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042B1 -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042B1
KR101880042B1 KR1020170184292A KR20170184292A KR101880042B1 KR 101880042 B1 KR101880042 B1 KR 101880042B1 KR 1020170184292 A KR1020170184292 A KR 1020170184292A KR 20170184292 A KR20170184292 A KR 20170184292A KR 101880042 B1 KR101880042 B1 KR 10188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upport
magnetic force
arm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이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열 filed Critical 이동열
Priority to KR102017018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몸체부; 복수의 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구비되는 거치부;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 상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부; 상기 각 대상물을 상호간을 코킹(caulking) 가공하기 위한 압입유닛;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 상으로 투입하며 상기 압입유닛을 통해 코킹된 대상물을 선별하고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암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중요 부품을 제작 및 검사를 자동화시켜 차량에 미치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connect module assembly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 고정을 위한 커넥터 모듈을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커넥터 모튤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커넥터 모듈은 브레이크 오일이 흐르는 튜브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와 이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bracket)이 결합된 부품으로 누유방지 등을 위해 가공공정에 있어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현재 생산되는 커넥터 Ass'y에는 커넥터의 단조 시 피어싱부 미관, Tapping 작업에서의 시트면 찍힘, 나사산수의 미달 및 초과, 직각도, 조립 후 압입력 미달 등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커넥터 모듈은 제품의 중요도에 비해 현재 제조공정이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져 많은 불량발생 인자를 가지고 있으며 검사공정도 육안에 의존하고 있어 주기적으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밀성형 기술을 통한 차량에 미치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조공정에서 불량을 사전에 최대한 방지하고 발생한 불량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불량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 차종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공정의 자동화로 불량률을 줄이고, 고객의 불만을 해소함과 동시에 가격경쟁력을 키워 국내 수요처는 물론 해외 수요처까지 확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5194호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부품 고정을 위한 커넥터 모듈을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커넥터 모튤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몸체부; 복수의 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구비되는 거치부;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 상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부; 상기 각 대상물을 상호간을 코킹(caulking) 가공하기 위한 압입유닛;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 상으로 투입하며 상기 압입유닛을 통해 코킹된 대상물을 선별하고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암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전자의 생명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중요 부품을 제작 및 검사를 자동화시켜 차량에 미치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불량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선별하여 불량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불량 방지 및 불량 유출 방지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되는 커넥터 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7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a와 도 27b,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를 통해 조립된 커넥터 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는 몸체부(50), 거치부(120), 공급부, 압입유닛(133), 암유닛, 선별모듈(150), 비전검사모듈(160)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20)은 테이블(121), 지그(122)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제1 공급부(110), 제2 공급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암유닛은 제1 암유닛(131), 제2 암유닛(132), 제3 암유닛(134), 제4 암유닛(13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0)는 소정의 프레임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50)는 물론 프레임 구조물이 아니라 기타 다양한 타입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120)는 복수의 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50) 상에 구비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120) 상에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대상물은 제1 대상물(C)과 제2 대상물(B)을 포함하는데, 예컨대 상기 제1 대상물(C)은 커넥터이고, 상기 제2 대상물(B)은 브라켓이다. 상기 공급부의 상기 제1 공급부(110)는 상기 제1 대상물(C)인 상기 커넥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부의 상기 제2 공급부(140)는 상기 제2 대상물(B)인 상기 브라켓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암유닛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120) 상으로 투입한다.
상기 거치부(120)는의 상기 회전형 테이블(121)은 원주 방향 상에서 일정하게 회전하며, 상기 지그(122)는 상기 회전형 테이블(121) 상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암유닛(131)은 상기 제1 대상물(C)을 픽업하여 상기 지그(122) 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1 암유닛(131)은 상기 제1 대상물(C)을 픽업하여 상기 거치부(120) 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2 암유닛(132)은 상기 제2 대상물(B)을 픽업하여 상기 거치부(120) 상에 위치시킨다. 즉, 상기 제2 암유닛(132)은 상기 제1 대상물(C)이 위치된 지그(122) 상에 상기 제2 대상물(B)을 위치시켜 상기 제1 대상물(C)과 상기 제2 대상물(B)이 가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압입유닛(133)은 상기 지그(122) 상에서 가결합된 상기 제1 대상물(C)과 상기 제2 대상물(B) 상호간을 코킹 가공하여 가공품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제3 암유닛(134)은 상기 가공품을 픽업하여 배출한다.
