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3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35B1
KR101934735B1 KR1020120096551A KR20120096551A KR101934735B1 KR 101934735 B1 KR101934735 B1 KR 101934735B1 KR 1020120096551 A KR1020120096551 A KR 1020120096551A KR 20120096551 A KR20120096551 A KR 20120096551A KR 101934735 B1 KR101934735 B1 KR 10193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ibration
connecting member
casing
vibration damping
out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013A (ko
Inventor
유인식
김영준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35B1/ko
Priority to US14/014,747 priority patent/US10023988B2/en
Priority to PCT/KR2013/007816 priority patent/WO2014035183A1/en
Publication of KR2014002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지지부재와, 상기 외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마찰 작용하며,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평진동감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 함.)에 묻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도록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과정을 진행한다.
통상의 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수용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세탁기는 상기 내조 및/또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조가 진동할 시 이를 감쇠시키기 위한 서스펜션을 더 포함한다.
통상 서스펜션은 스프링에 의한 탄성/복원력, 유체의 점성력 등을 이용하여 외조로부터 발생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서스펜션은 외조가 일정한 진폭 범위 내에서 진동하는 정상상태에서는 효과적으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으나, 정상진동상태보다 더 큰 크기의 진동이 발생할 시 이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특히, 종래에는 케이싱의 네 군데 각 모서리로부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각 지지부재가 서스펜션에 의해 외조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주로 외조의 상하방향의 진동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네 군데에 장치된 서스펜션에 의해 외조의 상하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킴으로써, 외조의 수평진동도 어느 정도 감쇠되는 효과가 있기는 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외조의 상하방향의 진동 저감에 따른 부수적인 효과일 뿐이고, 수평진동이 심한 경우, 예를들어 내조 내에 편심이 유발된 경우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외조의 수평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외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및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마찰 작용하며,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평진동감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조의 수평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조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외조와 케이싱과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상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탈수진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수평진동감쇠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평진동감쇠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승강바의 일 실시예로써,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 도시된 승강바의 다른 실시예로써,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2는 도 10을 상측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 수평진동감쇠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와 그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을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8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과,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미도시)을 여닫는 도어(7)를 포함한다.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2)가 지지부재(15)에 의해 케이싱(10)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되고, 외조(2)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조(3)의 바닥에는 펄세이터(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내조(3)에는 세탁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케이싱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족한 것이나, 특히, 외조(2)를 매다는 지지부재(15)의 일단이 케이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강체(剛體, rigid body)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은 상측이 개구된 본체(12)와, 본체(12)의 상측에 구비되고 대략 중앙부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되는 탑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에는 지지부재(15)의 일단이 피벗(pivot)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6)를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6)는 케이싱 내에 고정 배치되면 족한 것으로, 본체(12) 또는 탑커버(14) 중 어느 것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지지부재(15)의 일단은 케이싱(10)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부재(15)는 케이싱(10)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 지지부(16)를 매개로 하여 케이싱(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지지부재(15)는 일단이 지지부(16)와 연결되고, 타단이 서스펜션(30)에 의해 외조(2)와 연결된다. 서스펜션(30)은 지지부재(15)와 외조(2)를 연결함과 아울러, 세탁기 작동 중 발생하는 외조(2)의 진동을 감쇠시킨다.
서스펜션(30)은 외조(2)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외조(2)의 진동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재, 예를들어 스프링(32)이 변형됨으로써 진동이 완충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서스펜션(30)은 외조(2)의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 또는 흡진기일 수도 있고, 완충과 댐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부호와 이에 따른 구성들을 더 설명하면, 급수유로(5)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외조(2) 및/또는 내조(3)내로 물을 급수하는 한다. 급수밸브(6)는 급수유로(5)를 단속한다. 구동부(13)는 내조(3) 및/또는 펄세이터(4)를 구동시킨다. 배수유로(9)는 외조(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킨다. 배수밸브(8)는 배수유로(9)를 단속한다. 배수펌프(10)는 배수유로(9)로 배수되는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펌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수평진동감쇠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평진동감쇠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2) 상단의 변위에 따라 마찰력을 제공하여 댐핑 기능을 수행하는 수평진동감쇠부(100)를 포함한다.
