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22B1 -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22B1
KR101935622B1 KR1020137031034A KR20137031034A KR101935622B1 KR 101935622 B1 KR101935622 B1 KR 101935622B1 KR 1020137031034 A KR1020137031034 A KR 1020137031034A KR 20137031034 A KR20137031034 A KR 20137031034A KR 101935622 B1 KR101935622 B1 KR 10193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support
coils
dro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022A (ko
Inventor
요시오 가토
Original Assignee
산코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7064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26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99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68671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코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코 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8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into slotted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6Embedding prefabricated windings in machines
    • H02K15/062Windings in slots; salient pole windings
    • H02K15/065Windings consisting of complete sections, e.g. coils, waves
    • H02K15/067Windings consisting of complete sections, e.g. coils, waves inserted in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lots or inter-polar channels
    • H02K15/068Stripp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6Embedding prefabricated windings in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코일 지지구에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할 때, 코일이 쌓아올려지지 않도록 한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를 제공한다.
도선 공급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도선을 권선 지지구에 소정 횟수씩 감아 상기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의 양측을 누름판으로 누르면서 상기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걸기로 하고, 상기 코일 지지구(220)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일측을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일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타측을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다.

Description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Coil winding/setting method, coil inserting method, and coil winding/se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선을 권선하여 코일을 형성하고, 코일 지지구에 그 코일을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세팅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을 장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테이터 코어의 내톱니에 직접 코일을 감는 직권방법과, 권선한 코일을 코일 삽입 지그에 지지시켜 두고 코일 삽입장치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삽입하는 코일 삽입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 삽입방법의 경우는 각 자극에 대해 동심 권선된 코일밖에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스테이터 코어를 사용한 모터는 둘레방향의 초자력밀도가 불균일해진다는 현상에 의해 토크 불균일이 발생한다. 이 토크 불균일은 모터의 진동이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효율 저하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이터 코어의 단면에서 봤을 때 코일끼리 나선상으로 포개진 형태를 이루는 스테이터(이하 「나선 감기 스테이터」로 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 스테이터는 코일 엔드가 짧고, 그 높이가 비교적 균일하여 콤팩트한 형상이 되는 동시에, 모터로 했을 때의 토크 불균일이 작아 모터의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테이터를 만들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코일 지지구에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코일 지지구에 최초에 세팅하는 개시측 스테이터 코일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일방향이 되는 코일 세팅방향으로 순차 포개면서 코일을 세팅하고, 개시측 스테이터 코일의 한쪽 편측의 세팅위치에 대해 다른 쪽 편측을 동일 위치 또는 초월하는 위치에 세팅하는 종료측 스테이터 코일에 대해서는, 당해 스테이터 코일을 상기 개시측 스테이터 코일 밑에 들어가게 하여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7-33672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의 경우는, 코일 지지구에 최초에 세팅하는 개시측 스테이터 코일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일방향이 되는 코일 세팅방향으로 순차 포개면서 코일을 세팅해가면,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 선단방향으로 향하여 코일이 점차 쌓아올려져 가기 때문에, 코일 전부를 걸고자 하면 매우 긴 가이드봉이 필요해져 가이드봉의 제작이 곤란해질 뿐 아니라, 강도적으로도 부족하여 코일 삽입 조작에 견딜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 감기 스테이터를 만들기 위해 코일 지지구에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할 때, 코일이 쌓아올려져 버리지 않도록 한 코일 권선·세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는 도선을 권선하여 코일을 형성하고, 스테이터 코어의 내톱니에 대응하여 원환상(圓環狀)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봉을 갖는 코일 지지구(coil holder)의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코일을 순차로 떨어뜨려 넣어,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
 도선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도선을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소정 횟수씩 감아, 그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하는 권선공정과,
상기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걸기로 하는 코일 경사공정과,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일측을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일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타측을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떨어뜨려 넣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권선하여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 후,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걸기로 하고, 그 상태에서 코일의 일측과 타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순차로 떨어뜨려 넣도록 하였기 때문에, 코일의 일측이 가이드봉의 낮은 위치에 삽입되고, 코일의 타측이 가이드봉의 높은 위치에 삽입된다. 따라서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타측 아래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의 일측 위에 포개지도록 삽입함으로써 코일이 쌓아올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길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코일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걸기로 함으로써, 코일의 일측과 타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순차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일측을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은 후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코일의 타측을 다른 소정 간극에 정합시켜 떨어뜨려 넣음으로써, 코일의 일측과 타측을 코일 지지구의 임의의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코일 경사공정은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의 양측을 누름판으로 누르면서 상기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비스듬히 걸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위치로부터 코일을 떨어뜨려 넣기 시작할 때,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으로서, 최후의 코일 및 그 앞의 몇개의 코일의 일측을 떨어뜨려 넣을 때에 간섭하는 것과, 앞의 코일의 타측이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져 있어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으면 앞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낼 수 없게 되는 것에 대해서는, 그들에 간섭하지 않는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 두고, 최후의 코일이 떨어뜨려 넣어진 후,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진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최후의 코일 및 그 앞의 몇개의 코일이 간섭하지 않도록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 둠으로써, 최후의 코일에 이르기까지 가이드봉의 간극의 소정 위치로부터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을 차례로 소정 간격으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최후의 코일을 떨어뜨려 넣은 후에,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진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음으로써,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과 포개지는 종료측 코일을 최초의 코일이나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을 들어올리지 않고 그대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좋게 세팅할 수 있고 세팅 작업을 기계에 의해 자동화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또한 최초의 코일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때에는, 맨처음 코일의 일측을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고 이어서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상기 정규가 아닌 간극을 코일의 타측 하방에 배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타측을 상기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정규가 아닌 간극에 타측을 떨어뜨려 넣는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을 다른 코일과 공통의 보빈에 감아서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코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눠 상기 코일 지지구의 복수 개소로부터 각 그룹의 코일을 동시에 떨어뜨려 넣어가서, 최초의 코일에 인접하는 다른 그룹의 최후의 코일이 떨어뜨려 넣어진 후, 상기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태양에 의하면, 코일 지지구의 복수 개소로부터 세팅을 개시하고, 인접하는 그룹의 개시측 코일과 포갬으로써 세팅을 종료할 수 있기 때문에 세팅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권선 지지구로서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에 대응하는 3개의 권선 지지구를 적어도 1조(組) 사용하고, 상기 권선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소정 횟수씩 감는 방향을 바꿔가면서 감아 그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코일 떨어뜨려 넣기 공정시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을 차례로 떨어뜨려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태양에 의하면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을 차례로 효율적으로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권선 지지구로서 평행 링크에 의해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된 한쌍의 가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툴, 상기 권선공정시에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확대 상태로 유지하는 권선용 권형(捲型) 및 상기 코일 경사공정시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축소 상태로 유지하는 삽입용 권형을 구비한 것을 사용하고, 그 권선 지지구의 양측에는 상기 누름판을 배치하여 상기 코일 경사공정시 상기 권선용 권형을 뽑아내는 동시에 상기 삽입용 권형을 삽입하고, 상기 누름판으로 코일의 양측을 누르면서 상기 가동 툴의 한쌍의 가동판 간격을 좁혀서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비해 낮아지도록 비스듬히 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가동 툴, 권선용 권형 및 삽입용 권형을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권선시에는 권선용 권형을 가동 툴에 삽입하여 가동판을 삽입상태로 유지하고, 코일을 떨어뜨려 넣을 때에는 권선용 권형을 뽑아내고 삽입용 권형을 삽입함으로써 가동판을 지름 축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선 지지구로서 상기 가동 툴의 가동판 외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코일을 거는 출몰 가능한 갈고랑이부를 갖는 슬라이드판을 장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 코일 떨어뜨려 넣기 공정시 상기 슬라이드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갈고랑이부에 의해 코일을 눌러내림으로써 해당하는 코일의 측부를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가동 툴의 가동판 외면에 장착된 슬라이드판을 하강시킴으로써 갈고랑이부에 의해 코일을 눌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의 측부를 가이드홈의 소정 간극에 안정하게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코일 지지구에 코일을 세팅한 후, 그 코일 지지구가 코일 삽입 지그인 경우에는 그대로, 그 코일 지지구가 트랜스퍼 지그인 경우에는 코일 삽입 지그에 코일을 옮긴 후, 그 코일 삽입 지그의 상부에 스테이터 코어를 세팅하고 코일 삽입장치에 의해 코일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삽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코일 지지구에 코일을 세팅함으로써, 코일 지지구가 코일 삽입 지그인 경우에는 그대로, 코일 지지구가 트랜스퍼 지그인 경우에는 코일 삽입 지그에 코일을 옮김으로써, 코일 삽입 지그의 소정 간극에 코일이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져 삽입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코일 삽입장치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에 삽입함으로써, 스테이터 코어의 단면에서 봤을 때 코일끼리 나선상으로 포개진 형태를 이루는 나선 감기 스테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는 도선을 권선하여 코일을 형성하고, 스테이터 코어의 내톱니에 대응하여 원환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봉을 갖는 코일 지지구의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코일을 순차로 떨어뜨려 넣어,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하는 코일 권선·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지지구, 도선을 외주에 감아 코일을 형성하는 권선 지지구, 그 권선 지지구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도선을 권선 지지구에 공급하는 도선 공급장치, 권선시에 그 코일 권선 지지구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장치, 상기 권선 지지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의 양측을 누르는 누름판, 상기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을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키는 코일 정합 수단 및 상기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을 상기 코일 지지구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권선 지지구는 평행 링크에 의해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된 한쌍의 가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툴과, 권선시에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확대 상태로 유지하는 권선용 권형과, 코일을 떨어뜨려 넣을 때에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축소 상태로 유지하는 삽입용 권형을 가지며,
