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819B1 -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 Google Patents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819B1
KR101975819B1 KR1020180122345A KR20180122345A KR101975819B1 KR 101975819 B1 KR101975819 B1 KR 101975819B1 KR 1020180122345 A KR1020180122345 A KR 1020180122345A KR 20180122345 A KR20180122345 A KR 20180122345A KR 101975819 B1 KR101975819 B1 KR 10197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luid
workpiece
mounting modu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수
Original Assignee
장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수 filed Critical 장정수
Priority to KR102018012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4Und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냉각기로서, 중앙본체부와, 상기 중앙본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패널형태의 측면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공기 투입부; 상기 본체부에 냉각수를 투입하기 위한 냉각수 투입부; 상기 측면본체부 사이에서 상기 중앙본체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냉각수순환부; 및 상기 중앙본체부와 측면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 차단칸막이를 포함하는 고온 부식성 가스 냉각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종 산업용 부품(예: 차량용 부품 등)의 열처리 가공에 이용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Manufacturing system of Sten mesh and Sten mesh}
본 발명은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용 부품(예: 차량용 부품 등)의 열처리 가공에 이용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필요와 목적에 따라 각종 부품들은 다양한 가공 작업이 수행되는데, 열처리 작업이 그 가운데 하나에 해당한다. 이러한 열처리 가공은 다양한 필요와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그 가공의 목적은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리고, 차량용 부품의 열 처리에는 각종 금속 치구를 사용하게 되며 스텐망 역시도 그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텐망을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작 시스템은 현재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부재로 품질이 우수한 스텐망 자체 역시도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6144호
본 발명은, 각종 산업용 부품(예: 차량용 부품 등)의 열처리 가공에 이용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텐망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원자재를 굴곡 가공하여 제1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1 가공부; 상기 제1 가공품을 베틀 방식으로 직조 가공하여 망형태의 제2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2 가공부; 상기 제2 가공품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제3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3 가공부; 및 상기 제3 가공품의 테두리부 적어도 일부를 절곡 가공하여 제4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4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가공품은 관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결속되어 최종 가공품으로 가공되는 스텐망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원자재를 굴곡 가공하여 제1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1 가공부; 상기 제1 가공품을 베틀 방식으로 직조 가공하여 망형태의 제2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2 가공부; 상기 제2 가공품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제3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3 가공부; 및 상기 제3 가공품의 테두리부 적어도 일부를 절곡 가공하여 제4 가공품을 획득하기 위한 제4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가공품은 관형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결속되어 최종 가공품으로 가공되는 스텐망 제작 시스템으로 제작된 열처리용 스텐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산업용 부품의 열처리 치구인 스텐망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스텐망 제작 시스템과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텐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을 통해 스텐망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제3 가공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가공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시스템을 통해 스텐망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은 제1 가공부(110), 제2 가공부(120), 제3 가공부(130), 제4 가공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공부(110)은 원자재(M)를 굴곡 가공하여 제1 가공품(P1)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가공부(120)은 상기 제1 가공품(P1)을 베틀 방식으로 직조 가공하여 망형태의 제2 가공품(P2)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 가공부(130)는 상기 제2 가공품(P2)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제3 