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068B1 -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068B1
KR101940068B1 KR1020180086827A KR20180086827A KR101940068B1 KR 101940068 B1 KR101940068 B1 KR 101940068B1 KR 1020180086827 A KR1020180086827 A KR 1020180086827A KR 20180086827 A KR20180086827 A KR 20180086827A KR 101940068 B1 KR101940068 B1 KR 10194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earthquake
camera module
outdoo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영
강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8008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이용하여, 여러 시설물에 설치된 각종 장치 및 장비를 제어하여 지진에 따른 2차 피해 발생을 최소화 시키고자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렌즈모듈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야외카메라모듈;
야외카메라모듈에 설치되어, 야외카메라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충격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하는 지진감지센서모듈;
지진감지센서모듈과 연결되어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하여 제1신호를 통해 야외카메라모듈이 촬영할 수 있도록 턴온신호를 출력하고, 제2신호를 통해 야외카메라모듈이 촬영하지 않도록 하는 턴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센터;
중앙관제센터와 무선통신 연결되어, 턴온신호 및 턴오프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대응에 동작하는 시설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image sensing camera with built-in earthquake sensor}
본 발명은 영상감지카메라가 지진의 발생여부를 감지한 후, 발생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진발생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999년부터 2016년 동안 국내에서 발생된 규모 2.0 이상의 지진 평균빈도는 58.9회 이다. 그러나, 2017년 들어 지진 발생의 평균 빈도는 과거의 평균 빈도에 비해 3.8배나 많은 223회나 발생하였다.
특히, 2017년 경북 포항시에는 1978년 기상청 계기관측 이래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규모의 지진으로 인해 댐 및 터널의 붕괴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공공시설물은 지진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시설물에 설치된 장치 및 기기들을 유연하게 제어하지 못하며 지진에 따른 2차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32337호 (공고일자 2018.02.26)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진의 발생을 감지하여, 발생된 신호를 기반으로 폐회로카메라 뿐 아니라 각종 장치 및 기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지진 발생에 따른 2차 피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은,
렌즈모듈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야외카메라모듈;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충격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신호를 통해 야외카메라모듈을 구동시키거나, 상기 제2신호를 통해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지진감지센서모듈;
상기 지진감지센서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신호를 통해 미리 연결된 시설모듈을 구동시키는 턴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신호를 통해 상기 시설모듈의 구동을 멈추는 턴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어느 하나의 건물에 포함되고,
상기 건물은,
설정된 피난가능구조물이 배치된 복수 개의 공간부,
복수 개의 공간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촬영하여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재실자(在室者)의 수와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크면 제1대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작으면 제2대비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신호출력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산신호출력부에서 상기 제1대비신호를 수신하여 재실자 가운데 일부의 재실자가 다른 공간부로 이동하여 다른 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2대비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공간부의 파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대피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제2대비신호 그리고 중앙관제센터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지진예보통제실로부터 수신되는 지진예보신호를 연산하여 생성되는 마스터키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개방되고,
상기 대피신호출력부는 스피커 및 문자표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대피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통신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전송된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서 작동하며 촬영된 영상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여, 피해규모를 판단하는 피해규모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피해규모판단모듈에서 분석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설모듈은 지진발생 상황 및 규모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장치 및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은 지진의 발생을 감지하여, 발생된 신호를 기반으로 야외카메라모듈뿐 아니라, 미리 연결된 시설물의 각종 장치 및 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지진 발생에 의해 2차 피해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감지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가 지진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중앙관제센터가 있는 건물의 재실자들이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앙관제센터와 단말기 간 관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설물에 설치된 각종 장치에 해당하는 시설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건물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블록으로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의 각 공간부에 설치된 제2폐회로텔레비전이 각 공간부를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에 의해 재실자가 피난가능구조물로 대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의 대피신호출력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대피신호출력부에 의해 제1공간부에 있는 재실자가 제2공간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설명된 