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41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414A
KR20150059414A KR1020130142976A KR20130142976A KR20150059414A KR 20150059414 A KR20150059414 A KR 20150059414A KR 1020130142976 A KR1020130142976 A KR 1020130142976A KR 20130142976 A KR20130142976 A KR 20130142976A KR 20150059414 A KR20150059414 A KR 2015005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washing machine
stopper
fram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426B1 (ko
Inventor
김현규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수평을 맞추도록 세탁기의 레그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레그의 하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제 1안착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하단부에 결합하여 지면상에 고정되는 제 2레그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및 상기 제 2레그스토퍼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세탁물이 드럼 및 세탁수와 마찰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된다.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네 모서리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레그가 설치된다. 복수의 레그는 볼트 방식으로 세탁기에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연장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세탁기의 높낮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세탁기를 경사가 심하거나 울퉁불퉁한 지면 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레그를 회전시켜 세탁기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사용자는 레그 하부에 벽돌이나 나무조각 등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여 세탁기의 수평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레그 하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부재는 세탁기의 캐비닛 및 레그와 일체로 구성되지 아니하므로, 세탁기 작동 시 진동 및 소음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높이가 일정하지 아니한 지면 상에 세탁기가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수평을 맞추도록 세탁기의 레그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레그의 하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제 1안착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하단부에 결합하여 지면상에 고정되는 제 2레그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및 상기 제 2레그스토퍼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는 상기 제 1레그스토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제 1안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는 제 1결합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리브는 상기 바디와 일체로 상기 바디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는 상기 레그의 하방을 향하여 상기 바디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바디 하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외측에 마련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는 상기 안착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안착부 내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레그스토퍼는 상기 제 2레그스토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는 제 2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제 2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리브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리브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제 2레그스토퍼가 상기 지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가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안착공간에 상기 레그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가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에 형성되는 상기 제 1안착공간에 상기 제 1안착공간의 상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결합리브는 상기 제 1결합리브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수평을 맞추도록 세탁기의 레그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레그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결합리브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지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 하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레그스토퍼 및 제 2레그스토퍼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경사면 또는 울퉁불퉁한 지면 상에 설치되는 세탁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레그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세탁기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탁기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1레그스토퍼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1레그스토퍼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2레그스토퍼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2레그스토퍼를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터브(20),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를 포함한다.
캐비닛(10)에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81a,81b)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83)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80)이 마련된다.
입력부(81a,81b)는 세탁시간, 헹굼 횟수, 탈수시간, 건조시간, 동작 및 일시정지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으며, 가압식 버튼(81a) 또는 회전식 버튼(81b)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3)는 세탁수의 양, 세탁기(1)가 수행 중인 행정, 세탁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 세탁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입력부(81a,81b)와 표시부(83)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채용하여 입력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프레임(10a,10b,10c,10d)들을 포함하며, 프레임(10a,10b,10c,10d)은 각각 캐비닛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 프레임(10a),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10b) 및 후면 프레임(10c), 전면 프레임(10b)과 후면 프레임(10c)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미도시) 및 하면 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a)가 형성된다. 투입구(2a)는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0b)에 설치된 도어(70)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사이에는 터브(20)를 상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이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17)은 탄성력으로 인해 터브(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3)이 설치된다. 급수관(13)의 일측에는 급수밸브(14)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00)는 연결관(16)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1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0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15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15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또한, 댐퍼(150)는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 외에도 상측, 좌우측에 위치하여 터브(2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댐퍼(150) 또는 스프링(17)은 터브(20)의 상하에서 터브(20)의 상하 유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터브(20)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모터(7)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1)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26)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7) 사이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된다. 구동축(1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1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7)가 구동축(11)을 구동하면, 구동축(11)에 연결된 드럼(30)이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과 구동축(11) 사이에는 구동축(1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9)들이 설치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4)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4)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와, 배수펌프(4)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5)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레그(200)가 설치될 수 있다.