가공품(P3)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 가공부(140)는 상기 제3 가공품(P3)의 테두리부 적어도 일부를 절곡 가공하여 제4 가공품(140)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4 가공품(140)은 관형부재(LM)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결속되어 최종 가공품으로 가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텐망 제작 시스템에 기반하여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방법은 제1 가공부(110)를 통해 원자재(M)를 굴곡 가공하여 제1 가공품(P1)을 획득하는 단계(S110); 제2 가공부(120)를 통해 상기 제1 가공품(P1)을 베틀 방식으로 직조 가공하여 망형태의 제2 가공품(P2)을 획득하는 단계(S120); 제3 가공부(130)를 통해 상기 제2 가공품(P2)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제3 가공품(P3)을 획득하는 단계(S130); 및 제4 가공부(140)를 통하여 상기 제3 가공품(P3)의 테두리부 적어도 일부를 절곡 가공하여 제4 가공품(140)을 획득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제3 가공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 은 본 발명 제2 가공품(P2)을 가공하기 위한 제3 가공부(즉, 절단가공부)의 정면 구성도로서, 도 12 에서는 그 평면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절단가공부는, 복수개의 권취된 제2 가공품(P2)을 걸어 고정하는 공급수단(1)과; 상기 공급수단(1)에 전취된 제2 가공품(P2)을 적정속도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과; 상기 이송수단(2)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가공품(P2)을 간헐적으로 절단시키는 절단수단(3)과; 상기 절단수단(3)에 의해 필요규격으로 절단된 제2 가공품(P2)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4)과; 상기 공급수단(1), 이송수단(2), 절단수단(3) 및 배출수단(4)의 작동속도, 주기를 전기, 회로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수단(1)은, 대향 고정설치된 직사각 틀체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내측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감속기어박스(12)와 출력축(13)을 포함하는 구동모터(14)와, 상기 프레임(11)의 상,하부에 설치된 스프로킷 휠(15a,15 b)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출력축(13)에 의해 정,역 구동하는 공급체인(16)과, 상기 공급체인(16)의 복수 개소에 고정된 고정블럭(17)에 축착되어 권취된 제2 가공품(P2)를 지지 공급하는 공급축(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2)은, 대향 고정설치된 직사각틀체의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일측 복수 개소에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급수단(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가공품(P2)를 안내하는 가이드바(22)와, 상기 프레임(21) 상부의 지지판(23) 양측에 축착된 제1,2 이송롤러(24a,24b)와, 상기 제1,2 이송롤러(24a,24b)의 상부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접촉 설치된 제1,2 접동롤러(25a,25b)와, 상기 제1,2이송롤러(24a,24b)를 구동 시키도록 프레임(21)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 이송모터(26)와, 상기 제1,2 이송롤러(24a,24b)와 이송모터(26)사이에 연결 설치된 피동,구동체인(27,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수단(3)은, 대향 고정설치된 판상의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일측 내면에 설치되어 이송수단(2) 측에서 공급되는 제2 가공품(P2)를 안내하는 안내판(32)과, 상기 안내판(32)의 끝단 상부에 설치되어 제2 가공품(P2)의 상부이동(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33)와, 상기 안내판(32)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실린더(34)에 의해 간헐적으로 승강 작동하는 컷터(35)와, 상기 컷터(35)와 근접설치되어 절단된 제2 가공품(P2)를 지지하는 받침판(36)과 , 상기 받침판(36) 하부의 지지봉(37)을 지지하도록 프레임(31)에 고정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블럭(38a,38b)과, 상기 지지블럭(38a)과 받침판(36) 사이에서 상향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지지봉(37)에 끼움설치된 탄성부재(39)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수단(4)은, 대향 고정설치된 직사각틀체의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의 일측 복수 개소에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절단수단(3)에서 절단된 제2 가공품(P2)를 안내하는 가이드바(42)와, 상기 프레임(41) 상부의 지지판(43) 양측에 축설치된 배출롤러(44) 및 제1가이드롤러(45)와, 상기 배출롤러(44) 및 제1가이드롤러(45)의 상부에 높낮이조절 가능하게 접촉 설치된 접동롤러(44a) 및 제2가이드롤러(45a)와, 상기 배출롤러(44)와 제1가이드롤러(45)를 구동 시키도록 프레임(41)의 내측하부에 고정설치된 배출모터(46)와, 상기 배출롤러(45) 및 제1가이드롤러(46)와 배출모 터(46) 사이에 연결 설치된 피동, 구동체인(47,4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5)은 그 전면에 다수의 조정버튼을 구비하여 공급수단(1)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4)의 작동시기와 작동시간을 제어하고, 이송수단(2)과 배출수단(3)을 구성하는 이동모터(26)와 배출모터(46)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제2 가공품(P2)의 이송 및 배출속도를 제어하며, 절단수단(3)을 구성하는 승강실린더(34)의 작동주기를 제어하도록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 제2 가공품(P2) 절단가공부는 우선, 권취된 제2 가공품(P2)를 공급수단(1)의 공급축(18)에 걸어주게 되는데, 상기 공급축(18)은 상.하 복수 개소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복수개의 제2 가공품(P2)를 권취시켜주게 된다.
