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662B1 -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662B1
KR102533662B1 KR1020160045088A KR20160045088A KR102533662B1 KR 102533662 B1 KR102533662 B1 KR 102533662B1 KR 1020160045088 A KR1020160045088 A KR 1020160045088A KR 20160045088 A KR20160045088 A KR 20160045088A KR 102533662 B1 KR102533662 B1 KR 10253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et
support rod
support
vibration damp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870A (ko
Inventor
나규성
김민성
한성
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2093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336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62B1/ko
Priority to EP16196172.7A priority patent/EP3231927B2/en
Priority to TR2018/15446T priority patent/TR201815446T4/tr
Priority to US15/436,627 priority patent/US10519584B2/en
Priority to CN201710235652.7A priority patent/CN107287825B/zh
Publication of KR2017011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진동 댐퍼는 태핏; 상기 태핏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로드; 상기 태핏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로드와 마찰하는 마찰유닛; 및 상기 태핏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지지블록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며, 각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을 불균일한 지지력으로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VIBRATION DAMP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정상 진동에 의한 전달력을 감소시키고, 정상상태 설계진폭을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한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방식에 따라 세탁조의 하부에 작은 날개가 붙은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 생기는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하는 펄세이터 방식, 세탁조의 중앙에 날개가 붙어있는 큰 교반 날개가 규칙적으로 방향이 반전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하는 에지테이터 방식,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낙차에 따른 충격과 세제의 세정력으로 세탁하는 드럼 방식으로 구분된다.
특히, 드럼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액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고,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으로,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는 세탁효과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널리 보급되고 있다.
드럼 세탁기의 경우,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댐퍼(Damper)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럼세탁기의 댐퍼는 마찰부재가 지지로드에 마찰력을 작용하여 진동을 줄여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드럼 세탁기에서 유발되는 진동은 탈수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 탈수과정에서는 세탁과정과는 달리, 드럼 내부에서 편심된 세탁물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드럼 세탁기의 탈수 시 진동은, 드럼을 가속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도(Transient) 진동과 정상 상태에 도달한 경우의 정상(Steady state) 진동으로 구분된다.
드럼 세탁기의 탈수 시 정상 진동은 진폭이 작지만, 구미(歐美) 등에서와 같이 세탁기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나무 등의 연약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한 진동 및 소음을 유발한다. 따라서 탈수 시 정상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탈수 시 정상 진동의 진폭을 설계자가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여 댐퍼를 설계한다 하더라도, 제조시의 제작 오차 등으로 인하여 댐퍼의 정상 진동의 진폭을 소정의 값으로 튜닝(Tuning)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 세탁기의 탈수 시 정상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 시 정상 진동의 진폭을 소정의 값으로 튜닝(Tuning)할 수 있는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탁기의 진동을 저감하는 댐퍼에 있어서, 태핏; 상기 태핏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로드; 상기 태핏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로드와 마찰하는 마찰유닛; 및 상기 태핏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지지블록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며,각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을 불균일한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진동 댐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 본체; 상기 세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진동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댐퍼는, 상기 태핏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로드와, 상기 태핏 내부에서 상기 태핏의 진동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와 마찰하는 마찰유닛과, 상기 태핏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복수의 지지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피스톤의 외주면을 불균일한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댐퍼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캡에 다른 실시 예의 지지로드가 조립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댐퍼의 과도진동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간극돌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복수개의 삽입핀이 형성된 하부 간극돌기와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간극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세탁기의 좌측 하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진동 댐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 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 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 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 10b, 10c, 1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a, 10b, 10c, 10d)은 각각 캐비닛(10)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각각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각각 이루는 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a)가 형성된다.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70)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5)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레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댐퍼(20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20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20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200)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댐퍼의 조립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댐퍼(200)는 태핏(210), 지지로드(220) 및 캡(240)을 포함할 수 있다.
태핏(210)의 일 단부에는 상기 터브(2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태핏 고정단(21, 도 2a 참조)에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태핏 홀더(211)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핏(210)에는 캡(240)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242)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 구멍(21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242)는 태핏(21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후크 구멍(216) 역시 태핏(210)의 축 방향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핏 홀더(211)를 태핏 고정단(21)에 볼트로 체결할 때, 태핏 홀더(211) 내에 방진고무(미도시)를 개재하여 진동을 줄여줄 수 있다.
