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550B1 -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550B1
KR101935550B1 KR1020180086829A KR20180086829A KR101935550B1 KR 101935550 B1 KR101935550 B1 KR 101935550B1 KR 1020180086829 A KR1020180086829 A KR 1020180086829A KR 20180086829 A KR20180086829 A KR 20180086829A KR 101935550 B1 KR101935550 B1 KR 10193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camera module
outdoor camera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8008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하는 특정영역을 선명하게 촬영하며 폐회로 텔레비전의 본연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폐회로 텔레비전을 다른 폐회로 텔레비전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여, 재난 및 재해 등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에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게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은 렌즈모듈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야외카메라모듈, 야외카메라모듈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조사량을 측정하며 태양광의 조사량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 야외카메라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되, 샤프트 축을 포함하여 샤프트 축이 야외카메라모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샤프트 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모듈
그리고 샤프트 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구동모터모듈의 구동에 따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며 렌즈모듈과 중첩되는 필름부로 구성된 제1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Image Sensing System Including CCTV For Backlight Correction Filter}
본 발명은 폐회로 텔레비전 즉, Closed Circuit Television(CCTV)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폐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은 공원, 골목 등의 일정영역을 24시간 촬영한다. 폐회로 텔레비전은 일정영역을 상시 촬영하며 일정영역에서 범죄가 발생될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증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공원에 설치된 폐회로 텔레비전은 항시 공원을 촬영하며 공원에서 사건,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때, 시시비비를 가리는 증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야외에 설치된 폐회로 텔레비전은 햇빛 또는 조명 빛 등에 의해 피사체를 너무 환하게 촬영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야외에 설치된 폐회로 텔레비전은 우천 시 피사체를 불투명하게 촬영하는 문제 또한 가지고 있다.
즉, 야외에 설치된 폐회로 텔레비전은 특정 시간 및 특정 기후 때에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정 시간 및 특정 기후 때, 폐회로 텔레비전이 명확한 이미지를 촬영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특정시간 때에 발생된 범죄에 대해서는 폐회로 텔레비전이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274호 (공고일자 2010.09.10)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촬영하는 특정영역의 피사체를 항상 선명하게 촬영하여 특정영역에서 발생되는 사건을 예방하고 사건이 발생되었을 시, 발생된 사건을 해결 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촬영하는 특정영역을 선명하게 촬영하며 폐회로 텔레비전의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폐회로 텔레비전을 다른 폐회로 텔레비전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여, 지진 예보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지진 예보에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은,
렌즈모듈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야외카메라모듈,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조사량을 측정하며 태양광의 조사량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되, 샤프트 축을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 축이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샤프트 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모듈,
그리고 상기 샤프트 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모듈의 구동에 따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렌즈모듈과 중첩되는 필름부가 설치된 제1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폐회로텔레비전은 야외카메라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건물과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어느 하나의 건물에 포함되고,
상기 건물은,
설정된 피난가능구조물이 배치된 복수 개의 공간부,
복수 개의 공간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촬영하여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재실자(在室者)의 수와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크면 제1대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작으면 제2대비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신호출력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산신호출력부에서 상기 제1대비신호를 수신하여 재실자 가운데 일부의 재실자가 다른 공간부로 이동하여 다른 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2대비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공간부의 파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대피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제2대비신호 그리고 중앙관제센터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지진예보통제실로부터 수신되는 지진예보신호를 연산하여 생성되는 마스터키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개방되고,
상기 대피신호출력부는 스피커 및 문자표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대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모듈은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샤프트 축을 제1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샤프트 축을 제2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부는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 시키는 편광필름이 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은 촬영하는 특정영역의 피사체를 항상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를 항상 선명하게 촬영하여, 촬영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건을 예방하거나 발생된 사건을 해결 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촬영하는 특정영역을 선명하게 촬영하며 폐회로 텔레비전의 본연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폐회로 텔레비전을 다른 폐회로 텔레비전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여, 재난 및 재해 등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발생된 사고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의 구동모터모듈과 필름부 간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의 필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건물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블록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각 공간부에 설치된 제2폐회로텔레비전이 각 공간부를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에 의해 재실자가 피난가능구조물로 대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대피신호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대피신호출력부에 의해 제1공간부에 있는 재실자가 제2공간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폐회로텔레비전에 대해 먼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제1폐회로텔레비전과 연결되는 건물을 통해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폐회로텔레비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의 구동모터모듈과 필름부 간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의 필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제1폐회로텔레비전(100)은 입사되는 햇빛의 양에 따라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을 통해 구동모터모듈(120)의 구동을 제어하고, 구동모터모듈(120)과 연동하는 필름부(130)를 작동시키며 야외카메라모듈(110)가 피사체를 항상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폐회로텔레비전(100)은 특정영역을 항상 선명하게 촬영하며 폐회로텔레비전 본연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폐회로텔레비전(100)은 야외카메라모듈(110),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 구동모터모듈(120) 및 필름부(130)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제1폐회로텔레비전(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전면에 렌즈모듈(111)을 포함하여, 렌즈모듈(111)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한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촬영된 일정영역을 영상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중앙관제센터(210)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연결되어 생성한 영상이미지를 중앙관제센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중앙관제센터(2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촬영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다양한 영역을 촬영하며 다양한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야외카메라모듈(110)의 상단부에는 조사되는 태양광의 조사량을 측정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이 설치된다. 그리고 야외카메라모듈(110)의 일측에는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모터모듈(120)이 설치된다.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은 조사되는 태양광의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조사되는 태양광의 설정기준값 미만 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은 태양광의 조사량을 측정하는 센서모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변의 온도 및 기후를 측정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대비하여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모듈(120)은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그리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샤프트 축을 포함하는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모듈(120)은 야외카메라모듈의 외측에 샤프트 축(122)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 축(122)의 일단에는 필름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모듈(120)은 제어부를 통해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샤프트 축(122)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필름부(13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반 시계방향 및 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이 될 수 있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역방향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제2방향은 제1방향이 반 시계방향 일 경우 시계방향이 될 수 있고, 시계방향일 경우 반 시계방향이 될 수 있다.