이때 이송수단(2) 측으로 공급시키는 제2 가공품(P2)는 상부측의 공급축(18)에 권취된것을 선택하게 되며, 상부측의 방충 망(R)이 전부 공급된 상태에서는 구동모터(14)가 구동하여 공급체인(16)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줌으로써 하부에 위치한 공급축(18)을 공급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측에 위치한 공급축(18)에 새로운 제2 가공품(P2)를 권취시켜 다음 작업을 대기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측의 공급축(18)에 권취된 제2 가공품(P2)가 전부 공급되면, 상기의 역순 즉, 구동모터(14)가 공급체인(16)을 시계방 향으로 구동시켜 줌으로써 상부에 위치한 공급축(18)을 공급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도면 및 설명에서는 공급축(18)을 두개로 도시, 설명하였으나 3개 또는 4개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증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공급수단(1)에 제2 가공품(P2)가 준비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 가공품(P2)의 끝단을 이송수단(2)을 구성하는 제1,2 이송 롤러(24a,24b)와 제1,2 접동롤러(25a,25b) 사이로 끼워준 후 절단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작업개시와 동시에 이송수단(2)의 이송모터(26)는 구동체인(28)을 구동시키게 되고, 이 경우 제1,2 이송롤러(24a,24 b)는 피동체인(27)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2 이송롤러(24a,24b)와 제1,2 접동 롤러(25a,25b) 사이의 제2 가공품(P2)는 절단수단(3)의 안내판(32)을 따라 배출수단(4)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절단수단(3)의 컷터(35)는 상승된 상태로 절단을 대기하게 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즉 요구하는 길이로 제2 가공품(P2)가 이동되면 승강실린더(34)에 의해 컷터(35)가 하강하며 제2 가공품(P2)를 절단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컷터(35)의 하강에 의한 절단작업 진행시에 이송수단(2)은 계속하여 제2 가공품(P2)를 이송시켜주게 되는 데, 절단수단(3)의 안내판(32) 후단과 컷터(35)의 사이에는 이탈방지바(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가공품(P2) 끝단의 위치이탈을 방지하게되며, 따라서 컷터(35)의 상승시에 제2 가공품(P2)는 배출수단(4)측으로 원활히 이동된다. 또한, 컷터(35)의 하강에 의한 절단작업 진행시에 절단수단(3)의 받침판(36)은 탄성부재(39)에 의해 약간 하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절단면에서의 불량발생을 막기 위함이다. 즉, 받침판(36)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컷터(35)가 제2 가공품(P2)를 절단하여도 가공은 진행될 수 있으나, 이때 제2 가공품(P2)(R )의 절단된 면이 컷터(35)와 함께 하향이동하는 씹힘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받침판(36)이 약간 하향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2 가공품(P2)의 씹힘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제2 가공품(P2) 끝단의 절곡 즉, 불량발생 우려는 근본적으로 해소된다. 절단된 제2 가공품(P2)는 배출수단(4)의 배출,접동롤러(44,44a) 사이를 통과한 후, 배출수단(4) 후방의 제1,2가이드 롤러(45,45a)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배출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가공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가공부(130)는 상기 제2 가공품(P2)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과, 상기 이송수단(2)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가공품(P2)을 절단시키는 절단수단(3)과, 상기 절단수단(3)에 의해 절단된 제2 가공품(P2)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하부에 길이방향 유동이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대(L1)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41N)이 구비되는 프레임(21)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21)에는 프레임(21)자체를 보강 지지하는 지지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프레임(2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체(51)와, 상기 제1 지지대(L1)를 각기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체(52)와, 상기 수용체(52)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체(53)와, 상기 수용체(52)와 상기 구동체(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체(5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54)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체(52)는 상기 상기 제1 지지대(L1)를 수용한채로 상기 하부프레임(41N)의 저면부 길이방향 상으로 유동된다. 상기 구동체(53)는 복수의 중단 구동체(53)와, 상기 중단 구동체(53)를 구동시키는 최하단 구동체(63)와, 상기 각 중단 구동체(53)의 일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체(5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출몰체(55)가 구비된다. 상기 출몰체(55)는 상기 가이드체(54)의 개구되는 일영역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체(52)와 이웃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각 하부 구동체(53)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유동하며 상기 각 수용체(52)를 가압한다. 