상기 선별모듈(150)은 상기 가공품의 설정 기준치 만족 여부에 따른 양품 및 불량 여부를 선별하여 판정하며, 상기 제3 암유닛(134)은 상기 선별모듈(150)에 의하여 양품으로 선별된 가공품을 픽업하여 기 구비된 제1 배출로(134a)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4 암유닛(134)은 상기 선별모듈(150)에 의하여 불량으로 선별된 가공품을 픽업하여 기 구비된 제2 배출로(134b)로 배출시킨다. 상기 비전 검사모듈(160)은 상기 커넥터, 브라켓 또는 상기 가공품의 외관을 검사한다.
특히, 상기 비전 검사모듈(160)은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형상, 나산의 개수, 나사산 표면 손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밀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4 암유닛(134)은 상기 압입유닛(133)을 통해 코킹된 대상물을 선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암유닛(131) 내지 상기 제4 암유닛(134)은 상호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50)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1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1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1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1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1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1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은 상기 중단유동체(1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10동체(2223)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2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22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2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3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 유동체(2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2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2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은 상기 플레이트부(2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2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2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2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2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2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2231a1)와, 상기 본체부(2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2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2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2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2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2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2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221)는, 상기 제1 가압체(2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221a)와 상기 바닥부(221)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221b)와 상기 바닥부(2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기 제3 가압체(2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2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211b)와, 제2 본체부(2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2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도 2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 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a와 도 27b,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을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31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를 거치하도록 지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510)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510)는 코일스프링(5100)과 하부하우징(5200), 하부지지체(5300), 상부하우징(5400) 및 상부지지체(5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스프링(510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하우징(5200)은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수용된다. 하부하우징(5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하부플랜지(5210)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과 하부플랜지(5210)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차가 하부플랜지(5210)의 하단에서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까지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5211)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하우징(5200)의 바닥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지지체(5300)는 하부하우징(5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5100)의 하단을 받치고, 하부지지체(5300)는 하부하우징(5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지지체(5300)와 하부하우징(520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53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하부받침돌부(5310)가 돌출되고, 하부받침돌부(5310)는 코일스프링(5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5100)을 받쳐서 지지하며 코일스프링(5100)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5100)의 하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부받침돌부(5310)가 삽입되어 하부받침돌부(53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되었다시피 하부받침돌부(5310) 역시 하부지지체(5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5300)와 하부받침돌부(53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도 형성가능하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언급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요약공업재료 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해 금속을 대체할 수 있고, 내열온도 100℃이상, 강도 49㎫이상, 굽힘탄성계수 2.4㎬ 이상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구조의 수지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강도·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내마모성·내열성·내한성·내약품성·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다. 또한 일반 플라스틱은 절연성을 특징으로 삼고 있었는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분자의 조립법에 따라서 도전성을 지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한다. 상부하우징(5400)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5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한다. 상부하우징(5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상부플랜지(5410)가 돌출되고,상부하우징(5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54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5400)이 베이스몸체부(1110)과 결합했을 때,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은 상부플랜지(5410)의 상면과 마주보고,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과 상부플랜지(5410)의 상면과 서로 맞닿았을 때 상부플랜지(5410)는 베이스몸체부(1110)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설치되고, 볼트(5412)가 고정편(54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며 상부플랜지(54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상부플랜지(54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치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하부하우징(5200)을 향한 내측 끝단이 호선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고정편(5411)의 내측 끝단의 곡률반경은 하부하우징(5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5210)의 곡률반경의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본 발명이 수평면에 놓여있을 때 단차가 형성된 위치, 즉경사곡면(5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5411)이 상부하우징(54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5200)과 상부하우징(5400)은 서로 이탈이 방지되고,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제거되어야 하부하우징(5200)과 상부하우징(5400)은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편(5411)은 경사곡면(5211)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5100)은 상부하우징(5400)과 상부지지체(5500)의 하중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라 압박을 받고 있으므로, 고정편(5411)과 경사곡면(5211)이 맞닿아 있으면 본 발명을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상부하우징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코일스프링(51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5411)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가능하다. 도 29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5400)이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예컨대, 나사결합 등)하고, 수평이 아닌 바닥에서 상부하우징(5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부하우징(5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420)에 의해 베이스몸체부(11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다.
