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801B1 -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801B1
KR101802801B1 KR1020160153367A KR20160153367A KR101802801B1 KR 101802801 B1 KR101802801 B1 KR 101802801B1 KR 1020160153367 A KR1020160153367 A KR 1020160153367A KR 20160153367 A KR20160153367 A KR 20160153367A KR 101802801 B1 KR101802801 B1 KR 10180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unit
magnitude
illumination
illumina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성기철
Original Assignee
(주)티앤제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앤제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티앤제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6015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감지 센서를 내장한 조명등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시,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ILLUMINATIO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감지 센서를 내장한 조명등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시,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지구적으로 자연 재해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그 중 지진의 발생이 잦다.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증명되고 있다. 지진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서해 상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으며, 내륙에서도 규모는 작지만 다수의 지진 현상이 관측되고 있는 등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님이 증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지진 발생 시, 지진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경보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보 기술은 지진 발생 시, 해당 위치 또는 지역에 위치한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기술 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해당 경보음을 들은 사람들은 해당 경보음에 따라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안전 지대로 대피할 수 있다. 반면,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 예를 들어, 노인이나 청각 장애인들의 경우, 경보음이 잘 들리지 않거나 또는 정확한 식별이 어려운 점에 기인하여, 현재 상황이 안전한 상황인지 또는 위급한 상황인지의 파악이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 경보음을 통한 기술 외에도, 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로 재난 상황에 대한 알림을 수행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알림 기능의 경우, 재난 상황 발생 이후 즉각 적인 알림이 수행되는 것이 아닌, 일정 시간 동안의 지연 시간이 발생하고, 해당 지연 시간 이후 알림이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재난 상황의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나, 해당 알림은 재난 상황의 판단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 재난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들의 수가 많아 중앙 서버에서 가입자들 모두에 해당 알림을 수행하는데 처리량이 많은 점 등에 기인하여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노인이나 청각 장애인 등 청력에 있는 사람들도 지진 등이 발생할 때 이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 발생 시, 청각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즉각적인 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되어 지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지진 감지부; 지진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지진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지진 규모 산출부; 및 지진 규모를 근거로 지진 규모 등급을 결정하고,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키는 조명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등 경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지진 규모 등급은 안전 등급, 주의 등급 및 경고 등급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명등 제어부는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인 경우 조명등을 기본 색상 광으로 유지하되,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등급 또는 경고 등급인 경우 기본 색상 광과 다른 색상으로 조명등의 광이 출력되도록 조명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에 대해 저장부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진동 패턴에 매칭되는 지진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지진 감지부가 설치된 건물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지진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지진 규모 판단부는 지진 여부 판단부를 통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지진 감지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진 여부 판단부는 진동 패턴의 분석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때,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하고, 영상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발생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명등 제어부는 조명등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지진이 발생하였으나 조명등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일측이 조명등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스위치부에 스위치 동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는 조명등에 연결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조명등 제어부는 스위치부의 동작에도 조명등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보조 전원부를 통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는 지진 규모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알림 정보 생성부는 알림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림 정보 생성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더 수신하고, 카메라 영상을 알림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림 정보 생성부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을 알림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진동 패턴과 동일하게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되는 지진 감지부에 의해, 지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지진 규모 산출부에 의해, 지진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단계; 조명등 제어부에 의해, 지진 규모를 근거로 지진 규모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조명등 제어부에 의해,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지진 규모 등급은 안전 등급, 주의 등급 및 경고 등급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인 경우 조명등을 기본 색상 광으로 유지하는 단계; 및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등급 또는 경고 등급인 경우 기본 색상 광과 다른 색상으로 조명등의 광이 출력되도록 조명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지진 여부 판단부에 