수평진동감쇠부(100)는, 내조(3)의 회전에 따라 외조(2)의 진동이 발생할 시, 외조(2)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특히 외조(2) 상단에서의 변위에 따라 이동되는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외조(2)의 진동 중 상하 방향의 진동은 주로, 외조(2)의 하단에 구비된 서스펜션(30)에 의해 감쇠되고, 수평방향의 진동은 주로 외조(2)의 상단에 구비된 수평진동감쇠부(100)에 의해 감쇠된다.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케이싱(10)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110)와, 일단이 외조(2)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연결부재(110)와 연결되되, 외조(2)의 진동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재(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 연결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110)는 케이싱(10)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111)와, 후술하는 제 2 연결부재(120)의 피스톤(122)이 삽입되는 실린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연결부(111)는 나사, 볼트, 핀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케이싱(10), 특히 지지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120)는 외조(2)의 진동에 대응하여 실린더(112)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122)과, 피스톤(1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조(2)와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22)의 외주면과 실린더(112)의 내주면이 서로 면접촉될 수 있고, 이 경우, 피스톤(122)이 실린더(112)를 따라 습동될 시, 양자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조 연결부(121)는 외조(2) 상단의 연결부재 체결부(4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하량에 따라 외조(2)의 쳐짐이 발생하더라도, 케이싱 연결부(111) 및/또는 외조 연결부(121)의 피벗 동작에 의해 수평진동감쇠부(100)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연결부재 체결부(40)는 외조(2)에 구비되어, 제 2 연결부재(1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외조(2) 측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진 베이스(41)와 베이스(41)에서 돌출형성되어 외조 연결부(121)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 체결부(40)는 외조(2)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고, 다르게는, 외조(2)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외조(2)와 결합 또는 융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제 2 연결부재(120)는 케이싱 연결부(111)가 외조 연결부(121) 보다 상측에 배치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결부재(120)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체결면(42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를 이루며 체결돌기(42)와 연결된다. 각도 a는 또한 수평진동감쇠부(100)의 종축을 따른 연장방향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이기도 하고, 지지부재(15)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b, 도 1 참조)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다.
마찰부재(130)는 제 2 연결부재(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1 연결부재(110)는 마찰부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마찰부재 수용부(115)를 포함하고, 마찰부재(130)는 피스톤(122)에 외삽된 상태로 마찰부재 수용부(115)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마찰부재(130)의 움직임은 마찰부재 수용부(115) 내에서로 한정된다. 마찰부재(130)의 움직임은 마찰부재 수용부(115)의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 1 제한부(115a)와 제 2 제한부(115b) 사이로 제한된다.
마찰부재(130)는 다소간의 압축된 상태로 마찰부재 수용부(115) 내에 수용되고, 그 재질로는 펠트(felt) 등의 섬유질이나, 다소 간의 탄력성향을 갖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부재(130)가 마찰부재 수용부(115)를 타격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136, 137)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충격흡수부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마찰부재와 마찰부재 수용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마찰부재(130)는 내주면이 피스톤(122)의 외주면과 마찰되고, 외주면은 마찰부재 수용부(115)의 내주면과 마찰된다. 이때, 마찰부재(130)의 내주면과 피스톤(115)의 외주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바람직하게는, 마찰부재(130)의 외주면과 마찰부재 수용부(115)의 내주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보다 커야한다.
탈수 등을 수행하기 위해 내조(3)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외조(2)의 진동량은, 내조(3) 내의 포의 배치상태에 따른 편심량, 포량, 물의 양, 회전 속도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외조(2)의 진동이 작게 발생되는 소정의 구간에서는, 어느 정도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제 1 연결부재(110)에 대한 제 2 연결부재(120)의 상대 운동 거리가 외조(2)의 진동이 허용되는 기준변위 내이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예를들어, 외조(2)와 본체(12)간의 충돌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소정의 값을 기준변위로 정의하면, 상기 기준변위 내에서는 제 2 연결부재(120)의 이동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기준변위 내에서는 제 2 연결부재(120)가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마찰부재(130)는 피스톤(122)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피스톤(122)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130)의 외주면과 마찰부재 수용부(115)의 내주면 사이에는 극히 작은 크기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준변위 내에서도 피스톤(122)과 실린더(112)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한 댐핑 기능은 이루어진다.
