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009B1 -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009B1
KR101863009B1 KR1020170184275A KR20170184275A KR101863009B1 KR 101863009 B1 KR101863009 B1 KR 101863009B1 KR 1020170184275 A KR1020170184275 A KR 1020170184275A KR 20170184275 A KR20170184275 A KR 20170184275A KR 101863009 B1 KR101863009 B1 KR 10186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support
fluid
coil spring
forc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7018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71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which simultaneously apply a decorat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2Di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층과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전사지의 진입을 허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그 하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하강수단;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개방부내에서 상.하이동되는 것으로서, 그 전방에 관통공 및 이 관통공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단차를 갖는 연장편이 형성된 지지체; 내부에 다수개의 구슬을 저장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수용공간부를 가지며, 그 하단이 상기 지지체의 가이드홈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슬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을 가지면서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본체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직물지의 표면으로 문양을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지의 접착층에 형성되는 각각의 문양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의 구슬을 상호 대응되게 구획시키면서 접착시킴에 따라 색채를 포함한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문양으로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for transfer paper apparatus}
본 발명은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지에 형성되는 각각의 문양에 대해 각기 다른 색상의 구슬을 상호 대응되게 구획시키면서 접착시킴에 따라 색채를 포함한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문양을 연출할 수 있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물지의 표면에는 시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인쇄된 전사지의 문양을 직물지의 표면에 열융착시켜 문양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사지의 문양은 통상적으로 평면적인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그 시각적인 표현력이 단조로워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직물지의 표면에 형성되는 문양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인조유리,합성수지 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구슬을 직접 직물지에 접착시켜 문양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직물지에 구슬을 접착시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일예를 보면, 직물지에 문양을 따라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 접착제에 저면이 평탄한 구슬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접착시켜 문양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의해 직물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직물지의 폭과 대응되는 컨베이어식 벨트의 상부에 분포도를 넓게 이루도록 다수개의 구슬을 공급하고, 이 벨트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공급중이던 다수개의 구슬은 롤러들을 통해 이동중이던 직물지와 접하는 위치, 즉 가열부를 갖는 롤러의 외주연에 형성된 문양을 따라 다수개의 구슬이 직물지에 열융착되면서 문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다수개의 구슬과 직물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식 벨트를 통해 공급중이던 구슬을 상기 직물지에 형성되는 각각의 문양에 대해 다른 색상의 구슬로 접착시킬 수 없으므로 인해 단색의 입체적인 구슬로 직물지에 접착시킬 경우, 색채를 포함하지 않은 단색의 구슬로는 시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826호
본 발명은, 전사지에 형성되는 각각의 문양에 대해 각기 다른 색상의 구슬을 상호 대응되게 구획시키면서 접착시킴에 따라 색채를 포함한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문양을 연출할 수 있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착층과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전사지의 진입을 허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그 하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하강수단;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개방부내에서 상.하이동되는 것으로서, 그 전방에 관통공 및 이 관통공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단차를 갖는 연장편이 형성된 지지체; 내부에 다수개의 구슬을 저장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수용공간부를 가지며, 그 하단이 상기 지지체의 가이드홈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슬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을 가지면서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외주연에 걸림편을 가지며, 그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이 통과하여 전사지의 접착층으로 접착되도록 다수개의 문양을 갖는 통공이 형성된 문양판 및 이 각각의 통공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의 구슬을 저장할 수 있도록 통공의 문양을 따라 격벽을 갖는 문양부재; 및 상기 지지체의 연장편에 설치되어 상기 문양부재의 통공을 통해 전사지의 접착층으로 접착되는 일렬의 구슬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구슬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직물지의 표면으로 문양을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지의 접착층에 형성되는 각각의 문양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의 구슬을 상호 대응되게 구획시키면서 접착시킴에 따라 색채를 포함한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문양으로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둘째, 전사지에 색상의 구슬을 접착시키기 위한 제조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에 따른 승.