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02B1 -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02B1
KR101683402B1 KR1020150186399A KR20150186399A KR101683402B1 KR 101683402 B1 KR101683402 B1 KR 101683402B1 KR 1020150186399 A KR1020150186399 A KR 1020150186399A KR 20150186399 A KR20150186399 A KR 20150186399A KR 101683402 B1 KR101683402 B1 KR 10168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abinet
outer circumferential
stabiliz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식
김영종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02B1/ko
Priority to AU2016378953A priority patent/AU2016378953B2/en
Priority to PCT/KR2016/013665 priority patent/WO20171113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02B1/ko
Priority to US15/386,618 priority patent/US98967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는,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 부재; 어느 일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다른 일부분에 연결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은, 상기 상기 댐핑 부재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감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Stabiliz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조의 수평 진동을 감쇄시키는 스태빌라이저와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 기기는, 세탁물에 물리적 및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또는 내조)와,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세탁조가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또는 외조), 상기 터브를 감싸서 보호하고 상기 세탁물 처리 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지지봉과 서스펜션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세탁 과정에서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진동이 상기 서스펜션에 의하여 흡수된다.
뿐만 아니라, 세탁 과정에서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평 진동 감쇄 구조가 제안되었다.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17118호(2012년12월24일)에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터브가 캐비닛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방지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 기술에 제시된 진동 방지 부재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된 진동 방지 부재를 구성하는 몸체는 단단한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을 상기 진동 방지 부재가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현가장치로 전달시킨다. 상기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진동 방지 부재의 몸체에 모멘트를 발생시켜, 상기 진동 방지 부재가 상기 현가 장치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현가 장치를 구성하는 봉 형태의 댐퍼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댐퍼로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 현가 장치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현가 장치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을 상기 진동 방지 부재가 흡수하지 못하고 현가 장치로 전달하기 때문에, 터브와 진동 방지 부재의 연결 부위 및 현가 장치와 진동 방지 부재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제10-1217118호(2012년12월24일) 한국공개특허제10-2012-0029853호(2012년03월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는,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부가 세탁물 처리 기기의 상면을 향하도록 직립하는 터브의 원통형 외주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작용하는 수평 방향 힘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작용하는 상기 수평 방향 힘을 흡수 또는 상쇄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직립 상태에 있는 상기 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라운드져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터브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절곡부가 관통하는 댐핑부와, 상기 댐핑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캐비닛을 연결하는 지지봉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작용하는 상기 수평 방향 힘이 상기 연결 부재로 전달되면,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 방향 힘에 의하여 상기 댐핑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절곡부의 외주면과 상기 댐핑부 사이에서 상기 수평 방향 힘을 상쇄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하는 댐핑 부재가 스태빌라이저에 제공됨으로써, 터브를 지지하는 지지봉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에 의하면, 수평 방향 진동은 댐핑 부재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되고, 연결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2차적으로 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양 단부에 터브를 지지하는 지지봉이 연결됨으로써,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이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통하여 두 개의 지지봉으로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진동 흡수 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세탁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고정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7의 8-8'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및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세탁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14)와, 상기 터브(1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13)와, 상기 세탁조(13)의 바닥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펄세이터(미도시)와, 상기 터브(40)가 상기 캐비닛(1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 수단, 및 상기 터브(14)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을 흡수 및 감쇄시키는 스태빌라이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수단은, 일단이 상기 캐비닛(11)에 연결되는 지지봉(15)과, 상기 지지봉(15)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16)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의 상단부의 네 모서리에는 지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15)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12)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14)의 하중을 상기 캐비닛(11)이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16)은, 상기 지지봉(15)의 타단에 끼워지며, 내부에 완충 부재가 구비되는 에어캡(161)과, 상기 에어캡(161)의 하측에서 상기 지지봉(15)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 부재(162) 및 상기 지지봉(15)의 타단에 연결되는 베이스(1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14)의 외주면 하단에는 서스펜션 걸이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션(16)이 구비된 상기 지지봉(15)의 타단은, 상기 서스펜션 걸이부(141)에 연결된다. 상기 터브(14)의 하중 및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 진동은 상기 서스펜션(16)에서 흡수 및 감쇄된다.