한편, 외조(2)의 진동이 상당하여, 제 2 연결부재(120)의 이동 변위가 상기 기준변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마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2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한 추가적인 댐핑력이 요구된다. 제 2 연결부재(120)의 이동 변위가 기준변위 내인 경우에는, 마찰부재(130)가 제 2 연결부재(120)에 고정된 상태로, 또는 마찰부재(130)가 극히 미미하게 이동되는 내에서 제 2 연결부재(120)의 이동(이는 제 1 연결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을 의미한다.)이 이루어지고, 기준변위 이상의 위치변동이 있을 시에는 마찰부재(130)와 피스톤(122)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기준변위를 고려한 마찰부재 수용부(115)의 종축 길이, 마찰부재(130)와 마찰부재 수용부(115) 사이의 마찰력, 마찰부재(130)와 피스톤(122) 사이의 마찰력이 정해져야한다. 여기서, 마찰력은 제 1 연결부재(110) 또는 제 2 연결부재(120)에 대한 마찰부재(130)의 상대운동 시에 작용하는 운동 마찰력을 고려하였다. 마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20)(특히 피스톤(122))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상당한 크기를 갖도록 설정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마찰부재(130)와 제 2 연결부재(12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마찰부재(130)와 제 1 연결부재(110), 특히 마찰부재 수용부(115)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커야 한다.
제 2 연결부재(120)의 이동 변위가 기준변위보다 큰 경우에는, 마찰부재(130)가 제 2 연결부재(120)를 따라 마찰되며 이동하기 때문에, 기준변위 내에서보다 더 큰 댐핑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120)의 변위가 기준변위 내인 구간은 내조(3)의 회전 운동이 정상상태에 이른 경우,(예를들어, 탈수운전시 내조(3)내의 포의 분산이 고르게 이루어진 상태로 고속 회전되는 경우)를 들 수 있고, 기준변위 보다 큰 구간은 내조(3)의 회전이 정상상태에 이르기 전의 과도상태나, 내조(3) 내의 포 분산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 편심이 유발된 상태에서 내조(3)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케이싱(10)의 4 군데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5)는 케이싱(10)의 각 모서리와 대응하여 4 개가 구비되고,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지지부재(15)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되되, 각각의 수평진동감쇠부(100)는 그 자신과 대응하는 지지부재(15)를 기준으로 같은 쪽에서 외조(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케이싱(10)의 각 모서리에는 지지부(16)가 구비되고, 각각의 지지부(16)에는 지지부재(15)가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일단이 지지부(16)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외조(2)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되,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지지부재(15)를 기준으로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측에 구비된 수평진동감쇠부들(100)은 외조(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인 관계이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되고, 외조(2)의 진동, 특히 수평 진동이 어느 방향으로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충분한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조(2)의 각 4 군데 모서리에 각각 제 1 연결부재(110)가 연결되는 구조에서, 외조(2)의 중심(c)을 지나는 2개의 대칭 중심선을 S1, S2라고 할때, 제 2 연결부재(120)는 각 대칭 중심선을 넘지 않는 위치에서 외조(2)와 연결된다.
외조(2)와 본체(12)와의 거리는 S1 또는 S2 상에서 가장 최소가 된다. 따라서, 제 2 연결부재(120)가 S1 또는 S2상에서 외조(2)와 연결되거나, 또는 동선상에서 수평진동감쇠부(100)의 어느 구성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구성이 점유하는 공간으로 인해 외조(2)와 본체(1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외조(2)의 진동을 고려하여 외조(2)와 본체(1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 이상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동일한 본체(12)의 용적에 대하여 실질적으로는 외조(2)의 용량을 축소하여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칭 중심선에 대하여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외조(2)와의 연결부가 상기 대칭 중심선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200)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200)는 제 1 연결부재(210)가 지지부재(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점에서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1 연결부재(110)와 차이가 있다.
제 1 연결부재(210)는 지지부재(15)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는 이동 연결부(215)와, 이동 연결부(216)로부터 연장된 피스톤(212)을 포함한다. 이동 연결부(216)에는 지지부재(15)가 내삽되는 관통홀(217)이 형성된다.
