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090A -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 Google Patents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090A
KR20140054090A KR1020147004239A KR20147004239A KR20140054090A KR 20140054090 A KR20140054090 A KR 20140054090A KR 1020147004239 A KR1020147004239 A KR 1020147004239A KR 20147004239 A KR20147004239 A KR 20147004239A KR 20140054090 A KR20140054090 A KR 20140054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element
shock absorber
alignment member
cas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725B1 (ko
Inventor
아딜 카니즈
Original Assignee
아크시스템 일렉트로메카닉 사나이 베 티카렛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091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540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크시스템 일렉트로메카닉 사나이 베 티카렛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아크시스템 일렉트로메카닉 사나이 베 티카렛 리미티드 에스티아이
Publication of KR2014005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피스톤 형태의 관형 제2 부분을 신축 가능하게 수용하는 쇼크 업소버 케이싱 형태의 관형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가 개시된다.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둘레로 래핑되는 마찰 요소를 봉입하는 정렬 부재를 구비한다. 정렬 부재는 제1 스톱 베어링과 제2 스톱 베어링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새로운 마찰 요소는 피스톤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두 스톱 베어링 쪽으로 돌출하고 또 작동하는 동안에 정렬 부재의 진동 왕복 운동 중에 상기 베어링 중 어느 쪽을 타격하는 복수의 선단부 또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HAVING AN IMPROVED FRICTION ELEMENT}
본 발명은 개량형 마찰 요소(improved friction element)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에 관한 것이다. 쇼크 업소버는 일반적으로, 세탁기 드럼으로부터 받게 되는 진동을 감쇠(dampening)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쇼크 업소버는 세탁기 내에서, 업소버의 종축 및 횡축(longitudinal and transversal aces)에 대해 동하중 분포(dynamic load distribution)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 때문에, 쇼크 업소버는, 동하중 분포를 흡수하는 한편, 드럼의 불안정한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불규칙한 하중 분포에 관련된 소음을 제거한다. 소음 레벨(noise level)을 충분히 흡족한 정도로 줄이는 것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소비자에게 관련 저해 효과(associated disturbing effect)는 시장에서 매우 결정적이기 때문에, 제조자에게 성공적인 소음 관리는 본질적으로 중요하다.
EP 1 637 640 A1에는, 태핏(tappet)과 관형 케이싱(tubular casing)의 자유단(free end)에 각각 장착된 두 체결 유닛(fastening unit)을 구비하는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마찰 감쇠 유닛(frictional damping unit)은, 감쇠 효과(damping effect)를 발휘하기 위해, 중심 종축(central longitudinal axis)을 따라 태핏과 케이싱 내에서 이동 가능한 신축성 마찰 감쇠 라이닝(elastic frictional damping lining)을 구비한다. 스톱 유닛(stop unit)은 케이싱에 관하여 고정시켜 두며, 운동 감쇠(motion damping)를 위해 라이닝과 직접적인 협동 관계를 갖는다.
WO 98/26194 A1는 세탁기나 그 유사물 용도로 특별히 구성되어 있는 마찰 댐퍼에 관한 것이다. 댐퍼는, 동축(coaxially)으로 배치되며, 신축 구조(telescopic construction)를 형성하는, 중공 쉘(hollow shell)과 로드를 포함한다. 로드는 외경이 쉘의 내경보다 더 작으며, 쉘과 로드 사이에 가이드 수단(guiding means)이 제공되어 있다. 댐퍼는, 로드와 쉘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마찰이 일어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로드에 연결되는 제1 작업면(first working surface) 및 마찰이 일어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쉘과 연결되는 제2 작업면(second working surface)을 구비하는 마찰 댐퍼 요소(friction damper element)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과 이점은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는 한편,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쇼크 업소버 장치로 달성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현존하는 업소버와 비교하여 감쇠 용량(dampening capacity)과 소음 저감의 관점에서 더 효율적인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비용-효율(cost-efficient)이 더 좋은 쇼크 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는 세탁 작업이 행해지는 드럼을 통상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세탁기에서 사용된다. 쇼크 업소버는 피스톤 형태의 관형 제2 부분(tubular second portion)을 신축 가능하게 수용하는 쇼크 업소버 케이싱 형태의 관형 제1 부분(tubular first portion)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 둘레로 래핑된 마찰 요소(friction element)를 봉입하는 정렬 부재(alignment member)를 구비한다. 정렬 부재는 제1 스톱 베어링(first stop bearing)과 제2 스톱 베어링(second stop bearing)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새로운 마찰 요소는, 피스톤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두 스톱 베어링 쪽으로 돌출하고 또 작동 중에 정렬 부재의 진동 왕복 운동(oscillatory back and forth movement) 중에 상기 베어링의 어느 쪽을 타격하는 복수의 선단부(tip) 또는 돌출부(protrusion)를 구비한다.
