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040B1 -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040B1
KR101936040B1 KR1020180046523A KR20180046523A KR101936040B1 KR 101936040 B1 KR101936040 B1 KR 101936040B1 KR 1020180046523 A KR1020180046523 A KR 1020180046523A KR 20180046523 A KR20180046523 A KR 20180046523A KR 101936040 B1 KR101936040 B1 KR 10193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biodegradable
organic solvent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휘
김미정
정두용
임수아
김완주
주소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to KR102018004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040B1/ko
Priority to EP19793561.2A priority patent/EP3785704B1/en
Priority to PCT/KR2019/004800 priority patent/WO2019208982A1/ko
Priority to US17/049,942 priority patent/US1163336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i.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물, 알코올,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단상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조 공정상 용매에 의한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여 봉입된 약물의 함량을 최종 생분해성 미립구 제조가 완료되기까지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져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에 현저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microsphere by using stabled monophasic mixture}
본 발명은 물, 알코올,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상(phase)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단상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미립구(Biodegradable microsphere)는 체내로 약물 등을 전달하는 전달체(carrier)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생분해성 미립구는 주 구성성분인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기전 및 분해속도에 따라 생체내 소실 기간이 정해지는데, 이들 고분자의 생체내 소실 속도에 따라 내부 봉입된 약물의 방출은 1주 내지 6개월에 이른다.
생분해성 미립구는 단일 에멀젼의 형태로써 O/W (oil in water), W/O (water in oil), O/O (oil in oil), S/O (solid in oil), S/W (soild in water) 등이 있으며, 이중 에멀젼의 형태로는 W/O/W (water/oil/water), O/W/O (oil/water/oil) 또는 S/O/W (solid/oil/water)가 있다. 이들 중 산업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에멀젼의 형태로는 단일 에멀젼으로는 O/W, 이중 에멀젼으로는 W/O/W이다.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방법은 용매 증류법(solvent evaporation method)이며, 이는 미립구 제조 시에 사용된 유기용매를 휘발시키고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외에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분무건조법(spary drying method)과 초음파 파쇄법(sonication) 등이 제공되었으나, 분무건조법은 사용할 수 있는 용매가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초음파 파쇄법은 내부 약물이 초음파 에너지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용매 증류법으로 생분해성 미립구 제조시, 단일 에멀젼인 O/W형 미립구의 경우는 내부 오일상(oil phase)상으로 물과 섞이지 않는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을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에 동시에 용해하고 이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상에 빠르게 분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봉입하고자 하는 약물이 비극성 용매에 용해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비극성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약물은 생분해성 미립구 내부에 봉입하기에 한계가 있다.
극성 용매에 용해되는(수용성) 약물은 주로 이중 에멀젼인 W/O/W형 미립구를 이용하며, 수용성 약물을 1차 수상에 용해한 후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비극성 유기용매와 강하게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제조하고 이를 계면활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2차 수상에 빠르게 분산시켜 W/O/W형 미립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W/O 에멀젼은 비극성 유기용매와 수용액의 빠른 상분리가 일어나서, 미립구 제조시 제조 후반부로 갈수록(배치가 진행될수록) 수용성 약물의 균일한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를 수득하기 어려웠고, 후반부에 생산된 미립구의 약물 봉입률의 균일성이 현저히 떨어져 제형의 규격에 적합하지 않아 버려지게 되는 등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W/O 에멀젼을 이용하여 W/O/W형 미립구 제조시 약물 봉입률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W/O 에멀젼의 분산 안정성(colloidal stability)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일례로서 등록특허 10-1558083호에서는 증점제를 사용하여 W/O 에멀젼의 점도를 증가시켜 분산 안정성을 개선하고, 등록특허 10-166356호에서는 수용성 약물의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는 제조 후 미립구 내에 증점제 또는 계면활성제가 잔존하여 이들의 잔존량을 특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를 위하여,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제조 초기(배치)에 얻어진 미립구와 후기(배치)에 얻어진 미립구의 약물 봉입률이 균일하여 제형 균일성을 갖는 미립구 제조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특정 혼합비의 물, 알코올, 디클로로메탄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사용할 경우, 놀랍게도 용매간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약물과 생분해성 고분자가 동시에 용해가능하면서도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알코올 및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여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생분해성 미립구 제조용 단상 혼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 물과 알코올을 1 : 4 ~ 1 : 9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 혼합액에 약물을 용해하는 단계;
ⅱ)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에 단계 i)로부터의 약물 용해액을 혼합하여 단상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단상 혼합액을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상에 분산시켜 미립구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ⅳ) 상기 ⅲ)에서 형성된 미립구 에멀젼에서 비극성 유기용매를 휘발시키고 경화하는 단계; 및
ⅴ)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의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i): 혼합 용매와 약물 용해
물과 알코올을 1 : 4 ~ 1 : 9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 혼합액에 약물을 용해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는‘약물’은 제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약물이면 상기 약물 범위에 국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인 약제; 펩타이드, 단백질, 항체, 핵산, 세포 및 유전자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 호르몬 및 호르몬 동족체(analogue)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약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펩타이드로는 류프로렐린, 고세렐린, 트립토렐린, 부세렐린, 나파렐린, 세트로렐릭스, 알지타이드, 옥트레오타이드 및 이들의 염이다.