의해,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에 대해 저장부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지진 여부 판단부에 의해, 진동 패턴에 매칭되는 지진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지진 감지부가 설치된 건물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지진 규모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지진 여부 판단부에 의해, 진동 패턴의 분석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때,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지진 여부 판단부에 의해, 영상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조명등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지진이 발생하였으나 조명등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일측이 조명등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스위치부에 스위치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조명등 제어부에 의해, 스위치부의 동작에도 조명등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조명등에 연결되는 보조 전원부를 통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알림 정보 생성부에 의해, 지진 규모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알림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카메라 영상을 알림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을 알림 정보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진동 패턴과 동일하게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노인 또는 청각 장애인과 같이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지진 상황 시 조명등의 색상을 제어함으로써, 위험 상황과, 그 위험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조명등의 색상을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진 규모 등급의 정도를 고려하여 조명등의 동작 여부 및 조명등의 출력 색상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므로, 지진 규모가 작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야기시키지 않되, 지진 규모가 클 경우 즉각적인 대처를 야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보조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전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알림 정보의 송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야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사용자에게 촉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가정 또는 회사 등 실내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제어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혹은 '~모듈'등은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 혹은 '~모듈'가 있는 경우, 각각의 '~부' 혹은 '~모듈은'은 각각의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 혹은 '~모듈'를 구현함에 있어서, 중복적으로 적용되는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웨어, 제2 하드웨어, 제1 소프트웨어가 있고, A부, B부, C부, D부가 있는 경우, A부는 제1 하드웨어 및 제1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고, B부는 제1 하드웨어와 제2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고, C부는 제2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되고, D부는 제1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것처럼 경보음 등을 이용한 경보 기술의 경우, 청각에 이상이 있는 노인이나 청각 장애인을 고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청각에 이상이 있는 노인 또는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진 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상술한 경고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장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정이나 회사 등 실내에 존재하는 조명등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조명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조명등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경고 등급(이하, 지진 규모 등급)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색광 외에 다른 색상광으로의 출력이 가능한 조명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조명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 상이한 색상을 출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지진 규모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출력함으로써, 청각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도, 현재 상황에 대한 위험도 등을 직관적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진 감지부(110), 카메라(120), 지진 여부 판단부(130), 지진 규모 산출부(140), 조명등 제어부(150) 및 보조 전원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지진 감지부(110)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설치 위치에서 진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지진 감지부(110)는 실내 예를 들어, 천장이나 벽 등과 같이 건물의 진동을 느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조명등(10)의 제어를 통해 경보를 수행하므로, 다른 위치들 중 조명등(10)에 인접한 장소(예를 들어,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진 감지부(1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진동 감지 센서 예를 들어, 압축 감지 센서, 가속도 감지 센서, 지자기 감지 센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지진 감지부(110)가 가속도 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 지진 감지부(110)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저주파에 의한 미세 진동을 계측하고, 진동으로 인한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건물에 존재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건물 내에서 진동이 검출되면, 지진 감지부(110)는 지진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진 감지 신호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진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진동 세기 및 진동의 패턴을 나타내는 지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 감지부(110)를 통해 생성된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진동이 지진에 의한 진동인지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즉,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 감지 신호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건물에 진동을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이 지진 외에도 다양한 원인(예를 들어, 외부 충격 또는 센서의 오작동 등)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고, 정확하지 않은 정보에 따라 조명등을 제어하게 되면, 지진 상황이 아닐 때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진 여부 판단부(130)를 통한 검증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상술한 지진 감지 신호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과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지진 패턴들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에 대해 저장부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해당 