상기 가동 툴에 상기 권선용 권형을 삽입하고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도선을 감아 코일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권선용 권형을 상기 가동 툴로부터 뽑아내는 동시에 상기 삽입용 권형을 상기 가동 툴에 삽입하고, 상기 누름판에 의해 상기 코일의 양측을 누르면서 상기 평행 링크를 회동(回動)시켜서 상기 한쌍의 가동판의 간격을 좁혀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어 비스듬히 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정합 수단은 상기 권선 지지구를 상기 코일 지지구 상의 소정 위치에 이동시키는 권선 지지구 이동 수단과, 상기 권선 지지구에 비스듬히 걸어져 지지된 코일의 각각의 측부를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하도록, 상기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가동 툴에 권선용 권형을 삽입한 상태에서 도선 공급장치로부터 인출된 도선의 단부를 권선 지지구에 지지시키고, 제1 회전장치에 의해 권선 지지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때 도선 공급 수단을 권선 지지구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도선을 권선 지지구에 공급함으로써,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감기 조작이 종료되고 코일이 형성되면, 가동 툴로부터 권선용 권형을 뽑아내고 삽입용 권형을 삽입하는 동시에 누름판에 의해 코일의 양측을 누르면서 평행 링크를 회동시켜서 한쌍의 가동판의 간격을 좁혀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어 비스듬히 걸린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권선 지지구 이동 수단에 의해 권선 지지구를 코일 지지구 상의 소정 위치에 이동시키고, 권선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코일의 일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킨다.
그리고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에 의해 코일의 일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코일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정합시키고,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에 의해 코일의 타측을 그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또한 권선 지지구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일측이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홈의 소정 간극에 정합한 상태에서, 코일의 타측도 떨어뜨려 넣어야 하는 다른 소정 간극에 정합해 있는 경우에는, 코일 일측의 떨어뜨려 넣기와 타측의 떨어뜨려 넣기를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키지 않고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권선 지지구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일측이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한 상태에서, 코일의 타측이 떨어뜨려 넣어야 하는 다른 소정 간극에 정합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코일의 일측을 떨어뜨려 넣은 후 코일의 타측을 떨어뜨려 넣기 전에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코일의 타측을 떨어뜨려 넣어야 하는 다른 소정 간극에 정합시켜 떨어뜨려 넣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코일의 일측과 타측을 권선 지지구의 형상에 구속되지 않고 임의의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으면서, 코일 지지구의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코일을 순차로 떨어뜨려 넣음으로써,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은 상기 가동 툴의 가동판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그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판 및 그 슬라이드판에 출몰 가능하게 장착된 갈고랑이부를 갖고, 상기 갈고랑이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갈고랑이부에 의해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을 눌러내림으로써, 해당하는 코일의 측부를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갈고랑이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판을 하강시킴으로써,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을 갈고랑이부로 눌러내려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을 상승시킬 때에 갈고랑이부를 슬라이드판 내에 감추어지게 함으로써, 그 상부에 다른 코일이 감겨 있어도 그 코일의 내측을 통과하여 그 코일의 상부에서 재차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차 슬라이드판을 하강시킴으로써 다음의 코일을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갈고랑이부는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기는 각 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판을 하강시키면 각 코일이 대응하는 갈고랑이부에 의해 각각 눌러내려지고, 상기 슬라이드판을 상승시키면 상기 갈고랑이부가 상기 슬라이드판 내에 감추어지고, 상방에 위치하는 코일의 내측을 통과하여 그 코일의 상부에 걸어맞춤(係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슬라이드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코일을 하방의 것부터 순차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권선 지지구는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에 대응하는 3개의 것이 적어도 1조 설치되어 있고, 상기 3개의 권선 지지구 사이 및 양측에는 상기 누름판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이 그들의 단부를 근접(近接)·이반(離反)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회동한 위치에서, 각 권선 지지구가 상기 제1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권선 조작이 행해지고,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이 근접하도록 회동한 위치에서, 상기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에 의하면,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회동한 위치에서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에 대응하는 3개의 권선 지지구에 동시에 권선을 행하여, 그 상태에서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이 근접하도록 회전시키고, 각각의 권선 지지구를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간극에 정합 가능한 배치 관계로 하여, 코일 지지구를 회전 위치 결정시키면서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을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순차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권선하여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 후,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걸기로 하고, 그 상태에서 코일의 일측과 타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순차로 떨어뜨려 넣도록 하였기 때문에, 코일의 일측이 가이드봉의 낮은 위치에 삽입되고, 코일의 타측이 가이드봉의 높은 위치에 삽입된다. 따라서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할 때 코일이 쌓아올려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길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코일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사용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장치의 제1 보빈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동 장치의 제2 보빈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장치의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권선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동 장치에 있어서의 권선 종료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세팅방법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2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3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4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5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6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11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12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13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14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15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있어서의 제16 스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동 코일 세팅방법에 의해 세팅된 코일을 갖는 코일 삽입 지그를 코일 삽입장치에 배치하고 스테이터 코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코일 삽입 지그를 상승시켜서, 블레이드의 선단을 스테이터 코어의 상단면보다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트리퍼를 상승시켜서, 코일의 상반부를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트리퍼를 추가로 상승시켜서, 코일을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방법에 의해 코일을 장착한 스테이터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세팅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동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8은 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과 권선용 권형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의 지름 확대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과 권선용 권형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권선용 권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은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과 삽입용 권형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4는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의 지름 축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동 장치에 사용되는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과 삽입용 권형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동 장치에 사용되는 삽입용 권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동 장치에 사용되는 U, V, W의 각 권선 지지구를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상방에 세팅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8은 동 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 도선 공급장치로부터 조출(繰出)된 도선을 권선 지지구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01a는 평면도, 01b는 정면도이다.
도 39는 동 방법에 있어서,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에 권선용 권형을 하방으로부터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02a는 평면도, 02b는 정면도이다.
도 40은 동 방법에 있어서, 권선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도선을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아 최초의 코일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03a는 평면도, 03b는 정면도이다.
도 41은 동 방법에 있어서,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04a는 평면도, 04b는 정면도이다.
도 42는 동 방법에 있어서, 권선 지지구의 가동 툴로부터 권선용 권형을 뽑아내고 삽입용 권형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05a는 평면도, 05b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동 방법에 있어서, U,V,W의 각 권선 지지구를 그들 양측에 배치된 누름판을 매개로 서로 근접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06a는 평면도, 06b는 정면도이다.
도 44는 동 방법에 있어서, U,V,W의 각 권선 지지구를 코일 지지구의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07a는 평면도, 07b는 정면도이다.
도 45는 동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코일의 일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일측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08a는 평면도, 08b는 정면도이다.
도 46은 동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코일의 일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일측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7은 동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코일의 타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타측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09a는 평면도, 09b는 정면도이다.
도 48은 동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코일의 타측을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타측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세팅방법 및 코일 삽입방법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세팅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보빈 회전장치(10)와 그 하방에 배치된 코일 떨어뜨려 넣기 장치(30)를 가지고 있다. 보빈 회전장치(10)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승강 프레임(11), 이 승강 프레임(11) 상에 설치된 모터(12) 및 승강 프레임(11)의 하면에 장착된 제1 보빈(13)을 가지고 있다. 제1 보빈(13)은 승강 프레임(1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출(延出)된 지축(支軸)(1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축(14)에는 종동(從動) 풀리(1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모터(12)의 도시하지 않는 구동축에는 구동 풀리(16)가 장착되고, 구동 풀리(16) 및 종동 풀리(15)에 팽팽하게 설치된 타이밍 벨트(17)를 매개로 제1 보빈(13)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2), 구동 풀리(16), 종동 풀리(15) 및 타이밍 벨트(17)는 승강 프레임(11) 상에 3세트씩 설치되어 있고, 승강 프레임(11)의 하면에는 각각에 대응하여 제1 보빈(13)이 장착되어 있다. 3개의 제1 보빈(13)은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것이 된다.
