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447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447B1
KR102183447B1 KR1020130140625A KR20130140625A KR102183447B1 KR 102183447 B1 KR102183447 B1 KR 102183447B1 KR 1020130140625 A KR1020130140625 A KR 1020130140625A KR 20130140625 A KR20130140625 A KR 20130140625A KR 102183447 B1 KR102183447 B1 KR 10218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haft
coupled
washing machin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362A (ko
Inventor
오민환
강성욱
유리텔레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4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 및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레그 링(LEG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세탁물이 드럼 및 세탁수와 마찰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된다.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네 모서리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레그가 설치된다. 복수의 레그는 볼트 방식으로 세탁기에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연장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전용 스패너를 이용하여 레그를 회전시키는 경우, 캐비닛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세탁기의 하중을 들어 올려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힘이 요구된다. 특히, 세탁기 후방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세탁기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의 후방에 위치하는 레그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작업 편의성 내지 설치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작은 힘(TORQUE)으로 레그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 및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레그 링(LEG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외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수나사산이 상기 암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는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부에서 연장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에서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는 상기 샤프트의 일 단부에는 상기 조절부가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 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 링은 상기 제2수나사산이 상기 암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수나사산 및 상기 제2수나사산은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캐비닛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조절부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커버와 마주하도록 상기 조절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조절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손잡이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 및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고, 내부에 복수의 유성기어가 마련되는 보조부재, 상기 캐비닛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부 및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부에서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은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는 일 단부는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태양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레그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퍼 기어(SPUR GEAR), 외주면에 상기 스퍼 기어와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레그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로 상기 샤프트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움직이는 상기 스퍼 기어와 일체로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에 맞물려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신체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캐비닛 상방을 향하도록 로드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회전시켜 레그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로드 및 샤프트에 감속기어를 설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레그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상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샤프트로부터 조절부가 탈착된 상태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하우징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10e, 도 4참고)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a)가 형성된다.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70)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15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15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15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150)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5)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레그(160,161)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160,161)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신체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기(1)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축방향(X)으로 설치되는 샤프트(SHAFT)(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샤프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기(1)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상태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샤프트로부터 조절부가 탈착된 상태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61)는 로드(200), 샤프트(300), 연결부재(400), 브라켓(500), 조절부(600) 및 레그 링(LEG RING)(70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로드(200)는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에 형성되는 관통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미도시)을 통과하는 로드(200)의 일 단부는 캐비닛(10) 내부에 수용되고, 지면과 마주하는 로드(200)의 다른 단부에는 베이스블럭(220)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블럭(220)은 세탁기(1)의 진동 및 소음 흡수를 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200)는 이동부(230) 및 체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30)는 베이스블럭(220) 상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암나사산(23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40)는 캐비닛(10) 내측을 향하도록 이동부(230)에서 연장되고, 평평한 외주면을 가진다. 브라켓(500) 및 레그 링(700)은 이동부(230)에 결합되어 이동부(230)를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체결부(240)는 캐비닛(10) 내부에 위치하고, 연결부재(400)에 결합된다.
샤프트(300)는 연결부재(400)에 의해 로드(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300)는 캐비닛(10) 내부에 수용되어 캐비닛(10)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의 상면 프레임(10a)과 마주하는 샤프트(300)의 일 단부에는 조절부(600)가 결합되는 삽입공(310)이 형성되고, 샤프트(300)의 다른 단부에는 돌기부(320)가 마련된다. 돌기부(320)는 샤프트(300)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고, 캐비닛(10)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돌기부(32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돌기부(320)는 연결부재(400)에 형성되는 결합공(410)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공(410)은 돌기부(3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샤프트(300) 및 로드(200) 사이에 위치하여 샤프트(300) 및 로드(2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400)는 샤프트(300)에 가해지는 회전력(TORQUE)이 로드(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양 단부에서 각각 샤프트(300) 및 로드(200)와 결합한다. 캐비닛(10) 하방을 향하는 연결부재(40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420)은 로드(200)의 체결부(240)와 결합하고, 캐비닛(10) 상방을 향하는 연결부재(40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410)은 샤프트(300)의 돌기부(320)와 결합한다. 연결부재(400)에 의해 샤프트(300) 및 로드(200)는 일체로 회전한다.
브라켓(500)은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에 설치되어 로드(200)와 결합한다.
브라켓(500)은 바디(510) 및 복수의 플레이트(52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바디(510)에는 내주면에 제1수나사산(512)이 형성되는 중공부(511)가 마련될 수 있다. 로드(200)는 이동부(230)의 암나사산(231)이 중공부(511)의 제1수나사산(512)과 결합하도록 브라켓(500)에 체결된다. 제1수나사산(512)은 수나사산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복수의 플레이트(521,522)는 상 플레이트(521) 및 하 플레이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 플레이트(521)는 캐비닛(10)의 하방을 향하는 바디(510)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고, 하 플레이트(522)는 상 플레이트(521)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상 플레이트(521)와 함께 체결홈(523)을 형성한다. 체결홈(523)은 상 플레이트(521) 및 하 플레이트(522)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은 체결홈(52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500)은 캐비닛(1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500)은 캐비닛(10)과 일체로 로드(200)의 이동부(230)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브라켓(500)은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브라켓(500)은 하면 프레임(10d)과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다.
