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90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90B1
KR102130590B1 KR1020130086226A KR20130086226A KR102130590B1 KR 102130590 B1 KR102130590 B1 KR 102130590B1 KR 1020130086226 A KR1020130086226 A KR 1020130086226A KR 20130086226 A KR20130086226 A KR 20130086226A KR 102130590 B1 KR102130590 B1 KR 10213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ibration
casing
vibration damping
damping devi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215A (ko
Inventor
유인식
김영준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90B1/ko
Priority to RU2016105770A priority patent/RU2632028C2/ru
Priority to PCT/KR2014/006651 priority patent/WO2015012568A1/en
Priority to AU2014293902A priority patent/AU2014293902B2/en
Priority to US14/337,704 priority patent/US9790632B2/en
Priority to CN201480052016.5A priority patent/CN105556020B/zh
Publication of KR2015001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연결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외조의 수평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로, 세탁물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세탁물이 담긴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기, 세탁조 내로 냉풍 또는 열풍을 가하여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을 통칭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내부에 지지로드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수용되는 외조와, 세탁물(또는 포)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외조 내에서 회전되는 내조를 포함하며, 세탁기의 경우에는 상기 내조 내에서 회전되는 펄세이터(또는, 세탁날개)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내조나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시 상기 외조의 진동이 유발되며, 따라서, 통상의 세탁물 처리기기에는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외조를 연결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되었으나, 상기 완충장치는 주로 상기 외조의 상하방향 진동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평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최근에는 주거 공간의 활용성 향상을 위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체 크기는 될 수 있으면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외조의 용량을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외조 사이의 간격은 점점 좁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케이싱과 상기 외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수평방향의 진동에 의해 상기 외조와 상기 케이싱간의 충돌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외조의 수평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연결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와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각각,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외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외조의 하부와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외조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외조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의 수평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와 케이싱과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상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어느 정도의 포의 편심이 유발된 상황에서도 외조의 진동을 신속하게 감쇠시킴으로써, 포를 분산시키기 위한 구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통상 탈수 진입을 위해, 일정 수준 이하로 외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내조 내의 포들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포분산 구동이 수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탈수 진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 특히, 캐비닛, 외조 및 지지로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외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프링-댐퍼-질량 시스템(spring-damper-mass system)에서의 자유 물체도(free-body diagram)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례로 세탁기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과,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미도시)을 여닫는 도어(7)를 포함한다.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2)가 지지로드(15)에 의해 케이싱(10)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되고, 외조(2)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조(3)의 바닥에는 펄세이터(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내조(3)에는 세탁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케이싱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족한 것이나, 특히, 외조(2)를 매다는 지지로드(15)의 일단이 케이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움직이지 않는 고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은 상측이 개구된 본체(12)와, 본체(12)를 지지하는 베이스(19)와, 본체(12)의 상측에 구비되고 대략 중앙부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되는 탑커버(7)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 지지부(16)는 케이싱(10)에 고정되어 지지로드(15)의 일단이 소정 범위 내에서 피벗(pivot)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피벗 지지부(16)는 본체(12) 및 탑커버(7)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지지로드(15)의 타단은 상하진동 완충장치(30) 에 의해 외조(2)와 연결된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지지로드(15)와 외조(2)를 연결함과 아울러, 세탁기 작동 중 발생하는 외조(2)의 상하방향 진동을 감쇠시킨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외조(2)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캡(31)과, 외조(2)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스프링(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캡(31)을 관통하며, 지지로드(15)의 일단에는 스프링(32)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33)가 구비된다.
외조(2) 진동 시, 캡(31)이 외조(2)와 일체로 운동되며, 지지로드(15)를 따라 승강된다. 외조(2)와 일체로 캡(31)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스프링 지지부(33)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캡(31)의 이동에 따라 압축된 공기가 캡(31)의 내주면과 스프링 지지부(33) 사이를 통해 빠져 나오면서 작용하는 점성력, 스프링(32)의 탄성변형에 따른 탄성/복원력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부호와 이에 따른 구성들을 더 설명하면, 급수유로(5)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외조(2) 및/또는 내조(3)내로 물을 급수하는 한다. 급수밸브(6)는 급수유로(5)를 단속한다. 구동부(13)는 내조(3) 및/또는 펄세이터(4)를 구동시킨다. 배수유로(9)는 외조(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킨다. 배수밸브(8)는 배수유로(9)를 단속한다. 배수펌프(17)는 배수유로(9)로 배수되는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펌핑한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를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 특히, 캐비닛, 외조 및 지지로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외조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용어들을 정의한다.
C1, C2, C3 및 C4는 캐비닛(12)의 네 모서리를 표시한 것이다. 각 모서리에는 지지로드(15)의 일단이 피벗되도록 연결된다. 이들 점들을 이하 코너(C)라고 하고, 네 군데 코너를 각각 C1, C2, C3 및 C4로 표시한다.
NC1, NC2, NC3 및 NC4는 외조(2)에서 취한 임의의 원주상의 점들로, 원주를 따라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점들이다. 이들 점들은 수평면 상에서 볼 때 코너를 대향하고 있으므로, 이하, 코너 대향점(Nc)이라고 하고, 네 군데 코너 대향점을 각각 NC1, NC2, NC3 및 NC4로 표시한다.