상기 각 수용체(52)는 상기 출몰체(55)에 의하여 상기 커버체ㄹ로 가압되어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 커버체(51)는 내부에 내장된 접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모듈(56)과 상기 토출모듈(56)이 결속되는 본체(57)가 구비되며, 상기 출몰체(55)의 상기 각 수용체(52) 가압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체(52)가 상기 토출모듈(56)로 가압 접촉되는 경우, 상기 토출모듈(56)은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여 상기 지지모듈의 유동을 일정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체(54)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체(54)의 상단 중앙부에는 제1 충진공간(F1)이 형성되며, 상기 각 수용체(52) 및 상기 출몰체(55)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로(LF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체(52)가 상기 토출모듈(56)을 가압하면 토출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관통로(LF1)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충진공간(F1)으로 충진된다. 상기 토출모듈(56)은 상기 본체(57)에서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일 일정범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각 중단 구동체(53)는 상기 가이드체(54)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중단 구동체(53)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로(LF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체(54)의 하단 중심부에는 제2 충진공간(F2)이 형성된다. 상기 각 중단 구동체(53)가 상기 토출모듈(56)을 가압하면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관통로(LF2)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충진공간(F2)으로 충진된다. 상기 최하단 구동체(63)는 하부에 복수의 제2 지지대(L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대(L2)는, 하부가 각각 제1 수용용기(58)에 의하여 결속되며, 상기 각 제1 수용용기(58)는 제2 수용용기(59)에 의하여 내부로 수용된 채 결속되며, 상기 제2 수용용기(59)는 상기 제1 수용용기(58)를 내부로 끌어당기거나 외부로 밀어내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2 수용용기(59)의 상부에는 상기 각 제2 지지대(L2) 상호 간에 연결되는 연결체(6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60)는 상기 제2 수용용기(59)에서 유동되며 일측으로 상기 제2 지지대(L2) 중 하나를 파지하기 위한 제1 연결체(61)와, 상기 제1 연결체(61)와 마주한채 상기 제2 수용용기(59)에서 유동되며 일측으로 상기 제2 지지대(L2) 중 다른 하나를 파지하기 위한 제2 연결체(6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용용기(58)의 타측 단부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수용용기(59)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2 자성수단(M2)은, 초기에 각각 길이방향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용기(58)의 범위 밖으로 벗어난 초기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용기(58)가 상기 제2 수용용기(59) 내부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각 제1 수용용기(58)에 의하 가압되어 상호 간을 향하여 인접하도록 유동된다.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2 자성수단(M2)은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는 척력모드 작동되어, 상기 제1 수용용기(58)와 상기 제2 수용용기(59) 간의 유격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에 상기 프레임(21)과 상기 지지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2)측에 구비되는 지지모듈의 상기 커버체(51)와 상기 배출수단(4)측에 구비되는 지지모듈의 상기 커버체(51)는 상호 이웃하도록 구비된다. 상호 이웃하는 상기 커버체(51)들 사이에는 연동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체(51)들 상호간의 유동을 연동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은, 상호 이웃하는 상기 커버체(51)들의 각 토출모듈(56)을 각각 가압하는 가압체(65)가 구비된다.
가압체(65)는 상호 이웃하는 상기 각 토출모듈(56)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 가압체(66)와, 상기 각 토출모듈(56)들 중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제2 가압체(67)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체(66)는, 상기 토출모듈(56)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다수의 돌출형 제1 패턴모듈(T1)이 구비되어, 접촉된 상기 어느 하나의 토출모듈(56)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다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가압체(67)는 상기 토출모듈(56)들 중 다른 하나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다수의 돌출형 제2 패턴모듈(T2)이 구비되며, 접촉된 상기 다른 하나의 토출모듈(56)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다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가압체(66)는 상기 제1 패턴모듈(T1)측이 장변을 이루며, 상기 제1 패턴모듈(T1)의 반대측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면적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가압체(67)는, 상기 제2 패턴모듈(T2)측이 장변을 이루며, 상기 제2 패턴모듈(T2)의 반대측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면적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가압체(66)와 상가 제2 가압체(67)는 