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11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111A
KR20210030111A KR1020190111649A KR20190111649A KR20210030111A KR 20210030111 A KR20210030111 A KR 20210030111A KR 1020190111649 A KR1020190111649 A KR 1020190111649A KR 20190111649 A KR20190111649 A KR 20190111649A KR 20210030111 A KR20210030111 A KR 2021003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cap
coupled
handling device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선
김종민
유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111A/ko
Priority to US16/984,571 priority patent/US11686033B2/en
Priority to CN202010795487.2A priority patent/CN112458700B/zh
Publication of KR2021003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5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the end coils of the spring engage an axial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8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35Gr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52Physically guiding or influ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세탁조 및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지지로드, 탄성부재 및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지지로드는 일단이 본체와 결합된다. 탄성부재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된다. 댐핑유닛은 탄성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댐핑유닛은 캡, 하우징 및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캡은 세탁조가 올려놓이고,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1관통구 및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수결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한쪽 면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주연에 수결합부와 결합되는 암결합부를 포함한다. 마찰부재는 캡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가 결합되면 지지로드를 가압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개시되는 내용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조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세탁조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함에 있어 그 성능을 개선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세탁, 건조, 보관 및 다림질 등 여러 형태의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세탁, 건조, 보관 및 다림질 등을 각각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들이 실시되고 있다. 또는, 세탁과 건조, 보관과 다림질 등을 통합해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들도 실시되고 있다.
특히,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살펴보면, 그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세탁조가 세워진 형태와 누운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세탁조가 누운 형태를 '드럼식'이라 하고, 세탁조가 세워진 형태는 '와류식(와권식)' 또는 '교반식'이라 칭한다.
세탁대상물의 투입 방향이나 내조의 회전축 방향에 차이가 있으나, 세탁수가 수용되는 외조가 구비되고,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조가 배치되는 구성은 유사하다. 내부에서 세탁물이 물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세탁조에는 반복적인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세탁조가 주변의 구성물들과 충돌하거나 접하기도 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세탁조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진동감쇄 장치들이 설치된다.
진동감쇄 장치들은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흔들림을 감소시켜 소음을 줄이고, 내조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이과 관련한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72833호(이하, '관련기술 1'이라 한다.)는 '세탁기용 현가 장치'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1은 세탁기의 터브(외조)와 연결되며 내부에 완충 공간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 축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장치 몸체를 관통하며 단부에 지지판이 설치되는 지지로드, 지지로드를 감싸고 장치 몸체와 지지판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완충공간에 배치되고 지지 로드의 외주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형성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관련기술 1은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없었고, 제품 생산 시 세팅된 마찰력 값으로 유지되기에 다양한 환경에서 세탁이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모두 최적의 진동감쇄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 로드와 마찰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점차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되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품을 교체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29853호(이하, '관련기술 2'라 한다.)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2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일단이 케이싱과 연결된 지지봉, 외조가 케이싱에 매달리도록 지지봉의 타단과 외조를 연결함과 아울러 외조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서스펜션은 지지봉이 관통하고, 외조의 진동 시 지지봉을 따라 이동하는 에어캡, 에어캡 내에 배치되며 에어캡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마찰부재 및 지지봉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마찰부재를 포함한다.
관련기술 2는 외조에 큰 진동이 발생할 경우 마찰 감쇠부가 에어캡의 내벽과 접하게 되고, 이는 소음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찰 감쇠부의 제1마찰부재 및 제2마찰부재가 각각 지지봉과 에어캡의 내측면 사이에서 양측을 가압하므로 에어캡이 파손되기 쉬운 구조를 지녔었고,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내구성을 갖는다는 단점으로 작용했다.
