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729B1 -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729B1
KR101935729B1 KR1020180074788A KR20180074788A KR101935729B1 KR 101935729 B1 KR101935729 B1 KR 101935729B1 KR 1020180074788 A KR1020180074788 A KR 1020180074788A KR 20180074788 A KR20180074788 A KR 20180074788A KR 101935729 B1 KR101935729 B1 KR 10193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body portion
corner
coupled
contain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수
Original Assignee
최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0182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357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수 filed Critical 최광수
Priority to KR102018007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29B1/ko
Priority to CN201910382774.8A priority patent/CN110194329A/zh
Priority to JP2019116141A priority patent/JP202000182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하나 이상의 커버부재가 양 모서리에 대향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부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격벽이 되고, 상기 격벽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며,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 HAVING MULTIPLE PARTITION ON CORNER}
본 발명은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모서리에 다중 격벽을 가지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백(Container Bag)은 내용물을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상자모양의 수송용기를 가리킨다. 주로 벌크 내용물이 적재된다.
컨테이너 백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내용물이 적재되었을 때 배불림 현상없이 직육면체 등의 형상이 유지되면서 직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컨테이너 백은 백 내부에 격벽을 만들어, 모서리 공간부가 일종의 기둥역할을 하도록 하면서, 컨테이너 백의 형상을 유지하려는 시도를 하여왔다.
내부 격벽은 통공 등을 통해 내용물을 컨테이너백의 모서리 공간부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내용물이 모서리 공간부의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의 격벽은 내부에 1개가 구비되었다. 격벽이 1개가 구비되므로, 격벽을 통한 구조역학적 기능발휘에 기여를 크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43244호 (2017.12.29)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복수개의 격벽을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격벽이 복수개 구비되도록 하여, 모서리 공간부가 과다하게 팽창하지 않으면서, 전체적인 컨테이너 백 형상유지에 기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의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각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로 구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의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 모서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팔각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의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커버부재와, 각 모서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내부 커버부재와 상기 외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복수의 관통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격벽을 이루며, 상기 격벽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 커버부재는 몸체부에 형성된 횡방향 배열 슬릿들에 삽입관통되어, 몸체부의 모서리부에서는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부에서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 커버부재는 복수개의 일체형 밴드가 종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커버부재가 모서리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각 모서리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가 모서리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 커버부재, 상기 모서리부의 모서리부재 및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상기 외부 커버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 커버부재는 몸체부에 형성된 횡방향 배열 슬릿들에 삽입관통되어, 몸체부의 모서리부에서는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부에서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격벽의 각 격벽은 통공구조체 또는 메시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공구조체 및 메시구조체의 크기는 몸체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는 상부 투입부가 구비된 상판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는 하부 투입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된 하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외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컨테이너백 몸체부의 모서리에 내부 커버부재, 외부 커버부재 및 관통커버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로 다중 격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중 격벽은 모서리 공간부로 이동되는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모서리 공간부가 전체적인 컨테이너 백 형상을 유지하는 기둥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1b는 도 1a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b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로서,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투입되어 팽창된 상태에서의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커버부재 및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관통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일체형 밴드 형상의 3개의 관통 커버부재가 상하로 이격되어 1개의 격벽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커버부재 및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 내지 도 13은 몸체부가 팔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몸체부가 팔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커버부재 및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외측에 외피가 더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공구조체와 메시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직육면체 컨테이너 백의 평단면인 사각 형상 및 팔각 형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특징을 설명한다. 한편, 실제 컨테이너 백에 사용되는 원단의 두께는 매우 얇을 수 있는데, 본 도면에서는 발명의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표현을 하였음을 참고하여야 한다.
