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209B1 -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209B1
KR101869209B1 KR1020170184299A KR20170184299A KR101869209B1 KR 101869209 B1 KR101869209 B1 KR 101869209B1 KR 1020170184299 A KR1020170184299 A KR 1020170184299A KR 20170184299 A KR20170184299 A KR 20170184299A KR 101869209 B1 KR101869209 B1 KR 10186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coil spring
handle
support
forc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윤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규중 filed Critical 윤규중
Priority to KR102017018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1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3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inserts and spacers between the windings for changing the mechanical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핸들 축의 둘레 면에 제1 캠 면과 제2 캠 면을 형성하여 케이스의 축 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후면 내부에 형성된 잠금 수납부에 잠금 부재의 내부 케이스를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면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래치가 전면과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의 잠금 홈에 잠금 및 해제되어 핸들을 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하부에 스톱퍼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의 바닥면 양 측면에 걸림 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턱과 걸림 턱의 사이에 제1,2 가이드 홈을 형성하되, 상기 로크핸들장치는 진공증착장치를 통해 증착 가공이 적용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핸들 축에 결합되는 캠 축과 회전 제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진공증착 가공을 적용하여 유지 보숙 관리 등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LOCKING HANDLE ASSEMBLY BY VACCUM DEPOS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축에 결합되는 캠 축과 회전 제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진공증착 가공을 적용하여 유지 보숙 관리 등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핸들은, 몸체 하부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노브의 하단이 해제되면서 노브 상부의 축에 설치된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위로 들려지도록 하는 방식과, 노브의 축 후방에 돌출된 부위를 누르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노브의 하부가 들려지도록 하는 방식이 있으며, 하부가 들려진 노브를 옆으로 90°회전시키는 방식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대부분 노브의 축 후방에 설치된 걸쇠가 레버운동하도록연결되어 있어서 노브를 젖혀 올리면 걸쇠가 문틀을 구속하다가 해제되며, 노브를 다시 눌러서 잠그면 걸쇠가 올라가며 문틀을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걸쇠와 노브가 반시계방향으로만 축회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노브를 우측으로 돌리면 걸쇠도 따라서 우측으로돌아 문틀로부터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배전반의 문을 열고자 할 때나 잠그려고 할 때 걸쇠가 문틀에 밀접되어 있어서 노브를 옆으로 돌릴 때 뻑뻑하여 잠그거나 열 때 어려움이 따랐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걸쇠를 문틀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조립하면 노브를 조작할 때 소음이 나거나 문과 문틀 사이에 갭이 생겨 외관을 해치고 덜커덩거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문이 문틀에 밀접되게 잠기지 않으 면 배전반 내부로 물이나 먼지 또는 벌레 등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존의 기술개발을 통하여 어느정도 해소되고 있으나, 정작 로크핸들장치의 유지 보수 관리 등에 있어서는 여전히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 후 동작과 유지 보수 관리가 모두 용이한 로크핸들이 부재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0895호
본 발명은, 핸들 축에 결합되는 캠 축과 회전 제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진공증착 가공을 적용하여 유지 보숙 관리 등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크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핸들 축(11)의 둘레 면에 제1 캠 면(12)과 제2 캠 면(13)을 형성하여 케이스(20)의 축 수납부(22)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10)의 후면 내부에 형성된 잠금 수납부(15)에 잠금 부재(16)의 내부 케이스(17)를 삽입하여 볼트(B)로 고정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17)의 전면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래치(19)가 전면과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20)의 잠금 홈(25a)에 잠금 및 해제되어 핸들(10)을 케이스(20)에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20)의 전면 하부에 스톱퍼(22)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22)의 바닥면 양 측면에 걸림 턱(23)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턱(23)과 걸림 턱(23)의 사이에 제1,2 가이드 홈(24)(24a)을 형성하되, 상기 로크핸들장치는 진공증착장치를 통해 증착 가공이 적용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핸들의 후면에 잠금 부재의 실린더가 설치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실린더에 결합되는 열쇠를 최초 핸들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와, 핸들 축에 결합되는 캠 축과 회전 제어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킨 효과가 있다.