상기 서스펜션(16)의 구조와 기능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공개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9853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20)는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20)의 양 단부는 상기 지지봉(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터브(14)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은 상기 스태빌라이저(20)를 통하여 상기 지지봉(15)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방향 진동의 대부분은 상기 스태빌라이저(20)에서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15)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 좌우측 모서리 및 후면부 좌우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스태빌라이저(20)가 상기 터브(14)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되거나, 상기 터브(1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태빌라이저(20)의 배치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스태빌라이저(20)는 상기 터브(14)의 전,후,좌,우 측면 중 어느 일측에만 장착될 수도 있고, 네 측면 모두에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0)는, 연결 부재(21)와, 상기 연결 부재(21)를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2)와, 상기 연결 부재(21)의 양 단부에 장착되는 댐핑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 부재(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연결 부재(21)는,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커버부(211)와, 상기 커버부(211)의 양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212)와, 상기 절곡부(2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11)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고정 부재(2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11)의 곡률은 상기 터브(14)의 횡단면 곡률과 동일하거나, 상기 터브(14)의 횡단면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12)는, 상기 커버부(211)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12)와 상기 커버부(211)가 이루는 절곡각(θ)은, 45도 ~ 135도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각(θ)은, 60도 ~ 120도 사이, 또는 80도 ~ 100 도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12)는 상기 댐핑 부재(23)를 관통한다. 즉, 상기 터브(14)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댐핑 부재(23)는 상기 절곡부(212)를 따라 상기 절곡부(21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수평 방향 진동을 감쇄시킨다.
또한, 상기 절곡부(212)의 단부에는 걸림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댐핑 부재(23)가 상기 절곡부(2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고정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0)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22)는, 고정 블록(221)과, 상기 고정 블록(221)에 삽입되는 핀 지지 부재(22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 블록(221)은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고정 블록(22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블록(221)의 후면에는 슬릿(223)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223)은, 상기 고정 블록(221)의 후단에서 전단부 쪽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좌측단에서 우측단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223)의 전단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21)가 끼워지는 끼움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22)은 상기 고정 블록(221)의 좌측단에서 우측단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2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211)가 상기 슬릿(223)을 통과하여 상기 끼움홈(222)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고정 블록(221) 상기 연결 부재(21)의 커버부(21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20)가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장착되면,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상기 고정 블록(221)의 후면이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블록(221)의 상면에는 상기 핀 지지 부재(226)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24)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핀홀(225)이 형성된다. 상기 핀홀(255)은 상기 고정 블록(221)의 상하면을 관통한다.
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핀홀(255)이 형성되는데, 상기 핀홀(255)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핀 지지부재(226)는, 상기 고정 블록(221)에 결합되며,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핀 지지부재(226)는, 납작하고 평평한 메인 플레이트(227)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227)의 저면에서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핀 슬리브(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슬리브(228)는 상기 핀홀(225)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슬리브(228)는 내부로 체결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에 상기 핀 슬리브(228)의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는 길이의 컷팅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컷팅부(229)는 상기 핀 슬리브(228)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 블록(221)에 변형력이 가해져서 상기 핀홀(225)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상기 핀 슬리브(22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핀홀(225)의 형상 변형에 따라 상기 컷팅부(229)의 절개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상기 핀 슬리브(22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24)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227)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227)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블록(221)이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 부재(22)가 상기 연결 부재(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14)의 체결부에 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블록(221)의 상면이 밀착되는 상부 연장단(142)과, 상기 고정 블록(221)의 하면이 밀착되는 하부 연장단(143)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상부 연장단(142)과 하부 연장단(143)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 블록(221)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연장단(142)과 하부 연장단(143)에는 상기 고정 블록(221)에 형성된 핀홀(225)에 대응하는 관통홀(142a,1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연장단(142)의 상면과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을 연결하고, 상기 하부 연장단(143)의 하면과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강도 보강 리브(14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 리브(144)에 의하여, 상기 상부 연장단(142) 및 상기 하부 연장단(143)이 상기 터브(14)의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파손되어,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홀(142a,143a)에는 체결핀(17)이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핀(17)은 상기 상부 연장단(142) 관통홀(142a)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부재(22)의 핀 슬리브(228) 및 상기 하부 연장단(143)의 관통홀(143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핀(17)에 의하여 상기 고정 블록(221)이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저(20)가 상기 터브(14)의 외주면에 연결된다.
