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120B1 - 밀링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밀링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120B1
KR101933120B1 KR1020180113724A KR20180113724A KR101933120B1 KR 101933120 B1 KR101933120 B1 KR 101933120B1 KR 1020180113724 A KR1020180113724 A KR 1020180113724A KR 20180113724 A KR20180113724 A KR 20180113724A KR 101933120 B1 KR101933120 B1 KR 10193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handling means
fixing
module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재
Original Assignee
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재 filed Critical 박민재
Priority to KR102018011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vertical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05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tool moving in a closed path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9Work-clamping means for pressing workpieces against a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milling
    • B23C2250/16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거치부에 설치되는 수직형프레임; 상기 거치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수평형프레임;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취급수단; 상기 양측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된 제1 취급수단을 연결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 상기 제2 취급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공모듈; 상기 거치부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피가공물을 덮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상부고정체; 상기 상부고정체 및 피가공물을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거치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로부터 승강력을 부여받아 상기 상부고정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형프레임은 링형 구조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취급수단과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외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에서 둘레방향으로 설정 반경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링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가공 과정에서 각 장치 구성부의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여 가공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공하여 생산성을 높이여 작업 현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밀링 가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링 가공 장치{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밀링 가공 장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과정에서 각 장치 구성부의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케 하여 가공 대상물 보다 효과적으로 가공하며 생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작업 현장의 작업 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는 밀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링은 커터를 회전시켜 공작물을 절삭하는 하는 것으로서,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회전하는 커터의 종류에 따라 공작물을 면 가공, 홈 가공 따위를 하게 된다. 종래의 밀링은 가공대상물의 가공을 위한 위치 이동 부재의 위치 이동이 각각 별도의 동력부재로 구현되는 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로서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밀링 가공에 어느정도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 역시도 단순히 부가적인 장치들을 추가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때문에, 가공 수단의 전체적인 부피를 키우케되고 가공 작업을 위한 작업 현장의 공간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공 수단 자체의 유지, 보수, 운용에 있어서도 소모되는 비용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밀링 효율적인 밀링 가공은 물론, 밀링 가공 수단의 효율적인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록허 제10-1793954호
본 발명은, 밀링 가공 과정에서 각 장치 구성부의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여 가공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공하여 생산성을 높이여 작업 현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밀링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거치부에 설치되는 수직형프레임; 상기 거치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수평형프레임;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취급수단; 상기 양측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된 제1 취급수단을 연결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 상기 제2 취급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공모듈; 상기 거치부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가공대상물을 덮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상부고정체; 및 상기 상부고정체 및 가공대상물을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거치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로부터 승강력을 부여받아 상기 상부고정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형프레임은 링형 구조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취급수단과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외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에서 둘레방향으로 설정 반경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링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과정에서 각 장치 구성부의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여 가공 대상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공하여 생산성을 높이여 작업 현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밀링 가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고정부재과 상부고정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구동부재와 제어부와 펌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과 하부가이드블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결합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의 정면도로서 고정부재에 구비된 센싱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b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은 도 10b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100)은 거치부(110)와 고정부재(160)과 가공모듈(150)과 상부고정체(170)와 고정수단(18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10)는 고정부재(160)을 수평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수평상부면(111)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상부면(111)에는 