제 2 연결부재(220)는 외조(2)의 진동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대 운동한다. 제 2 연결부재(220)는 외조(2)와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221)와, 피스톤(212)이 삽입되는 실린더(222)와, 마찰부재(130)가 수용되는 마찰부재 수용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220)의 일단에는 외조(2)의 체결부(40)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221)가 형성되고, 외조 연결부(221)는 나사, 볼트, 핀 등의 체결부재(223)에 의해 연결부재 체결부(4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200)는 제 1 연결부재(210)가 지지부재(15)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기 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부재(210)는 내조(3) 내로 투입된 포의 양 또는 외조(2)에 담긴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부하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부하량이 달라지더라도 일정한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부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그에 따라 제 1 연결부재(210)가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피스톤(212)과 실린더(222)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설계 기준에 부합하는 예측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제 1 연결부재(210)와 제 2 연결부재(220) 간의 상대운동이 발생됨으로써, 진동에 따른 댐핑력 유지 및 진동 제어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연결부재(220)에 피스톤이 구비되고, 제 1 연결부재(210)에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을 따라 마찰부재(23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20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배칠될 수 있고, 그에 따른 효과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기로 한다.
도 8은 도 6b의 A-A를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이동 연결부(216)는 지지부재(15)가 관통되는 관통홀(217)이 형성되고, 관통홀(217) 주변으로 지지부재(15)와 접하는 부분을 따라 그리스 도포를 위한 함침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함침부(218)는 관통홀(217)의 경계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절개되되, 도포된 그리스가 밑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측은 막혀 있되, 상측은 막혀 있거나 개구되는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특히, 상측이 개구된 경우에는 수평진동감쇠부(20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유지 보수를 위한 그리스 도포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함침부(218) 내에 그리스가 도포됨으로써, 외조(2)의 부하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재(210)가 지지부재(15)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내조(3)의 고속 회전시에도 제 1 연결부재(210)의 이동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이 저감되고, 지지부재(15)를 따라 습동 운동함에 따른 마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연결부(216')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연결부(216') 내에는 지지부재(15)가 관통되는 관통홀(217)이 형성되고, 관통홀(217)과 지지부재(15) 사이에 탄성부재(219)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219)는 외력에 의해 다소간의 변형이 이루어지과 외력제거시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이면 족하고, 예를들어, 천연, 합성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조(3)의 고속 회전시에도, 제 1 연결부재(210)의 이동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이 저감되고, 지지부재(15)를 따라 습동 운동함에 따른 마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 및 그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2는 도 10을 상측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 수평진동감쇠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지지부재(15)를 따라 습동 가능하게 연결된 습동부(50)를 포함하고, 습동부(50)의 양측으로 상호 대칭적으로 한 쌍의 수평진동감쇠부(100)가 연결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평진동감쇠부(100)는 기본적으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100)에 대한 설명을 따르기로 하고, 다만 제 1 연결부재(110)가 케이싱(10)이 아닌 습동부(50)에 연결되는 점만 다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200)일 수 있으며, 어느 것이나, 외조(2)의 진동에 따라 제 1 연결부재(110, 210)와 제 2 연결부재(120, 220)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진동량에 따라서 마찰부재(130)와 피스톤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 마찰력에 의한 댐핑력이 확보되는 점에 있어서 공통적이다.
또한, 외조(2)에는 지지부재(15)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연결부재 체결부(40)가 형성되고, 각 연결부재 체결부(40)에 수평진동감쇠부(100)가 연결된다. 연결부재 체결부(40)와 수평진동감쇠부(100) 간의 결합구조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방식과 동일함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1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케이싱(10)의 네군데 모서리 모두에 수평진동감쇠부(100)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10)의 모서리들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에만 구비된다. 물론, 다른 모서리들에도 수평진동감쇠부(1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습동부(50)의 양쪽으로 한쌍의 수평진동감쇠부(100)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들에만 수평진동감쇠부(100)들을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기하학적으로 대칭적인 배치를 이룰 수 있어, 외조(2)의 수평진동이 어느 방향으로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와 그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을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300)는 지지부재(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연결부재(310), 외조(2)의 진동에 따라 제 1 연결부재(3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 2 연결부재(320)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200)와 유사하나, 이동 연결부(316)가 지지부재(15)를 따라 이동 가능 할 뿐만 아니라, 여기에 더하여 피벗 동작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어서 주요한 차이가 있다.
