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216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216A
KR20150011216A KR1020130086228A KR20130086228A KR20150011216A KR 20150011216 A KR20150011216 A KR 20150011216A KR 1020130086228 A KR1020130086228 A KR 1020130086228A KR 20130086228 A KR20130086228 A KR 20130086228A KR 20150011216 A KR20150011216 A KR 2015001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support rod
moving member
pist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4442B1 (ko
Inventor
유인식
김영준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442B1/ko
Priority to PCT/KR2014/006628 priority patent/WO2015012560A1/en
Priority to US14/337,891 priority patent/US9890491B2/en
Priority to CN201480052024.XA priority patent/CN105556023B/zh
Priority to RU2016105750A priority patent/RU2622810C1/ru
Priority to AU2014293894A priority patent/AU2014293894B2/en
Publication of KR2015001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상기 케이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벗; 일단이 상기 피벗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외조를 매다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대해 위치가 가변되는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외조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벗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벗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외조의 수평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로, 세탁물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세탁물이 담긴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기, 세탁조 내로 냉풍 또는 열풍을 가하여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을 통칭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내부에 지지로드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수용되는 외조와, 세탁물(또는 포)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외조 내에서 회전되는 내조를 포함하며, 세탁기의 경우에는 상기 내조 내에서 회전되는 펄세이터(또는, 세탁날개)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내조나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시 상기 외조의 진동이 유발되며, 따라서, 통상의 세탁물 처리기기에는 상기 외조의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외조를 연결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되었으나, 상기 완충장치는 주로 상기 외조의 상하방향 진동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평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최근에는 주거 공간의 활용성 향상을 위해,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체 크기는 될 수 있으면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외조의 용량을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로, 상기 케이싱과 상기 외조 사이의 간격은 점점 좁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케이싱과 상기 외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수평방향의 진동에 의해 상기 외조와 상기 케이싱간의 충돌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외조의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제조과정에서 지지로드에 설치된 이동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상기 케이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벗; 일단이 상기 피벗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외조를 매다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대해 위치가 가변되는 제 2 연결부재;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외조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벗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벗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의 수평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제조과정 중에 지지로드가 아직 외조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상기 지지로드의 자유단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와 케이싱과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상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어느 정도의 포의 편심이 유발된 상황에서도 외조의 진동을 신속하게 감쇠시킴으로써, 포를 분산시키기 위한 구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통상 탈수 진입을 위해, 일정 수준 이하로 외조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내조 내의 포들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포분산 구동이 수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탈수 진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수평진동감쇠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평진동감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 연결부와 도 5의 이동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이동부재가 피벗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5의 이동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평진동감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수평진동감쇠부에서 제한부재에 의해 피스톤에 대한 실린더의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수평진동감쇠부에서 제한부재와 실린더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의 제 1 연결부재를 종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가 도 15의 제 1 연결부재에 조립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제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제한부재와 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수팽진동감쇠부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수평진동감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는 도 26에 도시된 수평진동감쇠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례로 세탁기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과,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미도시)을 여닫는 도어(7)를 포함한다.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2)가 지지로드(15)에 의해 케이싱(10) 내부에 매달린다. 외조(2)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조(3)에는 세탁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내조(3)의 바닥에는 펄세이터(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케이싱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족한 것이나, 특히, 외조(2)를 매다는 지지로드(15)의 일단이 케이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움직이지 않는 고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은 상측이 개구된 본체(12)와, 본체(12)의 상측에 구비되고 대략 중앙부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이 형성되는 탑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15)의 일단에는 피벗(18)이 결합된다. 피벗(18)은 피벗 지지부(16)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벗 몸체부(18b)와, 피벗 몸체부(18b)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으로 지지로드(15)가 통과되는 넥(neck, 18a)을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조)
피벗 지지부(16)는 케이싱(10)에 대해 고정되어 피벗(18)이 소정 범위 내에서 선회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피벗(18)의 삽입이 이루어지되, 완전이 통과되지 않고 피벗 몸체부(18b)가 상기 개구부에 걸림으로써 지지된다. 피벗 지지부(16)는 본체(12) 및 탑커버(14)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일단이 피벗(18)과 결합되고, 타단은 서스펜션(30)에 의해 외조(2)와 연결된다. 서스펜션(30)은 지지로드(15)와 외조(2)를 연결함과 아울러, 세탁기 작동 중 발생하는 외조(2)의 진동을 감쇠시킨다. 서스펜션(30)은 외조(2)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캡(31)과, 외조(2)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캡(31)을 관통하며, 지지로드(15)의 일단에는 탄성부재(32)를 지지하는 베이스(33)가 구비된다.
외조(2) 진동 시, 서스펜션 캡(31)이 외조(2)와 일체로 지지로드(15)를 따라 승강된다. 외조(2)와 일체로 캡(31)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베이스(33)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캡(31)의 이동에 따라 압축된 공기가 캡(31)의 내주면과 베이스(33) 사이를 통해 빠져 나오면서 작용하는 점성력, 탄성부재(32)의 탄성변형에 따른 탄성/복원력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부호와 이에 따른 구성들을 더 설명하면, 세탁기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외조(2) 및/또는 내조(3)내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로(5), 급수유로(5)를 단속하는 급수밸브(6), 내조(3) 및/또는 펄세이터(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 외조(2)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유로(9), 배수유로(9)를 단속하는 배수밸브(8) 및/또는 배수유로(9)를 통해 배수되는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조(2)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진동감쇠부를 포함한다. 외조(2)의 상하 방향의 진동은 주로, 외조(2)의 하단에 구비된 서스펜션(30)에 의해 감쇠되고, 수평방향의 진동은 주로 수평진동감쇠부에 의해 감쇠된다.