가공모듈(1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부(120)는 수평상부면(111)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형프레임(121)과 상기 수직형프레임(1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형프레임(122)들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10)의 좌우방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수평형프레임(122)에는 제1 취급수단(13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취급수단(130)들은 동반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바(132)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132)에는 제2 취급수단(14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은 가이드바(132)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취급수단(140)에는 밀링작업이 가능한 가공모듈(15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가공모듈(150)은 제2 취급수단(140)의 하단에 설치된 상하이동부(151)와, 상기 상하이동부(151)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부재(152)와, 상기 구동부재(152)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비트(154)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공모듈(150)은 자체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취급수단(130)과 제2 취급수단(140)을 통해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거치부(110)의 수평상부면(111)에는 고정부재(16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160)은 가공대상물(10)이 놓여지는 곳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6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162)들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62)을 이용하면 가공대상물(10)을 고정부재(160) 상에 매우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부고정체(170)는 가공대상물(10)의 상부에 씌워지는 지지수단(171)와, 상기 지지수단(171)의 좌측하단과 우측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고정부재(160)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72)와, 가공대상물(10)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지지수단(171)에 형성된 개방공(173)과, 상기 고정부(172)에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과 동일간격으로 형성된 삽입공(174)들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171)에는 지지수단(17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가공대상물(10)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방지돌기(175)가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고정체(170)는 고정수단(180)을 통해 고정부재(1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80)은 거치부(110)에 설치된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181)와, 상기 승하강부재(181)로부터 승강력을 부여받는 가압부재(182)과, 상기 가압부재(182)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부고정체(170)의 삽입공(174)과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8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83)는 상부고정체(170)의 삽입공(174)과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에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안정적이면서 강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체(170)의 삽입공(174)과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80)은 가공대상물(10)의 위치에 따라 설치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바(132)에 제3 취급수단(185)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부재(181)가 제3 취급수단(185)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면, 상기 승하강부재(181)는 제3 취급수단(185)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지고 제1 취급수단(13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밀링 가공 장치(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가공대상물(10)이 고정부재(160)의 상면에 놓여지면 고정부재(160)에 상부고정체(170)를 씌워 조립한다. 이때, 상부고정체(170)의 삽입공(174)과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부고정체(170)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부고정체(170)의 고정부(172)에 고정수단(18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180)은 승하강부재(181)가 가압부재(182)을 상부고정체(170)의 고정부(172)에 밀착될 때까지 하강시켜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상부고정체(170)의 삽입공(174)과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부고정체(17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이므로 가압부재(182)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83)가 상기 고정부(172)의 삽입공(174)과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에 차례로 통과하면서 상부고정체(170)는 고정부재(160)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80)은 승하강부재(181)가 가압부재(182)을 하강시키기 전에 가압부재(182)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83)가 고정부(172)의 삽입공(174)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 취급수단(130)과 제3 취급수단(185)을 통해 위치가 보정될 수도 있다. 고정수단(18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가공대상물(10)은 상부고정체(170)에 의하여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부재(160) 상에 고정되므로 외부의 급작스런충격이나 가공중 발생되는 진동에도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부고정체(170)의 지지수단(171)에 형성된 이동방지돌기(175)는 가공대상물(10)이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 및 유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그 결과 매우 정밀한 밀링 가공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거치부(11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고정부재(160)측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펌핑부(191)와 노즐부(192)로 구성된 냉각수공급유닛(1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부(110)의 수평상부면(111)과 고정부재(160)의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냉각수 배출공(112,164)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배출공(112,164)은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들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즐부(192)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는 거치부(110)의 수평상부면(111)과 고정부재(160)의 저면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공(112,164)을 차례로 통과하여 고정부재(160)의 상부에 고정된 가공대상물(10)에 골고루 분사면서 가공되는 과정에서 가공대상물(10)에 발생되는 열기를 식혀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공급유닛(190)의 펌핑부(191)는 가공모듈(150)의 구동부재(152)가 동작됨과 동시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부(200)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60)과 