그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상기 케이싱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원통형 피스톤 형태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 마찰 요소 정렬 부재(friction element alignment member)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가 상기 제1 부분 내에 온전히 유지되도록 제1 부분의 로크 링(lock ring)이 상기 제2 부분에 접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마찰 요소는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의 내면과 제2 부분의 외면 사이에 압착되어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간단한 설명이 여기에 제공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보호 범위나 상기 범위가 설명이 없는 경우에 해석되는 배경을 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요소들의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쇼크 업소버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 케이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 마찰 요소 정렬 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a)는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 마찰 요소의 전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b)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쇼크 업소버 장치 마찰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의 종축에 직교하는, 마찰 요소의 평면을 따라 취한 쇼크 업소버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 스톱 베어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쇼크 업소버는 마찰 요소 디자인의 단순함 덕택에 제조하기가 더 용이하면서도 비용-효율이 높고 또 부가적인 감쇠 수단의 존재에 상관없이 복수의 감쇠 돌출부로 제공됨으로써 감쇠 운동의 관점에서 더 효율적인 개량형 마찰 요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대체로 관형인 케이싱이 자유단(free end)과 함께 중심 종축을 갖고 그를 따라 피스톤이 케이싱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도록 저소음 및 저마모 쇼크 업소버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더 튼튼한 댐퍼 응용이 달성된다. 정해진 마찰 감쇠 효과를 케이싱과 피스톤 사이에서 발휘하는 마찰 감쇠 유닛은 감쇠 및 케이싱의 중심 종축에 대해 비스듬한 피스톤의 어떤 편향(deflection)을 센터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태핏 피스톤을 케이싱 내에 더 신뢰성이 높고, 비용-효율이 좋은 방식으로 센터링하도록, 가이드 감쇠 유닛을 가진 댐퍼가 댐퍼의 어떤 반경방향의 편향을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장치(11)는 세탁 작업이 행해지는 드럼을 통상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사용된다. 상기 모터가 상기 드럼을 그 둘레로 회전시키는 수평축(horizontal axis)은 일반적으로, 상기 드럼 내부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는 전면 창(front window)의 평면에 대해 직교한다.
드럼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요소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드럼의 상부를 기계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 두 서스펜션 링의 단부에 제공되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제품 케이싱에 고정된다. 또한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쇼크 업소버는 상기 드럼과 기계 베이스 사이를 연결한다.
쇼크 업소버는 일반적으로, 제2 부분, 즉 피스톤(13)을 신축 가능하게 수용하는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형태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 피스톤은 상기 케이싱(12)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둘 다, 당업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지지 브라켓과 같은 적당한 연결 요소를 통해 상기 드럼과 세탁기 프레임에 각각 연결하는 연결 요소(14)를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3)과 상기 케이싱(12) 부분은 상하부 연결 요소의 중심축 둘레로 각각 움직일 수 있다.
원통형 피스톤(13) 형태의 상기 제2 부분은 그 둘레를 둘러싸는 상기 케이싱(12)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를 위해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동작 감쇠 효과(movement dampening effect)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의 주축(primary axis)을 따라 움직이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제1 부분의 로크 링(16)이 상기 제2 부분에 접해 있다. 마찰 요소(17)는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의 내면과 피스톤(13)의 외면 사이에 압착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진동 상대 운동(oscillatory relative movement) 중에, 마찰이 마찰 요소(17)와 피스톤(13) 사이에서 일어난다. 마찰이 일어나는 양호한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정렬 부재(15)가 피스톤(13)의 외면 쪽에서 반경방향으로 마찰 요소(17)를 둘러싸서 가압한다.