도 30(a)는 상부하우징(5400)의 상부에 베이스몸체부(1110)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경우 베이스몸체부(1110)와 상부하우징(5400)이 별도의 결합수단 예컨대, 흡착판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0(b) 내지 도 30(d)는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5400)이 별도의 브래킷(52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지만, 본 상세한 설명에는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하우징(5400)이 삽입되어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브래킷(5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지지체(5500)는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부지지체(5500)의 하면에는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5510)가 포함되어 설치되되, 상부받침돌부(5510)는 상부지지체(5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부받침돌부(5510)가 삽입되어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와 상부받침돌부(55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상부지지체(5500)와 상부받침돌부(55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하지만,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5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부에 오목부(5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5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5430)에 볼록부(5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또는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5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는 볼록부(5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5530)가 형성되어, 오목부(5530)에 볼록부(5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점접촉을 하여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접점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해 접점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 또는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이 설치된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놓여진다면 본 발명이 기울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코일스프링(5100)이 좌굴되면(휘어지면) 진동 흡수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받침돌부(5310)와 상부받침돌부(55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코일스프링(5100)의 좌굴을 방지하고, 본 발명이 측정장비나 관측장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 천정과 상부지지체(5500)의 점접촉을 통해 진동이 연직(5鉛直)방향으로 코일스프링(5100)에 전달되므로 진동흡수가 코일스프링(5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상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하부하우징(5200)의 바닥 상면에 하부지지체(5300)를 설치하고, 바닥 하면에 미끄럼방지부재(5220)를 설치한다 하부하우징(5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부플랜지(5210)가 바깥으로 돌출되며, 하부플랜지(5210)는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과 단차를 이루되, 상기 단차는 하부플랜지(5210)의 하단과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을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5211)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압축 코일스프링(5100)을 하부하우징(5200)에 수용시키되, 하부지지체(5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미리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하부받침돌부(5310)가 코일스프링(5100)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 내측과 하부받침돌부(53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5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지지체(5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상부받침돌부(5510)가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 내측과 상부받침돌부(55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5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하우징(5400)이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하도록 덮으며,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와 상부지지체(5500)는 당연히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부하우징(5400)은 하부하우징(5200)의 하부플랜지(52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하우징(5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5410)가 형성되며, 상부플랜지(5410)의 상방으로 상부하우징(5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5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설치되되, 고정편(5411)에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 되어 볼트(5412)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편(5411)은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 기타 다른 방식(5예컨대, 접착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하부하우징(5200)의 경사곡면(5211)을 향한 내측 단부가 하부하우징(5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5210)의 곡률반경 사이의 값을 갖는 호선형이고 내측 단부가 경사곡면(5211)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경사곡면(5211)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5200)과 상부하우징(54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5430)가 형성되고, 오목부(5430)보다 작은 꼭지각을 갖는 볼록부(5520)가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삽입되며, 오목부(5430)와 볼록부(5520)가 각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오목부(5430)와 볼록부(5520)가 각 꼭지점에서 점접촉을 하므로 접점을 통해 연직방향으로 코일스프링(5100)에 진동이 전해져서 코일스프링(5100)은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볼록한 볼록부(5440)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볼록부(5440)보다 큰 꼭지각을 같는 오목부(5530)가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볼록부(5440)가 오목부(553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상부하우징(5400)을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의 관통공은 상부하우징(5400)의 나사산(5420)과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5400)은 나사결합하고, 이로 인해 수평이 아닌 바닥면에서도 상부하우징(5400)의 회전을 통해 베이스몸체부(1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몸체부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고 측정 또는 관측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510)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므로 더욱 정밀한 측정 또는 관측이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상부하우징(5400)은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 코일스프링(5100)은 압축되고, 고정편(5411)은 경사곡면(5211)이 아닌 하부하우징(5200)의 외면까지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5400)이 장비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의 점접촉으로 인해 복수개의 고정편(5411) 중 일부가 하부하우징(5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5211)에 닿게 되어 상부하우징(5400)이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하우징(5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5211)에 맞닿은 고정편(5411)이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의 접점을 기준으로 낮아지는 만큼 마주하는 고정편(5411)은 들려지게 된다. 