또한 제1 보빈(13)은 지지판(18), 그 지지판(18)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출된 제1 지지봉(19) 및 제2 지지봉(20)을 가지고 있다(도 1 참조). 제1 지지봉(19)과 제2 지지봉(2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이루며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봉(19) 및 제2 지지봉(20)의 외주에 도선이 감겨 코일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코일 떨어뜨려 넣기 장치(30)는 지지기둥(31), 그 상단부에 수평한 지축(3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암(33) 및 회전 암(33)의 양단부에 지축(3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보빈(35)을 가지고 있다. 회전 암(33)이 수평상태에 있을 때 한쪽의 제2 보빈(35)은 보빈 회전장치(10)의 제1 보빈(1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다른 쪽 제2 보빈(35)은 코일 지지구(6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빈(35)은 제1 테두리판(36), 제2 테두리판(37), 그들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이 실시형태의 경우 3개)의 링크(38) 및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을 닫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복수(이 실시형태의 경우 2개)의 스프링(39)을 가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빈(35)의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봉형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승강 프레임(11)이 도 1 중에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하면, 제1 보빈(13)의 제1 지지판(19) 및 제2 지지판(20)이 상기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 사이에 삽입되어, 스프링(3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을 소정 간극으로 넓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테두리판(37)에 인접하여 스크레이핑 막대(40)가 제2 테두리판(37)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레이핑 막대(40)에는 소정 간격으로 갈고랑이(41)가 장착되어 있어, 제2 보빈(35)에 권선된 코일을 갈고랑이(41)로 걸고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코일 지지구(60)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코일 지지구(6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보빈(35)의 더욱 상방에는 푸셔장치(42)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푸셔장치(42)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를 매개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봉형상의 푸셔(43)를 가지고 있다. 봉형상의 푸셔(43)는 푸셔장치(42)가 하강할 때 제2 보빈(35)의 스크레이핑 막대(40)의 상단에 맞닿아 스크레이핑 막대(40)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스크레이핑 막대(40)에 장착된 갈고랑이(41)에 의해 제2 보빈(35)에 감긴 코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보빈(13)의 하방에 배치된 제2 보빈(35)의 하방에는 코어(44)가 수평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코어(44)는 지지판(45), 이 지지판(45)으로부터 평행하게 입설(立設)된 제1 지지봉(46) 및 제2 지지봉(47)을 가지고 있다. 제1 지지봉(46) 및 제2 지지봉(47)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 설치되어 있고, 제1 보빈(13)의 제1 지지봉(19) 및 제2 지지봉(20)보다도 가느다란 봉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암(33)에는 코어(44)가 상승할 때 제1 지지봉(46) 및 제2 지지봉(47)이 삽통되는 삽통공(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보빈(13)의 하방에 배치된 제2 보빈(35)의 측방에는 권선 노즐(49)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권선 노즐(49)은 도시하지 않는 도선 릴로부터 복수 개의 도선(W)을 공급받아 복수 개의 도선(W)을 병렬시킨 상태에서 조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코일 지지구(60)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간격으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61)와 각 블레이드의 외측에 배치된 웨지 가이드(62)를 가지며, 소정 간극에 걸어 늘어뜨린 코일을 그대로 코일 삽입장치에 이동시켜서 코일 삽입이 가능한 코일 삽입 지그를 이루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블레이드(6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이드봉을 이루고 있다. 다만 코일 지지구(60)로서는 트랜스퍼 지그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봉만을 갖고, 소정 간극에 걸어 늘어뜨린 코일을 상기 코일 삽입 지그에 전달하는 지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떨어뜨려 넣기 장치(30)의 지지기둥(31), 회전 암(33) 및 회전 암(33)의 양단부에 장착된 제2 보빈(35)은 U상, V상, W상의 각 상용으로 3조 설치되어 있고, 각 상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 보빈(35)(도 7,8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보빈(35))이 코일 지지구(60)의 각 블레이드(61)의 소정 간극에 정합하도록 소정 각도로 인접하듯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상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보빈(35)의 외주에는 전술한 권선 노즐(49)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U상, V상, W상의 3조의 보빈을 갖는 상기 장치가 2대 설치되어 있고, 2대의 장치에 의해 코일 지지구(60)로의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 작업을 2개소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치를 사용한 본 발명의 코일 세팅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암(33)이 수평하게 위치하고, 한쪽 제2 보빈(35)이 제1 보빈(13)의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쪽의 제2 보빈(35)이 코일 지지구(60)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11)이 하강하여, 제1 보빈(13)이 제2 보빈(35)의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 사이에 삽입되고, 도 4의 상방의 제2 보빈(3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의 간격이 스프링(3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넓어진다. 이 상태를 평면적으로 본 것이 도 7이다.
이 상태에서 권선 노즐(49)로부터 조출되는 복수 개의 도선(W)의 일단을 각각의 제2 테두리판(37)에 고정해두고, 모터(12)를 작동시켜서 구동 풀리(16), 타이밍 벨트(17) 및 종동 풀리(15)을 매개로 제1 보빈(13)를 회전시키면, 제1 보빈(13) 및 제2 보빈(35)이 회전하고 조합된 양 보빈의 외주에 도선(W)이 감겨 코일이 형성된다. 이 경우 권선 노즐(49)을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선(W)을 정렬시켜서 권선할 수 있다.
제1 보빈(13) 및 제2 보빈(35)을 소정 방향으로 소정 횟수 회전시켜서 1개째 코일을 형성했다면 그 종단부를 제1 보빈(13)의 제2 지지봉(20)의 도시하지 않는 볼록부에 걸고, 이번에는 제1 보빈(13) 및 제2 보빈(35)을 상기와 역방향으로 소정 횟수 회전시키는 동시에 권선 노즐(49)을 더욱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개째의 코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각 상마다 제1 보빈(13) 및 제2 보빈(35)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소정 간격으로 소정 수의 코일을 연속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권선 노즐(49)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복수의 코일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U상, V상, W상의 3조의 보빈을 갖는 2대의 권선장치에 의해, 후술하는 U1~U4, V1~V4, W1~W4 및 U5~U8, V5~V8, W5~W8의 각 코일이 대응하는 각각의 보빈 상에 도선(渡線)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권선된다. 이것에 의해 도선을 짧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권선 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권선 조작을 행한 제2 보빈(35)의 하방에 코어(44)를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코어(44)를 상승시키면 코어(44)의 제1 지지봉(46), 제2 지지봉(47)이 회전 암(33)의 삽통공(48)을 통과하여 상승하여, 그들의 상단부가 제1 보빈(13)의 제1 지지봉(19) 및 제2 지지봉(20)의 하단에 맞닿는다. 그 상태에서 승강 프레임(11)을 코어(44)와 동기하여 상승시키면, 제2 보빈(35)의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 사이에 삽입된 제1 보빈(13)의 제1 지지봉(19) 및 제2 지지봉(20) 대신에, 코어(44)의 제1 지지봉(46) 및 제2 지지봉(47)이 삽입되어 간다. 또한 이때 감는 방향을 바꿀 때 사용한 제1 보빈(13)의 제2 지지봉(20)의 도시하지 않는 볼록부를 끌어넣어 코일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보빈(13)의 제1 지지봉(19) 및 제2 지지봉(20)이 제2 보빈(35)의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 사이로부터 뽑아내어지고 그 대신에 코어(44)의 제1 지지봉(46) 및 제2 지지봉(47)이 삽입되면, 도 4에 나타내는 스프링(39)의 부세력에 의해 상방의 제2 보빈(35)의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의 간격이 좁혀져 동 도의 하방에 나타내는 제2 보빈(35)과 동일한 지름 축소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평면적으로 본 것이 도 8이다. 이때 제1 테두리판(36)과 제2 테두리판(37)이 길이방향으로 어긋나 지름이 축소되기 때문에, 제2 보빈(35)의 외주에 감긴 코일의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아지도록 어긋나 비스듬히 감긴 상태가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누름판에 의해 코일의 양측을 누르면서 제2 보빈(35)의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코일을 보다 정확하게 비스듬히 걸린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U상, V상, W상용의 각각의 제2 보빈(35)에 소정 수의 코일이 감겨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은 비스듬히 지지된 상태가 되면,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 암(33)이 회전하여 권선된 제2 보빈(35) 및 그것에 삽입된 코어(44)가 도 1의 코일 지지구(60)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코일 지지구(60)의 블레이드(61)의 소정 간극에 소정 제2 보빈(35)에 감긴 떨어뜨려 넣어야 하는 코일이 정합된 상태에서, 푸셔장치(42)가 하강하여 푸셔(43)에 의해 스크레이핑 막대(40)(도 4 참조)가 눌려 하방으로 슬라이드하고, 갈고랑이(41)에 의해 하방에 위치하는 코일이 코일 지지구(60)의 블레이드(61)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이때 코일 지지구(60)를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소정 제2 보빈(35)에 지지된 코일이 블레이드(61)의 소정 간극에 정합되도록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는 푸셔장치(42)의 이동량을 조정함으로써 코일의 일측씩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코일 전체를 한번에 떨어뜨려 넣는 것도 가능하다.