진동 패턴에 매칭되는 지진 패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진동 패턴에 매칭되는 지진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진동 패턴에 매칭 되는 지진 패턴이 저장부 내에 존재하지 않는 다면,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이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상술한 지진 감지부(110) 뿐만 아니라, 건물 내에 설치된 카메라(120)를 활용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최근 보안이나, 애완동물 등의 안전을 위해 건물이나 가정 내에 CCTV와 같은 카메라를 설치하는 사례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건물이나 가정 내에 설치된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활용하여 상술한 지진 발생 여부의 판단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데이터의 경우 그 크기가 큰 점에 기인하여, 영상 기반으로 판단을 수행하게 된다면 그 처리량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 여부 판단부(130)는 지진 감지 신호의 분석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지진이 발생하기 직전의 시점부터 영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발생 여부에 대해 더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한 검증은 처리량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지진 감지 신호에 대한 검증 이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카메라(120)는 CCTV(폐쇄 회로 텔레비전)인 것으로 언급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다른 종류의 카메라가 설치되더라도 동일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정이나 건물 내에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선택에 따라 추가적으로 카메라를 설치한 후 상술한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120)의 설치 위치는 지진 감지부(110)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120)와 지진 감지부(110)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해당 위치 부분에 진동이 발생한다면, 지진이 아님에도 건물 전체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감지부(110)가 천장에 설치될 경우, 해당 카메라(120)는 벽 등과 같이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들 2개의 구성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진 규모 산출부(140)는 지진 여부 판단부(130)를 통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동작되고,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지진 규모의 경우 나라별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진 규모 산출 방법을 특정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조명등 제어부(150)는 지진 규모 산출부(140)를 통해 산출된 지진 규모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10)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조명등 제어부(150)는 산출된 지진 규모에 따라 지진 규모 등급을 결정하고, 지진 규모 등급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조명등(10)을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형광등 또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등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조작 시 미리 설정된 기본 색상 광(예를 들어, 백색광)이 출력되는 성질을 고려하여, 지진 등이 발생할 때 그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이 광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또는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그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기본 색상 광을 그대로 출력하되, 대피가 필요할 정도로 그 규모가 큰 상황이라면 적색과 같이 그 위험도를 알릴 수 있는 색상으로 조명등을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진 규모가 3개의 지진 규모 등급으로 구분되고, 각 지진 규모 등급은 안전 등급, 주의 등급 및 경고 등급으로 나뉜다고 가정한다. 또한, 안전 등급의 경우 지진 규모가 0 내지 2.9이고, 주의 등급의 경우 지진 규모가 3 내지 4.9이며, 경고 등급의 경우 지진 규모가 5 이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지진 규모가 5.5인 지진이 감지된 상황을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 구체적으로, 조명등 제어부(150)는 해당 지진 규모에 해당하는 지진 규모 등급인 경고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조명등 제어부(150)는 경고 등급에 대응하는 색상 (예를 들어, 적색)으로 조명등(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였고, 지진 규모 산출부(140)에서 지진 규모가 3.5로 산출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조명등 제어부(150)는 지진 규모 등급을 주의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조명등 제어부(150)는 주의 등급에 대응하는 색상(예를 들어, 주황색)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진이 발생하였으나, 그 규모가 작은 상황을 가정한다. 즉, 지진 규모 산출부(140)에서 지진 규모가 2.0인 것으로 산출된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지진은 발생하였지만, 실제로 사람이나 건물 내부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조명등의 광 색상 그 자체를 변경시키는 점에 기인하여, 그 규모가 작은 지진에서도 조명등의 색상이 변화하게 된다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키거나, 또는 불안감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또는 지진 규모가 작은 경우(즉, 안전 등급에 해당하는 정도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조명등(10)을 통해 출력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지진 규모 등급은 3개인 것으로 가정되었고, 각 지진 규모 등급은 안전 등급, 주의 등급 및 경고 등급인 것으로 가정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실제 적용에 따라 지진 규모 등급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개수의 변경에 따라 각 지진 규모 등급이 의미하는 바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출력되는 광의 색상도 상기 색상 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위의 설명에서 안전 등급은 지진 규모가 0 내지 2.9이고, 주의 등급은 지진 규모가 3 내지 4.9이며, 경고 등급은 지진 규모가 5 이상인 것으로 가정되었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라 별로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방식이 상이한 점,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지진 규모 등급은 다양한 개수로 구분될 수 있는 점에 기인하여, 각 등급에 따른 지진 규모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조명등 제어부(150)는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또는 경고 등급과 같이, 위험 정도가 비교적 높은 상황일 경우, 조명등이 미리 결정된 색상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색상 광을 점멸시키는 방식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상술한 조명등 제어에 있어서, 조명등(10)의 동작 여부를 고려하여 상술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가정이나 건물 내에 있으나, 주간이나 수면 등의 이유로 조명등(10)을 동작시키지 않고, 꺼둔 상태로 둔 상황을 더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조명등(10)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조명등(10)에서 출력되는 광의 색을 변경시키되, 조명등(10)이 동작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조명등(10)을 동작시킨 후, 상술한 조명등(10)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조명등 제어부(150)는 상술한 조명등(10)의 색상 제어를 수행하기 