상호 정합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체(66)는 중앙부에 제1 중공영역(EP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체(67)는 중앙부에 제2 중공영역(EP2)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수용용기(58)는 상기 제2 지지대(L2)를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상하 유동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은, 상기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가압체(66)와 상기 제2 가압체(67)가 상호 정합을 이루는 정합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이송수단(2)과 상기 배출수단(4)의 가동을 위한 셋업(setup)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가압체(66)와 상기 제2 가압체(67)가 상호 정합을 이루는 정합상태에서, 상기 제1 중공영역(EP1)과 상기 제2 중공영역(EP2)은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패턴모듈(T1)은 흡입한 유체를 상기 제1 중공영역(EP1) 내부로 충진시키며, 상기 제2 패턴모듈(T2)은 흡입한 유체를 상기 제2 중공영역(EP2) 내부로 충진시키되, 상기 제1 패턴모듈(T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중공영역(EP1)을 막도록 제1 장착모듈(68)이 결속되며, 상기 제1 장착모듈(68)은 상기 제1 중공영역(EP1)에 충진된 유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식히도록 동작된다. 상기 제2 패턴모듈(T2)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중공영역(EP2)을 막도록 제2 장착모듈(69)이 결속되고, 상기 제2 장착모듈(69)은 상기 제2 중공영역(EP2)에 충진된 유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식히도록 동작되고, 상기 제1 장착모듈(68)과 상기 제2 장착모듈(69)은 각각 외부의 제어수단을 통해 동작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장착모듈(68)은 제1-1 장착모듈(68-1) 및 제1-2 장착모듈(68-2)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장착모듈(69)은 제2-1 장착모듈(69-1) 및 제2-2 장착모듈(69-2)로 구비되며, 상기 제1-1 장착모듈(68-1)과 상기 제2-1 장착모듈(69-1) 사이에는 제1 히팅체(71)가 구비되어 충진된 상기 유체를 가열한다. 상기 제1-2 장착모듈(68-2)과 상기 제2-2 장착모듈(69-2) 사이에는 제2 히팅체(72)가 구비되어 충진된 상기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제1 장착모듈(68)의 상부에는 상기 유체의 상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마감체(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장착모듈(69)의 상부에는 상기 유체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마감체(7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마감체(73)는, 내부에 소정의 제1 유로가 형성되어 유출된 상기 유체를 안내하되, 소정의 제1 냉각수단(UIM)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고체화시킨다. 상기 제2 마감체(74)는, 내부에 소정의 제2 유로가 형성되어 유출된 상기 유체를 안내하되, 소정의 제2 냉각수단(DIM)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고체화시킨다.
상기 제1 마감체(73)는, 상기 제1 장착모듈(68)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1 마감몸체(7311)와, 상기 제1 장착모듈(68)의 상방에 상기 제1 마감몸체(7311)와 이웃하는 제2 마감몸체(7312)와, 상기 제1 마감몸체(7311)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3 마감몸체(7321)와, 상기 제2 마감몸체(7312)의 상방에서 상기 제3 마감몸체(7321)와 이웃하는 제4 마감몸체(7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감몸체(7311)와 상기 제2 마감몸체(7312) 사이에는 제1-1 유로(USP1)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마감몸체(7321)와 상기 제4 마감몸체(7322) 사이에는 제1-2 유로(USP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마감몸체(7311)와 상기 제3 마감몸체(7321) 사이의 영역과, 상기 제2 마감몸체(7312)와 상기 제4 마감몸체(7322) 사이의 영역으로는 제1-3 유로(USP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마감몸체(7311) 내지 상기 제4 마감몸체(7322)에는 각각 제1 냉각수단(UIM)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마감체(73)는 상방과 하방 간의 가압힘에 의해 상기 제1 마감몸체(7311) 내지 상기 제4 마감몸체(7322)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압축된다. 여기서 제1 마감체의 제1-1유로(USP1) 내지 제1-4 유로(USP4) 들 중 적어도 일부에 유체가 적어도 일부 충진된 상태에서 가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마감체(74)는, 상기 제2 장착모듈(69)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5 마감몸체(7411)와, 상기 제2 장착모듈(69)의 상방에 상기 제5 마감몸체(7411)와 이웃하는 제6 마감몸체(7412)와, 상기 제5 마감몸체(7411)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7 마감몸체(7421)와, 상기 제6 마감몸체(7412)의 상방에서 상기 제7 마감몸체(7421)와 이웃하는 제8 마감몸체(7422)를 포함한다. 상기 제5 마감몸체(7411)와 상기 제6 마감몸체(7412) 사이에는 제2-1 유로(DSP1)가 형성되며, 상기 제7 마감몸체(7421)와 상기 제8 마감몸체(7422) 사이에는 제2-2 유로(DSP2)가 형성되며, 상기 제5 마감몸체(7411)와 상기 제7 마감몸체(7421) 사이의 영역과, 상기 제6 마감몸체(7412)와 상기 제8 마감몸체(7422) 사이의 영역으로는 제2-3 유로(DSP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마감체(74)는 상방과 하방 간의 가압힘에 의해 상기 제5 마감몸체(7411) 내지 상기 제8 마감몸체(7422) 상호 간이 인접하도록 압축된다. 여기서 제2 마감체의 형성되는 제2-1 유로(DSP1) 내지 제2-7 유로(DSP7)들 중 적어도 일부에 유체가 충진된 상태에서 가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M : 원자재 RM : 거치수단