도 9~20에는 이렇게 하여 권선되어 제2 보빈(35)에 지지된 코일을 1개씩 떨어뜨려 넣으면서, 코일 지지구(60)에 세팅하는 순서의 일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각각의 도면의 (a)는 평면도, (b)는 블레이드(61)를 전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지지구(60)로서 합계 48개의 블레이드(61)가 고리형상으로 배열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도 9~20의 (b)에서는 코일의 지지 위치를 명시하기 위해 양단부의 3개의 블레이드를 중복해서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합계 48개의 블레이드(61)에는 합계 48의 간극이 설치되는데, 코일(U1)의 일측(낮은 위치에 지지된 측부)이 떨어뜨려 넣어지는 간극(도 9 참조)을 S1으로 하고, 이하 반시계 방향으로 S2…S48로 표시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코일을 떨어뜨려 넣는 차례대로 최초의 코일, 2번째 코일, 3번째 코일…로 표기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떨어뜨려 넣기 작업을 둘레방향의 대향하는 2개소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여 동시에 개시하기 때문에, 각각의 순번의 코일이 2개씩 존재하게 되어 최후의 코일이 12번째가 된다.
또한 도면 중 U1~U8은 U상의 코일, V1~V8은 V상의 코일, W1~W8은 W상의 코일을 나타내고, U상, V상, W상의 코일이 각각 차례로 떨어뜨려 넣어지게 되어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 상 8개씩, 합계 24개의 코일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코일은 그 일측이 삽입된 블레이드(61)의 간극에 대해 타측은 그것으로부터 5개 떨어진 간극에 삽입되도록(코일 양측 사이에 5개의 블레이드(61)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지지구(60)의 둘레방향에 대향하는 2개소로부터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 작업이 동시에 개시되어, 각각의 개시 개소를 기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떨어뜨려 넣기 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최초의 코일(U1, U5)은 그 일측(낮은 위치에 지지된 측부)이 정규 간극(S1, S25)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높은 위치에 지지된 측부)은 상기 간극(S1, S25)에 인접하는 정규가 아닌 간극(S48, S24)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일측」이란 낮은 위치에 지지된 측부, 바꿔말하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에 들어가는 측부를 의미하고, 「타측」이란 높은 위치에 지지된 측부, 바꿔말하면 상기와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지는 측부를 의미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2 보빈(35)에 지지된 코일은 그 양측이 코일 지지구(60)의 블레이드(61)의 정규 간극에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U1, U5)의 떨어뜨려 넣기는 그 일측을 정규 간극(S1, S25)에 떨어뜨려 넣은 후, 코일 지지구(60)를 회전시켜서 코일(U1, U5)의 타측이 정규가 아닌 간극(S48, S24)에 정합하도록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타측을 떨어뜨려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아래의 코일에 있어서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경우도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0은 2번째 코일(V1, V5)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2번째 코일(V1, V5)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3, S27)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은 상기 간극(S3, S27)에 대해 2개 떨어진 정규가 아닌 간극(S1, S25)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도 11은 3번째 코일(W1, W5)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3번째 코일(W1, W5)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5, S29)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은 상기 간극(S5, S29)에 대해 3개 떨어진 정규가 아닌 간극(S2, S26)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도 12는 4번째 코일(U2, U6)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4번째 코일(U2, U6)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7, S31)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은 상기 간극(S7, S31)에 대해 4개 떨어진 정규가 아닌 간극(S3, S27)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도 13은 5번째 코일(V2, V6)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5번째 코일(V2, V6)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9, S33)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도 상기 간극(S9, S33)에 대해 5개 떨어진 정규 간극(S4, S28)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이와 같이 5번째 코일부터 코일의 양측을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제2 보빈(35)에 지지된 코일의 양측이 블레이드(61)의 상기 정규 간극에 정합하도록 위치 결정하여 코일 전체를 한번에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도 14는 6번째 코일(W2, W6)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6번째 코일(W2, W6)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11, S35)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도 상기 간극(S11, S35)에 대해 5개 떨어진 정규 간극(S6, S30)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이하,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여 코일의 일측을 다른 코일에 포개지 않고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고, 코일의 타측을 다른 코일에 포개지도록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 간다. 그 결과 코일이 비스듬히 포개지면서 나선상으로 배열되어 간다.
도 15는 상기 조작을 반복하여 11번째 코일(V4, V8)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1번째 코일(V4, V8)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21, S45)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도 상기 간극(S21, S45)에 대해 5개 떨어진 정규 간극(S16, S40)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또한 11번째 코일(V4,V8)의 일측이 떨어뜨려 넣어지는 정규 간극(S21, S45)은 1번째 코일(U5, U1)의 타측이 떨어뜨려 넣어져야 하는 정규 간극(S20, S44)보다도 반시계 반향으로 진행된 위치에 있어, 1번째 코일(U5, U1)의 타측이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져 있는 경우에는 1번째 코일(U5, U10)의 타측 위에 포개져 버리는데, 1번째 코일(U5, U1)의 타측이 정규가 아닌 간극(S24, S48)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있기 때문에 1번째 코일(U5, U1) 위에 포개지지 않고 그대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도 16은 12번째 코일(W4, W8), 즉 최초의 코일(U1, U5)에 인접하는 최후의 코일을 떨어뜨려 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2번째 코일(W4, W8)은 그 일측이 정규 간극(S23, S47)에 떨어뜨려 넣어지고, 타측도 상기 간극(S23, S47)에 대해 5개 떨어진 정규 간극(S18, S42)에 떨어뜨려 넣어진다.
또한 12번째 코일(V4,V8)의 일측이 떨어뜨려 넣어지는 정규 간극(S23, S47)은 1번째 코일(U5, U1)의 타측이 떨어뜨려 넣어져야 하는 정규 간극(S20, S44) 및 2번째 코일(V5, V1)의 타측이 떨어뜨려 넣어져야 하는 정규 간극(S22, S46)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된 위치에 있어 각각의 코일(U5, U1, V5, V1)의 타측이 정규 위치에 떨어뜨려 넣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들 위에 포개져 버리는데, 상기 각 코일(U5, U1, V5, V1)의 타측이 정규가 아닌 간극(S24, S48, S25, S1)에 떨어뜨려 넣어져 있기 때문에 1번째 코일(U5, U1), 2번째 코일(V5, V1) 위에 포개지지 않고 그대로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초의 코일이나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에 삽입해 둠으로써 최후의 코일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가능해져, 최초의 코일이나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내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해지고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도 17은 1번째 코일(U1, U5)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S48, S24)으로부터 뽑아내고 정규 간극(S44, S20)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1번째 코일(U1, U5)의 타측이 11번째 코일(V4, V8) 및 12번째(최후) 코일(W4,W8) 위에 포개져 지지된다. 이때 2번째 코일(V1, V5), 3번째 코일(W1, W5), 4번째 코일(U2, U6)의 타측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정규가 아닌 간극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1번째 코일(U1, U5)의 타측을 그 정규가 아닌 간극(S48, S24)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도 18은 2번째 코일(V1, V5)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S1, S25)으로부터 뽑아내고 정규 간극(S46, S22)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2번째 코일(V1, V5)의 타측이 12번째(최후) 코일(W4,W8) 및 1번째 코일(U1, U5) 위에 포개져 지지된다. 이때 3번째 코일(W1, W5), 4번째 코일(U2, U6)의 타측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정규가 아닌 간극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2번째 코일(V1, V5)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S1, S25)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도 19는 3번째 코일(W1, W5)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S2, S26)으로부터 뽑아내고 정규 간극(S48, S24)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3번째 코일(W1, W5)의 타측이 1번째 코일(U1, U5) 및 2번째 코일(V1, V5) 위에 포개져 지지된다. 이때 4번째 코일(U2, U6)의 타측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정규가 아닌 간극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3번째 코일(W1, W5)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S2, S26)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도 20은 4번째 코일(U2, U6)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S3, S27)으로부터 뽑아내고 정규 간극(S2, S26)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4번째 코일(U2, U6)의 타측이 2번째 코일(V1, V5) 및 3번째 코일(W1, W5) 위에 포개져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모든 코일이 나선상으로 포개지면서 코일 지지구(60)의 블레이드(61)의 소정 간극에 삽입된 상태로 세팅할 수 있다. 즉 각 코일은 그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 타측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삽입되고, 그 타측이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의 일측 위에 포개져, 상기 간극으로부터 소정 수 떨어진 간극(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5개 떨어진 간극)에 삽입된 상태로 세팅된다.