본 발명에서 ‘알코올’은 탄소수 1개 내지 3개의 저급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본 발명에서 약물의 용매로서 물과 알코올 혼합액은 1 : 4 ~ 1 : 9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알코올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후속 단계에서 형성된 혼합액이 안정화되지 않아서 상분리(용매 밀도 차에 의한 층분리)가 발생한다.
용매 혼합액의 사용양은 약물을 용해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용매 혼합액 1 중량부 당 약물 0.05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단계 ⅱ): 단상 혼합액 형성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에 단계 i)로부터의 약물 용해액을 혼합하여 단상 혼합액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미립구의 외벽을 구성하며 체내에서는 일정 기간 내에 소실되는 것으로서, 제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비극성 유기용매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는 고분자이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위 유닛(monomer)이 에스터(Ester) 결합으로 연결된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틱-코-글리콜산(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5,000 내지 100,000 g/mol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0.16 내지 0.74 dL/g의 고유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0.16 dL/g 미만의 고유점도를 가지면 고분자의 분해가 너무 빨라 원하는 시간까지 약물의 지속적인 방출이 어려울 수 있고, 0.74 dL/g을 초과하는 고유점도를 가지면 고분자의 분해가 너무 느려 약물의 방출량이 적어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극성 유기용매로는 밀도가 물보다 높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중량(wt)% 보다 낮아 물과 단독 혼합하였을 때 상분리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성질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한다.
비극성 용매의 사용양은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고분자 중량의 1 배 내지 20배일 일 수 있다.
상기 약물 용해액과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의 혼합 부피비는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로서,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12로 혼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6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조된 단상 혼합액은 상분리(용매 밀도차에 의한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도 1).
위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 메카니즘은 1: 4 ~ 1: 9의 부피비로 혼합된 물과 알코올 혼합액을 약물의 용매로서 사용함에 의해, 알코올이 물과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동시에, 1 : 1 내지 1 : 12 의 부피비로 혼합된 비극성용매가 알코올의 탄소사슬과 소수성 결합을 함으로써 물분자가 비극성용매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라 예측된다.
단계 ⅲ): 미립구 에멀젼 형성
단계 ⅱ)로부터의 단상 혼합액을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상에 분산시켜 약물이 포함된 미립구 에멀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에서 계면활성제는 미립구 분산을 안정화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이면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이 사용된다.
계면활성제의 용해 농도는 미립구 분산을 안정화할 수 있는 농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5 %(w/v)의 농도로 용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ⅳ): 비극성 유기용매 휘발 및 경화
형성된 미립구 에멀젼으로부터 비극성 유기용매를 휘발시키고 경화시킨다.
미립구 에멀젼으로부터 비극성 유기용매를 휘발시키고 경화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반, 가열, 감압교반, 또는 진공 증발방법 등의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 40℃로 1~6 시간동안 열을 가하는 가열 방식으로 비극성 유기용매를 휘발시킨 후 경화시킬 수 있다.
ⅴ) 분말화
단계 iv)로부터의 경화된 미립구를 동결건조하여 생분해성 미립구 분말을 얻는다.