즉 도면은 기술적 사상인 발명의 기술 구성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며, 특허발명의 기술 구성이 도면에 도시된 대로 반드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1b는 도 1b는 도 1a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에 통공 등이 형성된 다중 격벽을 설치하여, 모서리 공간부(corner)를 형성시키고, 컨테이너 백의 중앙에 투입된 내용물이 격벽의 통공 등을 통해 모서리 공간부로 이동되는 구조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b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로서,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투입되어 팽창된 상태에서의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몸체부의 중앙(center)에 내용물이 투입되면, 격벽의 통공 등을 통해 내용물이 모서리 공간부로 이동하여 모서리 공간부를 일종의 직립기둥처럼 형성시킨다. 이로써 직육면체의 모서리 4곳이 직립기둥처럼 형성되고, 컨테이너 백 전체의 형상유지에 큰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모서리 공간부에 격벽이 1개가 있는 경우라면, 직육면체의 전체 외관에 필요한 모서리 공간부의 부피를 확보하도록 격벽이 이격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모서리 공간부의 큰 부피로 인하여 내용물이 유입되어도 신속하게 직립기둥으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신속한 직립기둥 형성을 위해 모서리 공간부의 부피를 적게 설계하면, 결과적으로는 직육면체의 외관 형성에 유효하게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모서리 공간부에 다중 격벽을 구비시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모서리 공간부에 다중 격벽이 구비되면, 몸체부 중앙에서 유입된 내용물은 첫번째 격벽을 통과한 공간에서, 보다 작은 직립 기둥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립 기둥을 형성하면서, 내용물은 다시 두번째 격벽을 통과하여, 다른 직립 기둥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다중 격벽을 이용하여, 다중 직립 기둥을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형성시키면, 컨테이너 백의 직육면체 외관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모서리공간부의 과다팽창 현상 내지 몸체부 측부의 배불림 현상 등을 방지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둘 이상의 커버부재가 양 모서리에 대향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부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격벽이 되고, 상기 격벽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며,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b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는 몸체부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다중 격벽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커버부재가 최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격벽으로 기능하기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는 평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110)으로 구비된 제1 실시예와, 팔각 형상(120)으로 구비된 제2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 형상(110)으로 구비된 제1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110)이며, 커버부재는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2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커버부재(210)와 제2 내부 커버부재(220)가 몸체부의 모서리(corner) 내측에 배치되어 2겹의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내부 커버부재(210) 및 제2 내부 커버부재(220)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2와 유사하게 될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내부 커버부재(210) 및 제2 내부 커버부재(220)의 각 단부는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11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3과 유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110)이며, 커버부재는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커버부재(200)와,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3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커버부재 및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내부 커버부재(200)와 외부 커버부재(300)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2와 유사하게 될 것이다.
도 7의 실시예와 같이, 내부 커버부재(200)와 외부 커버부재(300)의 각 단부는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11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3과 유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110)이며, 커버부재는 몸체부에 형성된 횡방향 배열 슬릿(slit)(100_s) 그룹에 삽입관통되어, 몸체부의 모서리(corner)에서는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부(side)에서는 외측에 배치되는(도 8 및 도 9 참조), 하나 이상의 관통커버(400)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3과 유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커버부재(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일체형 밴드(400a, 400b, 400c)가 종방향으로 이격 구비되어 1개의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다중 격벽인 경우, 관통 커버부재(400)는 상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1개의 격벽들이 횡방향으로 이격배치되면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커버부재(400)가 몸체부에 결합되는 방식은 봉재, 접합 및 열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커버부재(400)가 구비되고,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몸체부가 사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커버부재 및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부재(300)는 관통 커버부재(400)와 함께 몸체부(120)에 결합되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외부 커버부재(300)가 별도로 몸체부(120)에 결합되는 실시예(미도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이 팔각 형상(120)으로 구비된 제2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팔각 형상(120)이며, 커버부재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30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몸체부가 팔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외부 커버부재가 2개(310, 320)인 실시예이고, 도 12는 외부 커버부재가 3개(310, 320, 330)인 실시예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300)의 각 단부는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12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3과 유사하게 될 것이다.
도 13의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300)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백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의 평단면도는 도 2와 유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팔각 형상(120)이며, 커버부재는 몸체부에 형성된 횡방향 배열 슬릿(100_s)들에 삽입관통되어, 몸체부의 모서리부에서는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부에서는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커버부재(400)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몸체부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몸체부가 팔각 형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커버부재(400) 및 외부 커버부재(300)로 구비된 다중 격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부재(300)는 별도로 몸체부(120)에 결합되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관통 커버부재(400)와 함께 몸체부(120)에 결합되는 실시예(미도시)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격벽의 각 격벽은 통공구조체(10) 또는 메시구조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hole)은 다양한 크기(10a, 10b)로 형성될 수 있고, 메시(mesh)도 사용한 크기(20a, 20b)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공구조체(10) 및 메시구조체(20)의 크기는 몸체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는 최초에 형성되는 직립 기둥이 신속하게 만들어 지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상측에는 상부투입부(510)가 구비된 상판(500)이 결합되며, 몸체부(100)의 하측에는 하부 투입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된 하판(600)이 결합될 수 있다(도 1a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의 외측에 외피(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의 외측에 외피(700)가 더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의 실시예에는 외피(700)의 둘레길이가 몸체부(100)의 둘레길이보다 더 길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외피(700)의 둘레길이가 몸체부(100)의 둘레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00_c : 몸체부의 모서리부
100_s : 몸체부의 슬릿 110 : 사각 형상 몸체부
120 : 팔각 형상 몸체부
200 : 내부 커버부재 210 : 제1 내부 커버부재
220 : 제2 내부 커버부재
300 : 외부 커버부재 310 : 제1 외부 커버부재
320 : 제2 외부 커버부재 330 : 제3 외부 커버부재
400 : 관통 커버부재 500 : 상판
510 : 상부 투입부 600 : 하판
700 : 외피
10 : 통공구조체 20 : 메시구조체