지지로드(220)의 일 단부는 태핏(210)의 타 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로드(220)의 타 단부에는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에 형성된 지지로드 고정단(19, 도 2 참조)에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로드 홀더(22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로드 홀더(224)를 지지로드 고정단(19)에 볼트로 체결할 때, 태핏 홀더(211)와 마찬가지로 지지로드 홀더(224) 내에 방진고무(미도시)를 개재하여 진동을 줄여줄 수 있다.
지지로드(220)는 지지로드(220)의 일 단부가 태핏(210) 내부에 삽입되어 태핏(2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태핏(210)에 결합될 수 있다.
태핏(210)은 로드부(212)와 챔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212)는 지지로드(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챔버(213)는 로드부(212)의 일단에 형성되며, 로드부(212) 보다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된다.
지지로드(220)는 태핏(210)의 챔버(213)를 관통하여 로드부(212)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 때 지지로드(22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태핏(210)의 내부에는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챔버(213) 내부에는 마찰유닛(230)이 배치된다. 마찰유닛(230)은 마찰부재(231)와 브라켓(23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231)는 지지로드(220)의 외주면과 밀착하여 상기 지지로드(220)에 마찰력을 작용시킨다. 마찰부재(231)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브라켓(232)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된다. 마찰부재(231)와 접착제의 종류는 설계자가 경제성, 제작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이 가능하다.
마찰유닛(230)은 챔버(213) 내부에서 지지로드(220)의 이동에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마찰유닛(230)은 미리 설정된 간극(Gap) 사이에서 유동한다. 이 간극은 상부 간극돌기(214)와 하부 간극돌기(244)에 의해 규정된다.
상부 간극돌기(214)는 댐퍼(200)가 장착되는 자세를 기준으로 할 때, 챔버(213)의 내측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간극돌기(214)는 슬라이딩하는 마찰유닛(230)의 상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상부 간극돌기(214)는 태핏(210)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213)의 일단(개구)에는 지지로드(220)를 지지하는 캡(240)이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캡(240)의 중앙에는 지지로드(220)가 태핏(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형 관통공(241)이 형성된다.
캡(240)의 외주에는 태핏(210)과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후크(242)가 형성된다. 복수의 후크(242)는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242)는 태핏(2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후크(242)는 각각 챔버(213)의 내측면에 태핏(210)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후크 구멍(216)에 스냅 결합된다.
캡(240)의 내측에는 하부 간극돌기(244)가 태핏(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하는 마찰유닛(230)의 하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하부 간극돌기(244)는 캡(240)의 관통공(241)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240)에는 왕복 이동하는 지지로드(2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관통공(241)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블록(243)이 형성된다. 이 때 지지블록(243)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3243)은 댐퍼(200)가 장착되는 자세를 기준으로 할 때, 드럼세탁기의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3243a)이 다른 방향의 지지블록(3243b)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된다. 즉 도 6에서 Y 방향의 지지블록(3243a)이 X 방향의 지지블록(3243b) 보다 넓다.
폭이 넓은 지지블록에 의해 전달되는 지지력은 폭이 좁은 지지블록에 의해 전달되는 지지력 보다 크다. 즉 복수의 지지블록 각각이 지지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불균일하다.
전후 방향으로(도 1 참조, 좌표계의 Y 방향) 드럼(30)이 장착된 드럼 세탁기의 경우,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가장 작게 발생한다. 따라서 드럼 세탁기가 탈수 시 정상 진동상태에서 폭이 넓은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을 통해 대부분의 전달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블록을 통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럼세탁기의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이 아닌 방향의 지지블록(1243a)의 접촉면(1243a')에는 접촉돌기(1243a”)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1243a”)가 형성된 접촉면에서 지지로드와 접촉하는 면적은 접촉돌기(1243a”)의 단부 면적이 된다. 결과적으로 접촉돌기(1243a”)가 형성된 접촉면의 접촉면적은 작아지고, 접촉돌기(1243a”)가 형성된 지지블록을 통한 지지력 또한 작아지게 된다.