동결건조는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립구를 주사용수 등 적절한 용액에 현탁한 후 부형제, 분산제 등을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동결건조에 앞서, 필요에 따라서, 체(sieves)를 이용하여 경화된 미립구를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내부 봉입된 약물의 함량을 제조 초기부터 후기까지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제조 전반에 걸쳐 균일한 약물 봉입율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가 얻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는 제약학적으로 인정되는 주사제의 허용범위에 해당하는 입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d50이 1 내지 300㎛에 해당한다 (도 3).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는 미립구 내부에 균질하게 봉입된 약물을 서서히 방출할 수 있다 (도 5).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약물의 균일한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미립구는 수용성 약물을 봉입하여 서방성 방출 전달체로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화된, 생분해성 미립구 제조용 단상 혼합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물과 알코올을 1 : 4 ~ 1: 9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 혼합액에 약물을 용해하는 단계; 및
b)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에 단계 a)로부터의 약물 용해액을 혼합하여 단상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a) 및 단계 b)에서 알코올, (혼합)부피비, 용매 혼합액, 약물, 생분해성 고분자, 비극성 유기용매, 단상 혼합액 등은 상기 단계 i) 및 단계 ⅱ)에서 정의되고 설명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단상 혼합액은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화되어,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용으로 현저히 유용하다 (도 1). 본 발명의 따른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은 미립구 내부 약물의 분포를 균질하게 하고, 약물의 손실을 줄이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서방형 제제를 생산케 한다.
본 발명의 단상 혼합액은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제조 초기부터 말기까지 단상 혼합액의 안정성이 유지되어 제조 전반에 걸쳐 (여러 배치가 진행될 동안) 균일한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는 내부 봉입된 약물의 분포가 균질하여 약물의 균일한 서방성 방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제조 공정상 용매에 의한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사용하여 제조 전반에 걸쳐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를 현저하게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상 혼합액(실시예 1)과 종래 기술의 W/O 에멀젼(비교예 1)의 상분리 발생 여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상 혼합액(실시예 1)과 종래 기술의 W/O 에멀젼(비교예 1)의 경시적 상분리 여부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형상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실시예 3)와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W/O/W형 생분해성 미립구(비교예2)의 약물 봉입률 변동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약물의 가속용출률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단상 혼합액 제조
실시예 1
0.14 mL 물(주사용수)과 1.0 mL의 에탄올을 혼합한 혼합액에 초산 류프로렐린 (Polypeptide) 0.28 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1.72 g의 DL-폴리락틱-코-글리콜산 (Evonik, RG653H, Select5050 DLG 2A)를 용해시켜 둔 3.11 mL의 디클로로메탄 (대정화금)에 첨가하고 볼텍스(voltex)를 사용하여 단상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분해성 고분자를 폴리락틱-코-글리콜산 대신에 L-폴리락트산 (Evonik, R202H)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단상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초산 류프로렐린 (Polypeptide) 0.28g을 1.14mL 물(주사용수)에 완전히 용해한 후, 1.72 g의 DL-폴리락틱-코-글리콜산 (Evonik, RG653H, Select5050 DLG 2A)를 용해시켜 둔 3.11 mL의 디클로로메탄 (대정화금)에 첨가하고 볼텍스(voltex)를 사용하여 W/O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생분해성 미립구 제조
실시예 3
실시예 1의 단상 혼합액 전부를 0.7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수용액 500 mL에 실린지펌프를 이용하여 0.36 mL/min의 속도로 주입하면서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해 7000 rpm의 조건으로 균질화(homogenization)하여 미립구 에멀젼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미립구 에멀젼을 36℃에서 2시간동안 메커니컬 스터러 500rpm으로 교반(stirring)하여 디클로로메탄을 휘발시키고 25℃에서 30분간 경화하였다. 그리고 나서 75um 체(sieves)와 5um 체를 이용하여 경화된 미립구를 여과한 후, 실온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단상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W/O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W/O/W형 생분해성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상분리 발생 여부 관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 1의 단상 혼합액과 비교예 1의 W/O 에멀젼에 대해 상분리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W/O 에멀젼은 두 용액간 계면이 발생하고 상분리가 일어나서 유중수층이 미세방울 형태로 존재함에 따라 불투명한 용액으로 형성되었으나, 실시예 1의 단상 혼합액은 계면이 발생하지 않고 상층분리가 일어나지 않아서 투명한 용액으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경시적 상분리 분석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 1의 단상혼합액과 비교예 1의 W/O 에멀젼을 각각 유리 바이알에 담아 상온에서 시간 흐름에 따른 투과도 변화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상분리여부를 하기식으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투과도 변화 = Th / T0
T0 :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이 제조된 직후의 투과도
Th :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의 제조한 후로부터 경과한 시간(h)에서의 투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W/O 에멀젼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물이 에멀젼으로부터 상분리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층부로 이동함으로써 T0 대비 Th가 점차 증가하나, 실시예 1의 단상 혼합액은 상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시간이 흐르더라도 용액 투과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험예 3: 생분해성 미립구 형상 확인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생분해성 미립구의 형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확인하고, 그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는 제약학적으로 인정되는 주사제의 허용범위에 해당하는 입도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도 형성되었다.