전, 조명등(10)의 동작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지진이 발생한 상황에서 조명등(10)이 현재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앞서 설명된 조명등 제어를 수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조명등 제어부(150)는 일측이 조명등(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 전원(20)에 연결된 스위치부(30)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명등 제어부(150)는 지진이 발생하였으나 조명등(10)이 꺼져 있는 경우, 스위치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스위치 동작 신호를 스위치부(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발생 시, 조명등이 꺼져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지진에 따른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그 규모가 작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등 제어부(150)는 지진이 발생하였더라도 그 규모가 작은 경우(즉,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인 경우), 조명등(10)이 꺼져있는 상황이라면 상술한 스위치 동작 신호의 생성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지진 등에 의해 정전이 발생되어, 조명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청각 장애인 등과 같이 청각으로 경보를 듣기 어려운 사람들의 경우, 시각을 통한 경보 기술이 중요하다. 다만, 정전 또는 조명등(10)과 외부 전원(20) 간의 단선 등이 발생하여 조명등(10)이 작동되기 어려운 상황에 지진이 발생한다면, 청각 장애인 등과 같은 사람들의 경우 그 경보를 제때에 받지 못하여 위험한 상황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보조 전원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전원부(160)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고, 조명등(10)에 연결되어 조명등(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최근 형광등이 아닌 엘이디의 경우, 그 특성에 기인하여 교류 전원을 정류함으로써 직류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되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배터리와 같은 보조 전원부(160)의 경우, 직류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이므로 상술한 정류 과정 없이도, 엘이디로 구성된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술한 경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조명등(10)은 하나의 등에서 복수의 색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조명등(10)에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시키고, 지진 규모에 따라 상이한 램프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고를 수행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노인 또는 청각 장애인과 같이 청력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지진 상황 시 조명등의 색상을 제어함으로써, 위험 상황과, 그 위험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조명등(10)의 색상을 제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진 규모 등급의 정도를 고려하여 조명등의 동작 여부 및 조명등의 출력 색상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므로, 지진 규모가 작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야기시키지 않되, 지진 규모가 클 경우 즉각적인 대처를 야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보조 전원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전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100)는 상술한 조명등 제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지진 발생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로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지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설명이 더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는 도 1을 참조로 설명된 기능들 외에, 사용자 단말기(40)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는 지진 감지부(210), 카메라(220), 지진 여부 판단부(230), 지진 규모 산출부(240), 조명등 제어부(250), 보조 전원부(260), 알림 정보 생성부(270) 및 통신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진 감지부(210), 카메라(220), 지진 여부 판단부(230), 지진 규모 산출부(240), 조명등 제어부(250), 보조 전원부(260)의 경우,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조명등 경보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아래에서는 알림 정보 생성부(270) 및 통신부(280)를 중심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알림 정보 생성부(270)는 지진 규모를 산출부(240)를 통해 산출된 지진 규모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280)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40)로 상기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40)는 스마트홈 콘트롤 디바이스, 월패드,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전화기, 화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e-book reader), 데스크 탑(desktop) PC, 랩탑(laptop) PC, 넷북(netbook) PC,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 이동 의료 디바이스,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 전자 의류,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80)는 유선적 통신 혹은 무선적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유선적 통신으로는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RS방식 통신, RS-485 (Recommend Standard number 485), TCP/IP 혹은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의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무선적 통신으로는, RF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오디오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및 WiFi 통신,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 무선 랜(WLAN) 통신, 와이브로(WiBro) 통신, 무선 USB(Wireless USB) 통신 등의 방법이 이용되거나 이와 관련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지진이 발생하였고,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사용자 단말기(40)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기(40)는 사용자에게 진동 등을 통해 촉각적으로 알림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는 지진 발생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을 알림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 단말기(40)에서 상기 진동 패턴과 동일한 진동 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알림 정보 생성부(270)는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진동 세기를 결정하고, 진동 세기에 대한 정보를 알림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지진 규모에 따라 결정된 진동 세기로 사용자 단말기(4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촉각적인 정보만으로 지진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조명등을 통한 알림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받을 수 있게끔 유도할 수 있고, 시각적인 알림 뿐만 아니라 촉각적인 알림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특징의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 존재하더라도 현재 상황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림 