홀(114) 및 기판(170)의 기판 배수홀(171)에 대응하는 패드 배수홀(177)이 마련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패드 바디(174) 상에 도달하는 유체는 배수 가이드(176)의 패드 배수홀(177)을 따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홀(114)(171)(176)의 작용으로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체(물, 음료수, 커피 등)가 유입되는 경우,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기판(170)이나 시프트 스위치(166)를 오염시켜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가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배수 가이드(176)의 끝단에는 배수 가이드 홀더(178)가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따라서 배수 가이드(176)는 기판 배수홀(171) 및 하우징 배수홀(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 가이드 홀더(178)가 하우징(110)의 외면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요성 패드(173)가 하우징(110)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가요성 패드(173)에 의해 덮이는 기판(170) 역시 하우징(110)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밖에, 가요성 패드(173)에는 복수의 심볼 광원 광 가이드(180)와 복수의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183)가 구비된다. 복수의 심볼 광원 광 가이드(180)는 패드 바디(174)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각 심볼 광원 광 가이드(180)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 통로(181)가 구비된다. 복수의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183)는 패드 바디(174)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인디케이터 렌즈(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132)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각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183)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 통로(184)가 마련된다. 이들 심볼 광원 광 가이드(180) 및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183)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을 조작할 때, 해당 시프트 버튼에 대응하는 플런저가 가요성 패드(173)에 지지되는 가동 접점(168)을 고정 접점(167)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동 접점(168)이 고정 접점(167)에 접하여 고정 접점(167)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시프트 스위치는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 접점(167)과 가동 접점(168)을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각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과 연동하여 해당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기판(170)에 설치되는 복수의 심볼 광원(186) 및 복수의 인디케이터 광원(188)을 포함한다.
복수의 심볼 광원(186)은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어 각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에 빛을 조사한다.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중 하나의 시프트 버튼이 조작될 때, 조작된 시프트 버튼에 대응하는 심볼 광원(186)이 작동하게 되며, 심볼 광원(186)에서 발생한 빛이 해당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을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에서 발산되는 빛을 보고 선택된 시프트 버튼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심볼 광원(186)에서 발생하는 빛은 가요성 패드(173)에 구비되는 심볼 광원 광 가이드(180)의 광 통로(181)를 따라 각 시프트 버튼의 하측으로 가이드되어 각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에 집중될 수 있다.
복수의 인디케이터 광원(188)은 인디케이터 렌즈(130)의 복수의 광 가이드부(132)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어 각 광 가이드부(132)에 빛을 조사한다. 인디케이터 광원(188)에서 발생하는 빛은 가요성 패드(173)에 구비되는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183)의 광 통로(184)를 따라 각 광 가이드부(132)의 하측에 집중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광원(188)으로는 RGB LED가 이용될 수 있고, 인디케이터 광원(188)은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중 조작되는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P 버튼(147)이 조작된 경우, 인디케이터 광원(188)이 녹색 빛을 발생하여 인디케이터 렌즈(130)가 녹색 빛을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R 버튼(141)이 조작된 경우, 인디케이터 광원(188)이 적색 빛을 발생하여 인디케이터 렌즈(130)가 적색 빛을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N 버튼(138)이 조작된 경우, 인디케이터 광원(188)이 백색 빛을 발생하여 인디케이터 렌즈(130)가 백색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D 버튼(135)이 조작된 경우, 인디케이터 광원(188)이 청색 빛을 발생하여 인디케이터 렌즈(130)가 청색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시프트 버튼에 따라 인디케이터 광원(188)이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여 인디케이터 렌즈(130)를 통해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발산됨으로써,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렌즈(130)를 보고 차량의 현 주행 방향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인디케이터 광원(188)은 LED 이외에 빛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광원 소자가 이용될 수 있고, 선택된 시프트 버튼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거나,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누름 조작 또는 당김 조작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시프트 레인지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중에서 R 버튼(141) 등 특히 조작에 주의가 요구되는 시프트 버튼이 당김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나 미숙한 조작으로 작동되는 위험이 적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어 유입 유체에 의한 고장이나 오작동의 위험이 작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P 버튼(147), R 버튼(141), N 버튼(138), D 버튼(135), P release 버튼(150)의 순서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시프트 버튼의 종류나 개수, 배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135)(138)(141)(147)(150) 중에서 R 버튼(141)만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R 버튼(141) 이외에 조작에 주의가 요구되는 다른 시프트 버튼도 시소 힌지 타입 버튼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10 : 하우징
112 : 하우징 외측 바디 113 : 외측 바디 베이스
114 : 하우징 배수홀 116 : 외측 바디 커버
120 : 버튼 지지체 121 : 버튼 지지체 바디
123 : 버튼 설치홈 124 : 피봇 연결부
125 : 가압 로드 가이드 127 : 버튼 지지체 베젤
128 : 버튼 조작 수용부 130 : 인디케이터 렌즈
131 : 광 발산부 132 : 광 가이드부
135 : D 버튼
136, 139, 143 , 148, 151 : 시프트 레인지 심볼
138 : N 버튼 141 : R 버튼
142 : 버튼 바디 144 : 조작 돌기
145 : 누름 돌기 147 : P 버튼
150 : P release 버튼 153 : D 버튼 플런저
154 : N 버튼 플런저 155 : R 버튼 플런저
156 : 스위치 누름부 157 : 연결부
158 : 가압 로드 159 : 접촉 곡면
161 : P 버튼 플런저 156 : 스위치 누름부
164 : P release 버튼 플런저 166 : 시프트 스위치
167 : 고정 접점 168 : 가동 접점
170 : 기판 171 : 기판 배수홀
173 : 가요성 패드 174 : 패드 바디
175 : 접점 지지부 176 : 배수 가이드
177 : 패드 배수홀 178 : 배수 가이드 홀더
180 : 심볼 광원 광 가이드 181, 184 : 광 통로
183 :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 186 : 심볼 광원
188 : 인디케이터 광원