또한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 두는 코일의 수는 적용해야 하는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 수, 코일 수, 코일의 양측이 삽입되는 간극 사이에 들어가는 가이드봉(이 실시형태에서는 블레이드)의 수 등에 의해 바뀐다.
또한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 방향은 반시계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진행시켜도 된다. 또한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는 1개소로부터 스타트하여 1주하도록 행해도 되고, 3개소로부터 스타트하여 120도 정도 진행된 지점에서 종료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은 코일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으로부터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삽입하는 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의 코일부터 1개씩 차례로 행해도 되나, 복수의 코일을 정규가 아닌 간극으로부터 동시에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동시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1~2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세팅된 코일을 코일 삽입장치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에 삽입하는 본 발명의 코일 삽입방법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코일 삽입은 상기 방법으로 코일 지지구(60)에 세팅된 코일을 사용하여 코일 지지구(60)로서 블레이드(61) 및 웨지 가이드(62)를 갖는 코일 삽입 지그를 사용한 경우(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경우)에는 그대로, 트랜스퍼 지그와 같이 가이드봉만을 갖는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코일 삽입 지그로 이동시킨 후, 코일 삽입장치에 세팅하여 행할 수 있다.
코일 삽입장치로서는 통상의 코일 삽입장치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고, 도 21~24에는 그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코일 삽입장치(70)는 테이블(71)에 설치된 코일 삽입 지그(72)를 가지고 있다. 이 코일 삽입 지그(72)는 외주에 플랜지부(74)가 형성된 거의 통형상의 본체 케이스(73), 그 본체 케이스(73)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웨지 가이드(62) 및 그 내측에 배치된 블레이드(6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코일 삽입 지그(72)는 본체 케이스(73)의 플랜지부(74)가 상기 테이블(71)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61) 및 웨지 가이드(62)는 스테이터 코어(65)의 도시하지 않는 내톱니에 대응하여 고리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웨지 가이드(62)는 그들의 기부(基部)가 본체 케이스(73)의 내주에 삽입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61)는 그들의 기부가 통형상의 블레이드 홀더(75)에 홀더에 의해 고정되고, 웨지 가이드(62)에 대응하여 그들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73)의 하면에는 고리형상의 기판(76)이 장착되어 블레이드(61) 및 블레이드 홀더(75)를 지지하고 있다.
블레이드(61)의 더욱 내측에는 스트리퍼(77)가 배치되어 있다. 스트리퍼(77)는 그 외주에 블레이드(61)의 간극에 삽입되는 복수의 물림치를 가지고 있어, 블레이드(61)에 걸린 코일(C)을 스테이터 코어(65)의 슬롯에 삽입하는 역할을 이룬다. 스트리퍼(77)의 상면 중앙에는 코일 엔드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가이드봉(78)이 입설되고, 스트리퍼(77)의 하면에는 통형상 어댑터(79)가 장착되어 있다.
기판(76)의 중앙 개구에는 통형상을 이루는 제1 구동축(80)과 이 제1 구동축(80) 내에 삽입된 제2 구동축(81)이 삽입되어 있다. 제1 구동축(80)은 그 상단부가 블레이드 홀더(75)에 연결 가능해지고, 제2 구동축(81)은 그 상단부가 스트리퍼(77)의 통형상 어댑터(79)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1 구동축(80)이 상승하면 블레이드 홀더(75)를 매개로 블레이드(61)가 상승하고, 제2 구동축(81)이 상승하면 통형상 어댑터(79)를 매개로 스트리퍼(77)가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일 삽입장치(70)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블레이드(61)의 소정 간극에 세팅한 코일(C)을 스테이터 코어(65)에 삽입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61)의 상단부를 스테이터 코어(65) 내에 삽입하고, 웨지 가이드(62)의 선단이 스테이터 코어(65)의 하단면에 맞닿는 위치에 스테이터 코어(65)를 배치한다.
이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구동축(80) 및 제2 구동축(81)을 밀어올려 블레이드(61) 및 스트리퍼(77)를 상승시켜, 블레이드(61)의 선단부가 스테이터 코어(65)의 상단면보다 다소 돌출된 위치로 한다.
이 상태에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구동축(81)만을 추가로 밀어올려 스트리퍼(77)를 상승시키고, 스트리퍼(77)의 도시하지 않는 물림치에 의해 블레이드(61)에 걸어 늘어뜨려져 세팅된 코일(C)을 스테이터 코어(65)의 슬롯에 삽입해 간다. 코일(C)은 블레이드(61)에 안내되어 그들 양측이 삽입되어 있는 블레이드(61)의 간극에 대응하는 슬롯에 삽입되어 간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리퍼(77)를 스테이터 코어(65)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밀어올리면, 코일(C) 상방의 단부가 스테이터 코어(65)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블레이드(61)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 외방으로 퍼져, 스테이터 코어(65)의 슬롯에 코일(C)이 완전히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제1 구동축(80) 및 제2 구동축(81)을 하강시켜서 스트리퍼(77) 및 블레이드(6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스테이터 코어(65)를 블레이드(61)의 선단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코일 삽입 작업이 종료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코일 부착 스테이터 코어(65)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65)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각 코일(C)의 단부(코일 엔드)가 나선상으로 포개진 형상을 이루고, 그 높이가 비교적 균일하여 콤팩트한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모터로 했을 때의 토크 불균일이 작아 모터의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켜, 모터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26~도 4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권선·세팅장치의 일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6~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코일 권선·세팅장치(100)는 베이스(基臺)(110)를 갖고, 그 일측에 지지벽(111)이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벽(111)에는 상하로 뻗는 제1 가이드레일(112)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3개 장착되어 있다. 3개의 제1 가이드레일(112)에는 각각 승강 베이스(121)를 매개로 U상, V상, W상의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가 장착되어 있다.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는 텐션장치(122)와 노즐(123)을 가지고 있고, 노즐(123)로부터 도선이 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장치에 의해 제1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승강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0) 상에는 지지기둥(130)을 매개로 지지벽(111)으로부터 수평하게 뻗는 제2 가이드레일(131)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가이드레일(131) 상에는 가동 프레임(132)이 도시하지 않는 구동기구에 의해 동 제2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132)은 제2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판(133)과 그 상방에 평행하게 지지된 상판(13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판(134) 상에는 가이드봉(135)을 매개로 승강판(136)이 수평하게 또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판(134)에 장착된 에어실린더(138)(도 2 참조)의 로드(139)가 승강판(136)에 연결되어 있어, 에어실린더(138)의 작동에 의해 승강판(136)이 승강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111)에는 상하로 뻗는 3개의 제3 가이드레일(137)이 U상, V상, W상의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제3 가이드레일(137)에는 승강 베이스(190)를 매개로 제1 모터(192)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132) 및 제1 모터(192)에는 U상, V상, W상의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에 대응하여 U상, V상, W상의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장착되어 있다.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는 상판(134)에 지지된 가동 툴(150), 제1 모터(192)의 회전축에 지지된 권선용 권형(170) 및 승강판(136)에 지지된 삽입용 권형(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9~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툴(150)은 지축(153)에 상하 2개의 평행한 링크(154)를 매개로 평행하게 지지된 가동판(151, 152)을 가지고 있다.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은 링크(154)를 회동시킴으로써 서로 근접·이반 가능해져, 그것에 의해 지름 확대 상태와 지름 축소 상태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쪽 가동판(151)보다 다른 쪽 가동판(152) 쪽이 다소 길게 형성되어 있다. 지축(153)은 그 상단부가 상판(13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판(151, 152)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외주에는 가이드홈(15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가이드홈(155)에 슬라이드판(160)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판(160)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갈고랑이부(161)가 설치되어 있고, 각 갈고랑이부(161)는 하방으로 향할수록 돌출량이 많아지도록 비스듬하게 돌출되고 도시하지 않는 부세 수단에 의해 상시는 외방으로 돌출되는데, 외부로부터 눌러짐으로써 내방으로 묻히는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슬라이드판(160)은 도시하지 않는 부세 수단에 의해 상시는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고, 그 상단이 도시하지 않는 스토퍼로 규제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용 권형(170)은 제1 모터(192)의 회전축에 고착된 지지판(171), 그 양단부로부터 입설된 전방 보빈(172) 및 후방 보빈(173)을 갖고, 각 전방 보빈(172),후방 보빈(173)은 지축(176)에 의해 지지판(171)에 소정 각도만큼 경동(傾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시는 스프링(175)에 의해 내측으로 경동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권선용 권형(170)은 승강 베이스(190)를 제3 가이드레일(137)을 따라 승강시킴으로써 제1 모터(192)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9,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용 권형(170)은 가동 툴(150)의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 사이에 전방 보빈(172), 후방 보빈(173)을 하방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가동 툴(150)에 조립되어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을 지름 확대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175)에 의해 내측으로 경동하도록 부세된 전방 보빈(172), 후방 보빈(173)이 다소 넓혀져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에 밀접하게 조립된다. 