EP1 : 제1 중공영역 EP2 : 제2 중공영역
UIM : 제1 냉각수단 DIM : 제2 냉각수단
P1 : 제1 가공품 P2 : 제2 가공품
P3 : 제3 가공품 P4 : 제4 가공품
T1 : 제1 패턴모듈 T2 : 제2 패턴모듈
110 : 제1 가공부 120 : 제2 가공부
130 : 제3 가공부 140 : 제4 가공부
71 : 제1 히팅체 72 : 제2 히팅체
73: 제1 마감체 7311 : 제1 마감몸체
7312 : 제2 마감몸체 7321 : 제3 마감몸체
7322 : 제4 마감몸체 74 : 제2 마감체
7411 : 제5 마감몸체 7412 : 제6 마감몸체
7421 : 제7 마감몸체 7422 : 제8 마감몸체
7431 : 제9 마감몸체 7432 : 제10 마감몸체
7441 : 제11 마감몸 7442 : 제12 마감몸체
USP1 : 제1-1 유로 USP2 : 제1-2 유로
USP3 : 제1-3 유로 DSP1 : 제2-1 유로
DSP2 : 제2-2 유로 DSP3 : 제2-3 유로
DSP4 : 제2-4 유로 DSP5 : 제2-5 유로
DSP6 : 제2-6 유로 DSP7 : 제2-7 유로
65 : 가압체 66 : 제1 가압체
67 : 제2 가압체 68 : 제1 장착모듈
68-1 : 제1-1 장착모듈 68-2 : 제1-2 장착모듈
69 : 제2 장착모듈 69-1 : 제2-1 장착모듈
69-2 : 제2-2 장착모듈

Claims (14)

  1.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원자재(M)를 굴곡 가공하여 제1 가공품(P1)을 획득하기 위한 제1 가공부(110); 상기 제1 가공품(P1)을 베틀 방식으로 직조 가공하여 망형태의 제2 가공품(P2)을 획득하기 위한 제2 가공부(120); 상기 제2 가공품(P2)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제3 가공품(P3)을 획득하기 위한 제3 가공부(130); 및 상기 제3 가공품(P3)의 테두리부 적어도 일부를 절곡 가공하여 제4 가공품(140)을 획득하기 위한 제4 가공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4 가공품(140)은 관형부재(LM)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결속되어 최종 가공품으로 가공되며,
    상기 제3 가공부(130)는,
    상기 제2 가공품(P2)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과, 상기 이송수단(2)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가공품(P2)을 절단시키는 절단수단(3)과, 상기 절단수단(3)에 의해 절단된 제2 가공품(P2)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4)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의 하부에 길이방향 유동이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대(L1)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41N)이 구비되는 프레임(21)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21)에는 프레임(21)자체를 보강 지지하는 지지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프레임(2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체(51)와,
    상기 제1 지지대(L1)를 각기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체(52)와,
    상기 수용체(52)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체(53)와,
    상기 수용체(52)와 상기 구동체(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체(52)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체(54)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체(52)는 상기 상기 제1 지지대(L1)를 수용한채로 상기 하부프레임(41N)의 저면부 길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53)는,
    복수의 중단 구동체(53)와, 상기 중단 구동체(53)를 구동시키는 최하단 구동체(63)와, 상기 각 중단 구동체(53)의 일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체(5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출몰체(55)가 구비되며,
    상기 출몰체(55)는 상기 가이드체(54)의 개구되는 일영역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체(52)와 이웃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각 하부 구동체(53)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유동하며 상기 각 수용체(52)를 가압하며,
    상기 각 수용체(52)는 상기 출몰체(55)에 의하여 상기 커버체(51)로 가압되어 유동이 제한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51)는,
    내부에 내장된 접착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모듈(56)과 상기 토출모듈(56)이 결속되는 본체(57)가 구비되며,
    상기 출몰체(55)의 상기 각 수용체(52) 가압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체(52)가 상기 토출모듈(56)로 가압 접촉되는 경우,
    상기 토출모듈(56)은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여 상기 지지모듈의 유동을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54)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체(54)의 상단 중앙부에는 제1 충진공간(F1)이 형성되며,
    상기 각 수용체(52) 및 상기 출몰체(55)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로(LF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체(52)가 상기 토출모듈(56)을 가압하면 토출된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관통로(LF1)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충진공간(F1)으로 충진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 중단 구동체(53)는 상기 가이드체(54)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중단 구동체(53)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로(LF2)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체(54)의 하단 중심부에는 제2 충진공간(F2)이 형성되며,