상기 드럼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쇼크 업소버 장치가 상기 드럼의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위로 뻗거나, 상기 피스톤(13)이 상기 케이싱(12)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드럼의 최저 위치가 달성되도록 상기 드럼이 기계 베이스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쇼크 업소버 장치가 수축 상태(shortened position)를 확보하도록, 쇼크 업소버 피스톤(13)에 대한 쇼크 업소버 장치의 종축을 따른 쇼크 업소버 케이싱(12)의 이동이 진행된다.
상기 쇼크 업소버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12, 13)의 기계 설계 관점에서, 상기 두 부분이 항상 서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쇼크 업소버 장치의 최장 또는 최단 상태로 상기 피스톤(13)에 대한 상기 케이싱(12)의 상대 운동이 제한되는 필요한 조치들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원추형의 케이싱 스토퍼(casing stopper conic) 및 대응하는 원추형의 피스톤 스토퍼(piston stopper conic) 형태의 원추형 구성물(conic formation)이 이러한 기능을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
케이싱(12) 내에서의 종축을 따르는 쇼크 업소버 피스톤(13)의 운동은 로크 링(16)과 케이싱(12)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케이싱(12) 및 로크 링(16) 스톱 베어링(18, 19)에 의해 가능해진다.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내의 베어링(18)과 로크 링(16) 내의 베어링(19)은, 매우 경미한 접촉(slight contact)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쇼크 업소버 피스톤(13)의 관형 금속부(tubular metal part)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가 종축을 따라 쇼크 업소버 케이싱(12)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톱 베어링(18, 19)이 쇼크 업소버 피스톤(13)을 쇼크 업소버 케이싱(12)의 종축의 중심에 정확히 배치되도록 하는 점에 있다. 그 때문에, 쇼크 업소버 케이싱(12)과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 사이의 베어링 갭(bearing gap)(20)은 상기 베어링 갭(20)의 위아래에 제공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격리 공간(isolation space)(21, 22)을 따라 형성된다.
쇼크 업소버(11)의 구조는 베어링(즉, 상기 케이싱 베어링(18)과 상기 로크 링 베어링(19))이 쇼크 업소버 피스톤에 일정한 힘을 가하게 한다. 종방향으로 양측에 있는 격리 공간(21, 22)과 그 사이의 베어링 갭(20)은 케이싱(12)과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의 접촉을 방지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재(15)가 상기 마찰 요소(17)를 쇼크 업소버 피스톤(13) 쪽으로 가압한다. 명백히, 쇼크 업소버의 감쇠 효과 때문에, 진동은 세탁기 드럼으로부터 세탁기 베이스로 종축 방향을 따라 전달되지 않는다.
로크 링(16)의 주요 기능은 상기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쇼크 업소버 피스톤(13) 및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를 통합한 쇼크 업소버 시스템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약간 타이트 한 방식으로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안으로 끼워진다.
또 다른 특징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크 업소버 스톱 베어링(18, 19)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베어링(18, 19)은 핀, 즉, 돌출 단부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의 기능은 상기 피스톤과 상기 케이싱의 진동 상대 운동 중에 감쇠 효과가 생기도록 상기 마찰 요소(17)를 반경방향으로 쇼크 업소버 피스톤(13) 쪽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요소(17)는 두 스톱 베어링(18, 19) 사이의 일정한 간격 내에서 움직이는 자유가 있다. 마찰 요소(17)가 피스톤(13)의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유격(play) 량을 더 잘 나타내기 위해 정렬 부재(15)가 도 2에서 제외되어 있다. 마찰 요소(17)는 두 베어링(18, 19)에 의해 외측단이 규정되는 일정한 체적(closed volumn) 내에 봉입된다. 마찰 요소(17)는 정렬 부재(15)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다. 두 베어링(18, 19) 사이의 간격은 케이싱(12)에 대한 피스톤(13)의 진동 운동 중에 마찰 요소(17)의 유격 량으로 규정된다.