하강 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전사지 제조장치에 따른 구슬개폐수단의 작동에 의해 색상을 갖는 구슬이 전사지의 접착층으로 문양을 갖도록 접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a와 도 24b, 도 25a와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본체로써,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접착층(2)과 필름층(3)으로 이루어진 전사지(1)의 저면이 면접촉을 이루면서 일방향으로 진입되도록 개재되는데, 상기 전사지(1)는 통상 일정한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별도의 롤러(미도시)에 두루마리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에서 진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하단이 별도의 결속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적정한 높이를 갖도록 개방부(22)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22)의 상부측에는 후술할 지지체(40)를 개방부(22)내에서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수단(30)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2)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지지체(40)의 후방에는 가이드돌기(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상.하이동되도록 제 1작동로드(36)를 갖는 제 1액추에이터(38)가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제 1작동로드(36)의 일단은 상기 지지체(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체(40)를 상.하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40)의 전방에는 상기 전사지(1)의 접착층(2)에 대응되도록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41)의 주변에는 관통공(41)을 수용하면서 후방측이 개방된 가이드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지지체(40)의 후방에 는 상기 가이드홈(42)으로부터 하향으로 단차를 가지면서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편(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40)의 관통공(41)에는 내부에 다수개의 구슬(4)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52)를 가지면서 하단부에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54)이 형성된 몸체(5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50)를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통가능한 원통체를 사용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50)의 하단부 즉, 걸림턱(54)의 하단부는 가이드홈(4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간격은 상기 몸체(50)의 수용공간부(52)에 저장되는 구슬(4)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몸체(50)는 체결수단(60)에 의해 지지체(40)의 관통공(41)내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수단(6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스폿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지지체(40)를 상기 몸체(50)의 외주연을 따라 면접촉시키면서 결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6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0)의 전방측에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삽입홈(61)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61)의 하단은 상기 지지체(40)의 가이드홈(4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슬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40)의 삽입홈(61)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몸체(50)의 외주연에 삽입돌기(62)가 형성되어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6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40)의 관통공(41)으로 연통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50)의 하부측 외주연에 관통공(41)의 직경보다 큰 보강편(63)을 외향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이 보강편(63)과 지지체(40)를 다수개의 체결볼트(64)로 견고하면서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50)의 수용공간부(52)에는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각각의 문양에 따라 색상이 상이한 구슬을 접착시킬수 있도록 문양부재(7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문양부재(7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50)의 걸림턱(54)에 안착되도록 외주연에 걸림편(72)을 갖는 문양판(74)이 형성되는데, 상기 문양판(7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슬(4)이 통과하여 상기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접착되도록 문양을 갖는 통공(7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통공(76)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의 구슬(4)을 저장함과 동시에 문양을 갖는 통공(76)들을 따라 구획시킬 수 있도록 문양판(74)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적정한 높이를 갖도록 격벽(7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문양부재(70)의 하단부, 즉 문양판(74)의 저면은 상기 몸체(50)에 형성된 걸림턱(54)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기 문양판(74)의 격벽(78)은 문양판(74)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76)을 전체면적에 대해 적정한 비율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문양판(74)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통공(76)이 형성될 경우, 상기 각각의 통공(76) 을 구획시키기 위한 각각의 격벽(78)을 동심원상으로 설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지지체(40)의 연장편(43)에는 상기 문양부재(70)의 문양판(74)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76)을 통해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접착되는 일렬의 구슬(4)에 대해 이열로 적층된 구슬(4)의 접촉부위를 전.후이동하면서 이열로 적층되어 있는 구슬(4)들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슬개폐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슬개폐수단(80)은 상기 지지체(40)에 형성된 관통공(41)의 최대길이를 수용하면서 가이드홈(4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얇은 박판의 이격판재(82)가 끼워지게 된다.