또한 권선용 권형(170)을 가동 툴(15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모터(192)를 작동시킴으로써, 권선용 권형(170)과 가동 툴(150)이 서로 조립된 상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방 보빈(173)에는 상하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174)가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74)는 하나의 코일 권선이 종료된 후, 그 하방으로 이동하여 다음 코일을 권선할 때, 도선을 돌기(174)에 걸고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권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코일 권선이 종료되고 권선용 권형(170)을 가동 툴(150)로부터 뽑아낼 때는 돌기(174)는 후방 보빈(173)의 내부에 묻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3~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용 권형(180)은 승강판(136)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판(181), 그 지지판(181)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거의 평행하게 늘어뜨려진 전방 프레임체(182) 및 후방 프레임체(183)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용 권형(180)은 에어실린더(138)의 작동에 의해 승강판(136)이 승강하면 그것과 함께 승강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툴(150)로부터 권선용 권형(170)이 하방으로 뽑아내어질 때, 가동 툴(150)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전방 프레임체(182) 및 후방 프레임체(183)가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 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누름판(210)으로 링크(154)를 회동시켜서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의 간격을 좁혀 전방 프레임체(182) 및 후방 프레임체(183)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동 툴(150)이 지름 축소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의 하단이 거의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판(136) 상에는 푸셔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푸셔장치(200)는 승강판(136) 상에 입설된 복수의 지지기둥(201)을 매개로 수평하게 가설(架設)된 지지판(202)을 가지고 있다. 이 지지판(202) 상에 U상, V상, W상의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에 대응하여 3개의 에어실린더(203)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의 작동 로드의 하단부에 플랜지의 홀더를 매개로 긴 푸셔(204)와 짧은 푸셔(205)가 각각 2개씩 합계 4개, 거의 평행하게 늘어뜨리듯이 장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태양에서 U상, V상, W상의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근접하도록 이동했을 때, 푸셔(204)는 가동 툴(150)의 일측에 있는 가동판(151)에 장착된 슬라이드판(160)을 상방으로부터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푸셔(205)는 가동 툴(150)의 타측에 있는 가동판(152)애 장착된 슬라이드판(160)을 상방으로부터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태에서 에어실린더(203)가 작동하여 푸셔(204) 및 푸셔(205)가 하강하면, 대응하는 슬라이드판(160)이 눌러내려져서 슬라이드판(160)에 설치된 갈고랑이부(161)에 의해 대응하는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에 권선된 코일이 눌러내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푸셔장치(200) 및 슬라이드판(160)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을 이루고 있다.
베이스(110)의 지지벽(111)에 대해 반대측 상면에는 코일 지지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 지지구(220)는 코일 삽입 지그를 이루고 있고, 원통상의 홀더(221)에 하단부가 유지되어 도시하지 않는 적용 대상 스테이터 코어의 내톱니에 대응하여 원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봉(블레이드)(222)과 그 외측에 배치된 웨지 가이드(223)를 가지고 있다. 코일 지지구(220)는 베이스(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110)에 설치된 제2 모터(224)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132)은 제2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가동 프레임(132)을 코일 지지구(220)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코일 지지구(220)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28,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상, V상, W상의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는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부터, 한쪽 단부를 바싹 옆으로 대서 서로 근접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권선 지지구(140V)는 상판(134)의 하면에 고정 배치된 중앙판(216)에 지지되어 있고, 그 양측의 권선 지지구(140U, 140W)는 중앙판(216)에 대해 지축(212)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판(2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양측에는 지축(212) 및 지축(213)을 매개로 그 기단부가 중앙판(216) 및 가동판(2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누름판(210)이 배치되어 있다. 각 누름판(210)은 도시하지 않는 부세 수단에 의해 서로 떨어져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시 부세되어 있어, 가장 양측에 배치된 누름판(210)의 기부는 가동판(211)에 장착된 벌어짐 걸쇠(217)에 의해 외측으로의 벌어짐 각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장 양측에 배치된 누름판(210)의 외면은 상판(134)에 장착된 에어실린더(214)의 로드(215)가 연결되어 있다.
가동 툴(150)에 권선용 권형(170)이 삽입되어 권선을 행할 때는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는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누름판(210)도 서로 평행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1 모터(192)에 의해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회전하더라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권선이 종료되어 가동 툴(150)로부터 권선용 권형(170)이 뽑아내어지고 삽입용 권형(180)이 가동 툴(150)에 삽입되며, 가동 프레임(132)이 제2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코일 지지구(220)의 상방에 배치될 때는, 에어실린더(214)의 로드(215)가 압출되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판(211)이 지축(21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누름판(210)도 지축(212, 2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전단부가 서로 근접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동시에 가동 툴(150)의 링크(154)가 회동하여 가동판(151, 152)의 간격이 좁혀져 지름이 축소되고, 삽입용 권형(180)에 밀접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지름 축소 형상이 된다.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외주에 감긴 코일은 그들 내측에 배치된 가동판(151, 152)의 이동방향을 따라 양측이 이동하여, 코일의 일측(가동판(151)에 맞닿는 측부)이 하방에 위치하고, 코일의 타측(가동판(152)에 맞닿는 측부)이 상방에 위치하여 비스듬히 걸린 상태가 된다. 또한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지름이 축소될 때 코일이 느슨해지는데, 코일의 양측이 누름판(210)에 의해 눌러지기 때문에 코일을 대응하는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걸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코일 권선·세팅장치(100)를 사용한 본 발명의 코일 권선·세팅방법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그리퍼로 도선(W)을 지지하여 인출하고, 대응하는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가동 툴(150)에 고정한다. 이때 권선용 권형(170) 및 삽입용 권형(180)은 가동 툴(150)로부터 뽑아내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132)은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에 근접한 위치에 있고,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가동 툴(150)은 대응하는 권선용 권형(17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가이드레일(137)을 따라 제1 모터(192) 및 권선용 권형(170)이 상승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가동 툴(150)에 대응하는 권선용 권형(170)이 삽입된다. 그 결과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용 권형(170)에 의해 가동 툴(150)의 가동판(151, 152)이 지름 확대 상태로 유지된다.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모터(192)에 의해 권선용 권형(170)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선용 권형(170)과 일체인 가동 툴(150)도 회전시킨다. 그리고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를 서서히 하강시키고, 가동 툴(150) 및 권선용 권형(170)의 외주에 도선(W)을 감으면서 감은 위치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최초의 코일(C1)을 형성한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코일의 권선이 종료되면 권선용 권형(170)의 돌기(174)(도 4,7 참조)에 도선(W)을 걸고, 각 도선 공급장치(120U, 120V, 120W)를 하강시켜, 제1 모터(192)를 전회와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다음의 코일을 권선한다. 이렇게 하여 번갈아 감는 방향을 바꿔 권선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C1, C2, C3, C4)을 형성한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에 대한 권선 조작이 종료되면 제3 가이드레일(137)을 따라 제1 모터(192) 및 권선용 권형(170)을 하강시키고, 가동 툴(150)로부터 권선용 권형(170)을 뽑아내는 동시에 에어실린더(138)에 의해 승강판(136)을 하강시켜서(도 2 참조), 가동 툴(150)에 대응하는 삽입용 권형(180)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판(136)으로부터 삽입용 권형(180)이 분리되어 승강판(136)이 일단 상승하고, 그 상태에서 에어실린더(214)의 로드(215)가 압출되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판(211)이 지축(21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누름판(210)도 지축(212, 2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전단부가 서로 근접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33,34,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툴(150)의 링크(154)가 회동하고, 가동판(151, 152)의 간격이 좁혀져 지름이 축소되며, 삽입용 권형(180)에 밀접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지름 축소 형상이 된다.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외주에 감긴 코일은 그들 내측에 배치된 가동판(151) 및 가동판(152)의 이동방향을 따라 양측이 이동하여, 코일의 일측(가동판(151)에 맞닿는 측부)이 하방에 위치하고, 코일의 타측(가동판(152)에 맞닿는 측부)이 상방에 위치하여 비스듬히 걸린 상태가 된다. 또한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지름이 축소될 때 코일이 느슨해지는데, 코일의 양측이 누름판(210)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코일을 대응하는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걸 수 있다. 그 후 승강판(136)은 재차 하강하여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바로 위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프레임(132)이 제2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가 코일 지지구(2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양측이 코일 지지구(코일 삽입 지그)(220)의 가이드봉(블레이드)(222)의 소정 간극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의 양측이 정합하는 간극은 제2 모터(224)에 의해 코일 지지구(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5,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권선 지지구(140U)에 대응하는 에어실린더(203)에 의해 푸셔(204,205)를 도중까지 하강시키고, 그 선단에 의해 동 권선 지지구(140U)의 가동 툴(150)의 슬라이드판(160)(도 33,35 참조)을 눌러내려, 최하방에 감긴 코일(C4)의 일측을 코일 지지구(220)의 가이드봉(222)의 소정 간극에 삽입한다.