상기 정렬 부재(15)의 내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어지고 상기 마찰 요소(17)와 접촉하여 그 둘레를 둘러싸는 둘레 돌출부(26)는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에 대한 마찰 요소(17)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찰 요소(17)가 항상 정렬 부재(15)와 함께 내장되는 것이 확인된다. 피스톤(13)의 외면과 접촉하는 마찰 요소를 구비한 정렬 부재(15)의 왕복 운동 중에, 마찰 요소(17)의 복수의 선단부(25)가 베어링(18) 또는 베어링(19)의 내면을 타격한다. 마찰 요소(17)의 복수의 선단부(25)는 도 2, 5 (a) 및 5 (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마찰 요소(17)의 선단부(25)는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뾰족한 형태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마찰 요소(17)는 정렬 부재(15)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지그재그형 평면 요소처럼 보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찰 요소(17)의 복수의 선단부(25)는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거나 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후자의 경우에, 마찰 요소(17)는 정렬 부재(15)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지퍼 요소처럼 보인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핵심 아이디어는 마찰 요소(17)가 피스톤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베어링(18) 또는 베어링(19) 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정렬 부재(15)의 진동 왕복 운동 중에 베어링(18) 또는 베어링(19) 중 어느 한쪽의 내면을 타격하는 선단부(25)나 돌출부를 구비하는 사실이라는 점은 틀림없다. 일단 마찰 요소(17)의 복수의 선단부(25)가 일정한 체적의 내면을 타격하면, 그들은 선단부가 마찰 요소(17)의 내측 본체(inner body)를 향해 뒤로 부분적으로 침입하게 되거나 파괴되어 인접한 선단부(25) 사이에 형성된 갭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모양이 변형된다.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마찰 요소의 재료는 울 섬유(woolen fibre)를 매트화(matting), 압축(condensing) 및 가압(pressing)함으로써 제조되는 부직포가 일반적이다. 이것은 소프트하고 또 비소성(non-plastic) 변형에 적합하며, 또한 일반적으로 다양한 펠트(felt) 재료로부터 선택된다. 마찰 요소(17)의 복수의 선단부(25)가 형상 변형하기 쉽다는, 즉, 그들이 진동 운동 중에 베어링(18) 또는 베어링(19) 중 어느 쪽을 타격하여 파괴(smash)된다는 사실은 본 발명의 우수한 소음 저감 특징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부재(15)는 종축에 평행하게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180도 떨어져서 뻗어 있고 또 쇼크 업소버 케이싱(12)에 대한 쇼크 업소버 피스톤(13)의 종축 주위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외측 베어링 리브(23)를 구비한다. 이들 베어링 리브(23)는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내부에 형성된 그루브(24) 내에서 종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드럼 진동 하에, 상기 마찰 요소(17)와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는 상기 쇼크 업소버 케이싱(12)과 접촉하지 않고 작동한다. 진동이 일정 량을 초과하면, 마찰 요소(17)가 로크 링(16)의 베어링(19) 또는 케이싱(12)의 베어링(18) 중 어느 한쪽을 타격하거나 접촉한다. 심지어는 진동 량이 일정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차, 그 내경이 두 베어링(18, 19)의 외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는 베어링(18, 19)과 접촉하지 않는다. 요점은 진동 중에 두 비연성 부품(non-flexible piece)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과, 마찰 요소(17)의 형상 변형 유연 선단부(25)에 의해 부드럽게 감쇠하는 것이다. 그에 의해, 마찰 요소(17)로부터 기계 프레임으로 쇼크 업소버 피스톤(13)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진동 전달이 방지된다.
마찰 요소(17)는 단지 환상의 돌출부(26)에 의해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와 쇼크 업소버 피스톤(13)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18, 19)과 마찰 요소(17)의 접촉은 쇼크 업소버 장치(11)의 자유운동으로부터 감쇠 상태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대체로 관형인 제2 부분(13)을 신축 가능하게 수용하는 대체로 관형인 제1 부분(12)을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장치(11)를 특징으로 한다. 제2 부분(13)이 상기 제1 부분(12)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찰이 일어나도록, 상기 제1 부분은 마찰 요소(17)를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 부분(13) 쪽으로 가압하는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 요소(17)는 상기 정렬 부재(15)에 의해 상기 제2 부분(13)의 둘레에 래핑되며, 그 내경은 일정한 체적을 규정하는 두 베어링(18, 19)의 외경보다 더 크고, 일정한 체적 내에서 마찰 요소(17)는 쇼크 업소버의 종방향으로 일정한 유격을 갖는다. 상기 베어링(18, 19)과 상기 마찰 요소(17)의 접촉은 결과적으로, 마찰 요소(17)의 복수의 선단부/돌출부(25)의 파괴를 야기한다.