물론, 상기 이격판재(82)의 강도는 통상적으로 상기 몸체(50)의 수용공간부(52)에 저장된 구슬(4)들의 자중을 이길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판재(82)는 상기 문양부재(70)의 격벽(78)내에 저장된 구슬(4)중 문양판(74)의 통공(76)을 통과하여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접착되는 일렬의 구슬(4)에 대해 이열에 해당되는 구슬(4)의 저면부위와 접촉되면서 이열의 구슬(4)을 상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일렬의 구슬(4)을 하방향으로 적당하게 가압하여 전사지(1)의 접착층(2)에 접착시킴으로써 구슬(4)들간의 접촉부위를 비접촉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40)의 연장편(43)에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후이동되도록 제 2작동로드(84)를 갖는 제 2액추에이터(86)가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제 2작동로드(84)의 일단은 상기 이격판재(82)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이격판재(8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판재(82)의 후방측에는 상기 제 2작동로드(84)의 일단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브라켓(83)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문양부재(70)의 문양판(74)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76)을 통해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접착되는 구슬(4)의 문양을 동일하게 접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90)은 상기 몸체(50)의 수용공간부(52)에 형성된 걸림턱(74)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92)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92)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문양판(74)의 걸림편(72)에 고정돌기(9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92)과 고정돌기(94)의 결합시 상.하의 이동은 자유롭지만 좌.우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접착되는 구슬(4)의 문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 전사지의 제조장치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 6a,6b,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상단부측으로 전사지(1)가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된 승.하강수단(30)이 1차적으로 작동을 이루게 된다. 즉,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된 제 1액추에이터(38)로 전기적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제 1액추에이터(38)의 일측에 설치된 제 1작동로드(36)는 하방향으로 진행되는데, 이때 상기 제 1작동로드(36)의 일단에 고정된 지지체(40)는 지지프레임(20)의 개방부(22)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상기 지지체(40)의 상.하이동은 상기 지지체(40)의 후방에 설치된 가이드돌기(34)가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4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체(40)의 전방에 결합된 몸체(50) 및 이 몸체(50)의 수용공간부(52)로 저장된 구슬(4)을 문양에 따라 통과시키기 위한 문양부재(70)도 함께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으로 도달된 지지체(40)의 최하지점은 전사지(1)의 접착층(2)에 접착되는 구슬(4)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도 6a참조). 이와 같이 상기 지지체(40)가 제 1액추에이터(38)의 작동에 의해 구슬(4)의 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될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40)의 연장편(43)에 설치된 구슬개폐수단(80)이 연이어서 작동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지지체(40)의 연장편(43)에 설치된 제 2액추에이터(86)로 전기적신호가 전달될 시 상기 제 2액추에이터(86)의 일측에 설치된제 2작동로드(84)가 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2작동로드(84)의 일단에 결합된 이격판재(82)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문양부재(70)의 문양판(74)에 형성된 통공(76)을 통과한 다수개의 구슬(4)들이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문양을 가지면서 일렬의 구슬층을 이루도록 접착된다(도 6b참조).
상기 지지체(40)의 전방에 형성된 관통공(41)으로 결합된 몸체(50)의 하단부, 즉 몸체(50)의 수용공간부(52)에 형성된 걸림턱(54)의 하단부 위치는 관통공(41)의 최대길이를 수용하면서 상기 이격판재(82)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42)에서 상방향으로 구슬(4)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간격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50)의 걸림턱(54)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양부재(70)의 저면에 형성된 문양판(74)의 하단부의 위치도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 2작동로드(84)의 일단에 결합된 이격판재(82)가 후방향으로 이동할 시 전사지(1)의 접착층(2)에는 일렬의 구슬(4)층이 문양을 갖도록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지지체(40)의 가이드홈(42)을 따라 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이격판재(82)는 상기 문양판(74)에 형성된 통공(76) 및 지지체(40)의 관통공(41)을 다수개의 구슬(4)이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상기 이격판재(82)의 선단을 가이드홈(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이격판재(82)의 전.후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렬의 구슬(4)이 전사지(1)의 접착층(2)에 접착된 상태에서 이열로 이루어진 구슬(4)의 저면부위는 자중에 의해 일렬로 이루어진 각각의 구슬(4)이 접하는 상부측과 접촉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이열로 이루어진 구슬(4)의 직경은 문양판(74)의 통공(76)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공(76)의 두께를 이분시킨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개재됨에 따라 상기 이격판재(82)가 관통공(41)의 범위내에서 이탈되더라도 전사지(1)의 접착층(2)에 접착된 일렬의 구슬(4)층은 이열의 구슬(4)층에 의해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문양부재(70)의 문양판(74)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76)을 통해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접착된 구슬(4)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갖게 되는데, 이는 상기 문양판(74)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76)에 대해 서로 다른 색상의 구슬을 저장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통공(76)의 문양을 따라 격벽(7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사지(1)의 접착층(2)으로 일렬의 구슬(4)이 접착된 상태에서 이열로 이루어진 구슬(4)을 일렬의 구슬(4)로부터 분리, 즉 적층되어 있는 구슬(4)들을 비접촉시키기 위해 이격판재(82)가 관통공(41)내로 복귀되는데, 이는 상기 제 2액추에이터(86)의 제 2작동로드(84)가 지지체(40)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가능해지는 것이다(도 6c참조).