구동모터모듈(12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카메라모듈(110)의 상단에 위치하여, 샤프트 축의 일단에 필름부(130)가 연결된 상태일 때, 제1신호가 입력되면 샤프트 축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필름부(130)를 렌즈모듈(111)에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모듈(120)은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샤프트 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필름부(130)가 렌즈모듈(111)과 중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모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샤프트 축(122)을 본래의 위치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렌즈모듈(111)에 필름부(130)를 중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름부(130)는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 시키는 편광필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부(130)는 편광필름으로 형성되어, 렌즈모듈(111)의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들어오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폐회로텔레비전(100)은 이러한 필름부(130)를 햇빛이 많이 쬐는 날에는 렌즈모듈(111)에 중첩시키고, 햇빛이 심하지 않는 날에는 렌즈모듈(111)에 중첩시키지 않으며 항상 선명한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폐회로텔레비전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 공간부 그리고 제2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건물과 연결되어 하나의 영상감지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건물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블록으로 표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각 공간부에 설치된 제2폐회로텔레비전이 각 공간부를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에 의해 재실자가 피난가능구조물로 대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의 대피신호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대피신호출력부에 의해 제1공간부에 있는 재실자가 제2공간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1)은 제1폐회로텔레비전(100)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건물이 지진과 같은 사고에 직면하였을 때,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1)은 중앙관제센터(210), 복수 개의 공간부(211R, 212R), 제2폐회로텔레비전(222) 및 대피신호출력부(230)를 포함하는 건물(200), 중앙관제센터(210)와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된 지진예보통제실(300), 연산신호출력부(22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그리고,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1)은 중앙관제센터(210)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도어락(240)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진예보통제실(300)은 지진의 발생을 파악하여,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건물(200)의 중앙관제센터(210)로 지진예보신호 즉, 지진 발생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건물(200)은 내부에 야외카메라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진예보통제실(300)에서 발생된 지진예보신호를 수신하는 중앙관제센터(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재실 할 수 있는 공간부(211)를 포함하되, 건물(200)은 적어도 제1공간부(211R)와 제2공간부(212R)를 포함한다.
공간부(211)는 여러 사람들이 모여 각자의 사무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공간부(211)의 내부에는 여러 명의 재실자와 복수 개의 책상 및 식탁 등의 피난가능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211R)에는 제1재실자(R1M-1), 제2재실자(R1M-2), 제3재실자(R1M-3), 제4재실자(R1M-4) 및 제5재실자(R1M-5)가 있을 수 있고, 제1책상(R1D-1), 제2책상(R1D-2), 제3책상(R1D-3), 제4책상(R1D-4)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간부(212R)에는 제1재실자(R2M-1), 제2재실자(R2M-2) 및 제3재실자(R2M-3)가 있을 수 있고, 제1책상(R2D-1), 제2책상(R2D-2), 제3책상(R2D-3), 제4책상(R2D-4)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부(211)의 내부에는 공간부(211)를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폐회로텔레비전(222), 영상이미지를 분석하여 대비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신호출력부(220) 및 연산신호출력부(220)에서 대비신호를 출력하는 대피신호출력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211)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도어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폐회로텔레비전(222)은 복수 개의 공간부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간부(211)의 내부를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영상이미지를 중앙관제센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폐회로텔레비전(222)은 하나의 공간부(211)에 복수 개 설치되어 공간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영상이미지를 중앙관제센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산신호출력부(220)는 중앙관제센터(210)에 설치되어, 영상이미지에서 재실자(在室者)의 수와 설정된 피난가능구조물 예를 들어, 책상 및 식탁 등의 개수를 비교하여 재실자의 수가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크면 제1대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작으면 제2대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연산신호출력부(220)는 발생된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를 대피신호출력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대피신호출력부(230)는 공간부에 설치되어,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대피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대비신호는 재실자 전원이 현재의 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211a)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으라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반면, 제1대비신호는 재실자 가운데 일부의 재실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211R)에서 제2공간부(212R)로 이동하여, 제2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으라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는 대피신호출력부(230)에 의해 출력되며 재실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대비신호는 대피신호출력부(230)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2로 한 명 이동하세요"라는 문자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대피신호출력부(230)는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를 문자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에 표시되는 문자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 할 수 있다.