    상기 각 중단 구동체(53)가 상기 토출모듈(56)을 가압하면 상기 유체가 상기 제2 관통로(LF2)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충진공간(F2)으로 충진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 구동체(63)는 하부에 복수의 제2 지지대(L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대(L2)는,
    하부가 각각 제1 수용용기(58)에 의하여 결속되며, 상기 각 제1 수용용기(58)는 제2 수용용기(59)에 의하여 내부로 수용된 채 결속되며,
    상기 제2 수용용기(59)는 상기 제1 수용용기(58)를 내부로 끌어당기거나 외부로 밀어내도록 구동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용기(59)의 상부에는 상기 각 제2 지지대(L2) 상호 간에 연결되는 연결체(6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체(60)는,
    상기 제2 수용용기(59)에서 유동되며 일측으로 상기 제2 지지대(L2) 중 하나를 파지하기 위한 제1 연결체(61)와,
    상기 제1 연결체(61)와 마주한채 상기 제2 수용용기(59)에서 유동되며 일측으로 상기 제2 지지대(L2) 중 다른 하나를 파지하기 위한 제2 연결체(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용기(58)의 타측 단부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수용용기(59)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2 자성수단(M2)은,
    초기에 각각 길이방향 일부가 상기 제1 수용용기(58)의 범위 밖으로 벗어난 초기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용기(58)가 상기 제2 수용용기(59) 내부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각 제1 수용용기(58)에 의하 가압되어 상호 간을 향하여 인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2 자성수단(M2)은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하는 척력모드 작동되어, 상기 제1 수용용기(58)와 상기 제2 수용용기(59) 간의 유격을 최소화시키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에 상기 프레임(21)과 상기 지지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2)측에 구비되는 지지모듈의 상기 커버체(51)와 상기 배출수단(4)측에 구비되는 지지모듈의 상기 커버체(51)는 상호 이웃하도록 구비되며,
    상호 이웃하는 상기 커버체(51)들 사이에는 연동모듈(64)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체(51)들 상호간의 유동을 연동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64)은,
    상호 이웃하는 상기 커버체(51)들의 각 토출모듈(56)을 각각 가압하는 가압체(65)가 구비되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가압체(65)는 상호 이웃하는 상기 각 토출모듈(56)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 가압체(66)와, 상기 각 토출모듈(56)들 중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제2 가압체(67)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체(66)는,
    상기 토출모듈(56)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다수의 돌출형 제1 패턴모듈(T1)이 구비되어, 접촉된 상기 어느 하나의 토출모듈(56)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다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 가압체(67)는,
    상기 토출모듈(56)들 중 다른 하나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다수의 돌출형 제2 패턴모듈(T2)이 구비되며, 접촉된 상기 다른 하나의 토출모듈(56)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다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한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체(66)는,
    상기 제1 패턴모듈(T1)측이 장변을 이루며, 상기 제1 패턴모듈(T1)의 반대측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면적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가압체(67)는,
    상기 제2 패턴모듈(T2)측이 장변을 이루며, 상기 제2 패턴모듈(T2)의 반대측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면적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압체(66)와 상가 제2 가압체(67)는 상호 정합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체(66)는 중앙부에 제1 중공영역(EP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압체(67)는 중앙부에 제2 중공영역(EP2)이 형성되는 것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수용용기(58)는 상기 제2 지지대(L2)를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상하 유동모드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이송수단(2) 및 상기 배출수단(4)은,
    상기 유동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가압체(66)와 상기 제2 가압체(67)가 상호 정합을 이루는 정합상태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이송수단(2)과 상기 배출수단(4)의 가동을 위한 셋업(setup)이 되는 것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체(66)와 상기 제2 가압체(67)가 상호 정합을 이루는 정합상태에서,
    상기 제1 중공영역(EP1)과 상기 제2 중공영역(EP2)은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패턴모듈(T1)은 흡입한 유체를 상기 제1 중공영역(EP1) 내부로 충진시키며,