정보 생성부(270)는 지진 발생 시, 카메라(220)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더 수신하고, 수신된 카메라 영상을 알림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은 그 용량이 큰 점에 기인하여 알림 정보의 송신에 있어서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림 정보 생성부(270)는 지진이 발생하기 직전의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카메라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카메라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40)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알림 정보 생성부(270)는 인코딩 등의 과정을 통해 카메라 영상의 용량을 줄이고, 인코딩이 수행된 카메라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40)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에 있더라도 현재 실내의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는 상술한 알림 정보의 송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야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사용자에게 촉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가정 또는 회사 등 실내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경고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장치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정이나 회사 등 실내에 존재하는 조명등을 활용하여, 지진 발생 시 지진에 대한 경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진 규모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출력함으로써, 청각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에게 현재 상황에 대한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부분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여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110 단계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되는 지진 감지부에 의해, 지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출력된 지진 감지 신호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진 여부 판단부와 지진 규모 산출부에서 수신되고, 각각 지진 여부 판단과 지진 규모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진 감지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장이나 벽 등과 같이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을 느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진 감지부는 조명등에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또한, 지진 감지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진동 감지 센서 예를 들어, 압축 감지 센서, 가속도 감지 센서, 지자기 감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120 단계는 지진 여부 판단부에 의해, S11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S120 단계는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에 대해 저장부에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S120 단계는 진동 패턴에 매칭되는 지진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지진 감지부가 설치된 건물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는 S130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는 S110 단계로 전달되어 상술한 과정을 재수행한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지진 발생 시, 조명등을 통해 방출되는 광의 색상을 변경하는 방식이기에, 지진 발생의 판단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예를 들어, 외부 충격 또는 센서의 오작동 등), 사용자는 원치 않는 조명 색상 변화를 겪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센서를 이용한 방식 외에,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통해 영상 기반으로 판단을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다.
S130 단계는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고, S140 단계는 영상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S130 단계 및 S140 단계는 S120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이를 검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140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150 단계로 전달되고,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110 단계로 전달되어 상술한 과정을 다시 진행하게 된다.
S150 단계는 S120 단계 및 S140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즉, 센서 및 영상 기반의 판단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수행되는 단계로서,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S150 단계는 S110 단계를 통해 출력되어 수신된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진 규모는 나라별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그 크기가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진 규모 산출 방법을 특정 방식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S160 단계는 조명등 제어부에 의해, 지진 규모를 근거로 지진 규모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진 규모 등급은 안전 등급, 주의 등급 및 경고 등급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S170 단계는 S160 단계를 통해 결정된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키는 단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기본 색상 광(예를 들어, 백색광)으로 광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S170 단계는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등급 또는 경고 등급일 때, 기본 색상 광(예를 들어, 백색광)과는 다른 색상으로 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S170 단계는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등급일 때 조명등이 주황 색상의 광을 출력하도록, 그리고 지진 규모 등급이 경고 등급일 때 조명등이 적색의 광을 출력하도록 조명등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진 규모 등급의 종류와 이에 따라 출력되는 조명광의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170 단계는 조명등의 동작 여부, 그리고 지진 규모 등급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로, S170 단계에 대한 설명이 더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제어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S171 단계는 지진 규모 등급이 어떤 등급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진 규모가 작은 경우(즉,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인 경우), 꺼져 있던 조명등이 갑자기 켜지거나, 또는 조명등의 색상이 변경된다면 실질적으로는 안전한 상태임에도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주거나, 또는 불편함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S171 단계는 현재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인지를 판단하고,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으로 판단될 때 제어를 종료 블록으로 전달함으로써, 추가적인 제어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반대로, S171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등급 또는 경고 등급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172 단계로 전달된다.