이동 연결부(316)는 지지부재(15)를 따라 습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습동부(351)와, 습동부(35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 결합부(352)를 포함한다. 습동부(351) 및 피벗 결합부(352) 중의 어느 하나에는 체결돌기(351a)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체결돌기(351a, 351b)가 삽입결합되는 체결홀(352a, 352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피벗 결합부(352)로부터 피스톤(312)이 연장되고, 피스톤(312)을 따라 마찰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나, 제 2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2개의 마찰부재(331, 332)가 구비된다.
제 2 연결부재(320)는 피스톤(312)이 삽입되는 실린더(322)와 마찰부재(331, 332)가 수용되는 마찰부재 수용부(325)를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부재(220)와 공통이나, 2개의 마찰부재(331, 332)가 각각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마찰부재 수용부(325)가 구획판(326)에 의해 제 1 수용부(325b)와 제 2 수용부(325a)구획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제 2 마찰부재(332)는 일정 수준 압축된 상태로 수용됨으로써, 외조(2)의 진동에 대응하여 제 2 연결부재(320)와 일체로 운동되면서 피스톤(312)과의 사이에 일정 수준의 마찰력을 형성한다.
마찰부재 수용부(325)에는 조립을 위해 마찰부재(33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320)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마찰부재 수용부(325) 내에 마찰부재(330)를 삽입한 후,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320)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하면서도 조립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제 2 연결부재(320)의 외조 연결부(321)는 핀(361)에 의해 연결부재 체결부(40)와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핀(361)을 외조 연결부(321)에 직접 체결하지 않고, 핀(361)과 외조 연결부(321) 사이에 부싱(362)과 탄성부재(36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조 연결부(321)에 탄성부재(363)를 삽입하고, 탄성부재(363)에 부싱(362)을 삽입하고, 부싱(362)에 핀(361)을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 2 연결부재(320)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하고, 이상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 1 연결부재(310)가 제 2 연결부재(320)의 내측에 삽입된 구조하에서 외조(2)의 진동에 따라 제 2 연결부재(320)가 제 1 연결부재(3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케이싱(10)에 연결된 제 1 연결부재가 제 2 연결부재를 외감하는 구조(도4 참조.)에서 외조(2)의 진동에 따라 제 2 연결부재와 제 1 연결부재 간에 상대적인 운동이 유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도 15에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습동부(351)의 양쪽으로는 체결홀(352a, 352b)에 각각 삽입되는 체결돌기(351a, 351b)가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체결돌기(351a, 351b)의 단부에는 체결돌기(351a, 351b)가 체결홀(352a, 352b)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습동부(316)의 중앙에는 지지부재(15)가 관통되는 관통홀(317)이 형성되고, 관통홀(317) 주변으로 지지부재(15)와 접하는 부분을 따라 그리스 도포를 위한 함침부(3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결부재 체결부(140)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수평진동감쇠부(300)를 외조(2)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재 체결부(140)는 외조(20)의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41)와, 베이스(14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외조 연결부(321)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142, 144)를 포함한다. 제 1 체결돌기(142)와 제 2 체결돌기(144)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 체결돌기(142, 144) 사이로 외조 연결부(321)가 배치된다.
각 체결돌기(142, 144)에는 체결공(142a, 144a)이 형성되고, 체결공(142a, 144a) 내에 부싱(362), 탄성부재(363) 및 핀(361)이 삽입 결합된다 (도 15 참조). 체결돌기(142, 144)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 개의 보강리브(143, 145)가 형성되고, 이러한 보강리브(143, 145)는 제 1 체결돌기(142)의 상측으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 1 체결돌기(142)와 외조(2)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1 보강리브(143)와, 제 2 체결돌기(144)의 하측으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 2 체결돌기(144)와 외조(2) 사이를 연장하는 다수개의 제 2 보강리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외조(2)가 진동에 대응하여 체결돌기(142, 144)이 충분한 강성을 갖을 수 있어 파손 또는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재 체결부(140)는 외조(2)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열융착 또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외조(2)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8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8에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수평진동감쇠부(3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를 따르기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부재 체결부(240)는 외조(2)의 측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외조 연결부(321)가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241, 242)를 포함한다. 제 1 체결돌기(241)와 제 2 체결돌기(242)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양 체결돌기(241, 242) 사이로 외조 연결부(321)가 배치된다.