시험예 4: 생분해성 미립구의 약물 봉입률 변동 측정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 경과 시간에 따른 류프로렐린의 봉입률의 변동 여부를 하기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봉입률 변동율 = EEh / EE0 X 100(%)
EEh : 미립구 제조 h분 후에 약물 봉입률
EE0 : 미립구 제조 직후의 약물 봉입률
약물 봉입률(%)= 미립구 g당 실제 봉입된 약물의 양
/미립구 g당 제조시 첨가한 약물의 양 X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W/O/W형 생분해성 미립구는 약물 봉입률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큰 변동을 나타내는 반면에, 실시예 3의 생분해성 미립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약물 봉입률이 고르게 나타나 변동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생분해성 미립구의 약물 용출률 분석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 4의 생분해성 미립구를 100 mg을 취하여 0.02% 폴리소르베이트80 수용액 100 mL에 첨가한 후, 50±0.5 ℃에서 125 rpm으로 쉐이킹(Shaking)하는 조건으로 약물의 가속용출시험을 진행하였다.
약물의 용출은 각각 1, 4, 7, 24, 30시간에 용출액을 1mL씩 취하여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28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여 용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미립구는 약물을 서방적으로 방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단상 혼합액 제조시 최적 용매 혼합비 검정
상기 제조예 1의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단상 혼합액을 제조하면서, 알코올의 일 실시예로써 메탄올을 사용하여 물과 메탄올의 혼합비, 물과 메탄올 혼합액과 비극성 용매인 디클로로메탄과의 혼합비를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화하여, 최적 용매 혼합비를 검정하였고, 상분리 여부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물/메탄올 물/메탄올 혼합액 : DCM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1:9 X X X X X X X X X X X X O
1:6 X X X O O O O O O O O O O
1:4 X O O O O O O O O O O O O
1:3 O O O O O O O O O O O O O
(O: 상분리 일어남, X: 상분리 일어나지 않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물과 알코올 혼합액은 1 : 4 ~ 1 : 9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최적의 혼합비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물과 알코올 혼합액과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의 혼합은 1:1 내지 1:12 부피비가 최적의 혼합비임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i) 물과 알코올을 1 : 4 ~ 1: 9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 혼합액에 약물을 용해하는 단계;
    ⅱ)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에 단계 i)로부터의 약물 용해액을 혼합하여 단상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단상 혼합액을 계면활성제가 용해된 수상에 분산시켜 미립구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ⅳ) 미립구 에멀젼에서 비극성 유기용매를 휘발시키고 경화하는 단계; 및
    ⅴ)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고,
    상기 약물은 수용성 약물이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틱-코-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이고,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가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이고,
    상기 단계 ⅱ)에서 약물 용해액과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의 혼합 부피비는 1 : 1 내지 1 : 12인 것인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리베이트80 및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류프로렐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약물 봉입률을 갖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용 단상 혼합액의 제조방법으로,
    a) 물과 알코올을 1 : 4 ~ 1: 9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 혼합액에 약물을 용해하는 단계; 및
    b)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에 단계 a)로부터의 약물 용해액을 혼합하여 단상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에서 약물 용해액과 생분해성 고분자가 용해된 비극성 유기용매의 혼합 부피비는 1 : 1 내지 1 : 12이고,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고,
    상기 약물은 수용성 약물이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틱-코-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이고,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가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이고,
    상기 단상 혼합액은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혼합액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용 단상 혼합액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류프로렐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용 단상 혼합액의 제조방법.