즉 접촉돌기(1243a”)가 형성된 지지블록(1243a)과 접촉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블록(1243b) 각각이 지지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력은 불균일하다.
전후 방향으로(도 1 참조, 좌표계의 Y 방향) 드럼(30)이 장착된 드럼 세탁기의 경우,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가장 작게 발생하므로, 드럼 세탁기가 탈수 시 정상 진동상태에서 접촉면에 접촉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1243b)을 통해 대부분의 전달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블록을 통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캡에 다른 실시 예의 지지로드가 조립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일한 4개의 지지블록에 단면의 형상이 타원 형상인 지지로드(2220)가 결합된다.
지지로드의 단면은 타원 형상이므로, 장축 방향으로만 지지블록에 의해 지지력이 전달되고,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지지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전후 방향으로(도 1 참조, 좌표계의 Y 방향) 드럼(30)이 장착된 드럼 세탁기의 경우,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가장 작게 발생하므로, 드럼 세탁기가 탈수 시 정상 진동상태에서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2243a)만을 통해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블록을 통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드럼세탁기의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234a)은 지지로드와 접촉하고, 이와 다른 방향의 지지블록(243b)은 두께를 줄여서 지지로드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X 방향의 지지블록(243b)은 정상 진동상태에서는 지지로드와 접촉하지 않으나, 과도 진동상태에서는 지지로드와 접촉하여 지지로드를 지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드럼 세탁기가 탈수 시 정상 진동상태에서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234a)만을 통해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블록을 통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세탁기의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4234a)은 지지로드와 접촉하는 접촉면(4234a')의 형상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른 방향의 지지블록(4234b)의 접촉면(4234b')의 형상은 볼록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블록의 접촉면을 평면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촉면의 형상이 볼록형상인 지지블록은 접촉면의 형상이 오목형상인 지지블록에 비하여 접촉면적이 작다. 결과적으로, 접촉면의 형상이 오목형상인 지지블록에 의해 전달되는 지지력은 접촉면의 형상이 볼록형상인 지지블록에 의해 전달되는 지지력 보다 크다. 즉 복수의 지지블록 각각이 지지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불균일하다.
전후 방향으로(도 1 참조, 좌표계의 Y 방향) 드럼(30)이 장착된 드럼 세탁기의 경우, 전후 방향으로 진동이 가장 작게 발생한다. 따라서 드럼 세탁기가 탈수 시 정상 진동상태에서 접촉면의 형상이 오목형상인 지지블록을 통해 대부분의 전달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블록을 통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지지블록을 통한 지지력이 불균일한 다양한 변형실시예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지블록 각각의 지지력을 적절히 조정하여, 지지블록을 통한 지지력의 전달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댐퍼의 과도진동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1(a)는 마찰유닛이 챔버의 상부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b)는 마찰유닛이 챔버의 하부에 도달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댐퍼의 조립도이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댐퍼의 정상진동시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진동 댐퍼(2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댐퍼(200)가 과도 진동 상태에서, 지지로드(220)는 상부 및 하부 간극돌기(214, 244)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 이상의 이동을 한다. 따라서 마찰유닛(2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13)의 상부에 도달하는 위치(도 11(a))와 마찰유닛(230)이 챔버(213)의 하부에 도달하는 위치(도 11(b))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한다. 양 극단의 위치에서 마찰유닛(230)의 마찰패드와 지지로드(220) 사이에서 상대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와 다르게 정상 진동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220)는 상부 및 하부 간극돌기(214, 244)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보다 작은 구간에서 이동을 한다. 이 때 지지로드(220)는 마찰유닛(23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마찰유닛(230)과 함께 간극 사이에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유닛(230)의 마찰패드와 지지로드(220) 사이에서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 터브(20, 도 2 참조)를 통한 정상 상태 진동은 캡(240)의 지지블록(243)을 따라 하면 프레임(10d)으로 전달된다.