전술한 관련기술은 발명자가 개시되는 내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개시되는 내용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개시되는 내용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세탁, 헹굼, 탈수 등이 다양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최초 제품 생산 시 세팅되었던 마찰력 값으로 진동을 감쇄하여야만 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제품 생산 과정에서 소재의 차이나 부품의 공차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감쇄를 위한 마찰력의 편차가 존재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들이 복잡하게 조립되어야 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의 구성이 쉽게 파손되거나 수명이 짧았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마찰부재는 지지로드를 감싸며 면접하도록 배치되고, 캡과 하우징의 결합에 따라 지지로드를 가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찰부재와 지지로드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조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감소하도록, 댐핑유닛은 캡과 하우징이 상호 회전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캡과 하우징의 회전결합에 따라 캡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가 지지로드를 가압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마찰부재의 소재나 부품의 공차 등으로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감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깊이에 다라 캡에 형성된 가압편들이 마찰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마찰부재가 지지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사용자가 쉽게 조절 가능하게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세탁조 및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지지로드, 탄성부재 및 댐핑유닛을 포함한다. 지지로드는 일단이 본체와 결합된다. 탄성부재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된다. 댐핑유닛은 탄성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댐핑유닛은 캡, 하우징 및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캡은 세탁조가 올려놓이고,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1관통구 및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수결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한쪽 면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주연에 수결합부와 결합되는 암결합부를 포함한다.
마찰부재는 캡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가 결합되면 지지로드를 가압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캡은 마운트, 지지부 및 가압편을 포함한다. 마운트는 세탁조가 올려 놓이도록 상면이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진다. 지지부는 마운트의 저면으로서 탄성부재의 일단이 접한다. 가압편은 수결합부가 외주연에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져 내측에 마찰부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한다. 그리고,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가 결합 시 포켓의 부피가 감소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캡에 포함되는 가압편은 암결합부가 외주연에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져 내측에 마찰부재가 수용되며,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가 결합 시 상호 간격이 좁아져 마찰부재를 지지로드를 향해 가압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는 회전에 의해 서로 결합 및 분리되며,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하우징은 일단이 막힌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가압편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암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지지로드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잠금판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압편은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가 결합 시, 캡 및 하우징이 서로 인접할수록 마찰부재가 지지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커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암결합부는 잠금판과 인접할수록 내경이 감소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잠금판은 내측면에 구비되어 일단은 잠금판의 내측면과 접하고, 타단은 마찰부재와 접하며 잠금판 및 마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변형하는 탄성가이드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잠금판은 내측면에 제2관통구와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며 제2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원형의 환턱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 및 본체에 세탁조가 수용된 의류처리장치로서,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본체와 결합되고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조가 올려놓이는 댐핑유닛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이 세탁조와 본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댐핑유닛의 직선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로드, 지지로드에 구비되어 댐핑유닛에 탄성력을 가해 댐핑유닛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댐핑유닛은 캡, 하우징 및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캡은 세탁조가 올려 놓이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지지로드에 의해 관통되며, 지지로드 주변에 미리 정해진 공간인 포켓을 형성한다.
하우징은 지지로드에 의해 관통되고, 캡과 결합되며 포켓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마찰부재는 지지로드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포켓에 수용된다.
또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세탁조가 수용된 의류처리장치로서,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본체와 결합되고,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조가 올려놓이는 댐핑유닛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이 세탁조와 본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댐핑유닛의 직선운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로드, 지지로드에 구비되어 댐핑유닛에 탄성력을 가해 댐핑유닛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댐핑유닛은, 캡, 하우징 및 마찰부를 포함한다. 캡은 세탁조가 올려 놓이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지지로드에 의해 관통되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편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지지로드에 의해 관통되고, 캡과 결합되며 가압편들을 상기 지지로드를 향해 가압한다.