도 2는 외조(2)를 위에서 바라본 수평면상에서 점들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외조(2)에서 취한 원주가 달라지더라도, 각 점들의 위치는 도 2에서는 동일한 지점으로 표시가 되나, 실제 각 점들의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도 높이를 갖으며, 따라서, 각 점들이 어떠한 원주 상에 배치된 것인지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점들의 이름에는 'U' 또는 'L'로 원주를 구분하기 위한 표시가 포함되었으며, 이들 표시는 구성들간의 상대적인 높이를 표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었다.
보다 상세하게, 외조(2)로부터 두 개의 서로 다른 원주, U, L을 취한 경우에, 도 3에서 NC1, NC2, NC3 및 NC4는 원주 U 상에서는 각각 (NC1, U), (NC2, U), (NC3, U) 및 (NC4, U)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하, 상부 코너 대향점(Nc, U)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원주 L상의 점들은 각각 (NC1, L), (NC2, L), (NC3, L) 및 (NC4,L)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하, 하부 코너 대향점(Nc, L)이라고 한다. 여기서, '상부' 또는 '하부'는 점들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정의되었을 뿐, 특정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M은 외조(2)의 상하 방향으로의 중간 위치를 표시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원주(U)는 위치(M)보다 상측에서 취하여지고, 원주(L)은 무게 중심(M)보다 하측에서 취하여 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너 대향점(Nc)들은 원주 상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특히, 외조(2)는 하부 코너 대향점에 연결된 4개의 지지로드(15)에 의해 매달린 상태이므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지지로드(15)는 코너 대향점을 기준으로 측방향으로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수평면 상에서, 각 코너 대향점(NC1, NC2, NC3, NC4)에서의 원주에 대한 접선은 지지로드(15)와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도 2는 수평면 상에서, 코너 대향점(NC1)에서 원주에 대한 접선(T)과, 코너 대향점(NC1)과 코너(C1)를 연결하는 지지로드(15)가 서로 직교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다른 코너(C2, C3, C4)들에 설치된 지지로드들(15) 역시 마찬가지이다.
L1, L2, L3 및 L4는 각각 캐비닛(12)의 측면들을 표시한 것이고, NL1, NL2, NL3 및 NL4는 외조(2)의 원주 상에서 측면 L1, L2, L3 및 L4와 각각 가장 가까운 점으로 정의된다. 이들 점들을 이하, 측면 근접점(NL)이라고 하고, 네 군데 측면 근접점을 각각 NL1, NL2, NL3 및 NL4이라고 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일단은 외조(2)와 연결되나, 실시예에 따라 타단은 외조(2) 외부에 배치된 소정의 지지체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체로는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면 족한 것으로, 특히, 외조(2)는 진동시 상기 지지체에 대한 변위를 갖는다. 상기 지지체로는 케이싱(10)과 지지로드(15)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외조(2)와 연결되는 부분을 외조 연결부라고하고,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는 부분을 지지체 연결부라고 한다. 상기 지지체 연결부는 다시 실시예에 따라 지지로드 연결부와 케이싱 연결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로드 연결부는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지지로드(15)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의하고, 상기 케이싱 연결부는 케이싱(10)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진동에 따른 외조(2)의 변위가 발생할 시,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구성하는 댐퍼의 변위-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이동거리(도 4의 (b) 참조)), 또는 마찰부재의 이동거리(도 4의 (c) 참조)- 또는 스프링의 변형 길이(도 4의 (a) 참조)에 따라 외조 연결부와 케이싱 연결부 간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진동으로 인한 외조(2)의 이동 방향은 계속해서 변화되며, 이때, 외조 연결부도 외조(2)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외조 연결부와 외조(2) 사이의 간섭 또는 케이싱 연결부와 케이싱(10)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는, 외조 연결부가 외조(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싱 연결부 역시 케이싱(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외조 연결부가 외조(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싱 연결부 역시 케이싱(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스프링-댐퍼-질량 시스템(spring-damper-mass system)에서의 자유 물체도(free-body diagram)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시스템의 거동은 스프링, 댐퍼, 질량을 요소로 단순화된 수학적 모델, 즉 스프링-댐퍼-질량 시스템의 해석을 통해 예측될 수 있다. 스프링은 시스템의 강성을, 댐퍼는 마찰이나 감쇠와 같은 운동에 대한 반력을, 그리고 질량은 가속도에 대한 저항이나 관성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완충장치'는 댐퍼 및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외조(2)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이다.
스프링은 힘을 가해 형태를 변형시켰다가 그 힘을 제거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탄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기계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의 (a)을 참조하면, 스프링(spring)의 강성(stiffness)은 스프링을 신축하는 힘(F)과 변형된 길이(x)와의 관계로 표현되며, 선형 스프링과 같이 스프링의 변형이 가해진 힘에 비례할 경우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1
k는 스프링 상수로 k값이 클수록 스프링을 신축시키는데 소요된 힘 또한 커지게되며, '강성이 크다'라고 한다. 에너지 측면에서 스프링은 변형이 이루어질 때 에너지가 저장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때 에너지를 방출한다.