도 47,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모터(224)에 의해 코일 지지구(220)를 회전시켜, 코일 지지구(220)의 가이드봉(블레이드)(222)의 다른 소정 간극을 권선 지지구(140U)에 지지된 코일(C4)의 타측에 정합시킨다. 그 상태에서 에어실린더(203)에 의해 푸셔(204) 및 푸셔(205)를 더욱 하강시켜, 코일(C4)의 타측을 코일 지지구(220)의 가이드봉(222)의 다른 소정 간극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코일 일측의 떨어뜨려 넣기와 코일 타측의 떨어뜨려 넣기를 순차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코일 지지구(220)를 회전시켜서 코일의 타측이 정합되는 코일 지지구(220)의 가이드봉(222)의 간극을 변경할 수 있고, 코일의 양측을 가이드봉(222)의 임의의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은 권선 지지구(140U)에 비스듬히 걸어져 있기 때문에, 그 일측은 가이드봉(222)의 낮은 위치에 타측은 높은 위치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권선 지지구(140U)에 지지된 최하방의 코일(C4)의 떨어뜨려 넣기가 종료되면, 에어실린더(203)에 의해 푸셔(204, 205)를 상승시킴으로써 슬라이드판(160)이 도시하지 않는 부세 수단에 의해 상승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슬라이드판(160)의 갈고랑이부(161)가 그 상방에 배치된 코일(C2, C3, C4)에 압압되어 슬라이드판(160) 내에 파묻혀, 코일(C2, C3, C4)의 양측을 통과하여 각각의 코일(C2, C3, C4)의 상방으로 뽑아내서 대응하는 코일(C2, C3, C4)의 상방에 걸어맞춤한다. 이 때문에 재차 슬라이드판(160)을 하강시킴으로써 다음의 코일(C2)을 떨어뜨려 넣을 수 있고, 이러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하방의 코일부터 순차로 떨어뜨려 넣기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권선 지지구(140U)에 지지된 코일(C4)의 떨어뜨려 넣기 작업이 종료되면, 다음으로 권선 지지구(140V)에 지지된 코일(C4)의 떨어뜨려 넣기 작업을 행하고, 계속해서 권선 지지구(140W)에 지지된 코일(C4)의 떨어뜨려 넣기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권선 지지구(140U)에 지지된 코일(C3)의 떨어뜨려 넣기 작업을 행하고, 이하 동일하게 하여 각 권선 지지구(140U, 140V, 140W)에 지지된 U,V,W의 각 코일을 그 하방으로부터 순차로 떨어뜨려 넣어 각 코일의 일측이 하방에 들어가고, 타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일측 위에 포개지도록 코일을 떨어뜨려 넣어 간다.
이 코일 떨어뜨려 넣기 조작은 상기 도 9~20에 의해 설명한 조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코일 지지구(220)에 세팅된 코일을 코일 삽입장치(70)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65)에 삽입하는 조작은 상기 도 21~25에 의해 설명한 조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0 보빈 회전장치
12 모터
13 제1 보빈
14 지축
15 종동 풀리
16 구동 풀리
17 타이밍 벨트
18 지지판
19 제1 지지봉
20 제2 지지봉
30 코일 떨어뜨려 넣기 장치
31 지지기둥(支柱)
32 지축(支軸)
33 회전 암
34 지축
35 제2 보빈
36 제1 테두리판
37 제2 테두리판
38 링크
39 스프링
40 스크레이핑 막대
41 갈고랑이
42 푸셔장치
43 푸셔
44 코어
45 지지판
46 제1 지지봉
47 제2 지지봉
48 삽통공(揷通孔)
49 권선 노즐
60 코일 지지구
61 블레이드
62 웨지 가이드
65 스테이터 코어
70 코일 삽입장치
71 테이블
72 코일 삽입 지그
73 본체 케이스
74 플랜지부
75 블레이드 홀더
76 기판
77 스트리퍼
78 가이드봉
79 통형상 어댑터
80 제1 구동축
81 제2 구동축
100 코일 권선·세팅장치
110 베이스(基臺)
111 지지벽
112 제1 가이드레일
120 도선 공급장치
120U, 120V, 120W 도선 공급장치
121 승강 베이스
122 텐션장치
123 노즐
130 지지기둥
131 제2 가이드레일
132 가동 프레임
133 슬라이드판
134 상판
135 가이드봉
136 승강판
137 제3 가이드레일
138 에어실린더
139 로드
140 권선 지지구
140U,140V,140W 권선 지지구
150 가동 툴
151,152 가동판
153 지축
154 링크
155 가이드홈
160 슬라이드판
161 갈고랑이부
170 권선용 권형(捲型)
171 지지판
172 전방 보빈
173 후방 보빈
174 돌기
175 스프링
176 지축
180 삽입용 권형
181 지지판
182 전방 프레임체
183 후방 프레임체
190 승강 베이스
192 모터
200 푸셔장치
201 지지기둥
202 지지판
203 에어실린더
204,205 푸셔
210 누름판
211 가동판
212 지축
214 에어실린더
215 로드
216 중앙판
220 코일 지지구
221 홀더
222 가이드봉
223 웨지 가이드
224 모터
C 코일
C1,C2,C3,C4 코일
S1~S48 간극
U1~U8, V1~V8, W1~W8 코일
W 도선

Claims (13)

  1. 도선을 권선하여 코일을 형성하고, 스테이터 코어의 내톱니에 대응하여 원환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봉을 갖는 코일 지지구의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코일을 순차로 떨어뜨려 넣어,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 일측과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에 있어서,
    도선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도선을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소정 횟수씩 감아, 그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하는 권선공정과,
    상기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비스듬히 걸기로 하는 코일 경사공정과,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일측을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일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고, 이어서 상기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비스듬히 걸린 코일의 타측을 정합시켜서 그 코일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떨어뜨려 넣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경사공정은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의 양측을 누름판으로 누르면서 상기 권선 지지구의 지름을 축소시켜서 행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위치로부터 코일을 떨어뜨려 넣기 시작할 때,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으로서 최후의 코일 및 그 앞의 몇개의 코일의 일측을 떨어뜨려 넣을 때에 간섭하는 것과, 앞의 코일의 타측이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져 있어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으면 앞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낼 수 없게 되는 것에 대해서는, 그들에게 간섭하지 않는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 두고 최후의 코일이 떨어뜨려 넣어진 후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어진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최초의 코일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을 때에는, 맨처음 코일의 일측을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고 이어서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켜서 상기 정규가 아닌 간극을 코일의 타측 하방에 배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타측을 상기 정규가 아닌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눠, 상기 코일 지지구의 복수 개소로부터 각 그룹의 코일을 동시에 떨어뜨려 넣어 가고, 최초의 코일에 인접하는 다른 그룹의 최후의 코일이 떨어뜨려 넣어진 후, 상기 최초의 코일 및 그것에 계속되는 몇개의 코일의 타측을 뽑아내서 정규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지지구로서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에 대응하는 3개의 권선 지지구를 적어도 1조(組) 사용하고, 상기 권선공정에 있어서, 각각의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소정 횟수씩 감는 방향을 바꿔가면서 감아 그 권선 지지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코일을 형성한 후, 상기 코일 떨어뜨려 넣기 공정시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을 차례로 떨어뜨려 넣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지지구로서, 평행 링크에 의해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된 한쌍의 가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툴, 상기 권선공정시에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확대 상태로 유지하는 권선용 권형 및 상기 코일 경사공정시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축소 상태로 유지하는 삽입용 권형을 구비한 것을 사용하고, 그 권선 지지구의 양측에는 누름판을 배치하여, 상기 코일 경사공정시 상기 권선용 권형을 뽑아내는 동시에 상기 삽입용 권형을 삽입하고, 상기 누름판으로 코일의 양측을 누르면서 상기 가동 툴의 한쌍의 가동판의 간격을 좁혀,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비해 낮아지도록 비스듬히 걸게 하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지지구로서, 상기 가동 툴의 가동판 외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코일을 걸어 늘어뜨리는 출몰 가능한 갈고랑이부를 갖는 슬라이드판을 장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 코일 떨어뜨려 넣기 공정시 상기 슬라이드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갈고랑이부에 의해 코일을 눌러내림으로써, 해당하는 코일의 측부를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권선·세팅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코일 지지구에 코일을 세팅한 후, 그 코일 지지구가 코일 삽입 지그인 경우에는 그대로, 그 코일 지지구가 트랜스퍼 지그인 경우에는 코일 삽입 지그에 코일을 옮긴 후, 그 코일 삽입 지그의 상부에 스테이터 코어를 세팅하고 코일 삽입장치에 의해 코일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삽입방법.
