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29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293A
KR20150045293A KR20130124829A KR20130124829A KR20150045293A KR 20150045293 A KR20150045293 A KR 20150045293A KR 20130124829 A KR20130124829 A KR 20130124829A KR 20130124829 A KR20130124829 A KR 20130124829A KR 20150045293 A KR20150045293 A KR 2015004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gear
cabinet
rod
worm whee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구
김주영
이상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293A/ko
Publication of KR2015004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내측면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일체로 움직이는 웜 휠(WORM WHEEL),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웜 휠과 결합하는 웜 기어(WORM GEAR) 및 내부에 상기 웜 휠 및 상기 웜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캐비닛 외측면에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추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세탁물이 드럼 및 세탁수와 마찰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된다.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네 모서리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레그가 설치된다. 복수의 레그는 볼트 방식으로 세탁기에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연장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레그를 회전시키는 경우, 캐비닛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세탁기의 하중을 들어 올려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힘이 요구된다. 또한, 캐비닛이 레그를 따라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세탁기의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레그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내측면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일체로 움직이는 웜 휠(WORM WHEEL),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웜 휠과 결합하는 웜 기어(WORM GEAR) 및 내부에 상기 웜 휠 및 상기 웜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캐비닛 외측면에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나사산과 결합하도록 제 1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나사산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단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로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웜 휠에는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웜 휠이 상기 로드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로드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웜 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나사산과 결합하도록 상기 웜 휠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 2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는 지면과 마주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웜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2나사산이 상기 제 2나사홈에 맞물리면서 상기 웜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웜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로드가 상기 브라켓에 맞물리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지지부재의 이격 정도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윔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웜 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웜 휠과 일체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상기 캐비닛과 상기 지지부재의 이격 정도가 커지고, 상기 웜 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웜 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웜 휠과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상기 캐비닛과 상기 지지부재의 이격 정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그는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 제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웜 기어에 결합되는 클러치(CLUT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웜 기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고, 상기 웜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구가 삽입되도록 전방을 향하는 일 단부에 공구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축, 상기 웜 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공구결합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웜 기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웜 기어와 결합하도록 상기 축의 다른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웜 기어는 전방을 향하여 상기 체결부재와 이격 가능하도록 상기 축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내측면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일체로 움직이는 웜 휠(WORM WHEEL),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웜 휠과 결합하는 웜 기어(WORM GEAR), 내부에 상기 웜 휠 및 상기 웜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캐비닛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캐비닛과 일체로 움직이는 케이스 및 상기 캐비닛에 의해 초래되는 부하가 상기 브라켓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웜 기어에 결합되는 클러치(CLUT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윔 기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고, 전방을 향하는 일 단부에는 상기 윔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구가 삽입되도록 공구결합부재가 위치하고, 후방을 향하는 다른 단부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커버가 위치하는 축, 상기 웜 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공구결합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웜 기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커버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일 단부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웜 기어와 마주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축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상기 축의 다른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는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상이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웜 기어에는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상이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축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 외측면 및 상기 케이스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기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전방을 향하여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윔 기어 및 윔 기어에 맞물려 움직이는 윔 휠을 사용하여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드가 캐비닛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방식으로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캐비닛의 하중에 의해 초래되는 부하가 윔 휠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윔 휠을 포함하는 레그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 및 캐비닛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클러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클러치가 작동한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케이스를 더 생략하고, 클러치가 작동한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a)가 형성된다.