둘째, 부품 전체 또는 일부 상에 진공증착 가공을 적용하여 유지 보숙 관리 등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로크핸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크핸들장치를 뒤집은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핸들과 잠금 부재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로크핸들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로크핸들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로크핸들장치를 진공증착하기 위한 진공증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는 도 5에 따른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도 5에 따른 B 방향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은 도 5에 따른 로크핸들장치를 진공증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증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17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a와 도 27b,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20)의 내부에 핸들(10)이 결합되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동작과 회전 작동에 의해 핸들(10)의 핸들 축(11)에 결합된 캠 축(26), 회전 제어판(29) 및 걸쇠(30)가 함께 회전하면서 문틀에서 걸쇠(30)가 해제되면서 문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핸들(10)은, 전면 하부에 핸들 축(11)이 돌출되고, 상기 핸들 축(11)의 내부에 후술할 캠 축(26)과 연결되는 고정핀(14)이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 축(11)에 결합하는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하단에 위치한 바닥면에는 제1 캠 면(12)이 수평방향으로 평면을 유지하여 후술할 케이스(20)의 축 수납부(21)와 밀착되면서 핸들(10)이 케이스(20)의 내부에 수납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캠 면(12)의 전면에는 제2 캠 면(13)이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핸들(10)이 회전하면 제1 캠 면(12)에서 제2 캠 면(13)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축 수납부(21)와 수평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핸들(10)의 후면에는 잠금 수납부(15)를 형성하여 후술할 잠금 부재(16)가 내부에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 수납부(15)의 벽면에는 볼트구멍(15a)을 형성하여 내부에 체결되는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잠금 수납부(15)에 볼트(B)로 고정되는 잠금 부재(16)는 내부 케이스(17)의 후면 내측에 볼트구멍(17a)을 형성하여 잠금 수납부(15)의 볼트구멍(15a)을 관통한 볼트(B)에 의해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17)의 전면 내측에 실린더 수납부(17a)를 형성하여 내부에 실린더(18)를 결합하며, 상기 실린더(18)는 내부 케이스(17)에 핀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18)의 상부에는 열쇠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열쇠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18)의 저면에는 회전돌기(18a)를 돌출시켜 실린더(18)의 하단에 위치한 래치(19)를 작동시키되, 상기 래치(19)는 상부 내측에 회전돌기(18a)가 삽입되도록 회전돌기 수납부가 형성되어 회전돌기(18a)의 회전 운동에 의해 래치(19)가 후면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케이스(20)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핸들(10)을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래치(19)의 하단 내측에는 스프링(19a)이 내장되어 후면으로 이동한 래치(19)를 전면으로 밀어주면 회전돌기(18a)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래치(19)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래치(19)는 회전돌기(18a)에 의해 전면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래치(19)의 전면에 위치한 선단 부는 케이스(20)의 내측에 형성된 잠금 홈(25a)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핸들(10)이 케이스(2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케이스(20)의 상부로 분리된 핸들(10)을 케이스(20)의 내부로 눌러주면 래치(19)가 케이스(20)의 내측 벽면과 밀착되면서 후면으로 이동하다가 잠금 홈(25a)에 도달하면 스프링(19a)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핸들(10)이 케이스(20)에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핸들(10)의 핸들 축(11)이 축 수납부(21)에 설치되는 케이스(20)는, 문의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둘레 면에 플랜지가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전면에는 축 수납부(22)를 형성하여 핸들(10)의 핸들 축(11)을 수납하며, 상기 축 수납부(22)의 전면에 위치한 벽면을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핸들 축(11) 의 제2캠 면(13)이 회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핸들 축(11)의 제1 캠 면(12)이 위치한 후면 벽면 또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며, 상기 축 수납부(21)가 형성된 케이스(20)의 하부에 스톱퍼(22)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스톱퍼(22)의 바닥면 양 측면에 걸림 턱(23)을 돌출하며, 상기 걸림 턱(23)과 걸림 턱(23)의 사이에 제1,2 가이드 홈(24)(24a)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가이드 홈(24)은 스톱퍼(22)의 후면에 위치한 걸림 턱(23)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홈(24a)은 스톱퍼(22)의 전면에 위치한 걸림 턱(23)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상기 제1,2 가이드 홈(24)(24a)이 서로 연결되는 내측 벽면에 가이드 경사면(24b)을 형성하여 후술할 제1 가이드 홈(24)에 삽입되는 제1 회전돌기(29a)가 가이드 경사면(24b)을 상부로 이동하였다가 제2 가이드 홈(25)에 위치한 가이드 경사면(24b)을 따라서 제2 가이드 홈(25)의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2 가이드 홈(24)(24a)의 반대편에 위치한 걸림 턱(23)과 걸림 턱(23)의 사이는 제2 회전돌기(29b)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이 비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케이스(20)의 상부 후면에는 잠금 안착부(25)를 형성하여 핸들(10)의 잠금 수납부(15)와 잠금 부재(16)가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잠금 안착부(25)의 전면 벽면에는 잠금 홈(25a)을 형성하여 래치(19)가 잠금 및 해제된다.