상기 베어링(18, 19)과 상기 선단부(25)의 접촉 중에, 상기 선단부는 덜 돌출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인접한 선단부(25) 사이의 갭을 채운다. 그러므로 마찰 요소(17)에 형성되는 선단부(25)의 수가 더 많으면, 결과적으로, 더 조밀하고 더 단단한 마찰 요소가 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마찰 요소(17)에 형성되는 선단부(25)의 수가 더 적으면, 결과적으로, 더 신축성 있는 마찰 요소가 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마찰 요소의 선단부(25)는 고르게 분포될 필요가 없고 또 마찰 요소 옆을 따라 배치되는 인접한 선단부들의 임의의 쌍 사이에 다양한 간격을 가질 수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피스톤(13) 형태의 관형 제2 부분(tubular second portion)을 신축 가능하게(telescopically) 수용하는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형태의 관형 제1 부분(tubular first portion)을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11)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13)의 둘레에 래핑되는 마찰 요소(17)를 봉입하고 또 제1 스톱 베어링(first stop bearing)(18)과 제2 스톱 베어링(second stop bearing)(18) 사이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정렬 부재(alignment member)(15)를 포함하며,
    마찰 요소(17)는 상기 피스톤(13)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두 베어링(18, 1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돌출하고 또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정렬 부재(15)의 진동 왕복 운동(oscillatory back and forth movement) 중에 상기 베어링(18) 또는 베어링(19) 중 어느 쪽을 타격하는 복수의 선단부(25) 또는 돌출부(protrus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가 상기 케이싱(12)과 접촉하지 않도록, 로크 링(lock ring)(16)이 상기 피스톤(13)에 결합되어 있는 쇼크 업소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는 상기 마찰 요소(17)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둘레 돌출부(peripheral protrusion)(26)를 포함함으로써 후자가 쇼크 업소버 피스톤(13)과 정렬 부재(15) 사이에 확실히 고정되는 쇼크 업소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의 상기 쇼크 업소버 케이싱(12) 내에서의 종축(longitudinal axis) 주위로의 상대 회전(relative rotation)이 방지되도록,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는 종축 방향에 평행하고 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離隔)되는 외측 종방향 확장부(outer longitudinal extension)(23)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종방향 확장부(23)는 상기 쇼크 업소버 케이싱(12)의 내면에 형성된 그루브(24) 내에서 종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쇼크 업소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 케이싱(12)과 상기 마찰 요소 정렬 부재(15) 사이에, 베어링 갭(bearing gap)(20)이 제공되는 쇼크 업소버.
  7. 제1항에 있어서,
    정렬 부재(15)의 내경은 두 스톱 베어링(18, 19)의 외경보다 더 크고, 이에 의해 쇼크 업소버의 사용 중에 두 스톱 베어링이 마찰 요소(17)의 선단부(25)와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쇼크 업소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갭(20)은 상기 케이싱(12) 베어링(18)과 상기 로크 링(16) 베어링(19) 부근에 각각 규정되는 상부 및 하부 격리 공간(upper and lower isolation space)(21, 22)에 개방되어 있는 쇼크 업소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17)의 상기 선단부(25)는 옆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각진 모서리(cornered edge) 형태인 쇼크 업소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17)의 상기 선단부(25)는 옆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둥근 돌출부(rounded-off protrusion) 형태인 쇼크 업소버.
  11. 제1, 9,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17)의 상기 복수의 선단부(25)는 임의의 후속하는 선단부(25) 쌍 사이에 다양한 간격을 갖는 쇼크 업소버.
  12. 제1, 9,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17)는 유연한 재료로 된 종방향 스트립(longitudinal strip)인 쇼크 업소버.