만약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었다고 하더라도,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가 점접촉을 이루어 하중과 진동은 연직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탄성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진동 흡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5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5200)과, 상기 하부하우징(5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구되며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의 바닥면에서 세로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5330)이 형성된 하부지지체(5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5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5400)과, 상기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을 지지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지지체(5300)의 가이드홀(53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상부받침돌부(5510)가 형성된 상부지지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체(5300)의 상단이 개구된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가이드홀(5330)이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체(55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부받침돌부(55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코일스프링(5100) 내부를 관통하고, 하부지지체(5300)에 형성된 가이드홀(53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므로, 상부받침돌부(5510)가 가이드홀(5330)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5100)은 상부받침돌부(5510)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스프링(5100)의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같이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5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부에 오목부(5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5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5430)에 볼록부(5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5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는 볼록부(5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5530)가 형성되어, 오목부(5530)에 볼록부(5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5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흡수 댐퍼(510)는, 코일스프링(5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5200)과, 상기 하부하우징(5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5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5200)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5400)과, 상기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5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체(53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5310)와, 상기 상부지지체(55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5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돌부(5310)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5311)와, 상기 제1 중앙몸체(5311) 양측으로 제1 브릿지(53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5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몸체(53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5311)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5510)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5511)와, 상기 제2 중앙몸체(5511) 양측으로 제2 브릿지(55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5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몸체(55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5511)로부터 진퇴 유동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100)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511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511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5113)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5110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5111m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5111)는 상기 제1-1 자력부(5110m1)가 상기 제1-2 자력부(5111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1 자력부(5110m1)와 상기 제1-2 자력부(5111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편형상체(5112)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5112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5112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5112)는 상기 제2-1 자력부(5112m1)가 상기 제2-2 자력부(5112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1 자력부(5112m1)와 상기 제2-2 자력부(5112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5113)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5113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5113m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5113)는 상기 제3-1 자력부(5113m1)가 상기 제3-2 자력부(5113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5113m1)와 상기 제3-2 자력부(5113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5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5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5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5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5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5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5113)는, 상측에 제3-3 자력부(5113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5113m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5111)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5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5113m3)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5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5112m3)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5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5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5113m3)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5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5112m3)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된다.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에는 결속부재(E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는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 또는 기타 주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 플라스틱, 금속 재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폐 기능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부재(EM1)는 영구결합 또는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1 자력부(4113m1) 상에는 소정의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SN1)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3 자력부(4112m3) 상에는 소정의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SN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제1 공급부 111 : 제1 수용부