댐퍼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로, 특히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방법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을 경감시키는 기계요소로 정의된다. 스프링은 형태의 변형과 복원 과정의 반복에 의해 진동이 계속되는데 반해, 댐퍼는 적극적인 마찰 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소산시킨다
댐퍼는 진동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물체의 변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감쇠력(또는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감쇠력으로는 유체 속에서 물체를 움직일때 유체로부터 작용하는 항력(drag force), 마찰을 받는 물체를 움직이려 할 때 작용되는 마찰력(friction force)을 들 수 있다.
도 4의 (b)은 유체로부터 작용하는 항력을 이용하는 형태의 댐퍼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유체가 채워진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움직일시, 유체가 좁은 틈새를 통해 빠져 나가면서 저항(Resistance)이 발생한다. 이때의 저항력은 주로 유체의 점성에 의한 것으로, 저항력 F는 속도 v에 비례한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2
여기서, c는 점성 댐핑 상수(viscous damping coefficient)로, c의 값이 클수록 저항력도 커진다.
도 4의 (c)는 마찰력을 이용하는 형태의 댐퍼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물체의 진동에 따라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할 시,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부재에 의해 저항력이 발생한다. 이때의 저항력은 주로 운동 마찰력으로, 저항력 F는 마찰부재로부터 접촉면에 작용하는 항력(N)에 비례한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3
여기서, μk는 운동 마찰 상수이다.
유체로부터 작용하는 항력을 이용하는 형태의 댐퍼(도 4의 (b) 참조), 마찰력을 이용하는 형태의 댐퍼(도 4의 (c) 참조) 모두 상수(점성 댐핑 상수 c 또는 운동 마찰 상수 μk)에 비례하여 감쇠력이 커지는 점에 있어서 공통의 특징을 갖는 바, 이하, 점성 댐핑 상수 또는 운동 마찰 상수를 감쇠 상수라고 정의한다.
도 4의 (d)는 질량의 거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질량이 클수록 특정 가속도를 발생시키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하다. 뉴튼의 제2법칙을 적용해 보면 힘 F와 가속도 a사이의 관계는 F=ma이며, 여기서, 힘과 가속도 사이의 비례상수는 질량 m이된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4
여기서, 질량(m)에 최종적으로 작용하는 힘은, 외력(F)에서 댐퍼에 의한 감쇠력(Fd)과 스프링의 탄성력(Fs)을 제외한 것이다. 즉, 질량(m)을 외조(2)와 대응하는 것으로 본다면, 외조(2)를 진동시키는 힘은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구성하는 댐퍼의 감쇠력과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외한 양이 됨을 이해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 에너지는 스프링을 변형시키고, 질량을 가속하고, 댐퍼를 작용시키는데 필요하다. 질량과 스프링의 경우는 에너지를 다시 얻을 수 있으나, 댐퍼에서 에너지는 소모되어 없어진다.
스프링은 변형이 이루어질 때 에너지가 저장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때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스프링이 변위 x만큼 변형되며 저장하는 에너지(Es)는 1/2 kx^2이다. 그리고, F=kx이므로, 스프링에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5
어떤 물체가 속도 v로 움질일 때, 이 질량에 운동 에너지(Ek)라는 형태로 에너지가 저장된다. 이 에너지는 질량이 정지할 때 방출된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6
댐퍼는 에너지가 저장되지 않고 열이나 소음의 형태로 소산된다. 댐퍼는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않는다. 유체의 점성에 의한 감쇠 기능을 수행하는 댐퍼의 경우, 속도 v에 의해 없어진 동력(power) Pv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7
마찰 에너지의 형태로 진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댐퍼의 경우, 마찰 에너지(Ef)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66002103-pat00008
이하, 도 5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지지로드(15)는 상하진동 완충장치(30)에 의해 외조(2)와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스프링-댐퍼-질량 시스템은 외조(2)의 진동을 해석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지지로드(15)에 의해 케이싱(10) 내에 매달린 구성들의 질량(m)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힘은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구성하는 댐퍼의 감쇠력(Fd) 및/또는 스프링의 탄성력(Fs)으로부터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지지로드(15)에 의해 각 코너(C)와 외조(2)의 하부(L)가 연결되고, 수평진동 완충장치(100)에 의해 코너(C)와 외조(2)의 상부(U)가 연결된다. 이때, 외조(2)는 원주(L) 상의 하부 코너 대향점들(Nc, L)에 지지로드(15)가 연결되고, 원주(U) 상의 상부 코너 대향점들(Nc, U)에 수평진동 완충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들(100)은 외조(2)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위치, 즉 대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진동 완충장치(100)는 2 개(100(1), 100(3))(100(2), 100(4)) 또는 4개(100(1), 100(2), 100(3), 100(4))가 구비될 수 있다.