  13.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요소(17)의 선단부(25)는, 사용시, 모양이 변형되어 인접한 선단부(25) 사이의 갭을 채우는 쇼크 업소버.
KR1020147004239A 2011-07-20 2012-07-12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KR101673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4761.4 2011-07-20
EP11174761 2011-07-20
PCT/EP2012/063732 WO2013010921A2 (en) 2011-07-20 2012-07-12 Shock absorber having an improved friction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090A true KR20140054090A (ko) 2014-05-08
KR101673725B1 KR101673725B1 (ko) 2016-11-07

Family

ID=4550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239A KR101673725B1 (ko) 2011-07-20 2012-07-12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97434B2 (ko)
EP (2) EP2665854B1 (ko)
KR (1) KR101673725B1 (ko)
CN (1) CN103649400B (ko)
EA (1) EA028128B1 (ko)
ES (2) ES2580011T3 (ko)
MX (1) MX349432B (ko)
PL (2) PL2725130T3 (ko)
SI (2) SI2725130T1 (ko)
WO (1) WO201301092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277A (ko) * 2014-07-11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60007274A (ko) * 2014-07-11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735A1 (ko) 2014-03-11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9963814B2 (en) * 2014-07-11 2018-05-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754683B1 (ko) * 2014-07-11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476154B2 (en) * 2014-09-24 2016-10-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damper assembly for same
ITUB20161083A1 (it) * 2016-02-25 2017-08-25 C I M A Compagnia Italiana Molle Acciaio Gabbia per contenere un anello di frizione da utilizzarsi in uno smorzatore per lavatrici ad asse verticale
KR102533662B1 (ko) * 2016-04-12 2023-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DE102016207809A1 (de) * 2016-05-04 2017-11-09 Suspa Gmbh Schaltbarer Dämpfer
ITUA20164279A1 (it) * 2016-06-10 2017-12-10 C I M A Compagnia Italiana Molle Acciaio Gabbia in due parti per anello di frizione da utilizzare in ammortizzatori a frizione per macchine lavabiancheria
ES2770062T3 (es) * 2017-09-05 2020-06-30 Safran Landing Systems Uk Ltd Dispositivo telescópic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2765A (en) * 1954-07-28 1957-02-26 Robinson Products Inc Air cylinder
US2984529A (en) * 1959-01-26 1961-05-16 Baldwin Rubber Co Unitary sealed piston
KR20080086168A (ko) * 2007-03-22 2008-09-2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KR20100114877A (ko) * 2009-03-13 2010-10-26 아딜 카니즈 삼중 동작형 마찰 쇽 업소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460A (en) * 1972-08-10 1975-10-21 Mosier Ind Inc Impact damping means for fluid cylinders
US4606442A (en) * 1984-11-28 1986-08-19 H. Neil Paton Frictional damping assembly for suspension strut
DE3725100A1 (de) * 1987-07-29 1989-02-09 Bauer Fritz & Soehne Ohg Schwingungsdaempfer, insbesondere fuer waschmaschinen
DE4014166A1 (de) * 1990-05-03 1991-11-07 Ako Werke Gmbh & Co Reibungsdaempfer
US5224413A (en) 1992-07-13 1993-07-06 Mosier Industries, Inc. Impact dampening means for power cylinders
DE4241853A1 (de) 1992-12-11 1994-06-16 Boge Gmbh Schwingungsdämpfer für Kraftfahrzeuge
IT1286461B1 (it) * 1996-12-09 1998-07-08 Cima Comp It Molle Acciaio Ammortizzatore a frizione,particolarmente studiato per macchine lavabiancheria o simili
IT1289870B1 (it) * 1997-01-08 1998-10-19 Cima Comp It Molle Acciaio Ammortizzatore a frizione particolarmente studiato per macchine lavabiancheria o simili