내용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지진 발생 시 야외카메라모듈(100)에 내장된 지진감지센서모듈(1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기반으로 야외카메라모듈(100)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중앙관제센터(210)와 미리 연결된 각종 장치 등의 시설모듈(140)을 구동시켜, 많은 사람들에게 지진 발생을 알리며 지진 발생에 의해 발생되는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야외카메라모듈(100), 지진감지센서모듈(120), 중앙관제센터(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관제센터(210)에 포함되는 피해규모판단모듈(2101), 데이터저장부(2102) 그리고 중앙관제센터(21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말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야외카메라모듈(100)은 전면에 렌즈모듈(111)을 포함하여 렌즈모듈(111)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한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촬영된 일정영역을 영상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중앙관제센터(210)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연결되어 생성한 영상이미지를 중앙관제센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중앙관제센터(2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촬영하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다양한 영역을 촬영하며 다양한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야외카메라모듈(110)은 충격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충격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지진감지센서모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신호는 야외카메라모듈(100)을 구동시키는 신호가 될 수 있고, 제2신호는 야외카메라모듈(100)의 구동을 멈추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야외카메라모듈(100)은 이러한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통해, 현재 촬영하고 있던 영역과 다른 영역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더 이상 촬영을 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중앙관제센터(210)는 제어모듈(130)을 포함하고, 인터넷 망(I)으로 야외카메라모듈(100), 지진예보통제실(300) 및 각종 시설모듈(140)과 연결된다. 이러한 중앙관제센터(210)는 제어모듈(130)을 연결된 장치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가공하고 연결된 장치로 가공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관제센터(210)는 지진감지센서모듈(120)과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어, 지진감지센서모듈(120)로부터 제1신호 및 제2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모듈(130)을 통해 제1신호를 시설모듈(140)을 구동시키는 턴온신호로 출력하고 제2신호를 시설모듈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턴오프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중앙관제센터의 구성요소와 중앙관제센터와 연결되는 단말기 그리고, 중앙관제센터에 의해 작동되는 시설모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중앙관제센터와 단말기간 관계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시설물에 설치된 각종 장치에 해당하는 시설모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제센터(210)는 피해규모판단모듈(2101)과 데이터저장부(2102)를 포함한다. 중앙관제센터(210)는 데이터저장부(2102)를 통해 야외카메라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이미지를 저장 한 후, 피해규모판단모듈(2101)을 통해 저장된 영상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야외카메라모듈(100)이 촬영하는 영역의 피해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관제센터(210)는 파악된 피해 규모의 데이터를 시설모듈(140)로 전송하여, 시설모듈(140) 근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지진 상황에 대해 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모듈(140)은 지진발생 상황 및 규모를 문자로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와 경보 음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장치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문,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전구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시설모듈이 댐 시설에 설치된 수문 그리고 음성장치일 경우, 음성장치는 제1신호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인접한 사람들에게 주의하라는 경고를 줄 수 있다. 그리고, 수문은 제1신호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모듈이 터널에 설치된 알림판일 경우, 알람판은 제1신호를 통해 터널에 인접한 사람들에게 터널 진입 차단 또는 우회도로 안내를 지시하며 인접한 사람들이 대비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센터(210)는 시설모듈(140)에 신호를 전송할 뿐 아니라, 야외카메라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단말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50)는 중앙관제센터(210)와 무선통신 연결되는 관리자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50)는 전송된 영상이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중앙관제센터(210)는 건물(200)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며 공간부 그리고 제2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건물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야외카메라모듈(100)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센터(210)를 포함하는 건물이 지진과 같은 사고에 직면하였을 때,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중앙관제센터(210), 복수 개의 공간부(211R, 212R), 제2폐회로텔레비전(222) 및 대피신호출력부(230)를 포함하는 건물(200), 중앙관제센터(210)와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된 지진예보통제실(300), 연산신호출력부(22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그리고,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중앙관제센터(210)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도어락(240)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진예보통제실(300)은 지진의 발생을 파악하여, 인터넷 망(I)으로 연결된 건물(200)의 중앙관제센터(210)로 지진예보신호 즉, 지진 발생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건물(200)은 내부에 야외카메라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진예보통제실(300)에서 발생된 지진예보신호를 수신하는 중앙관제센터(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재실 할 수 있는 공간부(211)를 포함하되, 건물(200)은 적어도 제1공간부(211R)와 제2공간부(212R)를 포함한다.