아울러,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1)은 제2대비신호가 발생하여, 제1공간부(211R)에 있는 제1재실자(R1M-1), 제2재실자(R1M-2), 제3재실자(R1M-3), 제4재실자(R1M-4) 및 제5재실자(R1M-5)중 어느 한 재실자가 제2공간부(212R)로 이동하여야 할 때, 제2공간부(212R)에 있는 도어락(240)을 개방시켜 이동하는 재실자, 일례로 제5재실자(R1M-5)가 제2공간부(212R)로 신속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어락(240)은 중앙관제센터(210)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관제센터(210)에서 지진예보신호와 제2대비신호를 수신한 후, 연산하였을 때 생성되는 마스터키신호(241)의 수신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1)은 지진 예보가 접수 되었을 때, 공간부에 재실하는 사람들이 혼란스러워 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100: 제1폐회로텔레비전 110: 야외카메라모듈
111: 렌즈모듈 120: 구동모터모듈
121: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 122: 샤프트 축
130: 필름부 200: 건물
210: 중앙관제센터 211: 공간부
211R: 제1공간부 212R: 제2공간부
211a: 피난가능구조물 211b: 재실자
220: 연산신호출력부 222: 제2폐회로텔레비전
230: 대피신호출력부 240: 도어락
241: 마스터키신호 300: 지진예보통제실
I: 인터넷 망

Claims (9)

  1. 렌즈모듈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야외카메라모듈,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조사량을 측정하며 태양광의 조사량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감지신호출력모듈,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되, 샤프트 축을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 축이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샤프트 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모듈,
    그리고 상기 샤프트 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모듈의 구동에 따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렌즈모듈과 중첩되는 필름부가 설치된 제1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폐회로텔레비전은 야외카메라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건물과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어느 하나의 건물에 포함되고,
    상기 건물은,
    설정된 피난가능구조물이 배치된 복수 개의 공간부,
    복수 개의 공간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촬영하여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재실자(在室者)의 수와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크면 제1대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작으면 제2대비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신호출력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산신호출력부에서 상기 제1대비신호를 수신하여 재실자 가운데 일부의 재실자가 다른 공간부로 이동하여 다른 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2대비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공간부의 파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대피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제2대비신호 그리고 중앙관제센터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지진예보통제실로부터 수신되는 지진예보신호를 연산하여 생성되는 마스터키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개방되고,
    상기 대피신호출력부는 스피커 및 문자표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대피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모듈은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샤프트 축을 제1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샤프트 축을 제2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편광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 시키는 편광필름이 될 수 있는,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86829A 2018-07-25 2018-07-25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KR10193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29A KR101935550B1 (ko) 2018-07-25 2018-07-25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29A KR101935550B1 (ko) 2018-07-25 2018-07-25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550B1 true KR101935550B1 (ko) 2019-01-04

Family

ID=6501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829A KR101935550B1 (ko) 2018-07-25 2018-07-25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5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속 역광보정 장치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2521129B1 (ko) 2022-07-26 2023-04-13 (주)유원건축사사무소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 시스템을 위한 유선통신 영상 인식 카메라의 역광차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44B1 (ko) * 2017-07-11 2018-02-02 김은주 비상상황전파기능이 포함된 영상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44B1 (ko) * 2017-07-11 2018-02-02 김은주 비상상황전파기능이 포함된 영상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5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속 역광보정 장치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2521129B1 (ko) 2022-07-26 2023-04-13 (주)유원건축사사무소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 시스템을 위한 유선통신 영상 인식 카메라의 역광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02B1 (ko) 디지탈 영상 포착 시스템
KR101935550B1 (ko) 역광보정용 필터 cctv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JP6507660B2 (ja) 視界支援装置
KR101349560B1 (ko) 적외선 카메라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3119511A (zh) 用于取景器装置的显示控制方法及其装置
JP5087229B2 (ja) 閉回路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絞り調整装置
KR101229057B1 (ko) 멀티비젼 돔카메라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JP200829493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940068B1 (ko)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JP4744900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2014050001A (ja) 撮像表示装置および撮像方法
TW201842764A (zh) 對講機系統、對講機子機、及程式
RU2501090C1 (ru) Охранная телевизи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1147327B1 (ko)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감시장치
JP2000069463A (ja) カラーカメラユニット装置及びドアホン子器
KR200388954Y1 (ko) 지능형 방범 카메라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장치
JP2007043627A (ja) テレビドアホン子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670998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75970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부에 대한 틸트제어장치
JPH11242787A (ja) 監視システム
US20160234415A1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KR200482783Y1 (ko) 마주보는 출입문의 쌍방 감시장치
JP2006237733A (ja) 撮影装置
JP2017120945A (ja) 空中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