2 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예를들어, 100(1), 100(3)), 어느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는 코너(C1)와 상부 코너 대향점(NC1, U) 사이를 연결하며, 다른 하나(100(3))는 코너(C3)와 상부 코너 대향점(NC3, U)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각으로 배치된 2 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3)) 중 어느 하나(100(1))는 댐퍼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100(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와 스프링이 서로 대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외조(2)의 진동시 어느 일방향으로 댐퍼의 변위가 발생될 시, 스프링에는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며, 이러한 탄성 에너지는 댐퍼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
스프링과 댐퍼의 대각배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4개(100(1), 100(2), 100(3), 100(4)) 구비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서로 대각으로 배치된 2 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들 중 어느 하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조(2)의 진동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서로 대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2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서로 대각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외조(2) 외부에 배치된 지지체(케이싱(2) 또는 지지로드(15))와 연결되는 지지체 연결부에 대한 외조 연결부의 변위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한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변위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감쇠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들은 지지체 연결부에 대한 외조 연결부의 변위에 따라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댐퍼는 동일한 감쇠 상수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상기 댐퍼를 포함한다는 것은, 반드시 댐퍼만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댐퍼 뿐만 아니라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한 쌍의 수평진동 완충장치 각각에 구비된 댐퍼는 동일한 감쇠 상수를 갖으므로써, 상기 지지체 연결부에 대한 외조 연결부의 변위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의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4개(100(1), 100(2), 100(3), 100(4))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들 모두가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4 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들(100(1), 100(2), 100(3), 100(4)) 모두가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4 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들 중 서로 대각으로 배치된 어느 한 쌍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각각 동일한 감쇠 상수를 갖는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체 연결부에 대한 외조 연결부의 변위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4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들의 구성들을 정리한 것이다. D는 댐퍼를 S는 스프링을 의미한다. D+S, D+S1(또는 S2)는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가 댐퍼와 스프링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댐퍼와 스프링의 연결은 직렬 또는 병렬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S1과 S2는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 값을 갖는다(k1≠k2).
구분 구성 1 구성 2 구성 3 구성 4 구성 5 구성 6 구성 7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200(1), 100a(1), 200a(1) 또는 300(1)) D D D+S D D+S D+S1 D
수평진동 완충장치(100(2), 200(2), 100b(1), 200b(1) 또는 300(2)) D S D D D+S D+S2 D
수평진동 완충장치(100(3), 200(3), 100a(3), 200a(3) 또는 300(3)) S D D+S D+S D+S D+S1 D
수평진동 완충장치(100(4), 200(4), 100b(3), 200b(3) 또는 300(4)) S S D D+S D+S D+S2 D
한편, 수평진동 완충장치(100)는 외조 연결부와 케이싱 연결부를 갖는다. 외조 연결부는 외조(2)의 상부(U)와 연결되며, 특히, 상부 코너 대향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J(NC1, U), J(NC2, U), J(NC3, U) 및 J(NC4, U)는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2), 100(3), 100(4))가 갖는 외조 연결부를 표시한 것이다.
케이싱 연결부는 케이싱(10)의 코너(C)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J(C1), J(C2), J(C3) 및 J(C4)는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2), 100(3), 100(4))가 갖는 케이싱 연결부를 표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복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과 상호 간의 배치 관계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는 지지로드 연결부(J(R))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6에서, J(R1), J(R2), J(R3) 및 J(R4)는 수평진동 완충장치들(200(1), 200(2), 200(3), 200(4)) 각각의 지지로드 연결부(J(Rn), n= 1, 2, 3, 4)이다.
지지로드 연결부(J(R)) 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들어, 댐퍼를 구성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가 외조(2)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지지로드(15)와 연결되되,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지지로드 연결부(J(Rn))가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수평진동 완충장치(200)는 지지로드 연결부(J(Rn))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로드 연결부(J(Rn))는 이동과 회전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2 자유도를 갖는다 (도 6의 (b) 참조.).
수평진동 완충장치들(200(1), 200(2), 200(3), 200(4))을 구성하는 스프링 또는 댐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수평진동 완충장치(100)가 외조(2)에서 취한 임의의 원주상의 점들과 연결되되, 수평면 상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100)가 상기 원주의 접선(T)과 이루는 각(α)이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대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3))(100(2), 100(4))를 갖는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3))(100(2), 100(4))의 외조 연결부는 외조(2)의 상부(U)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2), 100(3), 100(4))는 상부 측면 근접점과 연결된 외조 연결부(J(NL1, U), J(NL2, U), J(NL3, U), J(NL4, U))를 갖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너 대향점(NC)과 측면 근접점(NL) 사이의 임의의 지점과 연결될 수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2), 100(3), 100(4))를 구성하는 댐퍼(D)와 스프링(S)의 조합은 표 1에 기재된 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 100(2), 100(3), 100(4))들은 마주 보는 코너들에 연결된 것들끼리는 외조(2)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1))와 수평진동 완충장치(100(3))가 서로 대칭이며, 수평진동 완충장치(100(2))와 수평진동 완충장치(100(4))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복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과 상호 간의 배치 관계는 전술한 제 3 실시예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1), 200(2), 200(3), 200(4))는 지지로드 연결부(J(R1), J(R2), J(R3), J(R4))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지로드 연결부(J(R1), J(R2), J(R3), J(R4)) 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들어, 댐퍼를 구성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가 외조(2)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지지로드(15)와 연결되되,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지지로드 연결부(J(R1), J(R2), J(R3), J(R4))가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수평진동 완충장치(200(1), 200(2), 200(3), 200(4))는 지지로드 연결부(J(R1), J(R2), J(R3), J(R4))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로드 연결부(J(R1), J(R2), J(R3), J(R4))는 이동과 회전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2 자유도를 갖는다.