도 7은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구성하는 댐핑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8-8'를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0)는 댐핑 부재(23)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15)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터브(14)에 수평 방향 진동이 작용하면, 상기 댐핑 부재(23)가 상기 연결 부재(21)의 절곡부(2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진동을 흡수 및 감쇄시킨다.
더욱 상세히, 상기 댐핑 부재(23)는, 상기 연결 부재(21)의 절곡부(212)에 끼워지는 댐핑부와, 상기 댐핑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댐핑부와 상기 지지봉 연결부(234)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댐퍼 바디(231)와, 상기 댐퍼 바디(231)의 상측 개구면을 덮는 댐퍼 커버(232)와, 상기 댐퍼 바디(231)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절곡부(212)를 감싸는 마찰링(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 바디(2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댐핑 챔버(231a)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댐핑 챔버(231a)에는 점도를 가지는 그리스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12)가 관통하는 상기 댐퍼 바디(231)의 바닥부와 상기 댐퍼 커버(232)의 저면에는 밀봉 부재(231c,232d)가 구비되어, 상기 그리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링(235)은 부직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절곡부(212)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212)를 따라 이동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터브(14)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 부재(2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절곡부(212)의 외주면과 상기 마찰링(235)이 접촉하는 부위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수평 방향 진동을 감쇄시킨다.
또한, 상기 댐퍼 커버(232)는, 상기 댐퍼 바디(231)의 상면을 덮는 상면부(232a)와, 상기 상면부(232a)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댐퍼 바디(231)의 외주면에 중첩되는 측면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32b)는 상기 댐퍼 바디(231)의 4 측면 중 상기 연결부 구조가 형성되는 면을 제외한 3 측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32a)에는 상기 절곡부(212)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 바디(231)의 바닥부에도 상기 절곡부(212)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기 댐퍼 바디(231)의 바닥부와, 상기 댐퍼 커버(232)의 상면부(232a)의 저면에 상기 밀봉 부재(231c,232d)가 구비되어, 그리스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 바디(231)의 측면부의 외면에는 체결 돌기(231a)가 돌출되고, 상기 측면부(232b)에는 상기 체결돌기(231a)가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홀(232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댐퍼 바디(231)의 4 측면부 중 어느 일 측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233)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2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봉 연결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233) 각각은, 상기 댐퍼 바디(23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리브(233a)와, 상기 메인 리브(233a)의 상단과 하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233b)와, 상기 메인 리브(233a)를 관통하는 체결홀(233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리브(233a)의 내측 면에는 삽입 안내면(233c)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 연결부(234)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상세히, 상기 삽입 안내면(233c)은, 상기 상기 메인 리브(233a)의 단부에서 상기 체결홀(233d)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메인 리브(233a)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한편, 상기 지지봉 연결부(234)는, 상기 지지봉(15)이 삽입되는 연결 실린더(234a)와,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외주면에서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축(234e)과,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파지부(23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회전축(234e)은, 상기 연결 실린더(234a)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형성되어 동일 선상에 놓여서,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회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234c)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234e)을 지나는 선과 직교하는 선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234c)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부분에는 슬릿부(234b)가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횡단면은 c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연결 실린더(234a) 내부에 상기 지지봉(15)이 삽입될 때, 상기 연결 실린더(234a)가 탄성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내경이 치수 공차로 인하여 상기 지지봉(15)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슬릿부(234b)에 의하여 상기 연결 실린더(234a)가 원주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부재(21)가 상기 터브(14)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댐핑부와 상기 연결 부재(21)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댐핑 부재(23)도 상기 연결 부재(2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15)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 힘이 상기 연결 실린더(234a)에 작용하여, 상기 연결 실린더(234a)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직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지지봉(15)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힘이 소멸되어, 상기 지지 리브(233)의 시작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윤활홈(234d)이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윤활홈(234d)에는 그리스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34e)의 단부에는 경사면(234f)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 리브(233)의 삽입 안내면(233c)과 맞닿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봉 연결부(234)를 상기 지지 리브(233)에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연결 실린더(234a)의 파지부(234c)를 잡고, 상기 