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70)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15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15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15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150)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5)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레그(1000)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10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세탁기(1)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웜 기어(500) 및 웜 휠(400)이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웜 기어(500) 및 웜 휠(40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 및 캐비닛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000)는 브라켓(200), 로드(800), 웜 휠(WORM WHEEL)(400), 웜 기어(WORM GEAR)(500), 케이스(600) 및 클러치(CLUTCH)(7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캐비닛(10)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로드(8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210)의 내주면에는 제 1나사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800)는 회전 가능하도록 브라켓(200)에 결합될 수 있다. 지면과 마주하는 로드(800)의 일 단부에는 지지부재(900)가 마련될 수 있고, 지지부재(900)는 세탁기(1)의 진동 및 소음 흡수를 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800)의 외주면에는 제 1나사홈(230)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 1나사산(8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나사산(830)은 로드(80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단면(820)을 형성하도록 로드(8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로드(800)에 형성되는 제 1나사산(830)은 불연속적으로 로드(8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로드(800)의 단면은 "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1나사산(830)은 로드(800)의 단면에서 굴곡진 부분을 따라 로드(8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820)은 로드(800)의 단면에서 평평한 부분을 따라 로드(8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800)의 단면은 "D"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웜 휠(400)은 캐비닛(10)의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로드(800)에 결합되어 로드(8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웜 휠(400)에는 로드(8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웜 휠(400)이 로드(800)의 제 1나사산(830)에 구애받지 않도록 관통홀(410)의 내주면은 평평할 수 있다. 로드(800)가 관통홀(41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410)의 단면은 로드(8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로드(800)의 단면이 "D"형태이면 관통홀(410)의 단면도 "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웜 휠(400)의 측면에는 제 2나사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나사홈(420)은 웜 휠(4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웜 휠(4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웜 기어(500)는 웜 휠(400)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웜 휠(400)과 결합할 수 있다. 웜 기어(500)는 웜 기어(500)의 측면이 웜 휠(40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웜 휠(400)과 결합할 수 있다. 웜 기어(500)의 측면 외주면에는 웜 휠(400)의 제 2나사홈(420) 형상에 대응하는 제 2나사산(520)이 형성될 수 있다. 웜 기어(500)는 돌출부(530) 및 체결공(51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케이스(600)는 내부에 웜 휠(400) 및 웜 기어(500)를 수용하고, 캐비닛(10)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로드(800)를 따라 캐비닛(10)과 일체로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케이스(600)에는 웜 휠(400) 및 웜 기어(5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630)이 마련되고, 로드(8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610)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800)는 케이스(600)의 중공(610), 웜 휠(400)의 관통홀(410) 및 캐비닛(10)의 바닥면을 차례로 관통하여 캐비닛(1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브라켓(200)과 결합한다. 케이스(600)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캐비닛(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클러치(700)는 동력전달방지장치로써, 웜 기어(500)에 결합되어 웜 휠(4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클러치(700)는 축(710), 공구결합부재(750), 탄성부재(720), 체결부재(730) 및 커버(740)를 포함할 수 있다.
축(710)은 회전 가능하도록 웜 기어(500)에 형성되는 체결공(510)을 관통하여 케이스(600)의 수용공간(630)에 안착된다. 체결공(510)은 평평한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전방을 향하는 축(710)의 일 단부에는 공구결합부재(75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구결합부재(750)에는 축(7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751)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을 향하는 축(710)의 다른 단부에는 커버(74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740)에는 후방을 향하는 축(710)의 다른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부(741)가 마련될 수 있고, 함몰부(741)의 내주면에는 나사홈(742)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을 향하는 축(710)의 다른 단부의 외주면에는 함몰부(741)의 나사홈(742)에 대응하는 나사산(711)이 형성될 수 있고, 축(710)은 커버(740)와 나사 결합한다.
탄성부재(720)는 공구결합부재(750) 및 웜 기어(5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축(7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720)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웜 기어(500)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일 단부는 공구결합부재(750)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웜 기어(50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72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730)는 커버(740) 및 웜 기어(5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축(7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730)는 커버(74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일 단부는 커버(740)와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웜 기어(500)와 마주한다. 체결부재(730)는 걸림턱(731) 및 돌기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732)는 걸림턱(731)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웜 기어(500)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530)와 이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돌기부(732)는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상이할 수 있고, 돌출부(530)는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732)의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큰 부분과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작은 부분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530)의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큰 부분과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작은 부분도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732)의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큰 부분과 돌출부(530)의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작은 부분이 대응하고, 돌기부(732)의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작은 부분과 돌출부(530)의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큰 부분이 대응하도록 돌기부(732) 및 돌출부(530)는 이격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축(710)에 회전력이 작용하면 커버(740) 및 체결부재(730)는 축(710)과 일체로 회전하고, 웜 기어(500)는 체결부재(7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웜 기어(500)의 회전력은 웜 휠(400)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웜 휠(400)에 결합된 로드(800)가 회전함에 따라 세탁기(1)의 높낮이 및 수평이 조절될 수 있다. 웜 기어(500)는 돌출부(530) 및 돌기부(732) 형상에 의해 체결부재(7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돌출부(530) 및 돌기부(732)는 결합상태를 유지하다가 레그(1000)에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걸릴 경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530) 및 돌기부(732)가 이격되면 축(710)에 회전력이 계속 작용하더라도 웜 휠(400)에 대한 동력전달이 제한된다.