마찰부는 가압편에 형성되고 하우징이 캡과 결합 시 지지로드와 접해 지지로드를 가압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압편들은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경로 주변에 홀수 개가 형성되고, 각각 지지로드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원을 기준으로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마찰부는 지지로드와 접하는 면이 적어도 일부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요철부는 가압편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지지로드와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찰강화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의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장소나 세탁환경 등에 대응해 적합한 진동감쇄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 설치 시 또는 점검 시 세탁조의 진동감쇄를 위한 마찰력의 세팅이 가능함으로써, 제품 생산 과정에서 소재의 차이나 부품의 공차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의 편차를 줄일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값의 마찰력이 진동감쇄에 관여하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세탁조의 하중이 지지되는 서스펜션어셈블리에서, 세탁조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부품들 간에 충격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세탁조의 작동 시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감소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마찰부재, 캡 및 하우징이 간결한 구조를 지님으로, 부품의 수가 감소함과 아울러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마찰부재가 캡에 마련된 가압편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진동감쇄 중 별도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내구성 및 제품수명이 늘어난다.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캡 및 하우징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에 탄성가이드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6의 B-B'단면도로서 가압편이 개수가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내용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탑커버(20) 및 베이스(30)와 결합되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하부는 베이스(30)와 상부는 탑커버(20)와 결합된다.
베이스(30)는 본체(10)를 지탱해 본체(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베이스(30)는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네 개의 레그(32)를 포함하고, 레그(32)는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레그(32)는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베이스(30) 및 본체(10)의 수평 및 평형을 조절할 수 있고, 베이스(30) 및 본체(1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바닥면 위에 거치되도록 한다.
베이스(30) 및 레그(3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지탱하고, 하중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해 의류처리장치가 흔들리거나 기울지 않도록 한다.
본체(10)는 베이스(30)의 위에 결합된다.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을 두르는 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조(40), 배수부(60)와 같은 구성들이 설치된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탑커버(20)가 결합된다. 탑커버(2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22)를 포함한다. 도어(22)는 탑다운 형태일 수 있고, 도어(22)가 열리면 본체(10) 내부, 구체적으로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세탁조(40)가 개방되어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2)가 닫히면 세탁조(40)가 외부와 격리된다.
도어(22)는 센서가 부착되어 도어(22)가 열린 상태로 세탁조(40)의 작동이 차단될 수 있고,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22)와 인접한 위치로서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컨트롤패널(24)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4)은 표시부와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조작부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동작 등을 통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고, 표시부를 통해서는 작동상태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세탁조(40)가 배치된다. 세탁조(40)는 외조(42)와 내조(46)를 포함한다.
외조(42)는 내조(46)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와 결합된다. 외조(42)는 본체(10)와 지지부재(220)를 통해 결합되되, 지지부재(220)에는 댐퍼가 구비되어 외조(42)는 본체(10)에 지지되나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함과 아울러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외조(42)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외조(42)는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조(46)는 외조(42)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며 물살을 형성한다. 내조(46)는 상부로 개방된 투입구를 포함하고, 외조(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조(42)와 같이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내조(46)는 저면이 구동부(50)와 연결되고, 구동부(50)의 작동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된 급수구로부터 외조(42)로 급수가 이뤄지면 외조(4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차오른다. 외조(42) 내부의 세탁수는 내조(46)에 형성된 개방공들을 통해 내조(46)의 내부에도 유입된다. 세탁이나 헹굼 시 내조(46)의 회전에 따라 외조(42)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일련의 물살을 형성하고, 물살을 통해 세탁이나 헹굼이 수행된다.
탈수나 배수 시에는 배수밸브(64)가 열리고 외조(42)에 수용되었던 물이 배수밸브(64) 및 배수유로(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유로(62)는 별도의 배수펌프(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펌프(66)는 세탁조(40)에 수용되었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세탁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조(4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40)는 본체(10)의 내부에서 본체(10)에 결합된다. 본체(10)와 세탁조(40)는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세탁조(40)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어셈블리(100)와 결합될 수 있다. 세탁조(40)는 본체(10)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세탁조(40)는 적어도 두 곳 이상이 본체(10)와 연결되되 그 하중이 본체(10)를 통해 지탱되는 구조를 지닌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탁조(40)의 외측둘레에 적어도 두 개의 서스펜션어셈블리(100)가 결합되어 본체(10)와 연결되고, 적어도 한 곳은 본체(10)와 힌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서스펜션어셈블리(100)는 본체(10) 및 세탁조(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세탁조(40)의 하중을 지탱함과 아울러 세탁조(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한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서스펜션어셈블리(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어셈블리(100)는 지지로드(200), 결합부(210), 지지부재(220), 탄성부재(230) 및 댐핑유닛(300)을 포함한다.