공간부(211)는 여러 사람들이 모여 각자의 사무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공간부(211)의 내부에는 여러 명의 재실자와 복수 개의 책상 및 식탁 등의 피난가능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211R)에는 제1재실자(R1M-1), 제2재실자(R1M-2), 제3재실자(R1M-3), 제4재실자(R1M-4) 및 제5재실자(R1M-5)가 있을 수 있고, 제1책상(R1D-1), 제2책상(R1D-2), 제3책상(R1D-3), 제4책상(R1D-4)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간부(212R)에는 제1재실자(R2M-1), 제2재실자(R2M-2) 및 제3재실자(R2M-3)가 있을 수 있고, 제1책상(R2D-1), 제2책상(R2D-2), 제3책상(R2D-3), 제4책상(R2D-4)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부(211)의 내부에는 공간부(211)를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폐회로텔레비전(222), 영상이미지를 분석하여 대비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신호출력부(220) 및 연산신호출력부(220)에서 대비신호를 출력하는 대피신호출력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211)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도어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폐회로텔레비전(222)은 복수 개의 공간부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간부(211)의 내부를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영상이미지를 중앙관제센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폐회로텔레비전(222)은 하나의 공간부(211)에 복수 개 설치되어 공간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영상이미지를 중앙관제센터(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연산신호출력부(220)는 중앙관제센터(210)에 설치되어, 영상이미지에서 재실자(在室者)의 수와 설정된 피난가능구조물(211a) 예를 들어, 책상 및 식탁 등의 개수를 비교하여 재실자의 수가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크면 제1대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작으면 제2대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연산신호출력부(220)는 발생된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를 대피신호출력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대피신호출력부(230)는 공간부(211)에 설치되어,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대피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대비신호는 재실자 전원이 현재의 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211a)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으라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반면, 제1대비신호는 재실자 가운데 일부의 재실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211R)에서 제2공간부(212R)로 이동하여, 제2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으라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는 대피신호출력부(230)에 의해 출력되며 재실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대비신호는 대피신호출력부(230)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2로 한 명 이동하세요"라는 문자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대피신호출력부(230)는 제1대비신호 및 제2대비신호를 문자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에 표시되는 문자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 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제2대비신호가 발생하여, 제1공간부(211R)에 있는 제1재실자(R1M-1), 제2재실자(R1M-2), 제3재실자(R1M-3), 제4재실자(R1M-4) 및 제5재실자(R1M-5)중 어느 한 재실자가 제2공간부(212R)로 이동하여야 할 때, 제2공간부(212R)에 있는 도어락(240)을 개방시켜 이동하는 재실자,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재실자(R1M-5)가 제2공간부(212R)로 신속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어락(240)은 중앙관제센터(210)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관제센터(210)에서 지진예보신호와 제2대비신호를 수신한 후, 연산하였을 때 생성되는 마스터키신호(241)의 수신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1)은 지진 예보가 접수 되었을 때, 공간부에 재실 하는 사람들이 혼란스러워 하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100: 야외카메라모듈 111: 렌즈모듈
120: 지진감지센서모듈 130: 제어모듈
140: 시설모듈 150: 단말기
2101: 피해규모판단모듈 2102: 데이터저장부
200: 건물 210: 중앙관제센터
211: 공간부
211R: 제1공간부 212R: 제2공간부
211a: 피난가능구조물 211b: 재실자
220: 연산신호출력부 222: 제2폐회로텔레비전
230: 대피신호출력부 240: 도어락
300: 지진예보통제실

Claims (8)

  1. 렌즈모듈을 통해 일정영역을 촬영하며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야외카메라모듈;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하여, 측정되는 충격이 설정기준값 이상 일 때, 제1신호를 출력하고 설정기준값 미만일 때, 제2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신호를 통해 야외카메라모듈을 구동시키거나, 상기 제2신호를 통해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지진감지센서모듈;
    상기 지진감지센서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 및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신호를 통해 미리 연결된 시설모듈을 구동시키는 턴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신호를 통해 상기 시설모듈의 구동을 멈추는 턴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어느 하나의 건물에 포함되고,
    상기 건물은,
    설정된 피난가능구조물이 배치된 복수 개의 공간부,