하부가이드블럭(2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60)과 하부가이드블럭(210)의 결합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60)에는 하부가이드블럭(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블럭(210)은 고정부재(160)의 개방된 전면으로 삽입되며 상면에는 고정홈(211)들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11)들은 고정부재(160)의 관통공(162)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60)의 개방된 전면의 상단 내측에는 하부가이드블럭(210)이 고정부재(160)에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끼움돌기(16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이드블럭(210)의 상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64)에 대응되는 끼움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가이드블럭(210)이 끼움돌기(16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돌기(164)와 하부가이드블럭(210)은 각각 자석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가이드블럭(210)이 끼움돌기(16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끼움돌기(164)의 단면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부가이드블럭(210)이 구비되면, 고정수단(180)의 고정돌기(18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62)은 하부가이드블럭(210)의 고정홈(211)에 대응되는 관통공(162)으로만 한정되므로 고정부재(160)에 대한 고정수단(180)의 설치위치가 자연스럽게 결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부가이드블럭(210)을 통해 고정수단(180)을 정해진 위치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홈(211)은 하부가이드블럭(210) 및 고정부재(160)과는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경우, 작업자는 고정부재(160)의 상부에서 고정부재(160)의 내측에 위치한 하부가이드블럭(210)의 고정홈(211)을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고정부재(160)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의 정면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10)의 저면에는 끼움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220)은 고정부재(160)의 개방된 전면의 내측 바닥에 놓여지는 하부거치대(221)와, 상기 하부거치대(221)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하부지지수단(222)와, 상기 하부지지수단(222)의 중앙에 수직으로 끼워져 상기 하부지지수단(22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부이동부(223)와, 상기 상부이동부(223)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거치대(224)와, 상기 상부거치대(224)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홈(225)과, 양단이 각각 상기 거치홈(225)과 끼움공(11)에 끼워지는 고정핀(226)과, 상기 상부거치대(224)와 하부거치대(22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지지수단(222)에 일정한 수직압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27)와, 고정부재(160)의 개방된 전면의 내측 바닥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거치대(221)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거치대(221)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부(22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28)는 압력센서로서 하부거치대(221)에 작용하는 압력이 설정수치 이상으로 변화하면 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9는 상기 센싱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20)을 통해 가공대상물(10)이 고정부재(160)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가공모듈(150)이 동작하면서 밀링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밀링 가공 중 가공대상물(10)에 외력 및 진동이 발생하여 고정위치가 변화하게 되는 경우, 가공대상물(10)의 끼움공(11)에 삽입된 고정핀(226)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고정핀(226)이 기울어지면 고정핀(226)과 연결된 상부거치대(224)와 하부지지수단(222)도 기울어지면서 하부거치대(221)의 일측이 들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하부거치대(221)에 작용하는 압력이 떨어지게 되며, 이를 감지한 센싱부(228)가 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작업자는 센싱부(228)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되면 가공대상물(10)의 위치가 변화했음을 인지하고 가공대상물(10)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함으로써 가공불량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링 가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는 도 10b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은 도 10b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차이점이 존재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밀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거치부(110)에 설치되는 수직형프레임(121); 상기 거치부(1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수평형프레임(122);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제1 취급수단(130); 상기 양측 수평형프레임(122)에 설치된 제1 취급수단(130)을 연결하는 가이드바(132); 상기 가이드바(132)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132)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140);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140)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공모듈(150); 상기 거치부(110)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60); 가공대상물을 덮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상부고정체(170); 상기 상부고정체(170) 및 가공대상물을 상기 고정부재(16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80)을 포한한다.
상기 고정수단(180)은 상기 거치부(110)에 설치된 실린더(S)와 피스톤(P)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181); 상기 승하강부재(181)로부터 승강력을 부여받아 상기 상부고정체(17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82)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은 링형 구조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취급수단(130)과 상기 가이드바(132)는 상기 외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수평형프레임(122)부에서 둘레방향으로 설정 반경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82)은 외주변 둘레부에 관통형 함입부(HD)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182)이 상기 상부고정체(170) 및 상기 가공대상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공모듈(150)이 상기 함입부(HD)를 경유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한다.
상기 가압부재(182)은 상기 가이드바(132)에 구비되는 제3 취급수단(185)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가공모듈(150)의 비트(154)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부재(182)에 각각 형성되는 함입부(HD)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며, 각 가압부재(182)가 상호 입접하는 경우 각 가압부재(182)의 함입부(HD)는 원형상의 관통공을 이루게 되며, 상기 가공모듈(150)은 원형상의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상부고정체(170) 및 상기 가공대상물을 가공한다.