상기 지지체(40)의 가이드홈(42)을 따라 관통공(4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격판재(82)의 선단측이 진입할 경우, 상기 이격판재(82)의 상단면은 상기 문양부재(70)의 문양판(74)에 형성된 통공(76)에 개재되어 이열로 이루어진 구슬(4)의 저면부위와 접촉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구슬(4)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구슬(4)의 저면부위를 이격판재(82)의 선단이 순차적으로 점접촉을 일으키면서 전방측으로 진입함에 따라 이열로 이루어진 구슬(4)들은 이격판재(82)의 가압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문양판(74)의 통공(76)에 이열로 개재된 구슬(4)들의 최하지점은 상기 이격판재(82)의 상단면과 점접촉을 일으키면서 하방향으로의 진입이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전사지(1)의 접착층(2)에는 문양판(74)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76)을 통과한 일렬의 구슬(4)층이 이열의 구슬(4)층과 비접촉상태를 이루면서 전사지(1)의 접착층(2)에 문양을 갖도록 접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격판재(82)가 지지체(40)의 가이드홈(42)을 따라 전방측으 로 진입하면서 지지체(40)의 관통공(41)을 폐쇄할 경우, 상기 본체(10)의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된 제 1액추에이터(38)의 제 1작동로드(36)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체(40) 및 이 지지체(40)에 결합된 몸체(50)를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문양판(74)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76)을 다수개의 구슬(4)이 통과하여 전사지(1)의 접착층(2)에 서로다른 색상의 문양으로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전사지(1)가 적용되는 직물지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구슬(4)에 의해 색체를 포함한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문양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전사지 제조장치는 상기 전사지 제조장치의 본체(10)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1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1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1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1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1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1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은 상기 중단유동체(1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10동체(2223)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19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2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0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 유동체(2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1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2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2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은 상기 플레이트부(2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2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2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2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2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2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2231a1)와, 상기 본체부(2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2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2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2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2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2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2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221)는, 상기 제1 가압체(2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221a)와 상기 바닥부(221)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221b)와 상기 바닥부(2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기 제3 가압체(2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2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211b)와, 제2 본체부(2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2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도 22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 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a와 도 24b, 도 25a와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를 거치하도록 지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410)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는 코일스프링(4100)과 하부하우징(4200), 하부지지체(4300), 상부하우징(4400) 및 상부지지체(4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스프링(410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하우징(4200)은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된다. 하부하우징(4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하부플랜지(4210)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과 하부플랜지(4210)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차가 하부플랜지(4210)의 하단에서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까지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4211)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하우징(4200)의 바닥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지지체(4300)는 하부하우징(4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을 받치고, 하부지지체(4300)는 하부하우징(4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지지체(4300)와 하부하우징(420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43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하부받침돌부(4310)가 돌출되고, 하부받침돌부(4310)는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00)을 받쳐서 지지하며 코일스프링(4100)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부받침돌부(4310)가 삽입되어 하부받침돌부(43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되었다시피 하부받침돌부(4310) 역시 하부지지체(4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4300)와 하부받침돌부(43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도 형성가능하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언급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요약공업재료 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해 금속을 대체할 수 있고, 내열온도 70℃이상, 강도 49㎫이상, 굽힘탄성계수 2.4㎬ 이상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구조의 수지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강도·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내마모성·내열성·내한성·내약품성·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다. 또한 일반 플라스틱은 절연성을 특징으로 삼고 있었는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분자의 조립법에 따라서 도전성을 지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한다. 상부하우징(4400)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한다. 