레그(200)는 로드(210) 및 베이스블럭(22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210)는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로드(210)의 일 단부에는 베이스블럭(22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블럭(220)은 세탁기(1)의 진동 및 소음 흡수를 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211)은 로드(210)의 길이방향으로 로드(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레그(200)는 캐비닛(1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드(210)에 결합하는 레그링(Leg-ring)(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그링은 캐비닛(10)의 하면 프레임(10d) 외주면과 마주하고, 로드(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11)과 나사 결합하여 로드(2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세탁기(1)는 세탁기(1)의 수평을 맞추도록 세탁기(1)의 레그(200) 하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300)는 레그(200) 및 지면 사이에 마련된다. 높이조절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1레그스토퍼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1레그스토퍼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2레그스토퍼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제 2레그스토퍼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높이조절부재(320)는 제 2레그스토퍼(32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결합리브(322)는 제 2결합리브(322)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는 바디(311), 제 1결합리브(312), 안착부(314) 및 결합홈(31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1)는 제 1레그스토퍼(3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제 1결합리브(312)는 레그(200)의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바디(311)에서 연장된다. 제 1결합리브(312)는 바디(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결합리브(312)는 제 1결합리브(312)의 너비가 바디(311)의 너비보다 작도록 바디(31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결합리브(312)에는 제 1안착공간(31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안착공간(313)은 제 1결합리브(31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레그(200)의 하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안착부(314)는 레그(200)의 하방을 향하여 바디(311)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바디(311)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15)은 안착부(314)의 둘레를 따라 안착부(314)의 외측에 마련되도록 레그(200)의 상방을 향하여 바디(311) 하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홈(315)은 안착부(314)의 외둘레면과 바디(311)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는 복수의 보강리브(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보강리브(316)는 안착부(314)의 강성 보강을 위한 것으로써, 안착부(314)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보강리브(316)는 안착부(314)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318)를 구획하도록 서로 결합하여 하나 이상의 결합부(317)를 형성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300)가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310) 및 하나의 제 2레그스토퍼(3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a)에 형성되는 제 1안착공간(313)에 제 1안착공간(313)의 상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b)에 형성되는 안착부(314)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a)에 형성되는 제 1결합리브(312)는 제 1결합리브(312)의 상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b)에 형성되는 결합홈(315)에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300a,도 9참고)가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 및 하나의 제 2레그스토퍼(3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 1안착공간(313)에 레그(200)의 하단부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1안착공간(313)에는 로드(2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베이스블럭(220)이 수용될 수 있다.(도 9참고)
제 1안착공간(313) 및 베이스블럭(22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써, 베이스블럭(220)은 원형의 단면을, 제 1안착공간(313)은 육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1안착공간(313) 및 베이스블럭(220)의 형상은 이에 한정 되지 아니한다. 제 1안착공간(313) 및 베이스블럭(220)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 1레그스토퍼(310)는 제작의 용이성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 2레그스토퍼(320)는 프레임(321) 및 제 2결합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21)은 제 2레그스토퍼(320)의 외관을 형성하고, 제 2결합리브(322)는 레그(200)의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프레임(321)에서 연장된다. 제 2결합리브(322)는 프레임(3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결합리브(322)는 제 2결합리브(322)의 너비가 프레임(321)의 너비보다 작도록 프레임(32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결합리브(322)는 제 1레그스토퍼(310)에 형성되는 결합홈(315)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21)의 하면에는 제 2레그스토퍼(320)가 지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3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결합리브(322)는 제 1레그스토퍼(310)의 안착부(314)를 수용하도록 제 2안착공간(323)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안착공간(323)은 레그(200)의 하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 2레그스토퍼(3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재질은 부틸(Butyl) 합성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가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의 너비가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높이조절부재(320)는 제 2레그스토퍼(32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결합리브(322)는 제 2결합리브(322)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또는 울퉁불퉁한 지면 상에 세탁기(1)를 설치하는 경우, 높이조절장치(300a,300b)를 사용할 수 있고, 지면 상태에 따라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를 적절한 개수로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개수의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를 사용함으로써 세탁기(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탁기(1)의 수평을 조절 및 유지할 수 있다.