회전축(234e)의 경사면(234f)이 상기 삽입 안내면(233c)에 맞물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실린더(234a)를 상기 지지 리브(233)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회전축(234e)의 경사면(234f)은 상기 삽입 안내면(233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34e)은 상기 삽입 안내면(233c)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233d)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234e)의 경사면(234f)이 상기 삽입 안내면(233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233)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벌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34e)이 상기 체결홀(233d)에 삽입되는 순간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회전축(234e)이 상기 체결홀(233d)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체결홀(233d)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14)에 수평 방향 진동(F)이 작용하면, 상기 터브(14)는 화살표 방향으로 편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20)도 상기 터브(14)와 한 몸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댐핑 부재(23)가 상기 지지봉(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21)의 절곡부(212)가 상기 댐핑 부재(23)를 관통하여 화살표(S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마찰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수평 방향 진동(F)이 감쇄된다. 그 결과, 상기 터브(14)의 수평 방향 이동 변위가 감소되면서, 상기 터브(14)가 상기 캐비닛(11)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212)의 단부는, 상기 지지봉(15)을 벗어나서 상기 캐비닛(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지지봉(15)과 터브(14)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만큼만 댐핑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절곡부(212)가 상기 지지봉(15)을 벗어나서 캐비닛(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평 방향 진동(F)의 크기가 작으면, 상기 댐핑 부재(23)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상기 연결 부재(21)의 탄성 복원력 중 어느 하나만으로 상기 진동(F)이 감쇄될 수도 있고, 상기 진동(F)이 크면, 1차적으로 상기 댐핑 부재(23)의 마찰력이 상기 진동을 감쇄시키고, 2차적으로는 상기 연결 부재(21)의 탄성 복원력이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진동(F)이 발생하면, 상기 연결부(211)와 절곡부(212) 사이의 절곡각(θ)이 작아지는 방향(S2) 또는 커지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21)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21)가 탄성 변형하면서 복원력이 축적되고, 상기 복원력과 상기 수평 방향 진동(F)이 서로 상쇄되어, 상기 진동(F)이 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0)의 특징을 정리하면, 상기 터브(14)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F)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댐핑 부재(23)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상기 연결 부재(21)의 탄성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상기 진동(F)이 감쇄되거나, 상기 댐핑 부재(23)의 마찰력과 상기 연결 부재(21)의 탄성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진동(F)이 감쇄될 수 있다.

Claims (20)

  1.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부가 세탁물 처리 기기의 상면을 향하도록 직립하는 터브의 원통형 외주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작용하는 수평 방향 힘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작용하는 상기 수평 방향 힘을 흡수 또는 상쇄하는 댐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직립 상태에 있는 상기 터브의 원주면을 따라 라운드져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터브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부재는,
    상기 절곡부가 관통하는 댐핑부와,
    상기 댐핑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터브를 수용하는 캐비닛을 연결하는 지지봉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작용하는 상기 수평 방향 힘이 상기 연결 부재로 전달되면,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 방향 힘에 의하여 상기 댐핑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절곡부의 외주면과 상기 댐핑부 사이에서 상기 수평 방향 힘을 상쇄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각각은,
    일 면에 상기 연결 부재의 어느 일부분이 끼워지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삽입되는 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 지지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 블록의 상면에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핀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핀 슬리브에는, 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기 위한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댐퍼 바디와,
    상기 댐퍼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절곡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마찰링과,
    상기 댐퍼 바디의 개구된 면을 덮는 댐퍼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댐퍼 커버와 상기 댐퍼 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마찰링과 상기 절곡부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댐퍼 바디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체결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지지봉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 연결부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연결 실린더와,
    상기 연결 실린더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절곡부가 이루는 각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12. 삭제
  13.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물 투입을 위한 개구부가 상기 캐비닛의 상면을 향하며, 외주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부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지지봉을 연결하고, 상기 터브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나 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부 연장단과,