112 : 제1 이송부 120 : 거치부
121 : 테이블 122 : 지그
131 : 제1 암유닛 132 : 제2 암유닛
133 : 압입유닛 134 : 제3 암유닛
135 : 제4 암유닛 140 : 제2 공급부
141 : 제2 수용부 142 : 제2 이송부

Claims (20)

  1. 소정의 몸체부;
    복수의 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구비되는 거치부;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 상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부;
    상기 각 대상물 상호간을 코킹(caulking) 가공하기 위한 압입유닛; 및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각 대상물을 상기 거치부 상으로 투입하며 상기 압입유닛을 통해 코킹된 대상물을 선별하고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제1 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부 및 제2 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유닛은,
    상기 제1 대상물을 픽업하여 상기 거치부 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암유닛과,
    상기 제2 대상물을 픽업하여 상기 거치부 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암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회전형 테이블과,
    상기 회전형 테이블 상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암유닛은 상기 제1 대상물을 픽업하여 상기 지그 상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2 암유닛은 상기 제1 대상물이 위치된 지그 상에 상기 제2 대상물을 위치시켜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이 가결합시켜 가결합품을 만드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유닛은 소정의 제3 암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입유닛은 상기 지그 상에서 상기 가결합품을 코킹 가공하여 가공품으로 만들고,
    상기 제3 암유닛은 상기 가공품을 픽업하여 배출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암유닛은 소정의 제4 암유닛과,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형상, 나산의 개수, 나사산 표면 손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비전 검사모듈과,
    상기 가공품의 설정 기준치 만족 여부에 따른 양품 및 불량 선별을 위한 선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암유닛은 상기 선별모듈에 의하여 양품으로 선별된 가공품을 픽업하여 배출시키고,
    상기 제4 암유닛은 상기 선별모듈에 의하여 불량으로 선별된 가공품을 픽업하여 배출시키며,
    상기 제1 대상물은 커넥터이며 상기 제2 대상물은 브라켓인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하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 댐퍼는,
    코일스프링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와,
    상기 제1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1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와,
    상기 제2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2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고,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형상체는,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기 제1-1 자력부가 상기 제1-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1-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편형상체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는 상기 제2-1 자력부가 상기 제2-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184292A 2017-12-29 2017-12-29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KR10188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92A KR101880042B1 (ko) 2017-12-29 2017-12-29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92A KR101880042B1 (ko) 2017-12-29 2017-12-29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042B1 true KR101880042B1 (ko) 2018-07-19

Family

ID=6305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92A KR101880042B1 (ko) 2017-12-29 2017-12-29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876B1 (ko) * 2021-10-27 2022-04-01 홍천석 전선터미널 압착시스템
WO2023003179A1 (ko) * 2021-07-23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조립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494B1 (ko) * 1995-03-15 1999-04-15 김광호 광커넥터용 세라믹 페룰 및 플렌지 자동 조립장치
KR101025194B1 (ko) 2003-12-26 2011-03-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적차량 단속시스템
KR101420295B1 (ko) * 2013-07-18 2014-07-16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의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494B1 (ko) * 1995-03-15 1999-04-15 김광호 광커넥터용 세라믹 페룰 및 플렌지 자동 조립장치
KR101025194B1 (ko) 2003-12-26 2011-03-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적차량 단속시스템
KR101420295B1 (ko) * 2013-07-18 2014-07-16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의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79A1 (ko) * 2021-07-23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조립 장치
KR102381876B1 (ko) * 2021-10-27 2022-04-01 홍천석 전선터미널 압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42B1 (ko)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KR101922832B1 (ko) 내진 보강용 철골 구조물 및 그의 코팅 가공방법
CN106442120A (zh) 一种t型角接接头的疲劳试验夹具装置
CN104081068B (zh) 线性引导装置
KR101714242B1 (ko) 리브너트 용접용 전극유닛
CN205157315U (zh) 异面拉伸夹具
CN108000116B (zh) 一种管类部件压入设备及压入方法
KR20130087885A (ko) 너트 자동용접기의 상부전극장치용 너트 클램프
CN209681655U (zh) 一种弹性涨紧定位机构
CN212371639U (zh) 一种出油阀偶件铰珩夹具
CN101533036A (zh) 探针支撑装置
CN208601181U (zh) 一种金属板开孔检测治具
CN107755526A (zh) 上模芯及c型模具
KR101889234B1 (ko) 전사지 제조장치
CN107930921A (zh) 一种用于汽车内装喷涂的关门夹具
KR101869210B1 (ko) 진공증착장치를 이용한 로크핸들장치 증착방법
CN113275723A (zh) 一种焊接设备以及焊接方法
CN204177667U (zh) 一种力学试验机的同轴对中调节平台
CN206925582U (zh) 一种车轮二次装夹装置
KR101955915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CN106840859A (zh) 异面拉伸夹具
KR101954071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CN202990428U (zh) 混凝土输送管的缓冲支架装置和具有其的混凝土泵车
KR101917562B1 (ko) 에어 리크 검사 장치
KR101880527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