S172 단계는 현재 조명등이 동작중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현재 조명등이 꺼져있는 상황에서 지진이 발생하였고, 그 지진 규모가 주의 등급 이상일 때에는 현재 상황을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야 한다. 이에 따라, S172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조명등이 동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176 단계로 전달되어 조명등의 색상 변경을 위한 제어가 수행된다. 반대로, S172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조명등이 꺼져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173 단계로 전달되어 조명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일련의 절차가 수행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조명등이 꺼져있는 상황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끈 상황(예를 들어, 주간이거나, 수면 등)이거나,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해 조명등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S173 단계를 통해 스위치 동작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조명등과 외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스위치에 전달함으로써 조명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S174 단계는 S173 단계를 통해 조명등이 동작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S174 단계는 정전 상태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S174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조명등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176 단계로 전달되어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결정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반대로, S174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조명등에 연결된 보조 전원부(예를 들어, 배터리)를 통해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S176 단계를 통해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결정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지진의 규모, 조명등의 동작 여부 및 정전 발생 여부 등 다양한 조건 및 환경을 고려하여 조명등 경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지진 발생 시 지진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되, 위험 정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보조 전원부를 통해 정전이 발생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촉각적으로 지진 발생 여부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경보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S210 단계 내지 S270 단계는 상술한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동 부분을 제외하고, 도 4의 S110 단계 내지 S17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대비 부가사항을 위주로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280 단계는 알림 정보 생성부에 의해, 지진 규모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고, S290 단계는 알림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알림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290 단계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의 경우 PLC, RS방식 통신, RS-485, TCP/IP 혹은 PSTN 등의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무선의 경우,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 통신, 적외선 통신, BLE 통신, 오디오 통신, LTE 통신, 및 WiFi 통신,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 무선 랜 통신, 와이브로 통신, 무선 USB 통신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S280 단계는 알림 정보에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진동 패턴과 동일하게 진동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지진 규모에 대응하는 세기로 발생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촉각으로 지진의 정도를 더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도 2를 참조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조명등 경보 장치
110 : 지진 감지부 120 : 카메라
130 : 지진 여부 판단부 140 : 지진 규모 산출부
150 : 조명등 제어부 160 : 보조 전원부
270 : 알림 정보 생성부 280 : 통신부

Claims (11)

  1. 실내의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되어 지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지진 감지부;
    상기 지진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지진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지진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규모를 산출하는 지진 규모 산출부;
    상기 지진 규모를 근거로 지진 규모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지진 규모 등급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조명등을 동작시키는 조명등 제어부;
    상기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에 대해 저장부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진동 패턴에 매칭되는 지진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진 감지부가 설치된 건물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지진 여부 판단부;
    상기 조명등에 연결되는 보조 전원부; 및
    상기 지진 규모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 규모 등급은 안전 등급, 주의 등급 및 경고 등급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등급으로 분류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는 상기 지진 규모 등급이 안전 등급인 경우 상기 조명등을 기본 색상 광으로 유지하되, 상기 지진 규모 등급이 주의 등급 또는 경고 등급인 경우 상기 기본 색상 광과 다른 색상으로 조명등의 광이 출력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고,