    상기 상부 연장단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나 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연장단과 상기 하부 연장단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관통홀과 상기 고정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상부 연장단 및 하부 연장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핀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후면, 또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모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86399A 2015-12-24 2015-12-24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KR10168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99A KR101683402B1 (ko) 2015-12-24 2015-12-24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AU2016378953A AU2016378953B2 (en) 2015-12-24 2016-11-24 Stabilizer and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6/013665 WO2017111327A1 (en) 2015-12-24 2016-11-24 Stabilizer and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5/386,618 US9896793B2 (en) 2015-12-24 2016-12-21 Stabilizer and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399A KR101683402B1 (ko) 2015-12-24 2015-12-24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402B1 true KR101683402B1 (ko) 2016-12-06

Family

ID=5757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399A KR101683402B1 (ko) 2015-12-24 2015-12-24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96793B2 (ko)
KR (1) KR101683402B1 (ko)
AU (1) AU2016378953B2 (ko)
WO (1) WO2017111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3692A1 (zh) * 2016-12-07 2018-06-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振组件及洗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657B1 (ko) * 2015-03-16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0526742B2 (en) * 2015-06-19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1683402B1 (ko) * 2015-12-2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US10760195B2 (en) * 2016-11-21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09208251B (zh) * 2017-07-07 2021-03-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KR20210069960A (ko) 2019-12-04 2021-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진동 저감 장치
CN114541096B (zh) * 2022-02-28 2024-03-12 青岛鑫恒德电器有限公司 具备安装稳定监测结构的洗衣机内筒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453U (ko) * 1996-08-20 1998-05-25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방진 장치
KR100685977B1 (ko) * 2006-05-12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120029853A (ko) 2010-09-17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217118B1 (ko) 2005-10-31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11221A (ko) * 2013-07-22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1956A (en) * 1960-01-28 1962-02-20 Gen Electric Vibration isolating system
NZ207317A (en) * 1984-02-29 1987-06-30 Fisher & Paykel Resilient mounting for washing machine
JPH0814995B2 (ja) * 1989-01-27 1996-02-1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
US6286344B1 (en) * 1999-02-04 2001-09-1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tilted tub assembly
JP3817401B2 (ja) * 2000-02-07 2006-09-06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BRPI0705172A2 (pt) * 2007-11-19 2009-07-21 Whirlpool Sa arranjo de suspensão para máquina lavadora de roupas
WO2010107231A1 (ko) * 2009-03-20 2010-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34735B1 (ko) * 2012-08-3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6426916B2 (ja) * 2014-05-27 2018-11-21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US10526742B2 (en) * 2015-06-19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1683402B1 (ko) * 2015-12-24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453U (ko) * 1996-08-20 1998-05-25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조 방진 장치
KR101217118B1 (ko) 2005-10-31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0685977B1 (ko) * 2006-05-12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120029853A (ko) 2010-09-17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11221A (ko) * 2013-07-22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3692A1 (zh) * 2016-12-07 2018-06-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振组件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96793B2 (en) 2018-02-20
AU2016378953B2 (en) 2019-01-31
WO2017111327A1 (en) 2017-06-29
AU2016378953A1 (en) 2018-06-21
US20170183802A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402B1 (ko) 스태빌라이저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 기기
CA2748841C (en) Laundry machine
KR20100081382A (ko) 세탁장치
KR20140054090A (ko)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KR20140029013A (ko) 세탁기
US10526742B2 (en) Washing machine
KR102486309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체
US20160010261A1 (en) Washing machine
US20120056517A1 (en) Washing machine
KR102089280B1 (ko) 세탁기
KR101923450B1 (ko) 세탁장치
KR102368415B1 (ko) 세탁기
KR101144787B1 (ko) 드럼세탁기의 댐핑구조
KR100688204B1 (ko) 세탁기의 댐퍼
KR20170114600A (ko) 세탁기
KR100649601B1 (ko) 세탁기용 댐퍼
KR101752410B1 (ko) 세탁장치
KR102304187B1 (ko) 자기 서스펜션 및 자기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458315B1 (ko) 세탁기
CN213571177U (zh) 一种动力吸振装置及衣物处理设备
CN217810098U (zh) 衣物处理设备
KR102668751B1 (ko) 의류처리장치
US11732397B2 (en) Foam plug for reducing noise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101069871B1 (ko) 세탁기
KR102540667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