수평진동 완충장치(200(1), 200(2), 200(3), 200(4))들은 마주 보는 코너들에 연결된 것들끼리는 외조(2)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200(1))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3))가 서로 대칭이며, 수평진동 완충장치(200(2))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4))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200(1), 200(2), 200(3), 200(4))를 구성하는 스프링(S) 또는 댐퍼(D)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수평진동 완충장치(100)가 외조(2)와 예각을 이루며 연결되는 점에 있어서는 제 3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적어도 2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a(1), 100b(2))가 하나의 코너(C1)에 연결되며, 상기 코너와 대각으로 배치된 코너(C3)에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2개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a(3), 100b(3))가 연결되며, 하나의 코너(C1)와 연결된 상기 2 이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들 중 어느 하나(100a(1))가 외조(2)의 원주에서의 접선과 이루는 예각(도 9에서 '+a'로 표시)과 반대방향으로 예각(도 9에서 '-a'로 표시)을 이루는 다른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100b(1))를 포함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a(1), 100b(1), 100a(3), 100b(3))를 구성하는 스프링(S) 또는 댐퍼(D)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과 상호 간의 배치 관계는 전술한 제 5 실시예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a(1), 200b(1), 200a(3), 200b(3))는 지지로드 연결부(J(R1), J(R3))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지로드 연결부(J(R1), J(R3)) 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들어, 댐퍼를 구성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중의 어느 하나가 외조(2)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지지로드(15)와 연결되되,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지지로드 연결부(J(R1), J(R3))가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수평진동 완충장치(200a(1), 200b(a), 200a(3), 200b(3))는 지지로드 연결부(J(R1), J(R3))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로드 연결부(J(R1), J(R3))는 이동과 회전을 하기 때문에 적어도 2 자유도를 갖는다.
수평진동 완충장치(200a(1), 200b(1), 200a(3), 200b(3))의 지지로드 연결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공통의 코너(C1)에 연결된 수평진동 완충장치들(200a(1), 200b(1))은 공통의 지지로드 연결부(J(R1))를 갖을 수도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a(1), 100b(1), 100a(3), 100b(3))들은 마주 보는 코너들에 연결된 것들끼리는 외조(2)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100a(1))와 수평진동 완충장치(100a(3))가 서로 대칭이며, 수평진동 완충장치(100b(1))와 수평진동 완충장치(100b(3))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200a(1), 200b(1), 200a(3), 200b(3))를 구성하는 스프링(S) 또는 댐퍼(D)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수평진동 완충장치(300)가 외조(2)와 캐비닛의 측면(L) 사이를 연결한다. 캐비닛(12)의 각각의 측면(L1, L2, L3, L4)과 외조(2)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300(1), 300(2), 300(3), 30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외조(2)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진동 완충장치(300(1), 300(2), 300(3), 300(4)는 외조 연결부와 케이싱 연결부를 갖는다. 외조 연결부는 외조(2)의 상부(U)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300(1), 300(2), 300(3), 300(4))는 상부 측면 근접점(NL, U)과 연결된 외조 연결부(J(NL1, U), J(NL2, U), J(NL3, U), J(NL4, U))를 갖을 수 있다.
케이싱 연결부(J(L1), J(L2), J(L3), J(L4))는 캐비닛(12)의 측면(L1, L2, L3, L4)의 상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진동 완충장치(300(1), 300(2), 300(3), 300(4))를 구성하는 스프링(S) 또는 댐퍼(D)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할 실시예들에 참조되는 도12 내지 도 24는 세탁기를 구성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들을 모두 다 도시한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에 따른 특징이 잘 표현되는 대표적인 것들만 도시한 것이다. 그 대신 구성들을 지시하는 표기들 중에는 변수 n이 부여된 것들이 있으며, 여기서 n은 1, 2, 3 또는 4가 될 수 있으며, 각 숫자에 의해 구별된 구성은 도 2에 표시된 바를 따르기로 한다. 예를들어, 도 12에서 NCn은 부여된 숫자에 따라 도 2의 NC1 내지 NC4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각각의 일단(외조 연결부)이 외조(2)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100(U), 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300(L))를 포함하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타단은 지지로드(15)의 상부 또는 케이싱(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타단은 지지로드(15)의 하부 또는 케이싱(10)의 하부와 연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는 지지로드(15)의 상부 구간에서 이동되는 지지로드 연결부(J(R,U))를 갖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부 구간에서 이동되는 지지로드 연결부(J(R, L))를 갖는다.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외조 연결부는 외조(2)의 상부와 연결된다. 도 12에서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외조(2)의 상부(U)와 연결된 공통의 외조 연결부(JCn, L)를 갖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외조 연결부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외조 연결부(JCn, L)는 수평진동 완충장치들(200(U), 200(L)) 각각의 회전은 허용하되, 변위는 허용하지 않는 고정 연결부이나,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들 각각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 J(R, L))는 고정 연결부 또는 회전 뿐만 아니라 지지로드(15)를 따른 이동까지 가능한 이동 연결부일 수 있다.