KR1020180046523A 2018-04-23 2018-04-23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193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23A KR101936040B1 (ko) 2018-04-23 2018-04-23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EP19793561.2A EP3785704B1 (en) 2018-04-23 2019-04-22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sheres using stabilized single-phase mixed solution
PCT/KR2019/004800 WO2019208982A1 (ko) 2018-04-23 2019-04-22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US17/049,942 US11633360B2 (en) 2018-04-23 2019-04-22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spheres using stabilized single-phase mixed sol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523A KR101936040B1 (ko) 2018-04-23 2018-04-23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040B1 true KR101936040B1 (ko) 2019-01-08

Family

ID=6502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23A KR101936040B1 (ko) 2018-04-23 2018-04-23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33360B2 (ko)
EP (1) EP3785704B1 (ko)
KR (1) KR101936040B1 (ko)
WO (1) WO20192089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982A1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씨트리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427305B1 (ko) * 2022-02-08 2022-07-29 주식회사 바이오엔티 국소 투여용 이중 봉입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83B1 (ko) * 2014-04-07 2015-10-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약물함유 고분자미립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7419A1 (en) * 2002-11-19 2004-05-20 Holger Petersen Organic compounds
EP2094246B1 (en) * 2006-12-18 2020-04-0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005003B1 (ko) * 2007-09-18 2010-12-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US8034382B2 (en) * 2008-07-31 2011-10-1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Preparation method for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containing drugs
WO2010085607A1 (en) * 2009-01-23 2010-07-29 Surmodics Pharmaceuticals, Inc. Continuous double emulsion process for making microparticles
KR101663560B1 (ko) 2009-02-13 2016-10-10 동국제약 주식회사 균일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1039237B1 (ko) * 2010-10-12 2011-06-07 동국제약 주식회사 새로운 용출률이 개선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EP3125871B1 (en) * 2014-03-31 2020-10-21 Pharmathen S.A. Preparation of peptide loaded plga microspheres with controlled release characteristics
KR101738127B1 (ko) * 2014-08-08 2017-05-22 (주)비씨월드제약 약물 함유 서방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CN106038492B (zh) * 2016-05-19 2018-10-16 丽珠医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缓释醋酸亮丙瑞林微球的制备方法
KR101936040B1 (ko) * 2018-04-23 2019-01-08 주식회사 씨트리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83B1 (ko) * 2014-04-07 2015-10-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약물함유 고분자미립구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16, 244, 302-31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8982A1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씨트리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US11633360B2 (en) 2018-04-23 2023-04-25 HLB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spheres using stabilized single-phase mixed solution
KR102427305B1 (ko) * 2022-02-08 2022-07-29 주식회사 바이오엔티 국소 투여용 이중 봉입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5704A1 (en) 2021-03-03
EP3785704A4 (en) 2022-05-04
US20210093572A1 (en) 2021-04-01
US11633360B2 (en) 2023-04-25
EP3785704B1 (en) 2023-03-15
WO2019208982A1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737B1 (en) A process of preparing microspheres for sustained release having improved dispersibility and syringeability
KR100816065B1 (ko) 초기 방출억제 특성이 우수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캡슐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
AU2002358831B2 (en) Prolonged release biodegradable microspher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000057693A (ko) 지효성 제제의 제조 방법
IL163218A (en) Polymer-based preparations for prolonged release of the hormone FSH
JPH07106987B2 (ja) 薬剤学的又は獣医学的認容性で、両親媒性の非架橋線状、枝分れ又はグラフト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2004510730A (ja) 非経口的投与可能な制御放出微粒子調製物
CZ292449B6 (cs) Farmaceutická kompozice a způsob její přípravy
WO1993007861A1 (en) Preparation and uses of multi-phase microspheres
KR20020037027A (ko) 초정밀 마이크로입자 및 나노입자의 완만한 제조 방법
JP4073478B2 (ja) 生物分解性制御放出型微細球およびその製法
JPH09504026A (ja) 流動床乾燥工程を含んでなるミクロスフェアの製造方法
KR101936040B1 (ko) 안정화된 단상 혼합액을 이용하는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JP5851518B2 (ja) 生理活性ペプチドを含む微小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む薬剤学的組成物
KR20170031520A (ko) 자발적 공극 폐쇄 기능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2119B1 (ko) 디올 화합물을 이용한 나노수준의 활성물질 입자 제조 방법
KR20200074906A (ko) 데슬로렐린을 함유하는 서방형 주사제 및 그 제조방법
Satapathy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leuprolide acetate encapsulated PLGA microspheres for parenteral controlled release depot injection
JPH072652A (ja) 乾式加工された粒子の製造方法、該方法で製造された乾式加工された粒子及び該粒子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101039237B1 (ko) 새로운 용출률이 개선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1961848B1 (ko)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66573B1 (ko)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CN110882222B (zh) 颗粒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10859811B (zh) 药物缓释组合物及制备方法
KR20120098906A (ko) 서방성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