수평진동감쇠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먼저, 용어들을 정의한다.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는 외조(2)를 외조(2) 외부에 위치하는 지지체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체는 제 1 연결부재가 연결될 수 있으면 족한 것으로, 케이싱(10) 또는 지지로드(15)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는 것을 제 1 연결부재라고 하고, 외조(2)와 연결되는 것을 제 2 연결부재라고 한다. 이하, 제 1 연결부재는 지지로드(15)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싱(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는 외조(2)의 변위에 따라 서로 상대 운동된다.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는, 외조(2)의 진동에 따라 양자 사이에 상대운동, 즉,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다른 하나의 변위가 발생된다.
이동부재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연결부재와 연결된다. 이동부재가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외조(2)의 상하 진동에 대해서는 제 1 연결부재와 제 2 연결부재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의 어느 하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외조 연결부는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외조와 연결하는 것이고, 이동부재 연결부는 피스톤과 실린더 중 다른 하나를 이동부재와 연결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마찰부재는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조(2)의 진동, 특히 수평방향 진동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이때의 마찰력은 주로 운동 마찰력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수평진동감쇠부(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평진동감쇠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100)를 설명한다.
수평진동감쇠부(100)는 이동부재(140)와, 제 1 연결부재(110)와, 제 2 연결부재(120)와,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40)는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동부재(140)는 제 1 연결부재(110)와 연결되되, 제 1 연결부재(110)가 이동부재(140)에 대해서 선회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동부재(140)는 지지로드(15)가 관통되는 관통구(141a)가 형성된 이동부재 몸체부(141)를 포함하고, 이동부재 몸체부(141)는 관통구(141a)의 내주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함침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140)가 지지로드(15)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침부(141c)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동부재(140)와 지지로드(15)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줄어듦으로써, 이동부재(140)의 이동에 따른 이상 소음의 발생이 저감되고, 이동부재(140)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함침부(141c)는 윤활제가 밑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측은 막혀 있되, 상측은 막혀 있거나 개구된 어느 형태여도 무방하다. 함침부(141c)의 상측이 개구된 경우, 수평진동감쇠부(100)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유지 보수를 위한 윤활제 도포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함침부(141c)는 관통구(141a)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110)는 피스톤(116)과, 피스톤(116)을 이동부재(140)에 연결하는 이동부재 연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16)과 이동부재 연결부(115)는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다.
이동부재 연결부(115)는 이동부재(14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140) 및 이동부재 연결부(115) 중의 어느 하나에는 선회축(144a, 144b)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선회축(144a, 144b)이 삽입 결합되는 축 체결구(111h, 112h)가 형성될 수 있다. 선회축(144a, 144b)의 단부에는 조립시 이동부재 연결부(115)의 레그(도 6의 211, 212 참조)와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경사면(145a, 14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동부재 몸체부(141)로부터 양쪽으로 한 쌍의 선회축(144a, 144b)이 돌출되고, 이동부재 연결부(115)에는 한 쌍의 선회축(144a, 144b)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축 체결구(111h, 112h)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 2 연결부재(120)는 외조(2)가 진동함에 따라, 피스톤(116)에 대해 이동되는 실린더(122)와, 실린더(122)를 외조(2)와 연결하는 외조 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22) 내측으로 제 1 연결부재(110)의 피스톤(116)이 삽입된다. 이때, 피스톤(116)의 외주면과 실린더(122)의 내주면은 서로 면접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스톤(116)과 실린더(122)가 상대 운동할 시 양자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된다.
외조 연결부(121)는 외조(2)에 대해 선회 운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외조 연결부(121)의 회전은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조 연결부(121)에는 외조(2)와의 연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121h)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 체결부(20)는 제 2 연결부재(120)가 외조(2)에 대해 선회될 수 있도록 제 2 연결부재(120)와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연결부재 체결부(20)는 외조 연결부(121)를 지지하는 연결부 지지판(21)과, 연결부 지지판(21)과 대향하는 체결부재 지지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지지판(21)과 체결부재 지지판(22)에는 각각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구(21h, 22h)가 형성될 수 있다.
외조 연결부(121)는 핀,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부재 체결부(20)와 선회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체결부재는 핀(41)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41)은 연결부 지지판(21)의 체결구(21h), 외조 연결부(121)의 체결구(121h), 체결부재 지지판(22)의 체결구(22h)을 통과한다. 부싱(43)과 탄성부재(4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 지지판(21)의 체결구(21h), 외조 연결부(121)의 체결구(121h), 체결부재 지지판(22)의 체결구(22h)에 탄성부재(42)를 삽입한 후, 다시 탄성부재(42) 내에 부싱(43)을 삽입하고, 부싱(43)에 핀(44)이 삽입된다. 탄성부재(42)는 합성 또는 천연 고무와 같이 다소간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외조(2)에 대한 제 2 연결부재(120)의 원활한 선회 동작을 유도하고, 이상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고,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 지지판(21)과 체결부재 지지판(22) 사이는 연결판(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연결판(23)은 연결부 지지판(21)의 일측과, 상기 일측과 같은 쪽의 체결부재 지지판(22)의 일측을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부 지지판(21)과 체결부재 지지판(22) 사이는 한쪽은 연결판(23)에 의해 막히나, 다른 한쪽은 제 2 연결부재(120)가 원활하게 선회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이룬다.