지지로드 연결부들(J(R, U), J(R, L))는 고정 연결부 또는 이동 연결부 어느 경우에나,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는 상하 방향의 배치관계를 갖는다. 각 지지로드 연결부들(J(R, U), J(R, L))이 지지로드(15)에 대해 고정 연결부를 이루는 경우는 그 고정된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로 구별될 것이나, 이동 연결부를 이루는 경우에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지지로드 연결부(J(R, L))에 비해 상측 구간에서의 이동이 허용된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200(L))는 스프링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각각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더 큰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감쇠 상수는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감쇠 상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는 댐퍼를 포함하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스프링은 상기 댐퍼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각각에 댐퍼와 스프링이 구비되되,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에 비해 더 큰 감쇠력을 작용하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감쇠 상수와 스프링 상수를 각각 c1, k1이라고 하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감쇠 상수와 스프링 상수를 각각 c2, k2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c1 >c2, k1<k2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300(L))가 각각 케이싱 연결부를 갖는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제 8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각각의 케이싱 연결부는 캐비닛(12)의 측면(Ln)과 회전 결합되는 고정 연결부이다.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의 케이싱 연결부(J(Ln, U))는 캐비닛(12)의 측면에서 상부(Ln, U)에 연결되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300(L))의 케이싱 연결부(J(Ln, L))는 캐비닛(12)의 측면에서 하부(Ln, 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의 케이싱 연결부(J(Ln, 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300(L))의 케이싱 연결부(J(Ln, L)) 간에 상하방향으로의 상대적인 배치가 특정될 수만 있다면, 각각의 케이싱 연결부가 연결되는 케이싱(10) 상에서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300(L))를 구성하는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과 이들간의 관계는 전술한 제 8 실시예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200(L))의 지지로드 연결부들(J(R, U), J(R, L))이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외조(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외조(2)의 상부에서 발생한 진동에 대해 보다 향상된 감쇠성능을 보인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300(L))의 각 구성들의 조합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구분 외조 연결부(제 8, 9 실시예 공통) 지지로드 연결부(제 8 실시예) 캐비닛 연결부(제 9 실시예)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300(U)) 상부 상부 상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300(L)) 상부 하부 하부
이하,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각각의 일단(외조 연결부)이 외조(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를 포함하되,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타단은 지지로드(15)의 상부 또는 케이싱(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타단은 지지로드(15)의 하부 또는 케이싱(10)의 하부와 연결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가 각각 외조(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제 8 실시예에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에 따르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외조 연결부(J(NCn , L')는 상하진동 완충장치(30, 도 1참조)에 의해 지지로드(15)가 외조(2)와 연결된 지점(이하, 지지로드-외조 연결부라고 함.)에 비해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200(L))의 지지로드 연결부들(J(R, U), J(R, L))이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외조(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외조(2)의 하부에서 발생한 진동에 대해 보다 향상된 감쇠성능을 보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300(L))가 각각 케이싱 연결부(J(Ln, U), J(Ln, L))를 갖는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제 8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외조(2)가 지지로드(15)에 의해 케이싱(10) 내에 매달리기 때문에, 지지로드(15)의 케이싱 연결부(J(Cn))를 기준으로 한 피벗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300(L))에 의해 외조(2)가 케이싱(10)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들 수평진동 완충장치(300(U), 300(L))에 의해 제공되는 감쇠력은 외조(2)에 직접 작용할 뿐만 아니라, 케이싱 연결부(J(Cn))에서의 피벗 동작 또한 보다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300(U))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300(L))의 각 구성들의 조합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구분 외조 연결부(제 10, 11 실시예 공통) 지지로드 연결부(제 10 실시예) 캐비닛 연결부(제 11 실시예)
제 1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300(U)) 하부 상부 상부
제 2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300(L)) 하부 하부 하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2)의 상부와 케이싱(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하진동 완충장치(30')와, 외조(2)의 하부(L)와 케이싱(10)의 하부를 연결하는 수평 진동 완충장치(400)를 포함한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실질적으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조(2)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주로 완충시킨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스프링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실제로는 지지로드(15)가 외조(2)와 연결되는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탑커버(7)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J(U))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400)는 외조(2)의 하부와 케이싱(10)의 하부를 연결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400)는 외조(2)의 측면과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J(L))와, 케이싱(10)의 베이스(19)와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J(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조 연결부(J(L))는 외조(2)와 회전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싱 연결부(J(B))는 케이싱(10)과 회전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하진동 완충장치(30')에 의해 케이싱(10) 내에 매달리기 때문에, 외조(2)의 무게중심이 상하진동 완충장치(30')가 연결되는 외조(2)의 상부보다 낮다. 따라서, 외조(2)의 하부에서 더 큰 수평 진동이 발생하며, 이를 완충하기 위한 수평진동 완충장치(400)가 외조(2)의 하부에 연결되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400)는 스프링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또는 댐퍼의 변위가 이루어지는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갖는다. 여기서, 각도 Θ는 예각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2)의 상부와 케이싱(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500)와, 외조(2)의 바닥과 케이싱(10)의 베이스(19)를 연결하는 상하진동 완충장치(30")를 포함한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실질적으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조(2)의 상하방향 진동을 주로 완충시킨다. 상하진동 완충장치(30")는 스프링 및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500)는 외조(2)의 상부와 케이싱(10)의 상부를 연결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500)는 외조(2)의 상부와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J(NCn, U)와, 케이싱(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J(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조 연결부(J(L))는 외조(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싱 연결부(J(U))는 피벗 지지부(16)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수평진동 완충장치(500)는 스프링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또는 댐퍼의 변위가 이루어지는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갖는다. 여기서, 각도 Θ는 예각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2)의 상부와 케이싱(10)의 바닥을 연결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400)를 포함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400)의 외조 연결부(J(U))는 지지로드-외조 연결부(J(NCn, L)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400)는 댐퍼 및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또는 댐퍼의 변위가 이루어지는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를 갖는다. 여기서, 각도 Θ는 예각이다.