지지로드(200)의 일단에는 결합부(210)가, 지지로드(200)의 타단에는 지지부재(220)가 배치된다. 결합부(210)는 본체(10)와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에 대하여 지지로드(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220)는 지지로드(200)의 타단에 형성되고,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로드(200)의 타단에 결합되되, 지지로드(200)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지지로드(200)를 감싸며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에 결합되고, 지지부재(220)에 한 쪽 끝이 구속되어 지지로드(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탄성부재(230)는 지지부재(220)와 댐핑유닛(300)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댐핑유닛(300)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30)는 수축되고, 댐핑유닛(30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230)가 원상태로 복구된다.
지지로드(200)는 봉 형상일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결합부(210)가 형성되는 일단은 위쪽을 향하고, 지지부재(220)가 마련된 타단은 아래쪽을 향하게 배치된다.
댐핑유닛(300)은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를 감싸며 결합되고, 지지로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댐핑유닛(300)은 탄성부재(230)와 접해 일 방향으로 이동 시 탄성부재(230)가 지닌 탄성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댐핑유닛(300)에는 외조(42)의 아랫부분의 외측에 형성되는 홀더(44)가 얹혀진다. 댐핑유닛(300)에는 홀더(44)를 통해 세탁조(40)의 하중 및 세탁조(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된다. 따라서, 댐핑유닛(300)에 홀더(44)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30)가 압축되고, 탄성부재(230)가 지닌 탄성력에 의해 댐핑유닛(300)이 지지로드(200)를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댐핑유닛(300)은 지지로드(200)와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조(40)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30)를 가압해 탄성부재(230)의 거동에 따라 댐핑유닛(3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댐핑유닛(300)이 지지로드(200)와의 사이에 가지는 마찰력이 탄성부재(230)의 거동을 감쇄시킴으로 댐핑유닛(300)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즉, 세탁조(40)의 하중 및 세탁조(40)에서 생성된 외력은 댐핑유닛(300)으로 전달된다. 댐핑유닛(300)은 탄성부재(230)의 탄성력과 댐핑유닛(300) 자체가 지지로드(200)와의 사이에 가지는 마찰력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세탁조(40)로부터 전달된 외력을 감쇄시킨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3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3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300)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유닛(300)은 캡(400), 하우징(500) 및 마찰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400)과 하우징(500)은 상호 회전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캡(400) 및 하우징(500)은 지지로드(200)에 의해 관통된다. 즉, 캡(400) 및 하우징(500)을 지지로드(200)가 통과한다. 캡(400) 및 하우징(500)은 지지로드(20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호 회전결합될 수 있다.
먼저, 캡(400)에는 지지로드(2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관통구(410)가 형성된다. 캡(400)은 제1관통구(410)를 중심으로 그 외형이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캡(400)은 제1관통구(410)를 통과하는 지지로드(200)를 중심으로 하여 측방으로 그 외형이 주변보다 연장되어 형성되는 마운트(420)를 포함한다. 마운트(420)는 그 상면이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로 갈수록 측방으로 그 외경이 커져 돌출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마운트(420)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원반형상일 수 있다. 마운트(420)에는 세탁조(40)의 홀더(44)가 그 하중을 지지하며 올려 놓인다.
마운트(420)의 저면은 탄성부재(230)의 일단이 접해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부(470)가 형성된다. 탄성부재(230)는 마운트(4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부(470)로부터 힘을 전달받거나 전달함으로써 댐핑유닛(300)이 지지로드(200)를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한다.