상기 축 수납부(21)에 설치되는 핸들 축(11)과 고정핀(14)으로 결합하는 캠축(26)은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내측에 고정핀(14)이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축(26)의 상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핸들축(11)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하며, 상기 캠 축(26)의 둘레 면은 스톱퍼(22)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면서 핸들(10)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캠 축(26)의 둘레 면 내측에는 패킹(27)이 삽입되도록 패킹 홈(26a)이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22)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패킹(27)의 하단에는 스냅 링(27a)이 설치되도록 스냅링 홈(26b)을 형성하고, 상기 스냅 링(27a)의 상부에 지지판(28)을 설치하여 지지판(28)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8a)을 지지하여 스프링(28a)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판(28)과 캠 축(26)이 하단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스냅 링(27a)의 하단에는 회전 제어판(29)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 제어판(29)의 내부에는 지지판(28)의 둘레 면이 밀착된다.
상기 회전 제어판(29)의 내부에는 캠 축(26)의 저면과 동일하게 사각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캠 축(26)과 회전 제어판(29)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 제어판(29)의 둘레 면에 위치한 양 측면에는 제1,2 회전돌기(29a)(29b)가 돌출되고, 상기 제1 회전돌기(29a)는 제2 회전돌기(29b)의 두께보다 낮게 형성하여 스톱퍼(22)의 제1 가이드 홈(24)에서 제2 가이드 홈(25)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회전 제어판(29)의 저면에는 걸쇠(30)와 와셔(31)가 삽입되어 볼트(32)에 의해 캠 축(26)에 일체로 고정되어 핸들(10)을 들어올리면 제1 캠 면(12)에서 제2 캠 면(13)의 위치가 변동되는 동시에 제1 캠 면(12)의 높이보다 제2 캠 면(13)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높이 차이만큼 스프링(27a)의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여 문틀에 밀착된 걸쇠(30)가 하단부로 이동한 다음 핸들(10)의 회전에 의해 걸쇠(30)가 함게 회전하여 문을 열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로크핸들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열쇠를 실린더의 열쇠구멍에 삽입하여 열쇠를 회전하면 회전돌기(18a)의 회전운동에 의해 래치(19)가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잠금 홈(25a)에서 래치(19)가 일부분만이라도 분리되면 열쇠를 분리하고도 핸들(10)을 케이스(2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분리한 열쇠는 핸들(10)을 케이스(20)에 다시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 하더라도 열쇠를 사용하지 않아도 래치(19)가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 홈(25a)에 근접하면 래치(19)가 후면으로 이동하였다가 스프링(19a)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잠금 홈(25a)에서 분리된 래치(19)는 핸들(1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스프링(19a)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케이스(20)에서 분리되는 핸들(10)은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핸들축(11)이 회전하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캠 면(12)에서 제2 캠 면(13)으로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제1 캠 면(12)에서 제2 캠 면(13)으로 변경되는 높이의 차이만큼 스프링(27a)이 하단부로 밀어주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판(28), 회전 제어판(29), 캠 축(26)과 걸쇠(30)가 하단부로 이동하여 문틀에 밀착되어 있는 걸쇠(30)의 회전 작업이 수월해지고, 이때 핸들(10)을 좌측으로 회전하면 제1 가이드 홈(24)에 위치한 제1 회전돌기(29a)가 가이드 경사면(24b)을 따라서 신속하게 이동하여 제2 가이드 홈(24a)의 가이드 경사면(24b)에 제1 회전돌기(29a)가 위치하면 핸들(10)이 하단부로 조금 내려가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제2 가이드 홈(24a)에 제1 회전돌기(29a)가 삽입되어 문을 개방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회전돌기(29b)는 스톱퍼(22)의 전면에 위치한 걸림 턱(23)에서 후면에 위치한 걸림 턱(23)으로 이동하면서 핸들(10)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도록 핸들(10)의 회전을 제어한다. 반대로 문을 닫기 위해서 핸들(10)을 회전하면 제1 회전돌기(29a)가 제2 가이드 홈(24a)에서 제1 가이드 홈(24)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 홈(24)의 가이드 경사면(24b)에 제1 회전돌기(29a)가 도달하면 가이드 경사면(24b)의 각도만큼 핸들(10)이 자연스럽게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1 회전돌기(29a)가 제1 가이드 홈(24)에 삽입되는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이때 핸들(10)을 살짝 눌러주면 래치(19)가 잠금 안착부(25)의 내측 벽면과 밀착되면서 후면으로 이동하였다가 잠금 홈(25a)에 도달하면 스프링(19a)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19)가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핸들(10)이 케이스(2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핸들(10)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제1 회전돌기(29a)는 제1 가이드 홈(24)을 따라서 수직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가이드 경사면(24b)을 따라서 이동한 다음 제2 가이드 홈(24a)이 위치한 곳까지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한 특징과, 제1 회전돌기(29a)가 제2 가이드 홈(24a)에서 제1 