한편, 강도 보강을 위해 체결부재 지지판(22)과 외조(2)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5a, 25b), 연결부 지지판(21)과 외조(2)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4a, 24b) 및/또는 연결판(23)과 외조(2)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6a, 26b)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 체결부(20)는 외조(2)와 별개의 형성되어 나사, 볼트,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 또는 형합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외조(2)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마찰부재(130)는 실린더(122) 내에 고정되어, 피스톤(116)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마찰부재(130)는 피스톤(116)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22)는 마찰부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마찰부재 수용홈(123)을 포함한다. 마찰부재(130)의 재질로는 펠트(felt) 등의 섬유질이나,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마찰부재 수용홈(123)은 마찰부재(130)가 실린더(122)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일측은 실린더(122)의 내주면과 단차(123a)를 이루나, 타측은 마찰부재(130)의 설치를 위해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찰부재(130)가 실린더(1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린더 커버(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150)는 피스톤(116)이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중앙은 개구되고, 외경이 서로 다른 외측 링(151)과 내측 링(152)을 포함한다.
실린더 커버(15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링(151)의 외경은 실질적으로 실린더(122)의 내경과 같으며, 외측 링(151)이 실린더(122)에 압입됨으로써 분리가 방지된다.
내측 링(152)의 외경은 외측 링(151)의 외경보다는 작으나 피스톤(116)의 외경보다는 크다. 내측 링(152)에 의해 마찰부재(130)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된다. 따라서, 외조(2)가 진동함에 따라 실린더(122)가 이동하더라도, 실린더(122)로부터 마찰부재(1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실린더 커버(150)는 실린더(122)의 내주면 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결합돌기(15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54)는 외측 링(151) 및 내측 링(152)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돌출될 수 있으며, 피스톤(116)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실린더(122)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54)가 삽입되는 삽입슬롯(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롯의 폭은 실질적으로 결합돌기(154) 폭과 같다. 따라서, 결합돌기(154)가 상기 삽입슬롯 내로 압입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상호 간의 결합력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실린더 커버(150)의 회전이 방지된다.
내측 링(152)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리브(15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53)는 실린더(122)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 연결부와 도 5의 이동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이동부재(240)가 피벗(18)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5의 이동부재(240)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240)는 지지로드(15)가 관통되는 관통구(241a)가 형성된 이동부재 몸체부(241)를 포함한다. 이동부재 몸체부(241)는 관통구(241a)의 내주면(241d)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함침부(241c)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부(241c)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240)가 지지로드(15)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침부(241c)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동부재(240)와 지지로드(15)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줄어듦으로써, 이동부재(240)의 이동에 따른 이상 소음의 발생이 저감되고, 이동부재(240)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함침부(241c)는 윤활제가 밑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측은 막혀 있되, 상측은 막혀 있거나 개구된 어느 형태여도 무방하다. 함침부(241c)의 상측이 개구된 경우, 유지 보수를 위한 윤활제 도포가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 연결부(215)는 이동부재(24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240) 및 이동부재 연결부(215) 중의 어느 하나에는 선회축(244a, 244b)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선회축(244a, 244b)이 삽입 결합되는 축 체결구(211h, 212h)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동부재 몸체부(241)로부터 양쪽으로 한 쌍의 선회축(244a, 244b)이 돌출되고, 이동부재 연결부(215)에는 한 쌍의 선회축(244a, 244b)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축 체결구(211h, 212h)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동부재 연결부(215)는 이동부재(2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레그(211, 21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의 레그(211, 212)에 축 체결구(211h, 212h)가 형성된다.
레그들(211, 212) 사이는 레그 연결부(213)에 의해 연결되며, 레그(211, 212)가 레그 연결부(213)와 연결되는 부분은 레그들(211, 21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부(214a, 214b)가 형성된다.
선회축(244a, 244b)의 단부에는, 이동부재 연결부(215)와 제한부재(240)의 조립시, 선회축(244a, 244b)이 축 체결구(211h, 212h)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경사면(245a, 245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경사면(245a, 245b)과 접촉되는 레그(211, 212)의 단부에도 제 1 경사면(244a, 244b)과 대응하는 제 2 경사면(211c, 212c)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제 2 경사면(211c, 212c)이 제 1 경사면(245a, 245b)과 접촉된 상태에서 힘을 가해 이부재 연결부(215)를 밀면, 제 2 경사면(211c, 212c)이 제 1 경사면(245a, 245b)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레그들(211, 212) 사이가 벌어지고, 제 2 경사면(211c, 212c)이 제 1 경사면(245a, 245b)을 완전히 타고 넘어간 이후에, 선회축(244a, 244b)이 축 체결구(211h, 212h)에 삽입된다(도 6의 (b)참조).
그런데, 제 2 경사면(211c, 212c)이 제 1 경사면(245a, 245b)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레그들(211, 212)이 벌어졌다가, 선회축(244a, 244b)이 축 체결구(211h, 212h)에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하는데, 이동부재 연결부(215)가 강성이 매우 강해 전혀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지 않는 한, 다소 간의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벌어진 레그들(211, 212)은 재질 자체의 특성으로부터 기인한 복원력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레그들(211, 212)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소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여 더 큰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레그(211, 212)와 레그 연결부(213) 사이에 곡면부(214a, 214b)가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214a, 214b)의 곡률변화에 따라 레그들(211, 212)의 변형과 복원이 적당한 탄성을 유지하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세탁기의 제조과정은 각종 부품들이 차례로 조립되는 여러 단계의 공정들을 거치는데, 이러한 공정들은 아직 서스펜션(30)이 조립되지 않은 지지로드(15)의 자유단을 통해 이동부재(240)를 삽입하고, 이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240)와 이동부재 연결부(215) 또는 지지로드(15)와 서스펜션(30)을 조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상기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지지로드(15)의 일단은 아직 서스펜션(30)이 조립되지 않은 자유단이기 때문에, 지지로드(15)로부터 이동부재(240)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40)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240)를 피벗(18)에 고정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동부재(240)는 피벗(18)의 넥(18a)과의 고정을 위한 피벗 결합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피벗 결합부는 이동부재 몸체부(241)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242a, 242b, 243a, 24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240)의 설치 시, 지지로드(15)의 일단은 이동부재(240)에 형성된 관통구(241a)의 양측 개구부 어느 쪽으로도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40)가 어느 방향으로도 넥(18a)과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42a, 242b, 243a, 243b)는 이동부재 몸체부(241)로부터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돌기(242a, 242b, 243a, 243b)는 서로 대향하며 형성된 제 1 고정돌기 및 제 2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며 형성된 제 3 고정돌기(242a)와 제 4 고정돌기(24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들 사이로 넥(18a)이 끼워진다. 이동부재(240)가 피벗(18)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고정돌기들의 내주면은 넥(18a)의 외주면과 접한다.