조절부(600)는 샤프트(3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탈부착 가능하도록 샤프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600)는 캐비닛(10)의 상면 프레임(10a)에 형성되는 개구홀(610)을 관통하여 샤프트(300)의 삽입공(310)에 결합된다. 조절부(600)는 샤프트(300)의 삽입공(310)에 삽입되는 지지부(620), 캐비닛(10)의 상면 프레임(10a)에 형성되는 개구홀(610)에 체결되도록 캐비닛(10) 상방을 향하여 지지부(620)에서 연장되는 헤드(630) 및 캐비닛(10) 외부에 노출되도록 헤드(630)의 상부에 결합하는 조절부커버(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60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조절부(600)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손잡이(650)가 조절부(6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650)는 조절부커버(640)의 하측에 위치하고, 헤드(63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조절부(600)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65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절부(60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부(600) 대신 렌치(WRENCH)와 같은 일반공구를 사용하여 샤프트(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그 링(700)은 캐비닛(10) 하면 프레임(10d)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로드(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그 링(700)에는 로드(200)가 관통할 수 있는 로드홀(710)이 형성되고, 로드홀(710)의 내주면에는 로드(200)의 암나사산(231)에 대응하는 제2수나사산(720)이 형성된다. 제1수나사산(512) 및 제2수나사산(720)은 암나사산(231)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그 링(700)이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캐비닛(10)의 진동에 의해 암나사산(231) 및 제1수나사산(512)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레그 링(700)은 세탁기(1)의 높낮이 및 수평이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레그 링(700)의 제2수나사산(720) 및 로드(200)의 암나사산(231)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 및 레그 링(700)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패킹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300)를 캐비닛(10) 내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캐비닛(10)의 진동에 의해 샤프트(300)가 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캐비닛(1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8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하우징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레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7은 하우징(910) 내부가 보이도록 하우징(910) 상부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61a)는 로드(200), 샤프트(300a), 보조부재(900), 브라켓(500), 조절부(600) 및 레그 링(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재(900)는 로드(200) 및 샤프트(300a)를 연결하여 로드(200)가 샤프트(300a)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부재(900)는 하우징(910) 및 회전축(9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10)의 내주면에는 하우징(9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사홈(911)이 형성되고, 하우징(910)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920)에는 복수의 유성기어(930)가 수용된다. 복수의 유성기어(930) 외주면에는 하우징(9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911)에 결합되도록 나사홈(911)에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931)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방을 향하는 회전축(940)의 일 단부는 샤프트(300a)에 형성되는 고정홀(950)에 결합되고, 캐비닛(10)의 하방을 향하는 회전축(940)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910) 내측에 형성되는 축결합공(912)에 결합된다. 회전축(9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유성기어(930)와 결합하는 태양기어(960)가 마련될 수 있다. 태양기어(960)는 회전축(94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태양기어(96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유성기어(930)에 형성되는 나사산(931)과 결합하는 나사골(96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940)과 일체로 회전하는 태양기어(960)는 복수의 유성기어(930)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복수의 유성기어(930)는 하우징(91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하우징(910)의 하면에는 캐비닛(10)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913)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을 가지는 돌출부(913)는 로드(200)의 체결부(240)와 결합한다.