이 때, 진동이 가장 작게 전달되는 전후 방향(좌표계의 Y 방향)의 지지블록(243)을 통해 대부분의 전달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블록을 통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간극돌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간극돌기는 간극돌기에 의해 규정되는 간극을 가변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부 간극돌기(214)는 챔버(213)의 내측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며, 하부 간극돌기(244)는 챔버(213)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정 가능하여, 간극을 가변적으로 조정한다.
하부 간극돌기(244)는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240)에는 하부 간극돌기(244)가 삽입되는 삽입공(246)이 형성된다. 하부 간극돌기(244)는 복수일 수 있으며, 캡(240)에는 복수의 간극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삽입공(24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형상의 하부 간극돌기(244) 일측에는 삽입핀(24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핀(245)은 캡(240)의 내측벽에 태핏(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24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 때 삽입홈(248)은 삽입핀 (245)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간극이 조정된다. 삽입홈(248)의 개수는 하부 간극돌기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스탭의 수 보다 많아야 한다.
도 13은 복수개의 삽입핀(245, 245')이 형성된 하부 간극돌기(244)와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간극돌기(244)와 캡의 체결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 간극돌기(244)에 복수의 삽입핀(245, 2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캡(240)은 도 12에 형성된 삽입홈(248)의 개수보다 더 많은 수의 삽입홈(248, 248')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간극돌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개의 하부 간극돌기(244)를 삽입해야 할 경우, 각각의 하부 간극돌기(244)를 삽입홈(248)에 끼워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하부 간극돌기(244)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복수개의 하부 간극돌기(244)가 링(247a)에 일체로 형성된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일체형 하부 간극돌기(244)는 사용자가 링(247a)을 잡고 한번의 삽입 동작만으로 복수의 하부 간극돌기(244)를 도 12에 도시된 동일한 깊이의 삽입홈(248, 248')에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100 : 세제공급장치
200 : 진동 댐퍼
210 : 태핏
213 : 챔버
214 : 상부 간극돌기
220 : 지지로드 로드
230 : 마찰부재 조립체
240 : 캡
242 : 후크
243 : 지지블록
244 : 하부 간극돌기

Claims (20)

  1. 세탁기의 진동을 저감하는 댐퍼에 있어서,
    태핏;
    상기 태핏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로드;
    상기 태핏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로드와 마찰하는 마찰유닛; 및
    상기 태핏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의 지지블록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며,
    각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을 불균일한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진동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 중 일부는 상기 지지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진동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상이한, 진동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폭이 상이한, 진동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 중 일부는 상기 지지로드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된, 진동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평면 또는 곡면인, 진동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볼록 또는 오목한 형상인, 진동 댐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의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인, 진동 댐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드럼세탁기의 진동이 가장 작은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진동 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유닛의 길이는 상기 태핏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캡의 상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진동 댐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의 내측 상부면에는 상부 간극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캡의 상단에는 하부 간극돌기 배치되는 진동 댐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간극돌기는 V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핀이 형성되고,
    상기 캡(240)은 상기 하부 간극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벽에는 상기 태핏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삽입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진동 댐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핀은 2개 이상인, 진동 댐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간극돌기는 상기 지지로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대칭 배치되는, 진동 댐퍼.
  15. 태핏;
    상기 태핏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로드;
    상기 태핏 내부에서 상기 태핏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와 마찰하는 마찰유닛; 및
    상기 태핏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복수의 지지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 각각이 지지로드의 외주면을 상이한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진동 댐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측을 따라 상기 지지로드 로드의 외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진동 댐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적어도 2개인, 진동 댐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세탁기의 진동이 가장 작은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진동 댐퍼.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상기 지지로드와 접하는 접촉면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배치되는, 진동 댐퍼.
  20. 세탁기 본체;
    상기 세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진동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댐퍼는,
    태핏과, 상기 태핏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로드와, 상기 태핏 내부에서 상기 태핏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와 마찰하는 마찰유닛과, 상기 태핏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복수의 지지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은 각각이 피스톤의 외주면을 불균일한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세탁기.
KR1020160045088A 2016-04-12 2016-04-12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53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88A KR102533662B1 (ko) 2016-04-12 2016-04-12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EP16196172.7A EP3231927B2 (en) 2016-04-12 2016-10-28 Vibration damp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TR2018/15446T TR201815446T4 (tr) 2016-04-12 2016-10-28 Titreşim amortisörü ve onu içeren bir çamaşır makinesi.