가이드 홈(24)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 홈(24)의 가이드 경사면(24b)에 도달하면 핸들(10)이 자연스럽게 하단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캠 축(26)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중심점을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위치 선택이 가능한 특징과, 제1회전돌기(29a)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경사면(24b)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무리하게 핸들(10)을 작동시켜 제1 회전돌기(29a)가 제1,2 가이드 홈(24)(24a)의 벽면과 충돌하는 문제점과, 특히 핸들(10)을 무리하게 눌러 내리는 과정에서 스톱퍼(22)의 부품들과, 제1 회전돌기(29a)가 파손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전술한 로크핸들장치는 전체 구성 또는 일부구성이 진공증착장치에 의하여 진공증착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진공증착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로크핸들장치를 진공증착하기 위한 진공증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B 방향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중앙의 진공챔버(110) 양쪽 위치에 증착을 위한 피가공물(LH)(즉, 로크핸들장치 전체 또는 구성 일부에 해당 됨.)이 진입되는 투입부(120)가 구비되고, 피가공물(LH)은 이송수단에 의해 한 쌍의 투입부(120)를 통해 진공챔버(110)에 연속적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공챔버(110)는 중앙부의 제1진공챔버(118)를 포함하며, 제1진공챔버(118)의 양쪽 위치에는 한 쌍의 이온소스구간(116)이 배치되고, 각 이온소스구간(116)에는 한 쌍의 버퍼구간(112)이 이어지며, 각각의 버퍼구간(112)과 투입부(120) 사이에는 제2진공챔버(114)가 배치되어, 증착 코팅될 피가공물(LH)이 양쪽에서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부(120)는 진공챔버(110)를 기준으로 피가공물(11) 이송라인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투입부(120)에는 이송수단(컨베이어 벨트 등)이 설치되어, 지그(또는, 파렛트)에 장착된 피가공물(11)이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부(120)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입부(120)는 실린더 등의 승강작동수단(124)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는 챔버도어(124)에 의해 진공챔버(110)의 투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공챔버(110)는 중앙부의 제1진공챔버(118)와, 이 제1진공챔버(118)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진공챔버(118)와 한 쌍의 투입부(120)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진공챔버(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진공챔버(118)와 제2진공챔버(114)는 사각 챔버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진공챔버(118)는 상측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패널(118)이 구비되어, 이 회동패널(118)의 저면에 후술할 제3타겟(146)과 제4타겟(148)이 장착되어 있다. 제1진공챔버(118)의 양쪽 위치에는 한 쌍의 이온소스구간(116)이 이어지고, 이온소스구간(116)에는 한 쌍의 버퍼구간(112)이 이어지며, 버퍼구간(112)의 내부로는 진공장치가 연결되어, 진공장치에 의해 버퍼구간(112)과 이온소스 구간(116) 및 제1진공챔버(118)가 베이스 진공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버퍼구간(112)의 내부에는 저진공장치(126)와 중진공장치(128) 및 고진공장치(130)에 의해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이온소스구간(116)은 물론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에 최적화된 베이스 진공이 잡히도록 한다. 상기 제2진공챔버(114)도 사각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의 버퍼구간(112)과 각각의 투입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2진공챔버(114)가 제1진공챔버(118)의 양쪽 위치에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제2진공챔버(114)의 내부는 저진공장치(126)와 중진공장치(128)에 의해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제2진공챔버(114) 내부의 진공도가 제1진공챔버(118)의 진공도보다 낮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진공챔버(114)와 버퍼구간(112) 사이에는 승강작동수단(132)에 의해 베큐업 게이트(1Vacuum gate)(134)가 상하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베큐엄 게이트(134)를 닫으면 제1진공챔버(118)와 버퍼구간(112) 및 이온소스구간(116)이 베이스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한쪽의 제2진공챔버(114)에서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한 쪽의 콘베이어 벨트와, 반대쪽의 제2진공챔버(114)에서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다른 쪽의 콘베이어 벨트 등으로 구성된다. 즉,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콘베이어 벨트 등이 제1진공챔버(118)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으로 배열된 구성을 이룬다. 또한, 각각의 콘베이어 벨트는 피가공물(11)을 제1진공챔버(118)에 투입하고 제1진공챔버(118)에서 다시 인출하기 위해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지그(또는, 팔레트)에 장착된 피가공물(11)이 한 쪽의 이송수단에 의해 한 쪽의 투입부(120)로 투입되면, 챔버 도어(124)가 열리면서 제2진공챔버(114)의 내부로 피가공물(11)이 투입되고 계속해서 버퍼구간(112)으로 투입된다. 동시에, 다른 쪽의 이송수단에 의해 피가공물(11)이 반대쪽의 투입부(120)로 투입되면, 다른 쪽의 챔버 도어(124)가 열리면서 제2진공챔버(114)를 지나서 다른 쪽의 버퍼구간(112)으로 투입된다. 이어서, 한 쪽의 프로세스 구간(1즉, 한 쪽의 투입부(120)와 제2진공챔버(114) 및 버퍼구간(112))에서 제1진공챔버(118) 내부로 피가공물(11)이 투입되고, 상기 타겟(140)에 의해 스퍼터링되는 증착용 재료가 피가공물(11) 표면에 증착됨으로써, 피가공물(11) 표면에 증착 코팅막을 형성한다.