    상기 제2 패턴모듈(T2)은 흡입한 유체를 상기 제2 중공영역(EP2) 내부로 충진시키되,
    상기 제1 패턴모듈(T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중공영역(EP1)을 막도록 제1 장착모듈(68)이 결속되며, 상기 제1 장착모듈(68)은 상기 제1 중공영역(EP1)에 충진된 유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식히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2 패턴모듈(T2)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중공영역(EP2)을 막도록 제2 장착모듈(69)이 결속되고, 상기 제2 장착모듈(69)은 상기 제2 중공영역(EP2)에 충진된 유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식히도록 동작되고,
    상기 제1 장착모듈(68)과 상기 제2 장착모듈(69)은 각각 외부의 제어수단을 통해 동작 제어되는 것인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모듈(68)은 제1-1 장착모듈(68-1) 및 제1-2 장착모듈(68-2)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장착모듈(69)은 제2-1 장착모듈(69-1) 및 제2-2 장착모듈(69-2)로 구비되며,
    상기 제1-1 장착모듈(68-1)과 상기 제2-1 장착모듈(69-1) 사이에는 제1 히팅체(71)가 구비되어 충진된 상기 유체를 가열하며,
    상기 제1-2 장착모듈(68-2)과 상기 제2-2 장착모듈(69-2) 사이에는 제2 히팅체(72)가 구비되어 충진된 상기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제1 장착모듈(68)의 상부에는 상기 유체의 상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마감체(7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장착모듈(69)의 상부에는 상기 유체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마감체(7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마감체(73)는,
    내부에 소정의 제1 유로가 형성되어 유출된 상기 유체를 안내하되, 소정의 제1 냉각수단(UIM)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고체화 시키며,
    상기 제2 마감체(74)는,
    내부에 소정의 제2 유로가 형성되어 유출된 상기 유체를 안내하되, 소정의 제2 냉각수단(DIM)을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유체를 냉각시켜 고체화 시키는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KR1020180122345A 2018-10-15 2018-10-15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KR10197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45A KR101975819B1 (ko) 2018-10-15 2018-10-15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345A KR101975819B1 (ko) 2018-10-15 2018-10-15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819B1 true KR101975819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345A KR101975819B1 (ko) 2018-10-15 2018-10-15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314A (ko) * 2003-01-27 2003-02-15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20080056612A (ko) * 2006-12-18 2008-06-23 길인환 굴곡부를 갖는 와이어메쉬의 자동 절곡성형장치
KR101196144B1 (ko) 2009-11-16 2012-10-30 최두진 지지대가 형성되는 용접철망의 제조 장치
KR101863009B1 (ko) * 2017-12-29 2018-05-31 이상수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314A (ko) * 2003-01-27 2003-02-15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20080056612A (ko) * 2006-12-18 2008-06-23 길인환 굴곡부를 갖는 와이어메쉬의 자동 절곡성형장치
KR101196144B1 (ko) 2009-11-16 2012-10-30 최두진 지지대가 형성되는 용접철망의 제조 장치
KR101863009B1 (ko) * 2017-12-29 2018-05-31 이상수 직물지용 전사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6527B (zh) 采用串联压制线用双机器人生产线的模压制品自动制造系统
CN105171255A (zh) 一种门套焊接机器人系统
CN210650246U (zh) 一种自动上下料的自动喷砂设备
CN112533719A (zh) 具有用于改变焊料波宽度的自动可调滑板的波峰焊喷嘴
CN212227634U (zh) 自动悬挂式烘干和冷却装置
KR101975819B1 (ko)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시스템 및 스텐망
KR101979553B1 (ko) 연속 프레스가공장치
CN105214909B (zh) 作业装置
CN102364765B (zh) 自动冲压装置
KR101975821B1 (ko) 열처리용 스텐망 제작 방법
CN211495916U (zh) 一种自动上下料的表面处理设备
CN110125512B (zh) 一种在线式负压焊接炉
CN109175397B (zh) 一种车削设备以及杆状零件的加工工艺
KR102284206B1 (ko) 자동 제품 투입 수단이 구비된 열처리 장치
EP1243357B1 (en) Material transport device
US7824586B2 (en)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briquette for metal raw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riquette for metal raw material, and compression molding method thereof
KR200480449Y1 (ko) 이동수단이 구비된 거푸집용 세파타이 제조 장치
KR100618950B1 (ko) 자동 진공성형 시스템
KR101875373B1 (ko) 대형프레스를 이용한 고효율 프레스 시스템 및 그 프레스 방법
CN115625283B (zh) 一种锻压工艺及锻压机床
CN216635421U (zh) 一种保压热熔设备
CN106185317B (zh) 一种压膜电感自动投料机
KR101250959B1 (ko) 히터커버용 프레스 금형장치
KR200372300Y1 (ko) 유로폼 자동조립장치
JP3388697B2 (ja) レーザ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