실시예에서, 제 1 고정돌기(242a)와 제 2 고정돌기(242b)사이로 넥(18a)이 끼워진다고 가정하고, 관통구(241a)의 중심에서 고정돌기(242a, 242b)의 내주면(242a(i), 242b(i))까지의 거리를 고정돌기의 내측 반경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고정돌기의 내측 반경은 넥(18a)의 외주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고정돌기(242a)와 제 2 고정돌기(242b) 사이로 넥(18a)이 끼워진 상태로 분리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수준의 그립력(grip force)가 제공한다. 이동부재(240)가 넥(18a)에 끼워질 시 제 1 고정돌기(242a)와 제 2 고정돌기(242b)가 반경 외측방향, 즉,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 1 고정돌기(242a)와 제 2 고정돌기(242b)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제 1 고정돌기(242a)와 제 2 고정돌기(242b)가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이동부재(240)를 구성하는 소재(예를들어, 합성수지) 특성으로부터 기인한 일정 수준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따라서 이동부재(240)가 보다 확실하게 넥(18a)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벗 결합부는 링 또는 관상의 고정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의 내경은, 넥(18a)에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넥(18a)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 몸체부(241)에는 관통구(241a)와 연통되되, 관통구(241a)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피벗 삽입구(24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피벗 삽입구(241b) 내로 넥(18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이동부재(240)는 손잡이(248)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48)는 이동부재 몸체부(241) 및 고정돌기(242a, 242b, 243a, 243b) 중 어느 것으로부터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평진동감쇠부(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수평진동감쇠부(300)에서 제한부재(60)에 의해 피스톤(315)에 대한 실린더(322)의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한부재(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수평진동감쇠부(300)에서 제한부재(60)와 실린더(322)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9의 제 1 연결부재(310)를 종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수평진동감쇠부(300)는 제 1 연결부재(310)와, 수평변위부와,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변위부는 제 1 연결부재(310)를 외조(2)와 연결시키고, 외조(2)의 진동에 의해 제 1 연결부재(310)의 종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되, 이동된 변위가 갖는 수평성분 거리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재(310)에 대한 변위를 갖는다. 이러한 수평변위부는 제 2 연결부재(320)와 제한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변위부는 제 1 연결부재(310)에 대한 변위가 일정량에 도달할 시, 제 1 연결부재(310)에 걸림됨으로써 변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제한부재(60)에 형성될 수 있다(62a, 62b 참조).
제 1 연결부재(310)는 피스톤(316)과, 피스톤(316)을 이동부재(240)에 연결하는 이동부재 연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16)과 이동부재 연결부(315)는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다.
이동부재 연결부(315)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 연결부(215)와 비교할 시, 축 체결구(311h, 312h)의 형태만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동부재 연결부(315)는 축 체결구(311h, 312h) 내에 선회축(244a, 244b)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연결부재(3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축 체결구(311h, 312h)를 갖는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체결구(311h, 312h) 내에 선회축(244a, 244b)이 위치된 상태에서도, 제 1 연결부재(310)는 길이 L만큼의 변위를 가질 수 있다.
마찰부재(130)는 제 1 연결부재(310)와 상기 수평변위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하, 마찰부재(130)는 피스톤(316)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스톤(316)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횡방향 리브(317a)와, 제 2 횡방향 리브(318a)가 돌출될 수 있다. 제 1 횡방향 리브(317a)와, 제 2 횡방향 리브(318a)는 피스톤(316)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다.
제 2 횡방향 리브(318a)는 피스톤(3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횡방향 리브(317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 1 횡방향 리브(317a)와 제 2 횡방향 리브(318a) 사이에 마찰부재(130)가 배치된다.
제한부재(60)는 피스톤(316)과 실린더(322) 간의 상대운동을 제한한다. 예를들어, 외조(2)가 진동함에 따라 실린더(322)의 이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피스톤(316)에 대한 실린더(322)의 이동 또는 변위가 제한된다.