한편, 다른 쪽 프로세스 구간(1즉, 다른 쪽의 투입부(120)와 제2진공챔버(114) 및 버퍼구간(112))에서의 피가공물(11)은 한 쪽 프로세스 구간의 피가공물(11)이 증착 코팅되는 동안 제2진공챔버(114)에서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한 쪽 프로세스 구간에서의 피가공물(11)의 증착 코팅이 완료되면, 이송수단의 한 쪽 컨베이어 벨트가 역회전하여 증착 코팅된 피가공물(11)을 다시 제1진공챔버(118)와 이온소스구간(116) 및 제2진공챔버(114)를 거쳐 한쪽의 투입부(120) 방향으로 인출한다. 동시에, 다른 쪽 프로세스 구간의 제2진공챔버(114)에 대기하고 있던 피가공물(11)이 이송수단에 의해 다른 쪽의 버퍼구간(112)과 이온소스구간(116)을 거쳐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로 투입되어 표면에 증착 코팅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쪽 프로세스 구간의 피가공물(11)이 증착 코팅이 완료되어 다시 인출될 때, 동시에 다른쪽 프로세스 구간의 피가공물(11)이 진공챔버(110)로 투입되어 증착 코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진공챔버(110)를 중심으로 피가공물(11)의 양쪽으로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새로운 피가공물(11) 투입을 하기 위한 대기 시간 등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 없이 계속적으로 코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겟(140)이 설치되고, 타겟(140)은 피가공물(11)의 이송 방향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타겟(140)은 피가공물(11) 이송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1타겟(142)과, 제1타겟(142)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타겟(144)과, 제1타겟(14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피가공물(1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3타겟(146)과, 제3타겟(146)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4타겟(1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1타겟(142) 내지 제4타겟(148)으로 이루어진 타겟(140)이 피가공물(11)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되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타겟(142) 내지 제4타겟(148)을 기울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고품질의 증착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제1타겟(142)과 제2타겟(144)은 하측에 배치되고, 제3타겟(146)과 제4타겟(148)은 상측에 배치되어, 이송라인의 상하측 위치에 타겟(140)을 동시에 설치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피가공물(11)의 양면을 동시에 증착 코팅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11)의 상면을 먼저 코팅하고 피가공물(11)의 저면을 다시 코팅하였던 종래에 비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있는 사각형 피가공물(11)을 증착 코팅하는 경우, 제1타겟(142)과 제2타겟(144)에 의해 피가공물(11)의 저면과 전후 좌우측 둘레부가 균일하게 증착 코팅되고, 제3타겟(146)과 제4타겟(148)에 의해 피가공물(11)의 저면과 전후 좌우측 둘레부가 균일하게 증착 코팅되므로, 피가공물(11)의 형상에 관계없이 피가공물(11) 전체면에 대해 균질한 증착 코팅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1타겟(142) 내지 제4타겟(148)으로 이루어진 타겟(140) 유닛이 피가공물(11)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되도록 배열되므로, 피가공물(11) 표면에 대한 증착 코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피가공물(11)의 고품질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로 투입되는 피가공물(11) 표면에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소스구간(116)이 더 구비되어, 공정가스(예를 들어, Ar) 주입 후에 이온소스(116)(1Ion source)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1)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표면 개질(1표면 개선)을 실시하여 증착 코딩막(1layer)의 부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착 코팅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17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상기 진공증착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2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2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2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2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2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2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2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은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322)는 상기 중단유동체(3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10동체(3223)는 상기 중단유동체(3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3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2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상기 중단유동체(3222),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22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3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3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3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3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3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3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 유동체(3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2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2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은 상기 플레이트부(2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2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2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2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2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2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2231a1)와, 상기 본체부(2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2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2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2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2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2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2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221)는, 상기 제1 가압체(2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221a)와 상기 바닥부(221)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221b)와 상기 바닥부(2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기 제3 가압체(2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2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211b)와, 제2 본체부(2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2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도 2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 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a와 도 27b,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를 거치하도록 지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510)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510)는 코일스프링(5100)과 하부하우징(5200), 하부지지체(5300), 상부하우징(5400) 및 상부지지체(5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스프링(510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하우징(5200)은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수용된다. 