    복수 개의 공간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촬영하여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폐회로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재실자(在室者)의 수와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크면 제1대비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재실자의 수가 상기 피난가능구조물의 개수 보다 작으면 제2대비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신호출력부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산신호출력부에서 상기 제1대비신호를 수신하여 재실자 가운데 일부의 재실자가 다른 공간부로 이동하여 다른 공간부의 피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2대비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공간부의 파난가능구조물에 숨으라는 신호를 출력하는 대피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중앙관제센터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제2대비신호 그리고 중앙관제센터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 지진예보통제실로부터 수신되는 지진예보신호를 연산하여 생성되는 마스터키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개방되고,
    상기 대피신호출력부는 스피커 및 문자표시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대피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무선통신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전송된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는,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상기 야외카메라모듈에서 작동하며 촬영된 영상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여, 피해규모를 판단하는 피해규모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피해규모판단모듈에서 분석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모듈은 지진발생 상황 및 규모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장치 및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86827A 2018-07-25 2018-07-25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194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27A KR101940068B1 (ko) 2018-07-25 2018-07-25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27A KR101940068B1 (ko) 2018-07-25 2018-07-25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068B1 true KR101940068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827A KR101940068B1 (ko) 2018-07-25 2018-07-25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25B1 (ko) 2019-07-30 2020-08-13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지진 대비용 cctv 카메라 장치
KR20210025993A (ko)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지진 대비용 클라우드 cctv 카메라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100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57244A (ja) * 2009-04-24 2010-11-11 Ohbayashi Corp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KR101585969B1 (ko)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101802801B1 (ko) * 2016-11-17 2017-11-29 (주)티앤제이시스템스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32337B1 (ko) 2016-11-28 2018-02-26 성창준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855847B1 (ko) * 2017-01-20 2018-05-10 케이아이티밸리(주) 재난정보 전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100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 발생시 도어락의 잠금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257244A (ja) * 2009-04-24 2010-11-11 Ohbayashi Corp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KR101585969B1 (ko)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101802801B1 (ko) * 2016-11-17 2017-11-29 (주)티앤제이시스템스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32337B1 (ko) 2016-11-28 2018-02-26 성창준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855847B1 (ko) * 2017-01-20 2018-05-10 케이아이티밸리(주) 재난정보 전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25B1 (ko) 2019-07-30 2020-08-13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지진 대비용 cctv 카메라 장치
KR20210025993A (ko)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썬플라워즈 지진 대비용 클라우드 cctv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02B1 (ko) 디지탈 영상 포착 시스템
US20040257336A1 (en) Security system user interface with video display
KR101940068B1 (ko)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2131722B1 (ko) IoT 융복합 재난 및 재해 방송 시스템
KR101844472B1 (ko) 원격 방재 시스템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KR101801200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KR101466004B1 (ko)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8308B1 (ko) 기계 학습된 객체를 식별하는 이미지식별장치를 포함하는 영상감지 시스템
JP2008217438A (ja) 緊急地震速報対応型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WO2021075006A1 (ja) エレベーター用防犯カメラ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200729366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7150452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761983B1 (ko) 비상상황 감시시스템
KR102051738B1 (ko) 쌍방향 음성정보 교환기능으로 전환되는 전관방송시스템
JP2008148138A (ja) 監視システム
JP2008217392A (ja) 緊急地震速報対応型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KR101547835B1 (ko)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JP3410832B2 (ja) 侵入監視装置および侵入監視方法
JP2020030544A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
KR101986489B1 (ko) 스마트 비상등
RU2120139C1 (ru) Система охраны и наблюдения
KR20140111718A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JP200926592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7098710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