축(710)은 공구결합부재(7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600)의 수용공간(63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710)이 케이스(600)의 수용공간(630)에 안착되면 공구결합부재(750)는 전방을 향하는 케이스(600)의 제 1안착부(640)에 안착되고, 체결부재(730)의 걸림턱(731)은 후방을 향하는 케이스(600)의 제 2안착부(650)에 안착될 수 있다.
레그(1000)는 보조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재(300)는 캐비닛(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캐비닛(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부재(300)는 웜 휠(400) 및 웜 기어(500)를 수용하는 케이스(600) 및 캐비닛(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비닛(10), 보조부재(300) 및 케이스(600)는 캐비닛(10)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미도시), 보조부재(3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고정홀(320) 및 케이스(6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고정홀(620)을 차례로 관통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를 높인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 기어(500)에 회전력이 제공되면 웜 휠(400)은 웜 기어(500)에 맞물려 회전하고, 웜 휠(400)에 결합된 로드(800)는 브라켓(200)에 맞물려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웜 기어(5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 휠(4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800)는 웜 휠(400)과 일체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캐비닛(10)과 지지부재(900)의 이격 정도가 커진다. 웜 기어(5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 휠(4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800)는 웜 휠(400)과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캐비닛(10)과 지지부재(900)의 이격 정도가 작아진다. 세탁기(1)의 수평 및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는 로드(800)에 형성되는 제 1나사산(830)이 브라켓(200)에 형성되는 제 1나사홈(230)에 맞물려 세탁기(1)의 수평 및 높낮이가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클러치가 작동하기 전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클러치가 작동한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케이스를 더 생략하고, 클러치가 작동한 상태에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700)가 작동하면 체결부재(730)의 돌기부(732) 및 웜 기어(500)의 돌출부(530)가 이격되면서 웜 휠(400)에 대한 동력전달이 방지되어 로드(800)가 회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써, 웜 기어(5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 휠(4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800)는 웜 휠(400)과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캐비닛(10)과 지지부재(900)의 이격 정도가 작아진다. 즉, 세탁기(1)의 높이가 낮아진다. 웜 기어(500)를 반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세탁기(1)의 높이가 점점 낮아져 캐비닛(10)에 의해 초래되는 하중이 브라켓(200) 및 웜 휠(4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웜 휠(400)은 캐비닛(10)에 의해 초래되는 하중에 의해 로드(800)와 일체로 회전을 멈춘다. 웜 휠(400)이 회전을 멈춘 후에도 계속하여 웜 기어(5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 기어(500)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돌출부(530) 및 돌기부(732)는 이격된다. 웜 기어(500)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웜 기어(500)에 연결된 탄성부재(720)는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웜 기어(5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 기어(500)는 후방으로 움직이고, 돌출부(530) 및 돌기부(732)의 이격정도가 감소하면서 웜 기어(500)는 체결부재(730)에 결합된다. 클러치(700)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레그(1000)에 일정 수준 이상의 하중이 집중될 때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2a : 투입구
3 : 연결호스 4 : 배수펌프
5 : 배수호스 7: 모터
8 : 베어링 하우징 9 : 베어링
10 : 캐비닛 10a : 상면 프레임
10b : 전면 프레임 10c : 후면 프레임
10d : 하면 프레임 11 : 구동축
13 : 급수관 14 : 급수밸브
16 : 연결관 17 : 스프링
20 : 터브 26 : 리프터
27 : 통공 30 : 드럼
70 : 도어 80 : 컨트롤 패널
81a : 가압식 버튼 81b : 회전식 버튼
83 : 표시부 100 : 세제공급장치
150 : 댐퍼 200 : 브라켓
210 : 중공부 230 : 제 1나사홈
300 : 보조부재 320 : 제 1고정홀
400 : 웜 휠 410 : 관통홀
420 : 제 2나사홈 500 : 웜 기어
510 : 체결공 520 : 제 2나사산
530 : 돌출부 600 : 케이스
610 : 중공 620 : 제 2고정홀
630 : 수용공간 640 : 제 1안착부
650 : 제 2안착부 700 : 클러치
710 : 축 711 : 나사산
720 : 탄성부재 730 : 체결부재
731 : 걸림턱 732 : 돌기부
740 : 커버 741 : 함몰부
742 : 나사홈 750 : 공구결합부재
751 : 삽입홀 800 : 로드
820 : 절단면 830 : 제 1나사산
900 : 지지부재 1000 : 레그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내측면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일체로 움직이는 웜 휠(WORM WHEEL);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웜 휠과 결합하는 웜 기어(WORM GEAR); 및
    내부에 상기 웜 휠 및 상기 웜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캐비닛 외측면에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나사산과 결합하도록 제 1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나사산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단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로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웜 휠에는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웜 휠이 상기 로드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로드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웜 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나사산과 결합하도록 상기 웜 휠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 2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는 지면과 마주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웜 기어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2나사산이 상기 제 2나사홈에 맞물리면서 상기 웜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웜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상기 로드가 상기 브라켓에 맞물리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지지부재의 이격 정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윔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웜 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웜 휠과 일체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상기 캐비닛과 상기 지지부재의 이격 정도가 커지고,