각 체결돌기(241, 242)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내에 부싱(362), 탄성부재(363) 및 핀(361)이 삽입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재 체결부(240)는 후술하는 서포터(250)들에 의해 지지되며, 나사, 볼트, 핀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공(243a, 244a, 245a)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243, 244, 245)을 포함한다.
지지판(243, 244, 245)들은 제 1 체결돌기(241)로부터 상측방향, 즉 제 2 체결돌기(242)가 배치된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판(244)과 제 2 체결돌기(242)로부터 하측방향, 즉 제 1 체결돌기(241)가 배치된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판(245)과, 제 1 지지돌기(241)와 제 2 지지돌기(242)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제 3 지지판(2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 체결부(240)는 후술하는 안내돌기(261)가 삽입되는 삽입공(246a)이 형성된 제 4 지지판(2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조(2)에는 연결부재 체결부(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포터(25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서포터(250)는 외조(2)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르게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외조(2)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터(250)는 외조(2)의 측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고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체결공(251a)이 형성된 체결보스(251)와, 체결보스(251)의 외주면과 외조(2) 사이에서 연장된 보강리브(2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조(2)에는 연결부재 체결부(24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방지리브(262, 263)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 유동방지리브(262)는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연결부재 체결부(240)의 상측방향으로 유동을 제한하는 수평연장부(262a)와, 수평연장부(262a)와 직교하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262b)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유동방지리브(263)는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연결부재 체결부(240)의 하측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는 수평연장부(263a)와, 수평연장부(263a)와 직교하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263b)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돌기(261)는 연결부재 체결부(240)를 고정할 시, 체결공(243a, 244a, 245a)들의 위치가 서포터(250)의 체결공(251)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올 수 있도록 대략적인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공(246a) 내에 안내돌기(261)의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연결부재 체결부(240)의 위치가 제 1 유동방지리브(262)와 제 2 유동방지리브(263) 사이에 오도록 대략적인 위치를 조정하면, 연결부재 체결부(240)의 각 체결공(243a, 244a, 245a)이 서포터(250)의 체결공(251a)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부재 체결부(240)를 서포터(2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따르기로 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수평진동감쇠부(400)는 지지부재(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연결부재(310), 외조(2)의 진동에 따라 제 1 연결부재(3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 2 연결부재(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연결부재(310)는 피스톤(312)와 이동 연결부(316)를 포함한다.
제 2 연결부재(420)는 피스톤(312)이 삽입되는 실린더(422)와, 실린더(422)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찰부재(332)가 피스톤(312)에 외삽된 상태로 수용되는 마찰부재 수용부(425)를 포함한다. 마찰부재(332)는 외조(2)의 진동에 대응하여 제 2 연결부재(420)와 일체로 운동되면서 피스톤(312)과의 사이에 일정 수준의 마찰력을 형성한다.
여기에 더하여, 제 2 연결부재(420)는 마찰부재 수용부(425)로부터 연장되어 피스톤(31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부(433)를 포함하고, 입구부(433)의 외주를 따라 다수개의 보강리브(434)가 형선된다. 따라서, 제 2 연결부재(420)의 피스톤(312)에 대한 상대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입구부(433)의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420)는 외조 연결부(42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외조 연결부(421)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부싱(362), 탄성부재(363) 및 핀(361)을 이용하여 연결부재 체결부(140)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외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및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마찰 작용하며,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평진동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감쇠부는,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 또는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이동하며 마찰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습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조의 상단에 연결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는 상기 관통홀 주변을 따라 그리스(Grease) 도포를 위한 함침부가 형성된 세탁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는 부분을 따라 구비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7.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외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및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마찰 작용하며,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평진동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감쇠부는,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 또는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이동하며 마찰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습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습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동부의 양측으로 각각 상기 수평진동감쇠부가 연결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진동감쇠부는 상기 습동부와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세탁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동부의 양쪽으로 연결된 수평진동감쇠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여 4개의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각 모서리들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상기 지지부재 각각에 상기 습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습동부의 양측으로 각각 상기 수평진동감쇠부가 연결되는 세탁기.