  10. 도선을 권선하여 코일을 형성하고, 스테이터 코어의 내톱니에 대응하여 원환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가이드봉을 갖는 코일 지지구의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코일을 순차로 떨어뜨려 넣어, 코일의 일측이 인접하는 코일의 아래가 되어 소정 간극에 들어가고, 코일의 타측이 상기 일측과 반대측에 인접하는 코일 위에 포개져 소정 간극에 들어가, 전체로서 나선상으로 포개진 상태로 코일을 세팅하는 코일 권선·세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 지지구, 도선을 외주에 감아 코일을 형성하는 권선 지지구, 그 권선 지지구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도선을 권선 지지구에 공급하는 도선 공급장치, 권선시에 그 코일 권선 지지구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장치, 상기 권선 지지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의 양측을 누르는 누름판, 상기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을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시키는 코일 정합 수단 및 상기 권선 지지구에 지지된 코일을 상기 코일 지지구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는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권선 지지구는 평행 링크에 의해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된 한쌍의 가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툴, 권선시에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확대 상태로 유지하는 권선용 권형 및 코일 떨어뜨려 넣기시에 상기 가동 툴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판을 지름 축소 상태로 유지하는 삽입용 권형을 가지며,
    상기 가동 툴에 상기 권선용 권형을 삽입하고,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도선을 감아 코일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권선용 권형을 상기 가동 툴로부터 뽑아내는 동시에 상기 삽입용 권형을 상기 가동 툴에 삽입하고, 상기 누름판에 의해 상기 코일의 양측을 누르면서 상기 평행 링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한쌍의 가동판의 간격을 좁혀 지름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코일의 일측이 타측에 대해 낮은 위치가 되어 비스듬히 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정합 수단은 상기 권선 지지구를 상기 코일 지지구 상의 소정 위치에 이동시키는 권선 지지구 이동 수단과, 상기 권선 지지구에 비스듬히 걸려 지지된 코일의 각각의 측부를 상기 코일 지지구의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정합하도록 상기 코일 지지구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장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권선·세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떨어뜨려 넣기 수단은 상기 가동 툴의 가동판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그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판 및 그 슬라이드판에 출몰 가능하게 장착된 갈고랑이부를 가지며, 상기 갈고랑이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갈고랑이부에 의해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긴 코일을 눌러내림으로써 해당하는 코일의 측부를 상기 가이드봉의 소정 간극에 떨어뜨려 넣도록 구성되어 있는 코일 권선·세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랑이부는 상기 권선 지지구의 외주에 감기는 각 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판을 하강시키면 각 코일이 대응하는 갈고랑이부에 의해 각각 눌러내려지고, 상기 슬라이드판을 상승시키면 상기 갈고랑이부가 상기 슬라이드판 내에 파묻혀 상방에 위치하는 코일의 내측을 통과하여 그 코일의 상부에 걸어맞춤(係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코일 권선·세팅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지지구는 U상, V상, W상의 각 코일에 대응하는 3개의 것이 적어도 1조 설치되어 있고, 상기 3개의 권선 지지구 사이 및 양측에는 상기 누름판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이 그들의 단부를 근접(近接)·이반(離反)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회동한 위치에서, 각 권선 지지구가 상기 제1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권선 조작이 행해지고, 중앙의 권선 지지구에 대해 양측의 권선 지지구 및 상기 누름판이 근접하도록 회동한 위치에서, 상기 코일의 떨어뜨려 넣기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코일 권선·세팅장치.
KR1020137031034A 2011-05-12 2012-05-11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 KR101935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7064A JP5722698B2 (ja) 2011-05-12 2011-05-12 コイルセット方法及びコイル挿入方法
JPJP-P-2011-107064 2011-05-12
JPJP-P-2012-099193 2012-04-24
JP2012099193A JP5968671B2 (ja) 2012-04-24 2012-04-24 コイル巻線・セット方法及びコイル巻線・セット装置
PCT/JP2012/062160 WO2012153844A1 (ja) 2011-05-12 2012-05-11 コイル巻線・セット方法、コイル挿入方法及びコイル巻線・セッ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022A KR20140028022A (ko) 2014-03-07
KR101935622B1 true KR101935622B1 (ko) 2019-01-04

Family

ID=4713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34A KR101935622B1 (ko) 2011-05-12 2012-05-11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5622B1 (ko)
WO (1) WO2012153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986B1 (ko) * 2013-03-05 2015-07-29 주식회사 메카텍 모터 권선기
JP2018082554A (ja) * 2016-11-16 2018-05-24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変形装置及びステータの製造装置並びに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7373891B2 (ja) * 2019-05-09 2023-11-06 Nittoku株式会社 コイル挿入装置及びコイル挿入方法
CN110417212B (zh) * 2019-07-27 2024-03-26 巨力自动化设备(浙江)有限公司 电机绕线组拉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860A (ja) * 2001-11-16 2003-05-30 Aisin Aw Co Ltd コイル移載装置
JP2007166850A (ja) * 2005-12-16 2007-06-28 Toyota Industries Corp 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528A (ja) * 1996-07-19 1998-02-13 Toyota Motor Corp モータのステータ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8860A (ja) * 2001-11-16 2003-05-30 Aisin Aw Co Ltd コイル移載装置
JP2007166850A (ja) * 2005-12-16 2007-06-28 Toyota Industries Corp 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022A (ko) 2014-03-07
WO2012153844A1 (ja)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148B2 (ja) コイル挿入装置
US20140215806A1 (en) Stator manufacturing method and stator manufacturing apparatus
CN1465128B (zh) 电动机的制造方法
KR101935622B1 (ko) 코일 권선·세팅방법, 코일 삽입방법 및 코일 권선·세팅장치
KR101078489B1 (ko) 코일 형성 장치 및 코일 형성 방법
JP5968671B2 (ja) コイル巻線・セット方法及びコイル巻線・セット装置
EP3731373B1 (en) Stator for electric motors and method for providing such stator
JP5699054B2 (ja) コイル挿入方法及びコイル挿入装置
EP1526630B1 (en) Motor manufacturing method
US20050005422A1 (en) Motor manufacturing method
JP6385102B2 (ja) コイル巻線・セット方法及び装置
EP1609231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 coil lead placement
US4416058A (en) Apparatus for winding coils and inserting coils and wedges into stator cores
JP2017046373A (ja) コイルのスロットへの挿入方法、及びコイル挿入装置
US4299023A (en) Machine for winding and inserting coils
JP5633967B2 (ja) コイル挿入方法およびコイル挿入装置
GB2135603A (en) Device for forming electrical coils and transferring the coils for subsequent insertion into a slotted magnetic core
US20060230604A1 (en) Coil forming and inserting device and coil forming and inserting method
JP5722698B2 (ja) コイルセット方法及びコイル挿入方法
US11411477B2 (en) Coil insertion method and coil insertion device
EP3731379B1 (en) Stator for electric motors and method for providing such stator
CN113054810A (zh) 线圈成型装置
JP2009005434A (ja) ステータコアへの3相コイルの挿入方法及びステータコアへの3相コイル挿入装置
CN102859848A (zh) 定子及其制造方法
JPS62582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