하부하우징(5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하부플랜지(5210)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과 하부플랜지(5210)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차가 하부플랜지(5210)의 하단에서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까지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5211)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하우징(5200)의 바닥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지지체(5300)는 하부하우징(5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5100)의 하단을 받치고, 하부지지체(5300)는 하부하우징(5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지지체(5300)와 하부하우징(520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53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하부받침돌부(5310)가 돌출되고, 하부받침돌부(5310)는 코일스프링(5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5100)을 받쳐서 지지하며 코일스프링(5100)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5100)의 하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부받침돌부(5310)가 삽입되어 하부받침돌부(53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되었다시피 하부받침돌부(5310) 역시 하부지지체(5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5300)와 하부받침돌부(53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도 형성가능하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언급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요약공업재료 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해 금속을 대체할 수 있고, 내열온도 100℃이상, 강도 49㎫이상, 굽힘탄성계수 2.4㎬ 이상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구조의 수지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강도·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내마모성·내열성·내한성·내약품성·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다. 또한 일반 플라스틱은 절연성을 특징으로 삼고 있었는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분자의 조립법에 따라서 도전성을 지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한다. 상부하우징(5400)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5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한다. 상부하우징(5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상부플랜지(5410)가 돌출되고,상부하우징(5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54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5400)이 베이스몸체부(1110)과 결합했을 때,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은 상부플랜지(5410)의 상면과 마주보고,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과 상부플랜지(5410)의 상면과 서로 맞닿았을 때 상부플랜지(5410)는 베이스몸체부(1110)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설치되고, 볼트(5412)가 고정편(54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며 상부플랜지(54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상부플랜지(54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치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하부하우징(5200)을 향한 내측 끝단이 호선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고정편(5411)의 내측 끝단의 곡률반경은 하부하우징(5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5210)의 곡률반경의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본 발명이 수평면에 놓여있을 때 단차가 형성된 위치, 즉경사곡면(5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5411)이 상부하우징(54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5200)과 상부하우징(5400)은 서로 이탈이 방지되고,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제거되어야 하부하우징(5200)과 상부하우징(5400)은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편(5411)은 경사곡면(5211)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5100)은 상부하우징(5400)과 상부지지체(5500)의 하중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라 압박을 받고 있으므로, 고정편(5411)과 경사곡면(5211)이 맞닿아 있으면 본 발명을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상부하우징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코일스프링(51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5411)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가능하다. 도 29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5400)이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예컨대, 나사결합 등)하고, 수평이 아닌 바닥에서 상부하우징(5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부하우징(5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420)에 의해 베이스몸체부(11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다.
도 30(a)는 상부하우징(5400)의 상부에 베이스몸체부(1110)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경우 베이스몸체부(1110)와 상부하우징(5400)이 별도의 결합수단 예컨대, 흡착판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30(b) 내지 도 30(d)는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5400)이 별도의 브래킷(52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지만, 본 상세한 설명에는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하우징(5400)이 삽입되어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브래킷(5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지지체(5500)는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부지지체(5500)의 하면에는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5510)가 포함되어 설치되되, 상부받침돌부(5510)는 상부지지체(5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부받침돌부(5510)가 삽입되어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와 상부받침돌부(55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상부지지체(5500)와 상부받침돌부(55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하지만,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5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부에 오목부(5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5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5430)에 볼록부(5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또는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5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는 볼록부(5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5530)가 형성되어, 오목부(5530)에 볼록부(5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점접촉을 하여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접점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해 접점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 또는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이 설치된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놓여진다면 본 발명이 기울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코일스프링(5100)이 좌굴되면(휘어지면) 진동 흡수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받침돌부(5310)와 상부받침돌부(55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코일스프링(5100)의 좌굴을 방지하고, 본 발명이 측정장비나 관측장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 천정과 상부지지체(5500)의 점접촉을 통해 진동이 연직(5鉛直)방향으로 코일스프링(5100)에 전달되므로 진동흡수가 코일스프링(5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상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하부하우징(5200)의 바닥 상면에 하부지지체(5300)를 설치하고, 바닥 하면에 미끄럼방지부재(5220)를 설치한다 하부하우징(5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부플랜지(5210)가 바깥으로 돌출되며, 하부플랜지(5210)는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과 단차를 이루되, 상기 단차는 하부플랜지(5210)의 하단과 하부하우징(5200)의 외주면을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5211)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압축 코일스프링(5100)을 하부하우징(5200)에 수용시키되, 하부지지체(5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미리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하부받침돌부(5310)가 코일스프링(5100)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 내측과 하부받침돌부(53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5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지지체(5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상부받침돌부(5510)가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 내측과 상부받침돌부(55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5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하우징(5400)이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하도록 덮으며,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와 상부지지체(5500)는 당연히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부하우징(5400)은 하부하우징(5200)의 하부플랜지(52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하우징(5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5410)가 형성되며, 상부플랜지(5410)의 상방으로 상부하우징(5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5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5411)이 