상기 제3 취급수단(185)은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을 향하여 이동되는 경우, 이동방향측 일부가 상기 제2 취급수단의 양측으로 수용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182)들이 가공모듈(150)측으로의 밀착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82)은 상기 제3 취급수단(185)에 구비되는 상기 승하강부재(181)를 매개로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부재(181)의 상기 피스톤(P)은 다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되, 상기 실린더(S)에 결속되는 제1 피스톤부(P1)와, 상기 제1 피스톤부(P1)로부터 수평방향 유동되는 제2 피스톤부(P2)로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182)은 상기 제2 피스톤부(P2)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모듈(150)측으로의 2차 밀착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132)는 각각 진퇴 동작이 가능하며, 진퇴 동작 이후 초기위치로 복귀 동작되는 다수의 편(PI)들로 이루지며, 상기 제2 취급수단(140) 및 상기 제3 취급수단(185)은 상기 편(PI)들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는, 상기 제2 취급수단(140)과 연동되는 제1드레인모듈(140d)과, 상기 제3 취급수단(185)와 연동되는 제2드레인모듈(185d)이 구비되며, 상기 제1드레인모듈(140d)은 제1 로드를 통해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을 유동시키며, 상기 제2드레인모듈(185d)은 상기 제2 로드를 통해 상기 제3 취급수단(185)를 유동시킨다.
상기 제1드레인모듈(140d)은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서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의 전후방향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을 고속으로 진퇴 유동시키며, 상기 제2드레인모듈(185d)은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서 상기 제3 취급수단(185)의 전후방향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 취급수단(185)를 고속으로 진퇴 유동시킨다. 상기 제1 취급수단(130)은, 하부에 구비되는 결속부(130a)를 매개로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 결속되어 유동하되, 유동시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의 하면부를 침범하여 상기 수직형프레임(121)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속부(130a)가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의 측면부 상에 한정되어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직형프레임(121)상에서 유동하며 유체분사가 가능한 제1 유체분사모듈(420)과,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어, 상기 수직형프레임(121)상에서 유동하며 유체분사가 가능한 제2-1 유체분사모듈(410)과 제2-2 유체분사모듈(4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 내지 상기 제2-2 유체분사모듈(430)은 외부 제어수단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제어된다.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은 상기 수직형프레임(121)에서 유동되는 제1 본체부(421)와, 상기 제1 본체부(42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 자력부(423)와, 상기 제1 본체부(42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 토출부(42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유체분사모듈(410)은, 상기 수직형프레임(121)에서 유동되는 제2-1 본체부(411)와, 상기 제2-1 본체부(4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1 자력부(413)와, 상기 제2-1 본체부(41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1 토출부(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유체분사모듈(430)은, 상기 수직형프레임(121)에서 유동되는 제2-2 본체부(431)와, 상기 제2-2 본체부(43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2 자력부(433)와, 상기 제2-2 본체부(43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2 토출부(432)가 구비된다.