US15/436,627 US10519584B2 (en) 2016-04-12 2017-02-17 Vibration damp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CN201710235652.7A CN107287825B (zh) 2016-04-12 2017-04-12 振动减振器及包括振动减振器的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88A KR102533662B1 (ko) 2016-04-12 2016-04-12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870A KR20170116870A (ko) 2017-10-20
KR102533662B1 true KR102533662B1 (ko) 2023-05-17

Family

ID=5720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88A KR102533662B1 (ko) 2016-04-12 2016-04-12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19584B2 (ko)
EP (1) EP3231927B2 (ko)
KR (1) KR102533662B1 (ko)
CN (1) CN107287825B (ko)
TR (1) TR201815446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7809A1 (de) * 2016-05-04 2017-11-09 Suspa Gmbh Schaltbarer Dämpfer
KR102397434B1 (ko) * 2017-03-23 2022-05-12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EP3809010A1 (de) * 2019-10-16 2021-04-21 SUSPA GmbH Reibungsdämpfer
CN111174068A (zh) * 2020-02-12 2020-05-19 北京首赫防务科技有限公司 具有支撑臂的支架应用于车载无人飞行器侦测与防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1742A1 (de) 1988-04-08 1989-10-19 Bauer Fritz & Soehne Ohg Reibungsdaempfer
DE19940191A1 (de) 1999-08-25 2001-03-15 Suspa Holding Gmbh Reibungsdämpfer
US6318526B1 (en) * 1999-09-13 2001-11-20 Delphi Technologies, Inc. Compliant rod guide and seal assembly
KR20040069704A (ko) 2003-01-30 200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KR100517610B1 (ko) 2003-03-26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DE502005010198D1 (de) * 2004-02-20 2010-10-21 Suspa Gmbh Dämpfer mit elastischer Führungs-/Dämpfungs-Einheit
KR100628152B1 (ko) 2004-07-13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및 그 제어방법
PL1637640T3 (pl) * 2004-09-15 2008-08-29 Suspa Holding Gmbh Amortyzator
KR100688204B1 (ko) * 2005-02-28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DE102005038953A1 (de) * 2005-08-16 2007-02-22 Suspa Holding Gmbh Dämpfer
KR101392422B1 (ko) 2006-10-26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EP2406519B8 (en) 2009-03-13 2013-10-16 Aksistem Elektromekanik Sanayi ve Ticaret Ltd. Friction shock absorber
KR101673725B1 (ko) * 2011-07-20 2016-11-07 아크시스템 일렉트로메카닉 사나이 베 티카렛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CN103088599B (zh) * 2013-01-31 2016-02-10 昌邑市永富弹簧有限公司 波轮洗衣机用减振组件
KR102104442B1 (ko) * 2013-07-22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29352B1 (ko) 2013-11-07 202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870A (ko) 2017-10-20
EP3231927B2 (en) 2022-02-09
US20170292215A1 (en) 2017-10-12
CN107287825A (zh) 2017-10-24
CN107287825B (zh) 2021-07-06
EP3231927A1 (en) 2017-10-18
US10519584B2 (en) 2019-12-31
EP3231927B1 (en) 2018-08-01
TR201815446T4 (tr)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662B1 (ko)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10011936B2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US20160010260A1 (en) Washing machine
KR102375813B1 (ko) 세탁기
CN106120246B (zh) 阻尼装置和包括该阻尼装置的洗衣机
CA2748851C (en) Laundry machine having at least one rib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water flow guide
US20150128663A1 (en) Washing machine
KR20150051011A (ko) 세탁기
JP2009060990A (ja) 洗濯機
KR102229352B1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91643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142846A (ko) 세탁기
KR102160977B1 (ko) 세탁기
KR10192948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49926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18757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US10760198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50020396A (ko) 세탁기
KR102448507B1 (ko) 댐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US8813527B2 (en) Pneumatic variable damp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s
KR20150045293A (ko) 세탁기
KR2021003011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17532B1 (ko) 세탁기
KR10173940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7097803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