상부하우징(4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상부플랜지(4410)가 돌출되고,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26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4400)이 베이스몸체부(310)과 결합했을 때, 베이스몸체부(310)의 하면은 상부플랜지(4410)의 상면과 마주보고, 베이스몸체부(310)의 하면과 상부플랜지(4410)의 상면과 서로 맞닿았을 때 상부플랜지(4410)는 베이스몸체부(310)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설치되고, 볼트(4412)가 고정편(44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며 상부플랜지(44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상부플랜지(44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치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하부하우징(4200)을 향한 내측 끝단이 호선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고정편(4411)의 내측 끝단의 곡률반경은 하부하우징(4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4210)의 곡률반경의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본 발명이 수평면에 놓여있을 때 단차가 형성된 위치, 즉경사곡면(4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4411)이 상부하우징(44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은 서로 이탈이 방지되고,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제거되어야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은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4100)은 상부하우징(4400)과 상부지지체(4500)의 하중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라 압박을 받고 있으므로, 고정편(4411)과 경사곡면(4211)이 맞닿아 있으면 본 발명을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상부하우징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4411)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가능하다.
도 27a 내지 도 2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4400)이 베이스몸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예컨대, 나사결합 등)하고, 수평이 아닌 바닥에서 상부하우징(4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420)에 의해 베이스몸체부(3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다.
도 27(a)는 상부하우징(4400)의 상부에 베이스몸체부(310)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경우 베이스몸체부(310)와 상부하우징(4400)이 별도의 결합수단 예컨대, 흡착판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27(b) 내지 도 27(d)는 베이스몸체부(310)과 상부하우징(4400)이 별도의 브래킷(42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지만, 본 상세한 설명에는 베이스몸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하우징(4400)이 삽입되어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브래킷(4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지지체(4500)는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에는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4510)가 포함되어 설치되되, 상부받침돌부(4510)는 상부지지체(4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부받침돌부(4510)가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와 상부받침돌부(45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상부지지체(4500)와 상부받침돌부(45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하지만,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부에 오목부(4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4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4430)에 볼록부(4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또는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는 볼록부(4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4530)가 형성되어, 오목부(4530)에 볼록부(4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점접촉을 하여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접점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해 접점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 또는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이 설치된 베이스몸체부(3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놓여진다면 본 발명이 기울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코일스프링(4100)이 좌굴되면(휘어지면) 진동 흡수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받침돌부(4310)와 상부받침돌부(45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을 방지하고, 본 발명이 측정장비나 관측장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 천정과 상부지지체(4500)의 점접촉을 통해 진동이 연직(4鉛直)방향으로 코일스프링(4100)에 전달되므로 진동흡수가 코일스프링(4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상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하부하우징(4200)의 바닥 상면에 하부지지체(4300)를 설치하고, 바닥 하면에 미끄럼방지부재(4220)를 설치한다 하부하우징(4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부플랜지(4210)가 바깥으로 돌출되며, 하부플랜지(4210)는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과 단차를 이루되, 상기 단차는 하부플랜지(4210)의 하단과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을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4211)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압축 코일스프링(4100)을 하부하우징(4200)에 수용시키되, 하부지지체(4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미리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하부받침돌부(4310)가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 내측과 하부받침돌부(43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상부받침돌부(4510)가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 내측과 상부받침돌부(45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하우징(4400)이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도록 덮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와 상부지지체(4500)는 당연히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부하우징(4400)은 하부하우징(4200)의 하부플랜지(42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하우징(4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4410)가 형성되며, 상부플랜지(4410)의 상방으로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설치되되, 고정편(4411)에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 되어 볼트(4412)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편(4411)은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 기타 다른 방식(4예컨대, 접착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하부하우징(4200)의 경사곡면(4211)을 향한 내측 단부가 하부하우징(4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4210)의 곡률반경 사이의 값을 갖는 호선형이고 내측 단부가 경사곡면(4211)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오목부(4430)보다 작은 꼭지각을 갖는 볼록부(4520)가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삽입되며, 오목부(4430)와 볼록부(4520)가 각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오목부(4430)와 볼록부(4520)가 각 꼭지점에서 점접촉을 하므로 접점을 통해 연직방향으로 코일스프링(4100)에 진동이 전해져서 코일스프링(4100)은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볼록한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볼록부(4440)보다 