또한, 캡(400)은 결합되는 지지로드(200)를 중심으로 지지로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절개부를 중심으로 해서 적어도 두 개로 그 외형이 분리되는 가압편(430)을 포함한다.
가압편(430)은 캡(400)의 일부가 적어도 두 개로 그 외형이 나뉘어 형성될 수 있고, 캡(400)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부분이 지지로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압편(430)은 제1가압편(432), 제2가압편(434), 제3가압편(436)으로 명명한다.
가압편(430)들은 그 외주연에 수결합부(440)가 형성된다. 수결합부(440)는 나사산으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편(430)들은 그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포켓(450)을 형성한다.
포켓(450)에는 마찰부재(600)가 수용될 수 있다.
마찰부재(600)는 고무, 섬유, 펠트(felt)등의 다소간 외형 변형이 가능하면서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마찰부재(600)는 지지로드(200)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포켓(450)에 수용된다.
하우징(500)은 일면이 막힌 원통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500)은 막힌 일면인 잠금판(530)으로부터 잠금판(530)의 외측둘레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측벽의 내측면에는 암결합부(520)(210)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판(530)은 그 중앙에 지지로드(2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2관통구(510)가 형성된다.
암결합부(520)는 수결합부(440)와 서로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캡(400)에 형성된 포켓(450)에 마찰부재(600)가 수용되고, 수결합부(440)가 암결합부(520)로 진입해 결합됨에 따라 가압편(430)들은 수결합부(440) 및 암결합부(520)의 결합에 따라 마찰부재(600)를 지지로드(20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포켓(450)의 한쪽 면은 잠금판(530)에 의해 폐쇄되고, 잠금판(530)의 내측면은 마찰부재(600)의 한 쪽 끝을 밀어 마찰부재(600)가 포켓(450) 내부에서 지지로드(200)를 압착하게 한다.
이때, 하우징(500)에 형성되는 암결합부(520)는 잠금판(530)과 인접할수록 그 내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수결합부(440)에 암결합부(5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되는 깊이에 따라 가압편(430)들이 마찰부재(600)를 지지로드(200)를 향해 가압하는 힘에 차이를 발생시킨다.
즉, 암결합부(520)에 수결합부(440)가 깊게 결합될수록 가압편(430)들이 마찰부재(600)를 더 강한 힘으로 지지로드(200)를 향해 가압하게 된다. 이는 종국적으로 마찰부재(600) 및 지지로드(2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9 및 도 10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캡(400) 및 하우징(500)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0)은 캡(400)과 결합됨에 있어,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결합 깊이가 정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결합부(520)에 수결합부(440)가 깊게 진입하여 결합되면 가압편(430)들이 마찰부재(600)를 지지로드(200)를 향해 가압하는 힘인 F1이 발생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결합부(520)에 수결합부(440)가 일부 진입하여 결합되면 가압편(430)들이 마찰부재(600)를 지지로드(200)를 향해 가압하는 힘인 F2가 발생된다.
이때, F1은 F2보다 그 크기가 크고, 더 큰 힘으로 지지로드(200)와 압착되는 마찰부재(600)는 더 큰 마찰력을 행사하게 된다.