샤프트(300a)는 보조부재(900)의 회전축(940)과 연결되고, 로드(200)는 보조부재(900)의 하우징(910)과 연결되므로, 샤프트(300a)를 회전시키면 보조부재(900) 및 로드(200)는 일체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00a)를 제1방향(A)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300a)에 연결되는 회전축(940)은 샤프트(300a)와 일체로 제1방향(A)으로 회전하고, 하우징(910) 및 하우징(910)에 결합되는 로드(200)는 제1방향(A)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B)으로 회전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61b)는 로드(200), 브라켓(500), 스퍼 기어(SPUR GEAR)(1000), 샤프트(300b), 조절부(600) 및 레그 링(7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퍼 기어(1000)는 브라켓(500)의 중공부(511)를 관통하는 로드(200)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퍼 기어(1000)는 샤프트(300b)에 마련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101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00b)는 브라켓(500)과 이격되도록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에 설치되어 캐비닛(10)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하면 프레임(10d)에는 샤프트(300b)가 삽입 고정되도록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샤프트고정부(1020)가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010)는 스퍼 기어(10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샤프트(300b)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조절부(600)로 샤프트(300b)를 제1방향(A)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300b)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1010)는 샤프트(300b)와 일체로 제1방향(A)으로 회전하고, 스퍼 기어(1000)와 연결되는 로드(200)는 제2방향(B)으로 회전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2a : 투입구
3 : 연결호스 4 : 배수펌프
5 : 배수호스 7: 모터
8 : 베어링 하우징 9 : 베어링
10 : 캐비닛 10a : 상면 프레임
10b : 전면 프레임 10c : 후면 프레임
10d : 하면 프레임 11 : 구동축
13 : 급수관 14 : 급수밸브
16 : 연결관 17 : 스프링
20 : 터브 26 : 리프터
27 : 통공 30 : 드럼
70 : 도어 80 : 컨트롤 패널
81a : 가압식 버튼 81b : 회전식 버튼
83 : 표시부 100 : 세제공급장치
150 : 댐퍼 200 : 로드
220 : 베이스블럭 230 : 이동부
231 : 암나사산 240 : 체결부
300,300a,300b : 샤프트 310 : 삽입공
320 : 돌기부 400 : 연결부재
410 : 결합공 420 : 체결공
500 : 브라켓 510 : 바디
511 : 중공부 512 : 제1수나사산(수나사산)
521 : 상 플레이트 522 : 하 플레이트
523 : 체결홈 600 : 조절부
610 : 개구홀 620 : 지지부
630 : 헤드 640 : 조절부커버
650 : 손잡이 700 : 레그링
710 : 로드홀 720 : 제2수나사산
800 : 홀더 900 : 보조부재
910 : 하우징 911 : 나사홈
912 : 축결합공 913 : 돌출부
920 : 수용공간 930 : 유성기어
931 : 나사산 940 : 회전축
950 : 고정홀 960 : 태양기어
961 : 나사골 1000 : 스퍼 기어
1010 : 피니언 기어 1020 : 샤프트고정부
160 : 레그 161,161a,161b : 레그
10e : 측면프레임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부 및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부에서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 및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레그 링(LEG RING);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수나사산이 상기 암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에서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는 상기 샤프트의 일 단부에는 상기 조절부가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 링은 상기 제2수나사산이 상기 암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나사산 및 상기 제2수나사산은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캐비닛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조절부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커버와 마주하도록 상기 조절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조절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손잡이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브라켓;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결합하도록 외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부 및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상기 이동부에서 연장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 및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도록 내부에 복수의 유성기어가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보조부재;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캐비닛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홈은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의 일 단부는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고정홀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태양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기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유성기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레그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상기 로드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퍼 기어(SPUR GEAR);
    외주면에 상기 스퍼 기어와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비닛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캐비닛 하면 외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레그 링;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바디;
    상기 캐비닛의 하방을 향하는 상기 바디의 일 단부에서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 플레이트; 및
    상기 상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 플레이트와 함께 체결홈을 형성하는 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상 플레이트 및 상기 하 플레이트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캐비닛 하면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로 상기 샤프트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움직이는 상기 스퍼 기어와 일체로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상기 브라켓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에 맞물려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140625A 2013-11-19 2013-11-19 세탁기 KR10218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25A KR102183447B1 (ko) 2013-11-19 2013-11-19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625A KR102183447B1 (ko) 2013-11-19 2013-11-19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62A KR20150057362A (ko) 2015-05-28
KR102183447B1 true KR102183447B1 (ko) 2020-11-26

Family

ID=5339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625A KR102183447B1 (ko) 2013-11-19 2013-11-19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4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664Y1 (ko) * 1989-04-10 1992-04-27 변상태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41139Y1 (ko) * 1996-09-30 1999-05-15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수평 조절장치
KR20050114358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275557B1 (ko) * 2006-07-27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높이조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62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3084A1 (en) Washing machine
KR102073314B1 (ko) 세탁기
CN106917218B (zh) 洗衣机
KR102137945B1 (ko) 세탁기
KR102627713B1 (ko) 세탁기
EP2876199B1 (en) Washing machine
KR102165604B1 (ko) 세탁기
KR102219934B1 (ko) 드럼세탁기
KR20170068293A (ko) 세탁기
KR20150006260A (ko)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2002035481A (ja) 洗濯機のキャビネット
KR102160977B1 (ko) 세탁기
KR20040047223A (ko) 드럼 세탁기
KR102183447B1 (ko) 세탁기
KR102117426B1 (ko) 세탁기
KR102229352B1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150045293A (ko) 세탁기
KR20150020396A (ko) 세탁기
US20070193309A1 (en) Washing machine
KR20080108873A (ko) 드럼세탁기
KR101222858B1 (ko) 드럼 세탁기
KR20080084885A (ko) 세탁기
KR10113362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52082B1 (ko) 세탁기
KR20130128957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