상기 제2-1 유체분사모듈(410)은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과 일정범위로 인접하는 경우 유동을 위한 구동력이 제거되며, 상기 제1 자력부(423)와 상기 제2-1 자력부(413)은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게되며, 발생된 상기 척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의 반대방향으로 고속이동되며,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과 일정범위로 이격되면 다시 유동을 위한 구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상기 제2-2 유체분사모듈(430)은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과 일정범위로 인접하는 경우 유동을 위한 구동력이 제거되며, 상기 제1 자력부(423)과 상기 제2-1 자력부(413)은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게되며, 발생된 척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의 반대방향으로 고속이동되며,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과 일정범위로 이격되면 다시 유동을 위한 구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1 유체분사모듈(420)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상기 제2-1 유체분사모듈(410)은 상기 제2-1 자력부(413)의 양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제2-1 외부자력부(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외부자력부(414)는 구획된 외측영역부가 상기 제1 자력부(423)과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되며, 구획된 내측영역부가 상기 제2-1 자력부(413)과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유체분사모듈(430)은 상기 제2-2자력부(433)의 양측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제2-2 외부자력부(434)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외부자력부(434)는 구획된 외측영역부가 상기 제1 자력부(423)과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되며, 구획된 내측영역부가 상기 제2-1 자력부(413)과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2자력부(433)는 수직형프레임(121)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 자력부(443)와도 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제2-1 자력부(413) 역시도 상기 수직형프레임(121) 상부에 구비되는 상단 자력부(미도시)와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110)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에는 진동상쇄모듈(510)이 구비되며,상기 진동상쇄모듈(510)은, 상기 거치부(110)의 외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수평방향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거치부(110)의 외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방향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거치부(110)의 외주면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 위한 제1 대각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거치부(110)의 외주면에서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 위한 제2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은 상호 인접하는 제1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과 제2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과 제2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은 제1 구획수단(514)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은 상호 인접하는 제1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제2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제2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은 상기 제1 구획수단(514)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제1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상호 인접하는 제1-1 대각진동상쇄모듈(510)과 제1-2 대각진동상쇄모듈(510)로 구비되며, 상기 제1-1 대각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1-2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제2 구획수단(516)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제2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상호 인접하는 제2-1 대각진동상쇄모듈(510)과 제2-2 대각진동상쇄모듈(510)로 구비되며, 상기 제2-1 대각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2-2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제3 구획수단(517)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제1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1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 사이에는 제2 구획수단(516)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상기 제2 구획수단(516)을 매개로 상기 제1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1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2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 사이에는 제3 구획수단(517)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상기 제3 구획수단(517)을 매개로 상기 제1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2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2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 사이에는 제4 구획수단(518)이 구비되며, 상기 제1-2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상기 제4 구획수단(518)을 매개로 상기 제2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2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1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 사이에는 제5 구획수단(519)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대각진동상쇄모듈(510)은 상기 제5 구획수단(519)를 매개로 상기 제2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과 상기 제1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구획수단(514) 내지 상기 제5 구획수단(519)는 상기 수직형진동상쇄모듈(510), 상기 수평형진동상쇄모듈(510), 상기 제1 대각진동상쇄모듈(510), 상기 제2 대각진동상쇄모듈(510) 간의 진동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밀링 가공 장치 제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밀링 가공 장치 제작방법은 수직형프레임(121을 소정의 거치부(110)이 설치되며, 수평형프레임(122이 상기 거치부(110)의 둘레에 설치되는 단계; 제1 취급수단(130)이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수평형프레임(122에 설치된 제1 취급수단(130)을 가이드바(132)로 연결하는 단계; 제2 취급수단(140)을 상기 가이드바(132)와 상기 수평형프레임(122에 설치하는 단계; 가공모듈(150)이 상기 제2 취급수단(140)의 하측에 설치되며 고정부재(160)이 상기 거치부(110) 상부에 설치되는 단계; 피가공물을 덮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상부고정체(160)을 구비하는 단계; 고정수단(180)을 상기 상부고정체(160) 및 피가공물을 상기 고정부재(160)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20: 프레임부 130: 제1 취급수단