Claims (20)

  1.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은 주행 레인지에 대응하는 D 버튼과, 중립 레인지에 대응하는 N 버튼과, 후진 레인지에 대응하는 R 버튼과, 주차 레인지에 대응하는 P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D 버튼과, 상기 N 버튼 및 상기 P 버튼은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이고, 상기 R 버튼은 상기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할 수 있는 버튼 조작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R 버튼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바디와, 상기 버튼 바디로부터 상기 버튼 조작 수용부 측으로 돌출되는 조작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R 버튼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 중 상기 R 버튼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직선 이동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R 버튼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 중 상기 R 버튼에 대응하는 시프트 스위치는 두 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R 버튼 플런저는, 상기 R 버튼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시프트 스위치를 각각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와, 상기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스위치 누름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R 버튼과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가압 로드 가이드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가압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은 시프트 락 릴리즈 레인지에 대응하는 P release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P 버튼, 상기 R 버튼, 상기 N 버튼 및 상기 D 버튼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 버튼은 상기 복수의 가압 로드를 상기 복수의 스위치 누름부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가압 로드 각각의 타단과 접하는 복수의 누름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 로드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복수의 누름 돌기가 각각 접하여 슬립될 수 있도록 곡면형으로 이루어지는 접촉 곡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0.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과 각각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는 시프트 버튼 하나당 두 개 이상씩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런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시프트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1. 삭제
  12.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상면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시프트 레인지 심볼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심볼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심볼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복수의 심볼 광원이 배치된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패드에는 상기 복수의 심볼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 심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패드로부터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심볼 광원 광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3. 삭제
  14.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상면 중간에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외측 바디와, 상기 하우징 외측 바디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을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튼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지지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외측 바디와 상기 버튼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렌즈; 및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지지체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광 발산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광 발산부 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한 쪽 끝단이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과 마주하고 상기 광 발산부 측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광 발산부와 연결되는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은 RGB LED이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 조작되는 시프트 버튼의 시프트 레인지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이 배치된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패드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요성 패드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를 향해 돌출되는 인디케이터 광원 광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8. 차량의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각각의 시프트 레인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에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 타입 버튼이고,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한 당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푸쉬 타입 버튼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힌지 타입 버튼이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스위치는 각각,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고정 접점과 마주하도록 상기 가요성 패드에 가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시프트 버튼 중 대응하는 시프트 버튼에 의해 눌려 상기 고정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우징 배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배수홀과 연결되는 기판 배수홀이 마련되며, 상기 가요성 패드는, 상기 고정 접점이 마련된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는 패드 바디와, 상기 복수의 가동 접점을 각각 가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패드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접점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배수홀 및 상기 기판 배수홀과 연결되는 패드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패드는,
    내측에 상기 패드 배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 배수홀 및 상기 하우징 배수홀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 바디 상에 도달하는 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배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KR1020170069743A 2017-04-18 2017-06-05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KR101937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934 2017-04-18
KR20170049934 201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15A KR20180117515A (ko) 2018-10-29
KR101937030B1 true KR101937030B1 (ko) 2019-01-10

Family

ID=6410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43A KR101937030B1 (ko) 2017-04-18 2017-06-05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0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513A1 (ja) * 2012-06-08 2013-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513A1 (ja) * 2012-06-08 2013-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15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5921C (en) Shift device for vehicle
KR102497038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조작장치
KR101730893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JP2006253127A (ja) 電気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20018751A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US5813519A (en) Lighted switch apparatus
JP6068000B2 (ja) 表示スイッチ
US6044790A (en) Manual operat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5180768B2 (ja) ダイヤル式スイッチ
US6777633B2 (en) Switch device
EP3101673B1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KR101937030B1 (ko) 차량용 전자식 변속장치
US20080264193A1 (en) Shifting Device for a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and Shifting Method
KR20160145916A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US20020134186A1 (en) Gate change unit for an automatic gearbox
KR20210058342A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다이얼타입 변속조작장치
JP3902436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2008540239A (ja) 自動車の変速機用シフト装置及びシフト方法
KR20220149985A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
JP2004243927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2009255646A (ja) 変速操作装置
JP7218999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レバー装置
KR102597721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111417799B (zh) 用于档位选择的装置
GB2099222A (en) Switch for motor vehicle dash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