  2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외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및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마찰 작용하며,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평진동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감쇠부는,
    상기 외조 상단의 변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 또는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이동하며 마찰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습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습동부; 및
    상기 습동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 결합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동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벗 결합부는 상기 습동부의 회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탁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동부 및 상기 피벗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세탁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세탁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외삽된 제 1 마찰부재 및 제 2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마찰부재 및 제 2 마찰부재를 수용하는 마찰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재 수용부는,
    상기 제 1 마찰부재와 상기 제 2 마찰부재가 분리 수용되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세탁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찰부재는,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 수용부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되,
    조립시 상기 제 1 마찰부재 및 제 2 마찰부재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부재 수용부의 일부가 개방된 세탁기.
  28. 삭제
KR1020120096551A 2012-08-31 2012-08-31 세탁기 KR10193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551A KR101934735B1 (ko) 2012-08-31 2012-08-31 세탁기
US14/014,747 US10023988B2 (en) 2012-08-31 2013-08-30 Washing machine
PCT/KR2013/007816 WO2014035183A1 (en) 2012-08-31 2013-08-30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551A KR101934735B1 (ko) 2012-08-31 2012-08-31 세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339A Division KR101934054B1 (ko) 2016-02-17 2016-02-17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0160018344A Division KR101934061B1 (ko) 2016-02-17 2016-02-17 세탁기
KR1020160018351A Division KR101984298B1 (ko) 2016-02-17 2016-02-17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13A KR20140029013A (ko) 2014-03-10
KR101934735B1 true KR101934735B1 (ko) 2019-01-03

Family

ID=5018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551A KR101934735B1 (ko) 2012-08-31 2012-08-31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23988B2 (ko)
KR (1) KR101934735B1 (ko)
WO (1) WO20140351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061B2 (en) 2019-12-04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6916B2 (ja) * 2014-05-27 2018-11-21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KR102229297B1 (ko) * 2014-06-11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963814B2 (en) * 2014-07-11 2018-05-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754683B1 (ko) * 2014-07-11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241037B1 (ko) * 2014-09-05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1035065B2 (en) 2015-03-16 2021-06-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101716173B1 (ko) * 2015-03-16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15657B1 (ko) * 2015-03-16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0526742B2 (en) 2015-06-19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2017113310A (ja) * 2015-12-24 2017-06-2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KR101683402B1 (ko) * 2015-12-2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US10760195B2 (en) 2016-11-21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321A1 (en) * 2003-05-15 2004-11-18 Gwan-Ryong Park Variable damping type damp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8806A (en) * 1940-08-08 1943-05-11 Bendix Home Appliances Inc Cleaning machine
KR910003156B1 (ko) 1988-06-30 1991-05-20 삼성전기 주식회사 시험용전기로의 소성치구조성물
KR910003155Y1 (ko) 1988-11-03 1991-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진동 제진 장치
JPH078677A (ja) * 1993-06-29 199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洗濯機の防振装置
KR100195454B1 (ko) * 1996-05-10 1999-06-15 윤종용 세탁기의 진동감쇠장치
KR200159084Y1 (ko) * 1997-06-30 1999-10-15 전주범 세탁기의 현가장치
KR20000001810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437781B1 (ko) 2001-10-29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저감장치
KR200320745Y1 (ko) * 2003-04-29 2003-07-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현가장치
KR20040092758A (ko) * 2003-04-29 2004-11-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현가장치
JP3907646B2 (ja) * 2004-07-22 2007-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217118B1 (ko) 2005-10-31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321A1 (en) * 2003-05-15 2004-11-18 Gwan-Ryong Park Variable damping type damp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061B2 (en) 2019-12-04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0120A1 (en) 2014-03-06
US10023988B2 (en) 2018-07-17
KR20140029013A (ko) 2014-03-10
WO2014035183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735B1 (ko) 세탁기
KR100777299B1 (ko)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US9279207B2 (en) Washing machine with a suspension having a friction damper
KR10213059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2036390A4 (ko) 세탁기
KR102217533B1 (ko) 세탁기
KR201500112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080467A (ko) 세탁장치
KR101984298B1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10444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21556B1 (ko) 드럼식 세탁기 및 드럼식 세탁기용 댐퍼 장치
US980991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10444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04815B1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34061B1 (ko) 세탁기
KR101934054B1 (ko)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24103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027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H08206388A (ja) 脱水洗濯機
KR2015001125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565478B1 (ko) 세탁기용 댐퍼 장치
KR102217532B1 (ko) 세탁기
KR10210275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664280B1 (ko) 드럼식 세탁기의 방진 장치
KR10224104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