140: 제2 취급수단 150: 가공모듈
160: 고정부재 162: 관통공
180,220: 고정수단 181: 승하강부재
182: 가압부재 183: 고정돌기

Claims (18)

  1. 밀링 가공 장치에 있어서,
    거치부에 설치되는 수직형프레임; 상기 거치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수평형프레임;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취급수단;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된 제1 취급수단을 연결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와 상기 수평형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취급수단; 상기 제2 취급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공모듈; 상기 거치부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피가공물을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고정체; 상기 상부고정체 및 피가공물을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거치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로부터 승강력을 부여받아 상기 상부고정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형프레임은 링형 구조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외주변 둘레부에 관통형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고정체 및 상기 피가공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공모듈이 상기 함입부를 경유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바에 구비되는 제3 취급수단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가공모듈의 비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함입부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며, 각 가압부재가 상호 입접하는 경우 각 가압부재의 상기 함입부는 원형상의 관통공을 이루게 되며, 상기 가공모듈은 원형상의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상부고정체 및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며,
    상기 제3 취급수단은 상기 제2 취급수단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취급수단을 향하여 이동되는 경우, 이동방향측 일부가 상기 제2 취급수단의 양측으로 수용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들이 가공모듈측으로의 밀착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3 취급수단에 구비되는 상기 승하강부재를 매개로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부재의 구비되는 피스톤은 다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지되, 소정의 실린더에 결속되는 제1 피스톤부와, 상기 제1 피스톤부로부터 수평방향 유동되는 제2 피스톤부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 피스톤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공모듈측으로의 2차 밀착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밀링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113724A 2018-09-21 2018-09-21 밀링 가공 장치 KR10193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24A KR101933120B1 (ko) 2018-09-21 2018-09-21 밀링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24A KR101933120B1 (ko) 2018-09-21 2018-09-21 밀링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120B1 true KR101933120B1 (ko) 2018-12-27

Family

ID=6495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24A KR101933120B1 (ko) 2018-09-21 2018-09-21 밀링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39B1 (ko) * 2019-01-07 2019-09-02 공대환 염색 가공설비를 이용한 원단염색 방법
WO2021174384A1 (zh) * 2020-03-02 2021-09-10 江苏江海机床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可调型压紧装置的金属棒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848B1 (ja) * 2016-03-17 2016-12-07 ルーメ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ダイオード
KR101801520B1 (ko) * 2017-08-10 2017-11-27 이영우 고정블럭이 구비된 밀링가공장치
KR101841394B1 (ko) 2017-08-10 2018-03-22 이영우 드릴가공장치
KR101863009B1 (ko) 2017-12-29 2018-05-31 이상수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848B1 (ja) * 2016-03-17 2016-12-07 ルーメ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ダイオード
KR101801520B1 (ko) * 2017-08-10 2017-11-27 이영우 고정블럭이 구비된 밀링가공장치
KR101841394B1 (ko) 2017-08-10 2018-03-22 이영우 드릴가공장치
KR101863009B1 (ko) 2017-12-29 2018-05-31 이상수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39B1 (ko) * 2019-01-07 2019-09-02 공대환 염색 가공설비를 이용한 원단염색 방법
WO2021174384A1 (zh) * 2020-03-02 2021-09-10 江苏江海机床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可调型压紧装置的金属棒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120B1 (ko) 밀링 가공 장치
EP0289040B1 (en) Laser punch composite processing machine
KR101933121B1 (ko) 밀링 가공 장치 제작방법
JP4777781B2 (ja) レーザ加工装置に用いるパレット搬送装置
KR101191653B1 (ko) 절삭가공장치
JP2007533500A (ja) 成形品の製造装置とその構造ユニット
US6702268B1 (en) Vacuum locking system for panels to be worked
CN111203635A (zh) 一种具有固定功能的便捷性高的激光焊接设备
CN104476272A (zh) 一种用于装夹边框工件的专用夹具
KR20200033407A (ko) 초음파 융착장치
KR20130008961A (ko) 베어링을 적용한 센터링지그장치
KR101801520B1 (ko) 고정블럭이 구비된 밀링가공장치
KR101422092B1 (ko) 범퍼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범퍼 천공 방법
CN110315450A (zh) 定位治具
KR100815771B1 (ko) 포밍 공법용 열간 프레스 금형
CN210139457U (zh) 一种封头用冲孔装置
KR20100061888A (ko) 수직형 공작기계의 가공 거리 증대 장치
CN104476273A (zh) 一种多排液晶电视边框专用夹具
KR100259881B1 (ko) 맞대기 레이저 용접용 2차원 유연 고정구
KR20010036660A (ko) 수치 제어 가공용 지그
CN211841125U (zh) 一种防止圆柱体工件旋转走位的提笼门机构
CN210475867U (zh) 一种同时打印产品流水号与二维码的工装
CN214602766U (zh) 固定支腿的门型板定位工装
KR101640829B1 (ko) 유압실린더 글랜드의 가공장치
CN211247922U (zh) 一种电缆支架卸口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