    상기 지진 규모 산출부는 상기 지진 여부 판단부를 통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지진 감지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지진 여부 판단부는 진동 패턴의 분석 결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때, 실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영상 감지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영상 감지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진 발생 여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지진 여부 판단부의 영상 감지 신호 분석을 통한 지진 발생 여부 판단은 지진 감지 신호에 대한 검증 이후 수행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지진이 발생하였으나 상기 조명등이 동작되지 않는 경우, 일측이 상기 조명등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이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스위치부에 스위치 동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도 상기 조명등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조 전원부를 통해 상기 조명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알림 정보 생성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더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을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알림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지진 감지 신호에 포함된 진동 패턴을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진동 패턴과 동일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진동을 야기시키는 조명등 경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53367A 2016-11-17 2016-11-17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0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67A KR101802801B1 (ko) 2016-11-17 2016-11-17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67A KR101802801B1 (ko) 2016-11-17 2016-11-17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801B1 true KR101802801B1 (ko) 2017-11-29

Family

ID=6081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367A KR101802801B1 (ko) 2016-11-17 2016-11-17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8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434B1 (ko) * 2017-12-22 2018-10-10 김기봉 다기능 비상등
KR101940068B1 (ko) * 2018-07-25 2019-01-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1938815B1 (ko) * 2018-04-10 2019-04-10 (주)썬래이 지진 경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용 디밍 및 점소등 제어박스
KR101938839B1 (ko) 2018-04-10 2019-04-10 (주)썬래이 지진 경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KR102084234B1 (ko) * 2018-08-31 2020-03-03 주식회사 두잇 지진 대응 시스템
CN111508203A (zh) * 2020-04-15 2020-08-0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地震预警提示方法及装置、可穿戴设备
KR102464224B1 (ko) * 2022-05-16 2022-11-04 강성택 지진 및 기울어짐 감지 기능이 구비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062A (ja) * 2000-11-17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JP2003057356A (ja) * 2001-08-08 2003-02-26 Toshiba Corp 地震による管路の被害予測システム
JP2003294849A (ja) * 2002-04-04 2003-10-15 Tokai Rika Co Ltd 地震監視装置及びその地震監視方法
JP2007094448A (ja) * 2005-08-30 2007-04-12 Daiichi Tsusho Kk 地震警報装置
KR101412208B1 (ko) 2013-03-29 2014-06-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규모에 따른 경보음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062A (ja) * 2000-11-17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JP2003057356A (ja) * 2001-08-08 2003-02-26 Toshiba Corp 地震による管路の被害予測システム
JP2003294849A (ja) * 2002-04-04 2003-10-15 Tokai Rika Co Ltd 地震監視装置及びその地震監視方法
JP2007094448A (ja) * 2005-08-30 2007-04-12 Daiichi Tsusho Kk 地震警報装置
KR101412208B1 (ko) 2013-03-29 2014-06-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규모에 따른 경보음 발생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434B1 (ko) * 2017-12-22 2018-10-10 김기봉 다기능 비상등
WO2019124700A1 (ko) * 2017-12-22 2019-06-27 김기봉 다기능 비상등
KR101938815B1 (ko) * 2018-04-10 2019-04-10 (주)썬래이 지진 경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용 디밍 및 점소등 제어박스
KR101938839B1 (ko) 2018-04-10 2019-04-10 (주)썬래이 지진 경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KR101940068B1 (ko) * 2018-07-25 2019-01-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지진감지센서가 내장된 영상감지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2084234B1 (ko) * 2018-08-31 2020-03-03 주식회사 두잇 지진 대응 시스템
CN111508203A (zh) * 2020-04-15 2020-08-0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地震预警提示方法及装置、可穿戴设备
CN111508203B (zh) * 2020-04-15 2022-03-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地震预警提示方法及装置、可穿戴设备
KR102464224B1 (ko) * 2022-05-16 2022-11-04 강성택 지진 및 기울어짐 감지 기능이 구비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801B1 (ko) 조명등 경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631090B1 (ko) 건물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대응방법
JP2008204393A (ja) 照明システム
US20140139539A1 (en) Emergency digital signage
KR101902888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008100B2 (en) Coordinated communications in emergency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297285B1 (ko) Led조명을 이용한 대피 유도 시스템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2035614B1 (ko) 동작 감지 센서 및 전등을 활용한 독거인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279873B (zh) 提示方法及装置
KR20110116569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재난탈출 중앙관제 시스템
KR20170037753A (ko) 청각장애인용 알림 장치
JP2013073499A (ja) 災害表示システムおよび災害監視装置および災害表示装置
Jung et al. IoT enabled smart emergency led exit sign controller design using Arduino
TWI621103B (zh) Disaster Alert Escape Guidance System and Escape Guidance Control Module
KR20200007756A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TWI293744B (ko)
KR101639598B1 (ko) 범죄예방 스마트 반지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스마트 알림 시스템
JP2015095420A (ja)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619489B1 (ko) 재난상황에서 안전도구의 위치알림 무전원 패치 장치 및 방법
KR200397861Y1 (ko)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양방향성영상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