그리고, 캡(400)과 하우징(500)이 서로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마찰부재(600)의 외측둘레에 가해지는 힘 F1이나 F2가 미치는 넓이가 변화하고, 이에따라 지지로드(200)와 마찰부재(600)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캡(400)과 하우징(500)을 어느정도 결합시키느냐에 따라 지지로드(200)에 미치는 마찰부재(600)의 마찰력이 변화하고,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300)에 탄성가이드(540)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0)은 탄성가이드(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가이드(540)는 잠금판(530)의 내측면에 한쪽 끝이 접하여 지지되고, 다른 쪽 끝은 마찰부재(600)와 접해 마찰부재(600)를 포켓(450) 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탄성가이드(540)는 마찰부재(600)가 포켓(45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고, 마찰부재(60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마찰부재(600)와 지지로드(200) 간의 마찰력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잠금판(530)의 내측면에는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2관통구(510)를 중심으로 소정의 공간이 구획되어 탄성가이드(540)의 한쪽 끝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는 잠금판(530)의 내측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판(530)의 내측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6의 B-B'단면도로서 가압편(430)이 개수가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430)은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가압편(430)이 두 개로 짝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가압편(430)이 세 개로 홀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가압편(430)은 제1가압편(432) 및 제2가압편(434)으로 짝수로 이뤄질 경우, 가압편(430)들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하우징(500)이 캡(400)에 결합됨에 따라 가압편(430)이 내측으로 밀려 마찰부재(60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마찰부재(600)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압편(430)이 제1가압편(432), 제2가압편(434) 및 제3가압편(436)으로 홀수로 이뤄지는 경우는, 지지로드(200)의 중심을 원의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원을 기준으로 할 때, 가상의 원의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압편(430)들이 배치된다. 이 또한, 하우징(500)이 캡(400)에 결합됨에 따라 가압편(430)들이 마찰부재(600)의 외측면을 내측으로 가압함에 있어서, 마찰부재(600)의 외측면에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5는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댐핑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00a)에 형성되는 가압편(430a)들은 그 내측면에 마찰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460)는 가압편(430a)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안쪽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500a)의 암결합부(520a)에 캡(400a)의 수결합부(440a)가 진입하여 결합하게 되면, 가압편(430a)들이 내측방향으로 진입하고, 마찰부(460)가 지지로드(200a)의 외측둘레와 접해 가압한다.
따라서, 가압편(430a)들에 형성되는 마찰부(460)가 지지로드(200a)와 접함으로 마찰력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마찰력이 세탁조(40)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탄성부재(230)와 함께 작용하여 감쇄시킨다.
마찰부(460)는 지지로드(200a)와 접하는 면에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의 요철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462)는 마찰부(460)가 지지로드(200a)의 외측둘레와 접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보다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요철부(462)는 마찰부(460)에 미리 정해진 패턴의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예로서 지지로드(200a)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환형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요철부(462)에는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재의 마찰강화부재(464)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찰강화부재(464)는 고무, 섬유 및 펠트(felt)와 같은 소재일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마찰부(460) 및 요철부(462)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개시되는 내용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탑커버
22: 도어 24: 컨트롤패널
30: 베이스 32: 레그
40: 세탁조 42: 외조
44: 홀더 46: 내조
50: 구동부 60: 배수부
62: 배수유로 64: 배수밸브
66: 배수펌프 100: 서스펜션어셈블리
200: 지지로드 210: 결합부
220: 지지부재 230: 탄성부재
300: 댐핑유닛 400: 캡
410: 제1관통구 420: 마운트
430: 가압편 432: 제1가압편
434: 제2가압편 436: 제3가압편
440: 수결합부 450: 포켓
460: 마찰부 462: 요철부
464: 마찰강화부재 470: 지지부
500: 하우징 510: 제2관통구
520: 암결합부 530: 잠금판
540: 탄성가이드 550: 안착부
600: 마찰부재

Claims (1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세탁조가 올려 놓이고,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수결합부와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1관통구를 포함하는 캡;
    원통형상으로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수결합부와 결합하는 암결합부와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제2관통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캡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결합부 및 상기 수결합부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를 가압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면이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의 저면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접하는 지지부; 및
    외주연에 상기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마찰부재를 수용하는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암결합부 및 상기 수결합부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포켓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면이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의 저면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접하는 지지부; 및
    외주연에 상기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져 내측에 상기 마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수결합부 및 상기 암결합부가 결합함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아져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지지로드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결합부 및 상기 암결합부는,