제한부재(60)는 실린더(322)와 결합됨으로써, 실린더(322)에 대한 위치는 고정되고, 이렇게 실린더(322)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스톤(316)에 대한 실린더(322)의 변위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제한부재(60)가 피스톤(316)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피스톤(316)과 실린더(322) 사이의 변위가 제한된다
제한부재(60)는 실린더(322)에 외삽될 수 있도록 관상의 형태를 이루는 관부(61a)와, 관부(61a)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2a, 6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횡방향 리브들(317a, 318a)은 피스톤(316)의 외주면 상에서의 원주 중 일부 구간에 형성된다. 이러게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제한부재(60)가 피스톤(3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워질 시, 걸림돌기(62a, 62b)가 종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는 종방향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즉, 제한부재(60)가 피스톤(316)의 단부를 통해 끼워질 시, 걸림돌기(62a, 62b)가 차례로 제 2 횡방향 리브(318a)와, 제 1 횡방향 리브(317a)를 지나야 하며, 이때의 걸림돌기(62a, 62b)의 이동 경로는 횡방향 리브들(317a, 318a)이 형성되지 않는 구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제 1 횡방향 리브(317a, 317b)는 피스톤(316)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횡방향 리브들(317a, 317b) 사이에는 제한부재(60)의 걸림돌기(62a, 62b)가 통과되는 간격이 존재한다. 즉, 제 1 횡방향 리브들(317a, 317b)은 피스톤(316) 외주면을 따라 하나의 완전한 원을 이루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원주의 일부 구간에 제한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제 1 횡방향 리브들(317a, 317b)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존재한다. 특히, 제 1 횡방향 리브(317a, 317b)는 피스톤(316)에 설치된 제한부재(60)의 걸림돌기(62a, 62b)가 걸림으로써, 피스톤(316)으로부터 제한부재(60)가 분리되는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바, 이하 제 1 횡방향 리브(317a, 317b)를 분리방지 리브라고도 칭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횡방향 리브(318a, 318b)는 피스톤(316)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횡방향 리브들(318a, 318b) 사이에는 제한부재(60)의 걸림돌기(62a, 62b)가 통과되는 간격이 존재한다. 즉, 제 2 횡방향 리브들(318a, 318b)은 피스톤(316) 외주면을 따라 하나의 완전한 원을 이루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구간에 제한적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제 2 횡방향 리브들(318a, 318b)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존재한다.
피스톤(316)에 제한부재(60)를 삽입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걸림돌기(62a, 62b)는 제 2 횡방향 리브들(318a, 318b)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과, 제 1 횡방향 리브들(318a, 318b)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차례로 통과한다. 즉, 제 2 횡방향 리브들(318a, 318b)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은 걸림돌기(62a, 62b)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이고, 제 1 횡방향 리브들(318a, 318b)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은 걸림돌기(62a, 62b)의 삽입이 완료되는 출구가 된다. 이하, 걸림돌기가 피스톤(316)이 길이방향, 즉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통과되는 종방향 통로 (316h)는 그 일단이 상기 입구이고 타단이 상기 출구가 되는 경로로 정의한다. 제 1 연결부재(310)의 사출 시 금형으로부터의 원활한 취출, 즉 언더컷(under cut)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피스톤(316)의 길이방향(취출방향)에서 바라볼 시 서로 중첩이 이루어지는 동일한 구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스톤(3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종방향 리브(319a, 319b, 319c, 319d)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개의 리브들(319a, 319b, 319c, 319d) 중 분리방지 리브(317a, 317b)로부터 레그 연결부(313)를 향해 연장되는 것은, 피스톤(316)에 제한부재(6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한부재(60)의 회전에 따른 걸림돌기(62a, 62b)의 원주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이하, 회전제한 리브라고 칭한다. 이러한 회전제한 리브는 임의의 분리방지 리브(317a)로부터 적어도 한 쌍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방지 리브들(317a, 317b) 각각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회전제한 리브들(319a, 319c)이 형성되었다.
회전제한 리브(319a, 319b)는 피스톤(316)의 길이방향, 즉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분리방지 리브(317a, 317b)와 레그 연결부(313) 사이의 구간 모두에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걸림돌기(62a, 62b)가 원주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이 제공되도록 일부 구간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 리브(319a, 319b)의 일단은 레그 연결부(313)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원주방향 통로(319h)를 제공한다. 회전제한 리브(319a, 319b)를 기준으로 종방향 통로(316h)를 통과한 후 걸림돌기(62a, 62b)가 위치하는 제 1 영역(S1)과, 한 쌍의 회전제한 리브들(319a, 319b) 사이로 한정되는 제 2 영역(S2)간의 걸림돌기(62a, 62b)의 이동이 회전제한 리브가 형성되지 않는 소정의 통로를 통해 허용될 수 있다면, 회전제한 리브의 구성, 개수 또는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에 표시된 P는 제한부재(60)의 설치과정에서 걸림돌기(62a, 62b)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으로, 제 1 연결부재(310)와 상기 수평변위부(또는 제한부재(60))의 조립시, 걸림돌기(62a, 62b)가 분리방지 리브(317a, 317b)가 형성되지 않는 구간을 통해 종방향을 따라 이동된 후, 회전제한 리브(319a, 319b)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을 통과하여 한 쌍의 회전제한 리브들(319a, 319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종방향 리브(319b)는 제 2 횡방향 리브(318a, 318b)로부터 피스톤(316)의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한부재(60)를 피스톤(316)의 단부를 통해 끼워넣으면, 걸림돌기(62a, 62b)가 종방향 통로(316h)를 통과하여 레그 연결부(313)쪽으로 접근되고, 이 상태(걸림돌기(62a, 62b)가 제 1 영역(S1)에 위치)에서 제한부재(60)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62a, 62b)가 회전제한 원주방향 통로(319h)를 통해 제 2 영역(S2)으로 이동된다. 제 2 영역(S2)에서 제한부재(60)의 피스톤(316)의 길이방향을 따른 움직임은 분리방지 리브(317a)에 의해 걸림으로써 제한되며, 따라서 피스톤(316)으로부터 제한부재(6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제 2 영역(S2)에서 걸림돌기(62a, 62b)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은 한 쌍의 회전제한 리브(319a, 319b) 사이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걸림돌기(62a, 62b)를 일부러 원주방향 통로(319h)로 통과시키지 않는 이상, 제한부재(60)는 피스톤(316)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실린더(322)의 외주면으로부터 결합돌기(323)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한부재(60)에는 결합돌기(323)와 체결되는 결합돌기 체결구(61h)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 체결구(61h)는 관부(6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재(60)가 실린더(322)에 설치될 시, 결합돌기(323)가 제한부재(60)의 결합돌기 체결구(61h)에 삽입됨으로써 제한부재(60)가 고정된다.