본 실시예에에 따른 수평진동 완충장치(400)는 외조(2)의 상부에서의 수평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조(2)의 상하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도 지지로드(15)에 설치된 상하진동 완충장치(30, 도 1 참조)와 더불어 감쇠력을 제공한다. 특히, 수평진동 완충장치(400)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의 신축이 상하진동 완충장치(30)의 스프링(32)과 반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진동에 의해 외조(2)가 하측으로 변위될시, 수평진동 완충장치(400)의 길이는 줄어드나, 상하진동 완충장치(30)의 스프링(32)은 늘어나고, 외조(2)가 상측으로 변위될시 그 반대가 되기 때문에, 외조(2)의 상하 진동 방향 모두에 대한 안정성과 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2)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평진동을 완충시키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200(L))는 외조 연결부와 지지로드 연결부를 갖는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외조 연결부(J(NCn, U))는 외조(2)의 상부 코너 대향점(NCn, U)에 연결될 수 있다. 외조(2)의 상부에서의 수평방향 진동은 주로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저감된다.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외조 연결부(J(NCn, L))는 외조(2)의 하부 코너 대향점(NCn, L)에 연결될 수 있다. 외조(2)의 상부에서의 수평방향 진동은 주로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에 의해 저감된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지지로드 연결부(J(R, L))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지지로드(15)와 연결된다. 각각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 J(R, L))는 지지로드(15) 상에서 그 위치는 고정되되 수평축을 기준으로한 회전망 허용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지지로드 연결부(J(R, L)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 구간에서 이동된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200(L))는 스프링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각각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더 큰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감쇠 상수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감쇠 상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는 댐퍼를 포함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스프링은 상기 댐퍼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각각에 댐퍼와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에 비해 더 큰 감쇠력을 작용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감쇠 상수와 스프링 상수를 각각 c1, k1이라고 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감쇠 상수와 스프링 상수를 각각 c2, k2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c1 >c2, k1<k2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지지로드(15)와 케이싱(10)을 연결하는 수평진동 완충장치(500)를 포함한다. 수평진동 완충장치(500)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로드 연결부(J(R))와 케이싱(10)에 고정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J(Ln, U))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 연결부(J(R))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또한 가능하다. 수평진동 완충장치(500)는 댐퍼와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댐퍼를 포함하는 경우 외조(2)의 수평방향 진동은 댐퍼의 감쇠력에 의해 감쇠된다.
외조(2)의 하부가 지지로드(15)에 연결되는 구조를 고려할 시, 외조(2)의 상부에서 진동에 따른 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바, 케이싱 연결부(J(Ln, U))는 캐비닛(12)의 측면(Ln)의 상부(U)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지지로드(15)와 케이싱(10)을 각각 연결하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L))를 포함한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L))는 각각 지지로드 연결부와 케이싱 연결부를 갖는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U))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L))의 지지로드 연결부(J(R, L))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지지로드(15)와 연결된다. 각각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 J(R, L))는 지지로드(15) 상에서 그 위치는 고정되되 수평축을 기준으로한 회전망 허용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U))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L))의 지지로드 연결부(J(R, L))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 구간에서 이동된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케이싱 연결부(J(Ln, U))는 케이싱(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연결부(J(Ln, U))는 캐비닛(12)의 측면(Ln)의 상부(U)에 연결된다.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케이싱 연결부(J(Ln, L))는 케이싱(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연결부(J(Ln, U))는 캐비닛(12)의 측면(Ln)의 하부(L)에 연결된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 200(L))는 스프링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각각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더 큰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감쇠 상수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감쇠 상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는 댐퍼를 포함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스프링은 상기 댐퍼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 각각에 댐퍼와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에 비해 더 큰 감쇠력을 작용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U))의 감쇠 상수와 스프링 상수를 각각 c1, k1이라고 하고,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L))의 감쇠 상수와 스프링 상수를 각각 c2, k2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c1 >c2, k1<k2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와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를 포함한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 및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 중 어느 하나는 외조 연결부(J(NCn, L')와 지지로드 연결부(J(R,L))를 갖으며, 다른 하나는 지지로드 연결부(J(R,U))와 케이싱 연결부(J(Ln, U))를 갖는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서 지지로드(15)와 연결된다. 각각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 J(R, L))는 지지로드(15) 상에서 그 위치는 고정되되 수평축을 기준으로한 회전만 허용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의 지지로드 연결부(J(R, U))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의 지지로드 연결부(J(R, L))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 구간에서 이동된다.