Claims (15)

  1.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의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각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로 구비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내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3.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의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 모서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팔각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5.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 및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의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커버부재와, 각 모서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로 구비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이며,
    상기 내부 커버부재와 상기 외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7.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에는, 복수의 관통 커버부재가 모서리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격벽을 이루며,
    상기 격벽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 커버부재는 몸체부에 형성된 횡방향 배열 슬릿들에 삽입관통되어, 몸체부의 모서리부에서는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부에서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통 커버부재는 복수개의 일체형 밴드가 종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커버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몸체부에 결합되거나, 동일한 위치에서 몸체부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11. 몸체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평단면은 다각 형상이며, 상기 몸체부의 각 모서리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커버부재가 모서리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각 모서리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외부 커버부재가 모서리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 커버부재, 상기 모서리부의 모서리부재 및 최외측에 배치되지 않은 상기 외부 커버부재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중 격벽이 되고, 내용물이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 커버부재는 몸체부에 형성된 횡방향 배열 슬릿들에 삽입관통되어, 몸체부의 모서리부에서는 모서리의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측부에서는 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12.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격벽의 각 격벽은 통공구조체 또는 메시구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공구조체 및 메시구조체의 크기는 몸체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14.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는 상부 투입부가 구비된 상판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는 하부 투입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된 하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15.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외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0180074788A 2018-06-28 2018-06-28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193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88A KR101935729B1 (ko) 2018-06-28 2018-06-28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CN201910382774.8A CN110194329A (zh) 2018-06-28 2019-05-09 一种多层内隔舱集装袋
JP2019116141A JP2020001827A (ja) 2018-06-28 2019-06-24 角部に多重隔壁を備えたコンテナーバッ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88A KR101935729B1 (ko) 2018-06-28 2018-06-28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729B1 true KR101935729B1 (ko) 2019-01-04

Family

ID=6501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88A KR101935729B1 (ko) 2018-06-28 2018-06-28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001827A (ko)
KR (1) KR101935729B1 (ko)
CN (1) CN1101943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37B1 (ko) 2020-01-30 2020-08-07 임강섭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47B1 (ko) * 2010-12-22 2011-05-03 유인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700085B1 (ko) *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7666A (en) * 1979-10-15 1981-05-20 Shibata Kogyo Kk Manufacture of square cylinder type container
JPH0536874Y2 (ko) * 1989-11-07 1993-09-17
NL9200130A (nl) * 1992-01-23 1993-08-16 Boots Gerardus A M Verpakkingsmiddel met een relatief stijf, vormvast steunframe en een daarin aangebracht flexibel hulsdeel.
JPH10236579A (ja) * 1997-02-24 1998-09-08 Okamoto Ind Inc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105564844A (zh) * 2014-10-08 2016-05-11 宜兴威尼特包装袋有限公司 透气性无纺布与pe热融防泄漏集装袋
KR101556495B1 (ko) * 2015-03-09 2015-10-01 안병선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CN205274254U (zh) * 2016-01-21 2016-06-01 山东联合包装有限公司 带内撑筋的集装袋
CN205820049U (zh) * 2016-06-29 2016-12-21 重庆斯托赛克塑业有限责任公司 用于出口包装运输的八边形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47B1 (ko) * 2010-12-22 2011-05-03 유인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700085B1 (ko) *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58B1 (ko) * 2019-09-10 2020-10-07 주식회사 티제이피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142237B1 (ko) 2020-01-30 2020-08-07 임강섭 콘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4329A (zh) 2019-09-03
JP2020001827A (ja)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729B1 (ko)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20120070505A (ko) 수납 트레이
JP5553962B2 (ja) 核燃料集合体を貯蔵及び輸送するための貯蔵装置
US20140202909A1 (en) Assembled packing case
US3023890A (en) Container consisting of a crate box with detachable walls
KR101556495B1 (ko)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EP2771249B1 (en) Multifunctional bottle-holder box
KR101935728B1 (ko) 관통 밴드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US3948435A (en) Dimensionally fixed container divider
KR101911187B1 (ko) 내부 격벽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컨테이너백
JP2015067335A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収納方法
KR20200129689A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백
JP6192950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DE19720353A1 (de) Flexibler Verpackungs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ES2684869B1 (es) Caja octogonal de fondo automatico
EP0259354A1 (de) Verpackung zur aufnahme wenigstens einer reihe länglicher gegenstände
JP6723747B2 (ja) 包装用厚紙、包装箱及び緩衝材
CN208102873U (zh) 物流周转箱
JP6057872B2 (ja) 包装装置
JP3191088U (ja) 包装体およびカートンブランク
DE202017105059U1 (de) Verpackungseinrichtung für Gegenstände und insbesondere für Getränkeflaschen
JP6871608B2 (ja) 緩衝仕切り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箱
JP4897373B2 (ja) スパウトパック用収容箱
WO2017050536A1 (de) Blisterverpackung, umverpackung für blisterverpackung und gebinde mit umverpackung
JP6953830B2 (ja) 仕切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38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118

Effective date: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