결합돌기(323)는 제한부재(60)가 설치되는 방향(도 10에서 참조부호 66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제 1 경사면(323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한부재(60)의 일단에는 결합돌기(323)의 설치를 위한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홈(6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 안내홈(63)에는 결합돌기(323)의 제 1 경사면(323a)과 접하는 제 2 경사면(6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재(60)의 설치 시, 제 2 경사면(63a)이 제 1 경사면(323a)을 타고 이동된다. 제 1 경사면(323a)과 제 2 경사면(63a)이 경사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이 줄어들고, 제한부재(60)의 조립 과정에서 응력 집중으로 인한 결합돌기(323) 또는 제한부재(6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323)가 결합돌기 체결구(61h)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1 경사면(323a)과 반대쪽으로 실린더(322)의 외주면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형성된 걸림턱(232b)이 결합돌기 체결구(61h) 둘레에 걸린다. 따라서, 제한부재(60)와 실린더(323) 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설치 방향 안내표지(66)는 제한부재(60)의 설치방향을 표시한 것으로, 상기 설치방향은 결합돌기(323)와 체결되기 위한 결합돌기 체결구(61h)의 이동방향이기도 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160)가 도 15의 제 1 연결부재(310)에 조립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한부재(1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160)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60)와 차이가 나는 점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161e)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슬릿(161e)은 제한부재(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제한부재(16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부가 절개된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절개된다(도 17에서 h1은 슬릿(161e)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제한부재(160)는 슬릿들(161e)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개의 측벽부(161a, 161b, 161c, 161d)를 포함한다. 결합돌기(323)가 결합돌기 체결구(161h)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슬릿(161e)의 양쪽 측벽부(161b, 161c)가 어느 정도 벌어지기 때문에, 결합돌기(323)가 결합돌기 체결구(161h)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외조(2)의 진동에 따라 피스톤(316)의 이동되는 과정에서, 피스톤(316)의 분리방지 리브(317a, 317b)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제한부재(160)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으나, 슬릿(161e)으로 인해 양쪽의 측벽부들(161b, 161c)이 탄력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응력이 분산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결합돌기 체결부(161h)는 측벽부들(161a, 161b, 161c, 161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 체결구(161h)가 형성된 측벽부(161a, 161c)의 단부에는 이동 안내홈(163)이 형성되고, 이동 안내홈(163)에는 제 2 경사면(163c) 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 체결구(161h)와 제 2 경사면(163c)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 체결구(61h)와 제 2 경사면(63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부재(160)는 결합돌기(162a, 162b)를 갖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60)에서의 결합돌기(62a, 62b)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2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260)는 슬릿(261e), 측벽부(261a, 261b, 261c, 261d), 이동 안내홈(263), 제 2 경사면(263c)을 갖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결합돌기를 갖는는 점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160)와 공통이나,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261c)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돌기 체결구(261h1, 261h2)가 형성되며, 그에 따라 측벽부(261a, 261b, 261c, 261d) 또는 슬릿(261e)의 길이 역시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2>h1).
이렇게 측벽부(261a, 261b, 261c, 261d)에 복수의 결합돌기 체결구(261h1, 261h2)를 형성하는 이유는, 첫째, 결합돌기(323)를 복수의 결합돌기 체결구(261h1, 261h2) 중 어느 것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걸림돌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따라 실린더(322)의 변위 또한 다르게 제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걸림돌기는 실질적으로 도 11, 도 16 등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걸림돌기(62a, 162a 등)와 동일한 구성이다.
둘째, 측벽부(261a, 261b, 261c, 261d)의 변형에 따른 응력의 집중으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측벽부(261a, 261b, 261c, 261d)에 가해진 응력이 결합돌기 체결구(261h1, 261h2)의 가장자리를 통해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결합돌기 체결구(261h1, 261h2)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제한부재(3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360)는 슬릿(361e), 측벽부(361a, 361b, 361c, 361d), 이동 안내홈(363), 제 2 경사면(363c)을 갖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며 결합돌기를 갖는다는 점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260)와 공통이나, 측벽부(361c)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돌기 체결구(361h)가 점유하는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여유 부분이 존재한다. 즉, 도 19에서 슬릿(361e)의 길이(h2)는 결합돌기 체결구(361h)의 종방향 길이의 2배 이상이다.
이때, 측벽부(361c)의 전체길이와, 슬릿(361e)의 길이(h2)는 측벽부(361c)에 가해지는 응력이 재질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항복 응력 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360)는 측벽부(361c)에 복수의 결합돌기 체결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재질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수평진동감쇠부는 제 1 연결부재(310'), 제 2 연결부재(320), 이동부재(240), 제한부재(360) 및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1 연결부재(310')에 고정되는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었으며, 그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 1 연결부재(310')는 이동부재 연결부에 형성된 체결구(311h', 312h')가 장공이 아니라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부재(310)와 차이가 있다. 즉, 외조(2)의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선회축(244a, 244b)에 대한 체결구(311h', 312h')의 변위는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선회축(244a, 244b)과 체결구(311h', 312h') 간의 충돌로 인한 타격음이 발생되지 않아 정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제한부재와 링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500)는 제한부재(460)와 링(470)을 포함한다. 제한부재(460)는 도 19에 도시된 제한부재(360)에 링 체결홈(365)이 추가된 구조로,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링 체결홈(365) 위주로 설명을 하고, 그 밖의 구성은 도 19와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설명에 따르기로 한다.