제 1레그스토퍼(310) 및 제 2레그스토퍼(320)는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레그스토퍼(320)는 진동 흡수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1레그스토퍼(310)는 지면 상태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2a : 투입구
3 : 연결호스 4 : 배수펌프
5 : 배수호스 7: 모터
8 : 베어링 하우징 9 : 베어링
10 : 캐비닛 10a : 상면 프레임
10b : 전면 프레임 10c : 후면 프레임
10d : 하면 프레임 11 : 구동축
13 : 급수관 14 : 급수밸브
16 : 연결관 17 : 스프링
20 : 터브 26 : 리프터
27 : 통공 30 : 드럼
70 : 도어 80 : 컨트롤 패널
81a : 가압식 버튼 81b : 회전식 버튼
83 : 표시부 100 : 세제공급장치
150 : 댐퍼 200 : 레그
210 : 로드 211 : 나사산
220 : 베이스블럭 300,300a,300b : 높이조절장치
310(310a,310b) : 제 1레그스토퍼 311 : 바디
312 : 제 1결합리브 313 : 제 1안착공간
314 : 안착부 315 : 결합홈
316 : 보강리브 317 : 결합부
318 : 중공부 320 : 제 2레그스토퍼(높이조절부재)
321 : 프레임 322 : 제 2결합리브(결합리브)
323 : 제 2안착공간 324 : 미끄럼 방지부

Claims (12)

  1. 세탁기의 수평을 맞추도록 세탁기의 레그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레그의 하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제 1안착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하단부에 결합하여 지면상에 고정되는 제 2레그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 및 상기 제 2레그스토퍼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는,
    상기 제 1레그스토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제 1안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는 제 1결합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리브는 상기 바디와 일체로 상기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는,
    상기 레그의 하방을 향하여 상기 바디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바디 하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 외측에 마련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는 상기 안착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안착부 내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레그스토퍼는,
    상기 제 2레그스토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는 제 2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제 2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리브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리브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제 2레그스토퍼가 상기 지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가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안착공간에 상기 레그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가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에 형성되는 상기 제 1안착공간에 상기 제 1안착공간의 상방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제 1레그스토퍼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결합리브는 상기 제 1결합리브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제 1레그스토퍼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세탁기의 수평을 맞추도록 세탁기의 레그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레그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의 상방을 향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결합리브;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지면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 하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30142976A 2013-11-22 2013-11-22 세탁기 KR10211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76A KR102117426B1 (ko) 2013-11-22 2013-11-22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76A KR102117426B1 (ko) 2013-11-22 2013-11-22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414A true KR20150059414A (ko) 2015-06-01
KR102117426B1 KR102117426B1 (ko) 2020-06-01

Family

ID=5349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976A KR102117426B1 (ko) 2013-11-22 2013-11-22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462B1 (ko) * 2018-05-23 2019-01-30 (주)에이치앤피로지스 적재물 지지를 위한 레벨풋 조립체
US10407820B2 (en) * 2015-11-06 2019-09-10 Lg Electronics Inc. Spike fixing member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195A (ko) * 2003-10-21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20050114349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레그 스토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195A (ko) * 2003-10-21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20050114349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레그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7820B2 (en) * 2015-11-06 2019-09-10 Lg Electronics Inc. Spike fixing member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43462B1 (ko) * 2018-05-23 2019-01-30 (주)에이치앤피로지스 적재물 지지를 위한 레벨풋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426B1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0263B1 (en) Washing machine
EP2876199B1 (en) Washing machine
KR102137945B1 (ko) 세탁기
KR102165604B1 (ko) 세탁기
US8136896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8739579B2 (en) Ball balancer and laundr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80010588A (ko) 세탁기의 높이조절구조
JP2002035481A (ja) 洗濯機のキャビネット
US10519584B2 (en) Vibration damp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1100131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50059414A (ko) 세탁기
KR102160977B1 (ko) 세탁기
EP2248934A1 (en) Pulsator uni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229352B1 (ko)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339979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50045293A (ko) 세탁기
KR102183447B1 (ko) 세탁기
KR101368291B1 (ko) 높이 조절용 지지장치
KR20080084885A (ko) 세탁기
KR20150020396A (ko) 세탁기
KR102269278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102052082B1 (ko) 세탁기
KR200399785Y1 (ko) 세탁기의 수평조절기구
KR20080101382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50037192A (ko) 세탁기용 레그어셈블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