설치되되, 고정편(5411)에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 되어 볼트(5412)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편(5411)은 상부플랜지(5410)의 하면에 기타 다른 방식(5예컨대, 접착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하부하우징(5200)의 경사곡면(5211)을 향한 내측 단부가 하부하우징(5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5210)의 곡률반경 사이의 값을 갖는 호선형이고 내측 단부가 경사곡면(5211)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편(5411)은 경사곡면(5211)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5200)과 상부하우징(54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5430)가 형성되고, 오목부(5430)보다 작은 꼭지각을 갖는 볼록부(5520)가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삽입되며, 오목부(5430)와 볼록부(5520)가 각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오목부(5430)와 볼록부(5520)가 각 꼭지점에서 점접촉을 하므로 접점을 통해 연직방향으로 코일스프링(5100)에 진동이 전해져서 코일스프링(5100)은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볼록한 볼록부(5440)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볼록부(5440)보다 큰 꼭지각을 같는 오목부(5530)가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볼록부(5440)가 오목부(553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상부하우징(5400)을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의 관통공은 상부하우징(5400)의 나사산(5420)과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5400)은 나사결합하고, 이로 인해 수평이 아닌 바닥면에서도 상부하우징(5400)의 회전을 통해 베이스몸체부(1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몸체부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고 측정 또는 관측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510)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므로 더욱 정밀한 측정 또는 관측이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상부하우징(5400)은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 코일스프링(5100)은 압축되고, 고정편(5411)은 경사곡면(5211)이 아닌 하부하우징(5200)의 외면까지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5400)이 장비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의 점접촉으로 인해 복수개의 고정편(5411) 중 일부가 하부하우징(5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5211)에 닿게 되어 상부하우징(5400)이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하우징(5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5211)에 맞닿은 고정편(5411)이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의 접점을 기준으로 낮아지는 만큼 마주하는 고정편(5411)은 들려지게 된다. 만약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었다고 하더라도, 오목부(5430, 5530)와 볼록부(5440, 520)가 점접촉을 이루어 하중과 진동은 연직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코일스프링(5100)의 탄성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진동 흡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5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5200)과, 상기 하부하우징(5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구되며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의 바닥면에서 세로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5330)이 형성된 하부지지체(5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5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5400)과, 상기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을 지지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지지체(5300)의 가이드홀(53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상부받침돌부(5510)가 형성된 상부지지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체(5300)의 상단이 개구된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장착홈(532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가이드홀(5330)이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체(55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부받침돌부(55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코일스프링(5100) 내부를 관통하고, 하부지지체(5300)에 형성된 가이드홀(53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므로, 상부받침돌부(5510)가 가이드홀(5330)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5100)은 상부받침돌부(5510)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스프링(5100)의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같이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5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부에 오목부(5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5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5430)에 볼록부(5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부하우징(5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5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5500)의 상면에는 볼록부(5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5530)가 형성되어, 오목부(5530)에 볼록부(5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5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흡수 댐퍼(510)는, 코일스프링(5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5200)과, 상기 하부하우징(5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5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5200)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5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5400)과, 상기 상부하우징(5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5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체(53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5310)와, 상기 상부지지체(55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5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돌부(5310)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5311)와, 상기 제1 중앙몸체(5311) 양측으로 제1 브릿지(53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5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몸체(53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5311)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5510)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5511)와, 상기 제2 중앙몸체(5511) 양측으로 제2 브릿지(55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5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몸체(55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5511)로부터 진퇴 유동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100)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511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511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5113)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5110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5111m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5111)는 상기 제1-1 자력부(5110m1)가 상기 제1-2 자력부(5111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1 자력부(5110m1)와 상기 제1-2 자력부(5111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편형상체(5112)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5112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5112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5112)는 상기 제2-1 자력부(5112m1)가 상기 제2-2 자력부(5112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1 자력부(5112m1)와 상기 제2-2 자력부(5112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5113)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5113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5113m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5113)는 상기 제3-1 자력부(5113m1)가 상기 제3-2 자력부(5113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5113m1)와 상기 제3-2 