큰 꼭지각을 같는 오목부(4530)가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볼록부(4440)가 오목부(453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베이스몸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상부하우징(4400)을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310)의 관통공은 상부하우징(4400)의 나사산(4420)과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베이스몸체부(310)과 상부하우징(4400)은 나사결합하고, 이로 인해 수평이 아닌 바닥면에서도 상부하우징(4400)의 회전을 통해 베이스몸체부(3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몸체부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베이스몸체부(3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고 측정 또는 관측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므로 더욱 정밀한 측정 또는 관측이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부(3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상부하우징(4400)은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 코일스프링(4100)은 압축되고,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이 아닌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까지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4400)이 장비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의 점접촉으로 인해 복수개의 고정편(4411) 중 일부가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4211)에 닿게 되어 상부하우징(4400)이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4211)에 맞닿은 고정편(4411)이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의 접점을 기준으로 낮아지는 만큼 마주하는 고정편(4411)은 들려지게 된다. 만약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베이스몸체부(310) 상에서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었다고 하더라도,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가 점접촉을 이루어 하중과 진동은 연직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탄성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진동 흡수가 가능하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4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4200)과, 상기 하부하우징(4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구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의 바닥면에서 세로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4330)이 형성된 하부지지체(4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4400)과, 상기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지지체(4300)의 가이드홀(43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상부받침돌부(4510)가 형성된 상부지지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체(4300)의 상단이 개구된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가이드홀(4330)이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체(45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부받침돌부(45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코일스프링(4100) 내부를 관통하고, 하부지지체(4300)에 형성된 가이드홀(43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므로, 상부받침돌부(4510)가 가이드홀(4330)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4100)은 상부받침돌부(4510)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같이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부에 오목부(4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4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4430)에 볼록부(4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는 볼록부(4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4530)가 형성되어, 오목부(4530)에 볼록부(4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흡수 댐퍼(410)는, 코일스프링(4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4200)과, 상기 하부하우징(4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4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4400)과, 상기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4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체(43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4310)와, 상기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4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돌부(4310)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4311)와, 상기 제1 중앙몸체(4311) 양측으로 제1 브릿지(43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4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몸체(43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4311)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4510)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4511)와, 상기 제2 중앙몸체(4511) 양측으로 제2 브릿지(45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4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몸체(45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4511)로부터 진퇴 유동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411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411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4113)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4110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4111m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기 제1-1 자력부(4110m1)가 상기 제1-2 자력부(4111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1 자력부(4110m1)와 상기 제1-2 자력부(4111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4112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4112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기 제2-1 자력부(4112m1)가 상기 제2-2 자력부(4112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1 자력부(4112m1)와 상기 제2-2 자력부(4112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4113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4113m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상기 제3-1 자력부(4113m1)가 상기 제3-2 자력부(4113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4113m1)와 상기 제3-2 자력부(4113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상측에 제3-3 자력부(4113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4113m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4111)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4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4113m3)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4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4112m3)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4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4113m3)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4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4112m3)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된다.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에는 결속부재(E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는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 또는 기타 주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 플라스틱, 금속 재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폐 기능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부재(EM1)는 영구결합 또는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1 자력부(4113m1) 상에는 소정의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SN1)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3 자력부(4112m3) 상에는 소정의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SN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전사지 2 : 접착층