US6247687B1 (en) * 1999-03-29 2001-06-19 Lord Corporation Elastomer damper
TR200402212T1 (tr) 2002-03-04 2005-10-21 Kaniöz Adi̇l Titreşim önleyici sürtünmeli amortisör
JP2004239375A (ja) * 2003-02-06 2004-08-26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装置
EP1455011B1 (en) 2003-03-06 2006-04-12 LG Electronics Inc. Combination type damp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DE10325730B4 (de) * 2003-06-06 2006-02-02 Zf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für Fahrzeuge
TR200400107A2 (tr) 2004-01-20 2005-08-22 Kaniöz Adi̇l Çift-etkili sürtünmeli amortisör
DE502005010198D1 (de) 2004-02-20 2010-10-21 Suspa Gmbh Dämpfer mit elastischer Führungs-/Dämpfungs-Einheit
PL1637640T3 (pl) 2004-09-15 2008-08-29 Suspa Holding Gmbh Amortyzator
TR200403202A2 (tr) 2004-11-25 2006-06-21 Kaniöz Adi̇l Sürtünmeli amortisör
DE102005038953A1 (de) 2005-08-16 2007-02-22 Suspa Holding Gmbh Dämpfer
DE102006025749A1 (de) 2006-05-31 2007-12-13 Suspa Holding Gmbh Dämpfer
US7549519B2 (en) * 2007-04-30 2009-06-23 Suspa Incorporated Free space damper
ES2607937T3 (es) 2010-05-11 2017-04-04 Aksistem Elektromekanik Sanayi Ve Ticaret Ltd. Amortiguador de fricción electromecánic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2765A (en) * 1954-07-28 1957-02-26 Robinson Products Inc Air cylinder
US2984529A (en) * 1959-01-26 1961-05-16 Baldwin Rubber Co Unitary sealed piston
KR20080086168A (ko) * 2007-03-22 2008-09-2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범퍼 러버
KR20100114877A (ko) * 2009-03-13 2010-10-26 아딜 카니즈 삼중 동작형 마찰 쇽 업소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277A (ko) * 2014-07-11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60007274A (ko) * 2014-07-11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5854B1 (en) 2015-11-25
WO2013010921A3 (en) 2013-04-04
EP2665854A2 (en) 2013-11-27
EA201490226A1 (ru) 2014-04-30
PL2725130T3 (pl) 2016-09-30
PL2665854T3 (pl) 2016-04-29
US9297434B2 (en) 2016-03-29
CN103649400A (zh) 2014-03-19
EA028128B1 (ru) 2017-10-31
EP2725130A1 (en) 2014-04-30
KR101673725B1 (ko) 2016-11-07
SI2725130T1 (sl) 2016-06-30
MX349432B (es) 2017-07-28
ES2561891T3 (es) 2016-03-01
WO2013010921A2 (en) 2013-01-24
EP2725130B1 (en) 2016-04-27
MX2014000800A (es) 2014-09-01
US20140090939A1 (en) 2014-04-03
ES2580011T3 (es) 2016-08-18
SI2665854T1 (sl) 2016-02-29
CN103649400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725B1 (ko)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US20110259688A1 (en) Friction shock absorber
KR100799632B1 (ko) 세탁기용 진동흡수장치
US20160010261A1 (en) Washing machine
US9618073B2 (en) Shock absorber having an improved friction element
CN107663741A (zh) 悬挂减震系统和洗衣机
KR101048092B1 (ko) 드럼세탁기용 댐퍼
KR101544751B1 (ko) 전자동 세탁기용 진동흡수댐퍼
KR200410220Y1 (ko) 드럼 세탁기용 댐퍼구조
KR101285827B1 (ko) 댐퍼
KR20150121314A (ko) 전자동 세탁기용 진동흡수댐퍼
KR101144787B1 (ko) 드럼세탁기의 댐핑구조
CN111691132B (zh) 减震器和衣物处理设备
CN114555974B (zh) 摩擦阻尼器和衣物处理机
KR20150121315A (ko) 세탁기용 진동흡수댐퍼
KR100649601B1 (ko) 세탁기용 댐퍼
EP2994663B1 (en) Multi-action anti-vibration frictional shock absorber
KR20110083316A (ko) 드럼세탁기용 댐퍼
KR101688797B1 (ko) 세탁기용 댐퍼 조립체
KR100717468B1 (ko) 세탁기
EA043758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фрикционный демпфер для гашения вибраций, создаваемых машиной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210007506A (ko) 세탁기
KR20100008696U (ko) 드럼 세탁기용 이중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