자력부(5113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5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5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5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5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5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5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5113)는, 상측에 제3-3 자력부(5113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5113m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5111)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5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5113m3)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5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5112m3)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5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5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5113m3)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5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5112m3)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된다.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에는 결속부재(E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는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 또는 기타 주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 플라스틱, 금속 재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폐 기능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부재(EM1)는 영구결합 또는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1 자력부(4113m1) 상에는 소정의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SN1)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3 자력부(4112m3) 상에는 소정의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SN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핸들 11: 핸들 축
12: 제1 캠 면 13: 제2 캠 면
14: 고정핀 15: 잠금 수납부
16: 잠금 부재 17: 내부 케이스
17a: 실린더 수납부 18: 실린더
18a: 회전돌기 19: 래치
19a: 스프링 20: 케이스
21: 축 수납부 22: 스톱퍼
23: 걸림 턱 24: 제1 가이드 홈
24a: 제2 가이드 홈 25: 잠금 안착부
25a: 잠금 홈 26: 캠 축
27: 패킹 27a: 스냅링
28: 지지판 28a: 스프링
29: 회전 제어판 29a: 제1 회전돌기
29b: 제2 회전돌기 30: 걸쇠
31: 와셔 32: 볼트

Claims (19)

  1. 로크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핸들 축의 둘레 면에 제1 캠 면과 제2 캠 면을 형성하여 케이스의 축 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후면 내부에 형성된 잠금 수납부에 잠금 부재의 내부 케이스를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전면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래치가 전면과 후면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의 잠금 홈에 잠금 및 해제되어 핸들을 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하부에 스톱퍼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스톱퍼의 바닥면 양 측면에 걸림 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턱과 걸림 턱의 사이에 제1,2 가이드 홈을 형성하되, 상기 로크핸들장치는 진공증착장치를 통해 증착 가공이 적용되되,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내부가 진공장치에 의해 베이스 진공이 형성되도록 된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양측에서 피가공물을 투입하고 배출하도록 된 한 쌍의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챔버는 소정의 구조물에 의하여 거치되며,
    상기 구조물의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것인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 댐퍼는,
    코일스프링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와,
    상기 제1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1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와,
    상기 제2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2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고,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부받침돌부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기 제1-1 자력부가 상기 제1-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1-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편형상체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는 상기 제2-1 자력부가 상기 제2-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편형상체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기 제3-1 자력부가 상기 제3-2 자력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와 상기 제3-2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형상체는,
    상측에 제1-3 자력부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는,
    상측에 제2-3 자력부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측에 제3-3 자력부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와 상기 제3-3 자력부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는 상기 제2-3 자력부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와 상기 제3-3 자력부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는 상기 제2-3 자력부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되는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70184299A 2017-12-29 2017-12-29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KR10186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99A KR101869209B1 (ko) 2017-12-29 2017-12-29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99A KR101869209B1 (ko) 2017-12-29 2017-12-29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209B1 true KR101869209B1 (ko) 2018-06-19

Family

ID=6279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99A KR101869209B1 (ko) 2017-12-29 2017-12-29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2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895B1 (ko) 2000-03-14 2004-03-02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꽂고 빼기형 로크핸들장치
KR101802408B1 (ko) * 2015-12-22 2017-11-28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895B1 (ko) 2000-03-14 2004-03-02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꽂고 빼기형 로크핸들장치
KR101802408B1 (ko) * 2015-12-22 2017-11-28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7159A (zh) 包含结合的托架的器具装置
US4896905A (en) Three-point latch for switch cabinet
KR101869209B1 (ko) 진공증착 가공된 로크핸들장치
KR101869210B1 (ko) 진공증착장치를 이용한 로크핸들장치 증착방법
KR100954757B1 (ko) 차량용 도어글라스 홀더 조립장치
US20090165253A1 (en) Temporary device for spacing an opening element with respect to a fixed element
US20200032393A1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including the same
US20190178599A1 (en) Reverse mount weapon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KR101880042B1 (ko) 커넥터 모듈 조립장치
KR101930675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KR101955915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KR101954071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DE19533402A1 (de) Substrat- und Maskenhaltevorrichtung
KR101556369B1 (ko) 절삭공구의 pvd 코팅 및 검사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코팅검사공법
KR20130051888A (ko) 증착 장치의 서셉터 상의 섀도우 마스크 및 기판의 고정
KR101880527B1 (ko)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US20030219508A1 (en) Apparatus for compensation of tilting in the mold closing units of injection molding machines
US20080206028A1 (en) Pod cover removing-installing apparatus
KR101216045B1 (ko)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587688B1 (ko) 화학 기상 증착 장치
KR102147298B1 (ko) 알루미늄 증착 작업용 부품 고정 지그
CN106736467B (zh) 一种锁螺丝机上的螺丝枪固定夹具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CN210547488U (zh) 整体式镶块调整键
CN208744117U (zh) 引擎锁可调安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