제한부재(460)는 측벽부들(361a, 361b, 361c, 361d) 사이에 슬릿(361e)이 형성된 형태이다. 제 1 연결부재(310')와 제 2 연결부재(320)은 제한부재(460)를 매개로 하여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외조(2)의 진동시 이동부재(24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 연결부(315)의 운동과, 피스톤(316)과 실린더(322) 사이에 상대운동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러한 과정에서 슬릿(361e)을 기준으로 양쪽의 측벽부들(361a, 361b, 361c, 361d) 사이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측벽부들(361a, 361b, 361c, 361d)간의 어느 정도의 변형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한부재(46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 또는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여 내구성 또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나, 측벽부들(361a, 362b, 361c, 361d) 사이의 과도한 벌어짐은 재질의 균열 또는 소성변형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제한부재(460)가 사출 등의 방식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재인 경우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링(470)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부재(460)에 끼워진다. 링(470)은 천연, 합성 고무 등과 같이 소정의 탄력성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470)이 제한부재(460)에 고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제한부재(46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링 체결홈(365)이 형성될 수 있다. 링 체결홈(365)은 임의의 측벽부(361a, 361b, 361c, 361d)로부터 서로 마주보고 돌출된 한 쌍의 홈 형성돌기들(366, 367)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홈 형성돌기들(366, 367)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홈 형성돌기(366)와, 제한부재(460)의 종방향으로 제 1 홈 형성돌기(366)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2 홈 형성돌기(367)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홈 형성돌기(366, 367)는 링 체결홈(365)을 한정하는 홈 한정면 (366a, 367a)를 갖으며, 각 홈 한정면(366a, 367a)는 실질적으로 측벽부(361a, 361b, 361c, 361d)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다.
또한, 각각의 홈 형성돌기(366, 367)는 홈 한정면(366a, 367a)와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외측면(366b, 367b)를 갖으며, 이들 외측면(366b, 367b)들은 오목면을 이룬다.
홈 형성돌기들(366, 367)은 결합돌기 체결구(361h)와 슬릿(361e)이 형성된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 연장되며, 따라서, 링 체결홈(365)은 결합돌기 체결구(361h)와 슬릿(361e)이 형성된 구간에서는 불연속적이기는 하나,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원주상에서 연장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6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수팽진동감쇠부(600)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수평진동감쇠부(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을 참조하면, 수평진동감쇠부(600)는 제 1 연결부재(410), 제 2 연결부재(120), 이동부재(340) 및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연결부재(120)에 고정되는 마찰부재(13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었으며, 그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600)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이동부재(340)와 이동부재 연결부(415)의 결합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부재(340)는 지지로드(15)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이동부재 몸체부(341)와, 이동부재 몸체부(34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이동부재 베이스부(343)와, 이동부재 베이스부(343)로부터 연장되고 그 외주면이 구면(求面)의 일부를 이루는 복수의 구면껍질(spherical shell, 342)을 포함한다.
구면껍질들(342)은 이동부재 베이스부(34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부재 베이스부(343)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측은 자유단이다. 따라서, 상기 자유단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동부재 베이스부(343)와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특히, 이동부재(340)가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이루어진 경우, 재질 자체가 갖는 다소간의 탄력성에 의해 상기 선회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들을 통해 보이는 바와 같이, 구면껍질(342)은 지지로드(15)의 중심(Z축)으로부터의 최대 거리가, 구면껍질(342)이 이동부재 베이스부(343)와 연결되는 부분과 자유단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 연결부(415)는 이동부재(340)를 감싸는 소켓(socket)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부재(340)의 구면껍질(342)과 접촉되는 내주면(415i)은 구면껍질(342)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부재 연결부(415)는 구면껍질(342)과 접하는 내주면(415i)에 가압면(415i1)과 삽입 지지면(415i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압면(415i1)과 삽입 지지면(415i2)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가압면(415i1)은 구면껍질(342)이 이동부재 베이스부(343)와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선회되도록 가압한다. 구면껍질(342)로부터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면(415i1)과 구면껍질(342) 사이에는 강한 척력이 작용한다.
이동부재 연결부(415)의 내주면(415i) 중 적어도 일구간은 구면껍질(342)이 수용되는 수용홈(415r)을 이룬다. 수용홈(415r)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지지면(415i2)은 수용홈(415r)을 이루는 면들중에서 구면껍질(342)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이다.
복수의 구면껍질(34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용홈(415r) 내로 삽입되고, 다른 적어도 하나는 가압면(415i1)에 의해 가압된다. 수용홈(415r) 내에 구면껍질(342)이 수용되기 때문에, 이동부재(340)에 대한 이동부재 연결부(415)의 Z축(지지로드(15)의 길이방향) 회전은 제한된다.