10 : 본체 20 : 지지프레임
22 : 개방부 30 : 승.하강수단
40 : 지지체 41 : 관통공
42 : 가이드홈 50 : 몸체
52 : 수용공간부 54 : 걸림턱
60 : 체결수단 70 : 문양부재
72 : 걸림편 74 : 문양판
76 : 통공 80 : 구슬개폐수단
82 : 이격판재 90 : 고정수단

Claims (18)

  1. 접착층과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전사지의 진입을 허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하단이 고정되고, 그 하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승.하강수단;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의 개방부내에서 상.하이동되는 것으로서, 그 전방에 관통공 및 이 관통공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단차를 갖는 연장편이 형성된 지지체;
    내부에 다수개의 구슬을 저장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수용공간부를 가지며, 그 하단이 상기 지지체의 가이드홈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슬의 반경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을 가지면서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
    상기 본체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흡수 댐퍼는,
    코일스프링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와, 상기 제1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1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와, 상기 제2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2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고,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부받침돌부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기 제1-1 자력부가 상기 제1-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1-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편형상체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는 상기 제2-1 자력부가 상기 제2-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편형상체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기 제3-1 자력부가 상기 제3-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와 상기 제3-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측에 제1-3 자력부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는,
    상측에 제2-3 자력부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측에 제3-3 자력부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와 상기 제3-3 자력부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는 상기 제2-3 자력부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와 상기 제3-3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는 상기 제2-3 자력부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 및 상기 중단유동체의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가 복수 구비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부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유동체는,
    상기 완충공간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최상단유동체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의 상부에는 완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키며,
    상기 고정모듈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하는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84275A 2017-12-29 2017-12-29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KR10186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75A KR101863009B1 (ko) 2017-12-29 2017-12-29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75A KR101863009B1 (ko) 2017-12-29 2017-12-29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009B1 true KR101863009B1 (ko) 2018-05-31

Family

ID=6245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75A KR101863009B1 (ko) 2017-12-29 2017-12-29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0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120B1 (ko) 2018-09-21 2018-12-27 박민재 밀링 가공 장치
KR101933121B1 (ko) 2018-09-21 2018-12-27 박민재 밀링 가공 장치 제작방법
KR101975821B1 (ko) * 2018-10-15 2019-05-08 장정수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방법
KR101975819B1 (ko) * 2018-10-15 2019-05-08 장정수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120B1 (ko) 2018-09-21 2018-12-27 박민재 밀링 가공 장치
KR101933121B1 (ko) 2018-09-21 2018-12-27 박민재 밀링 가공 장치 제작방법
KR101975821B1 (ko) * 2018-10-15 2019-05-08 장정수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방법
KR101975819B1 (ko) * 2018-10-15 2019-05-08 장정수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009B1 (ko)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CN102327851B (zh) 一种喷枪延长操作手柄
KR101880042B1 (ko)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CN104707320B (zh) 篮球发球机
KR101889233B1 (ko)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CN104669603B (zh) 一种半球形理想颗粒接触点处胶结成型装置
CN209682916U (zh) 一种新型3d打印机
KR101869210B1 (ko) 진공증착장치를 이용한 로크핸들장치 증착방법
DE20103466U1 (de) Ruderübungsgerät
JPS55106531A (en) Shaking machine
KR101869209B1 (ko)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PL2025582T3 (pl) Nadwozie pojazdu, zwłaszcza do samochodów-chłodni
CN204413365U (zh) 一种焊接平台装置
US20150008265A1 (en) Plate Element to Guide a Rai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207179374U (zh) 一种可任意定位光斑的灯控用工作台
CN207449718U (zh) 一种便于收纳和实用的汽车杯套架
KR101930675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KR20200131436A (ko) 자동식 너트 코팅 장치 및 자동식 너트 코팅 방법
KR101955915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KR101954071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KR101880527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CN218291478U (zh) 一种内置加固件的环保透水砖
KR102515915B1 (ko) 놀이시설물용 기둥의 로프 위치 조절장치
CN108750802B (zh) 一种线材和/或带材的紧固机构及其使用方法
CN211996430U (zh) 一种快递袋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