    상기 웜 기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웜 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웜 휠과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상기 캐비닛과 상기 지지부재의 이격 정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 제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웜 기어에 결합되는 클러치(CLUTC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웜 기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고, 상기 웜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구가 삽입되도록 전방을 향하는 일 단부에 공구결합부재가 마련되는 축;
    상기 웜 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공구결합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웜 기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720); 및
    상기 웜 기어와 결합하도록 상기 축의 다른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축과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웜 기어는 전방을 향하여 상기 체결부재와 이격 가능하도록 상기 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내측면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외측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일체로 움직이는 웜 휠(WORM WHEEL);
    상기 웜 휠이 회전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웜 휠과 결합하는 웜 기어(WORM GEAR);
    내부에 상기 웜 휠 및 상기 웜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캐비닛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캐비닛과 일체로 움직이는 케이스; 및
    상기 캐비닛에 의해 초래되는 부하가 상기 브라켓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웜 기어에 결합되는 클러치(CLU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윔 기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고, 전방을 향하는 일 단부에는 상기 윔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공구가 삽입되도록 공구결합부재가 위치하고, 후방을 향하는 다른 단부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커버가 위치하는 축;
    상기 웜 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도록 일 단부는 상기 공구결합부재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웜 기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720); 및
    상기 커버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일 단부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웜 기어와 마주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축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상기 축의 다른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상이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웜 기어에는 후방을 향한 연장 정도가 상이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 외측면 및 상기 케이스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기부에서 이격되면 상기 탄성부재(720)는 전방을 향하여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30124829A 2013-10-18 2013-10-18 세탁기 KR20150045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829A KR20150045293A (ko) 2013-10-18 2013-10-1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829A KR20150045293A (ko) 2013-10-18 2013-10-18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93A true KR20150045293A (ko) 2015-04-28

Family

ID=5303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829A KR20150045293A (ko) 2013-10-18 2013-10-18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2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8497A (zh) * 2018-01-04 2018-06-0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调节结构和洗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8497A (zh) * 2018-01-04 2018-06-0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调节结构和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14B1 (ko) 세탁기
KR102375884B1 (ko) 세탁기
EP2876199B1 (en) Washing machine
KR101819891B1 (ko)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270522B1 (ko) 세탁기
KR20150051011A (ko) 세탁기
KR102471461B1 (ko) 세탁기
CN108431322B (zh) 洗衣机
KR102219934B1 (ko) 드럼세탁기
KR102165604B1 (ko) 세탁기
KR102466277B1 (ko) 세탁기
EP3372723B1 (en) Washing machine
US10519584B2 (en) Vibration damp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150045545A (ko) 세탁기
KR20150045293A (ko) 세탁기
KR102632054B1 (ko) 세탁기
KR20150059414A (ko) 세탁기
KR20190142846A (ko) 세탁기
KR102183447B1 (ko) 세탁기
KR20210056316A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20150020396A (ko) 세탁기
KR20070028152A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 패널과 어퍼 데코의 체결 구조
KR20120108473A (ko) 세탁기
KR20080084885A (ko) 세탁기
KR20160029518A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