이동부재(340)와 이동부재 연결부(415) 간의 결합은 볼-소켓 관절(ball-socket joint)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이동부재(340)는 지지로드(15)를 축(Z축)으로 회전되는 일종의 볼 요소(ball element)이고, 이동부재(340)와 연결된 이동부재 연결부(415)는 볼을 감싸는 소켓(socket) 요소에 해당하며, 이동부재 연결부(415)는 X, Y, Z 축 모두에 대해 소정 범위 내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다. 다만, 복수의 구면껍질(34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용홈(415r)에 수용되어, 이동부재 연결부(415)에 대한 구면껍질(342)의 Z축 회전(즉, 지지로드(15)를 축으로 하는 회전)은 구속되기 때문에, 이동부재 연결부(415)의 Z축 회전은 이동부재(340)의 회전과 일체가 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500)는 이동부재 연결부(415)에 대해 더 많은 자유도를 부여함으로써, 지지로드(15)를 따라 이동부재(340)가 이동되더라도, 이동부재 연결부(415)와 이동부재(340) 간의 결합에 보다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7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는 도 26에 도시된 수평진동감쇠부(700)의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수평진동감쇠부(700)는 제 1 연결부재(410), 제 2 연결부재(320) 및 이동부재(34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었으며, 그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진동감쇠부(700)가 도 23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마찰부재(130)가 제 1 연결부재(410)에 고정된다는 점이다. 제 1 연결부재(410)의 피스톤은 실질적으로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피스톤(316)과 동일한 구조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
    상기 케이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벗;
    일단이 상기 피벗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외조를 매다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대해 위치가 가변되는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외조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벗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벗 결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이동부재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 결합부는,
    상기 이동부재 몸체부로부터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고정돌기 및 제 2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피벗의 결합은,
    상기 제 1 고정돌기 및 제 2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피벗이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은,
    상기 케이싱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벗 몸체부; 및
    상기 피벗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되는 넥을 포함하고,
    상기 넥이 상기 제 1 고정돌기 및 제 2 고정돌기 사이에 끼워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결합부는,
    상기 이동부재 몸체부로부터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정되되,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 3 고정돌기 및 제 4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몸체부는,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되, 상기 넥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퉁구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피벗 삽입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부재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선회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부재 연결부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선회축이 삽입되는 축 체결구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레그; 및
    상기 한 쌍의 레그 사이를 연결하는 레그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의 단부에는,
    상기 선회축이 상기 축 체결구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그와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제 1 경사면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연결부는,
    상기 레그와 상기 레그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한 쌍의 레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부를 이루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상기 레그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고, 상기 외조의 진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에 대한 변위를 갖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30086228A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0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228A KR102104442B1 (ko)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PCT/KR2014/006628 WO2015012560A1 (en) 2013-07-22 2014-07-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337,891 US9890491B2 (en) 2013-07-22 2014-07-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80052024.XA CN105556023B (zh) 2013-07-22 2014-07-22 衣物处理装置
RU2016105750A RU2622810C1 (ru) 2013-07-22 2014-07-22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AU2014293894A AU2014293894B2 (en) 2013-07-22 2014-07-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228A KR102104442B1 (ko)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216A true KR20150011216A (ko) 2015-01-30
KR102104442B1 KR102104442B1 (ko) 2020-04-24

Family

ID=5234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228A KR102104442B1 (ko) 2013-07-22 2013-07-22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90491B2 (ko)
KR (1) KR102104442B1 (ko)
CN (1) CN105556023B (ko)
AU (1) AU2014293894B2 (ko)
RU (1) RU2622810C1 (ko)
WO (1) WO20150125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751A (zh) * 2016-02-25 2018-10-23 C.I.M.A.-弹簧钢意大利公司 用于竖直轴线洗衣机的阻尼器的摩擦环的保持架
KR20190032294A (ko) * 2016-06-10 2019-03-27 씨.아이.엠.에이. 콤파니그아 이탈리아 몰레 아차이오 에스.피.에이. 세탁기 마찰 댐퍼에 사용되기 위한 마찰 링용 투피스 케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658A1 (en) * 2012-01-25 2013-08-01 Illinois Tool Works Inc. Washing machine suspension ball support
WO2016148478A1 (ko) * 2015-03-16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15657B1 (ko) * 2015-03-16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05511631B (zh) * 2016-01-19 2018-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手势识别方法及装置
KR102533662B1 (ko) * 2016-04-12 202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106149297B (zh) * 2016-07-29 2018-09-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的吊杆组件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JP2018201631A (ja) * 2017-05-31 2018-12-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238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구조
US20110167878A1 (en) * 2007-11-19 2011-07-14 De Angelo Sanchez Jose Paulo Suspension arrangement for clothes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7588Y1 (ko) * 1993-02-20 1998-07-15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물중량 감지장치
KR20000001810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세탁기의 현가장치
US20040144137A1 (en) * 2003-01-29 2004-07-29 Gwan-Ryong Park Damper of washing machine
KR200320745Y1 (ko) 2003-04-29 2003-07-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현가장치
ATE388260T1 (de) * 2004-09-15 2008-03-15 Suspa Holding Gmbh Dämpfer
DE102005038953A1 (de) * 2005-08-16 2007-02-22 Suspa Holding Gmbh Dämpfer
KR101217118B1 (ko) * 2005-10-31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238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구조
US20110167878A1 (en) * 2007-11-19 2011-07-14 De Angelo Sanchez Jose Paulo Suspension arrangement for clothes was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751A (zh) * 2016-02-25 2018-10-23 C.I.M.A.-弹簧钢意大利公司 用于竖直轴线洗衣机的阻尼器的摩擦环的保持架
KR20190032294A (ko) * 2016-06-10 2019-03-27 씨.아이.엠.에이. 콤파니그아 이탈리아 몰레 아차이오 에스.피.에이. 세탁기 마찰 댐퍼에 사용되기 위한 마찰 링용 투피스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93894A1 (en) 2016-03-10
AU2014293894B2 (en) 2017-10-05
US9890491B2 (en) 2018-02-13
KR102104442B1 (ko) 2020-04-24
RU2622810C1 (ru) 2017-06-20
CN105556023B (zh) 2017-04-05
CN105556023A (zh) 2016-05-04
US20150020552A1 (en) 2015-01-22
WO2015012560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12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RU26456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1934735B1 (ko) 세탁기
KR2015001122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54683B1 (ko) 세탁기
US9963814B2 (en) Washing machine
KR20120029853A (ko) 세탁기
KR20160026934A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US20160010261A1 (en) Washing machine
KR2015001125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4103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84298B1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318757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KR10220343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34054B1 (ko)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934061B1 (ko) 세탁기
KR102216406B1 (ko) 세탁기
JPH07124378A (ja) 全自動洗濯機の防振支持装置
KR102217532B1 (ko) 세탁기
KR2014005271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139619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