각각의 수평진동 완충장치(500, 200)는 스프링과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의 외조 연결부(J(NCn , L')는 상하진동 완충장치(30, 도 1참조)에 의해 지지로드(15)가 외조(2)와 연결된 지지로드-외조 연결부(J(NCn, L)에 비해 상측에 위치된다
케이싱 연결부(J(Ln, U))는 케이싱(1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비닛(12)의 측면(Ln)에서 상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 및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 중 어느 하나가 댐퍼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댐퍼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감쇠력(또는 탄성력)과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20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또는 감쇠력)은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한 방향이기 때문에, 스프링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가 댐퍼를 원위치 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 및
    상기 외조의 하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외조의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는 상하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조의 하부와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서 상부와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는,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소정의 점성을 갖는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대해 변위를 갖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대해 변위를 갖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와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각각,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와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는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에 비해 상측 구간에서 이동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와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케이싱;
    외조;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와 상기 외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케이싱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케이싱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는,
    상기 외조의 하부와 연결되는 외조 연결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외조 연결부에 대한 변위를 갖는 지지부재 연결부; 및
    상기 외조 연결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재 연결부의 변위에 대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와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상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는 상기 하부 수평진동 완충장치의 지지부재 연결부에 비해 상측 구간에서 이동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30086226A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3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226A KR102130590B1 (ko)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RU2016105770A RU2632028C2 (ru) 2013-07-22 2014-07-22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PCT/KR2014/006651 WO2015012568A1 (en) 2013-07-22 2014-07-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4293902A AU2014293902B2 (en) 2013-07-22 2014-07-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337,704 US9790632B2 (en) 2013-07-22 2014-07-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80052016.5A CN105556020B (zh) 2013-07-22 2014-07-22 衣物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226A KR102130590B1 (ko)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215A KR20150011215A (ko) 2015-01-30
KR102130590B1 true KR102130590B1 (ko) 2020-07-06

Family

ID=5234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226A KR102130590B1 (ko)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90632B2 (ko)
KR (1) KR102130590B1 (ko)
CN (1) CN105556020B (ko)
AU (1) AU2014293902B2 (ko)
RU (1) RU2632028C2 (ko)
WO (1) WO2015012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054B1 (ko) * 2015-03-16 2021-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15657B1 (ko) * 2015-03-16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1035065B2 (en) 2015-03-16 2021-06-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102241042B1 (ko) * 2015-03-16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16173B1 (ko) * 2015-03-16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23053B1 (ko) * 2015-03-16 2021-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6148479A1 (ko) * 2015-03-16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2017164255A (ja) * 2016-03-16 2017-09-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06980362A (zh) * 2016-10-09 2017-07-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场景的输入方法及装置
US10760195B2 (en) 2016-11-21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09252328A (zh) * 2017-07-14 2019-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CN109944015A (zh) * 2019-03-29 2019-06-2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
KR20210069960A (ko) 2019-12-04 2021-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진동 저감 장치
KR20220113531A (ko) * 2019-12-26 2022-08-12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세탁기 및 세탁기의 드럼의 균형을 증가시키는 방법
WO2024073297A1 (en) 2022-09-30 2024-04-04 Sonos, Inc. Generative audio playback via wearable playback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7816A1 (de) * 1986-08-16 1988-02-18 Stabilus Gmbh Reibungsdaempfer
KR910003155Y1 (ko) * 1988-11-03 1991-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진동 제진 장치
US5375437A (en) * 1993-09-20 1994-12-27 General Electric Company Out-of-balance condition detecting system with lid actuated switching assembly
US5613380A (en) * 1994-08-01 1997-03-25 General Electric Company Coil spring and snubber suspension system for a washer
KR960014506A (ko) 1994-10-10 1996-05-22 배순훈 세탁기의 저수조 현가장치
KR101392422B1 (ko) * 2006-10-26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BRPI0705172A2 (pt) * 2007-11-19 2009-07-21 Whirlpool Sa arranjo de suspensão para máquina lavadora de roupas
CN201729994U (zh) * 2010-05-13 2011-02-02 周定立 新型静音双桶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93902B2 (en) 2017-08-10
AU2014293902A1 (en) 2016-03-10
US9790632B2 (en) 2017-10-17
CN105556020A (zh) 2016-05-04
RU2632028C2 (ru) 2017-10-02
KR20150011215A (ko) 2015-01-30
RU2016105770A (ru) 2017-08-29
US20150020548A1 (en) 2015-01-22
CN105556020B (zh) 2018-03-02
WO2015012568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59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9279207B2 (en) Washing machine with a suspension having a friction damper
KR101934735B1 (ko) 세탁기
KR10210444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2592183A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dynamic vibration absorber
US1016107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1027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980991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969025B1 (ko) 세탁기 댐핑 기구 및 세탁기
KR10210275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84298B1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WO2020216457A1 (en) Vibration-reduced washing machine
CN211872338U (zh) 滚动式减震装置及洗衣机
KR100587306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KR101934061B1 (ko) 세탁기
KR101934054B1 (ko)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24104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13769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