    회전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며,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으로서 하단면이 막혀 있고, 내측에 상기 가압편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암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잠금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수결합부 및 상기 암결합부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캡 및 상기 하우징이 서로 인접할수록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지지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커지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결합부는,
    상기 잠금판과 인접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판은,
    일단은 상기 잠금판의 일면과 접하고, 타단은 상기 마찰부재와 접하며, 상기 잠금판 및 상기 마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변형하는 탄성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판은,
    일면에 상기 제2관통구와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관통구보다 큰 직경을 지닌 원형의 환턱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세탁조가 올려 놓이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지지로드 주변에 미리 정해진 공간인 포켓을 형성하는 캡;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고, 상기 캡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포켓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기 포켓에 수용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댐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세탁조가 올려 놓이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며,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둘레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압편을 포함하는 캡;
    내부에 상기 지지로드가 관통하고, 상기 캡과 결합되어 상기 가압편들을 상기 지지로드를 향해 가압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가압편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캡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와 접해 상기 지지로드를 가압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들은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경로 주변에 짝수 개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들은 상기 지지로드가 통과하는 경로 주변에 홀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지지로드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는 가상의 원을 기준으로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지지로드와 접하는 면이 적어도 일부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가압편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로드와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찰강화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11649A 2019-09-09 2019-09-09 의류처리장치 KR20210030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49A KR20210030111A (ko) 2019-09-09 2019-09-09 의류처리장치
US16/984,571 US11686033B2 (en) 2019-09-09 2020-08-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010795487.2A CN112458700B (zh) 2019-09-09 2020-08-10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49A KR20210030111A (ko) 2019-09-09 2019-09-0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11A true KR20210030111A (ko) 2021-03-17

Family

ID=7483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49A KR20210030111A (ko) 2019-09-09 2019-09-0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86033B2 (ko)
KR (1) KR20210030111A (ko)
CN (1) CN112458700B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62B1 (ko) 1999-06-01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장치
KR100577257B1 (ko) 2004-07-13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댐퍼 및 그 제어방법
JP2006122467A (ja) 2004-10-29 2006-05-18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742646B1 (ko) 2006-11-01 2007-07-25 (주)씨엔티 가전제품의 높이 조절 및 내 진동 지지장치
US9279207B2 (en) 2010-06-17 2016-03-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a suspension having a friction damper
KR20120072833A (ko) 2010-12-24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현가 장치
KR20120029853A (ko) 2010-09-17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10011936B2 (en) 2012-07-30 2018-07-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machine
KR101921177B1 (ko) 2012-09-24 2018-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754683B1 (ko) * 2014-07-11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217533B1 (ko) 2014-07-11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6484461B2 (ja) 2015-02-25 2019-03-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CN105839348B (zh) 2016-05-19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和用于波轮洗衣机的吊杆组件
CN107663741B (zh) 2017-10-09 2019-08-16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悬挂减震系统和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58700B (zh) 2023-05-02
CN112458700A (zh) 2021-03-09
US11686033B2 (en) 2023-06-27
US20210071341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550B1 (ko) 의류처리장치
RU2442850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7472567B2 (en) Damper for washing machine
US10011936B2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KR10259782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40060120A1 (en) Washing machine
EP159501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9963814B2 (en) Washing machine
KR20120029853A (ko) 세탁기
US20160010261A1 (en) Washing machine
KR20130096515A (ko) 세탁기의 이중댐퍼
US1149926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116870A (ko)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2100301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1609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84298B1 (ko) 수평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033564B1 (ko) 세탁기의 다중 댐핑장치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114600A (ko) 세탁기
KR0136450Y1 (ko) 탈수조의 진동감쇠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110083316A (ko) 드럼세탁기용 댐퍼
KR101033563B1 (ko) 세탁기의 2중 댐핑장치
KR10224104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261811B1 (ko) 세탁기의 댐퍼
KR101934054B1 (ko) 진동 감쇄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