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233B1 -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233B1
KR101889233B1 KR1020170184283A KR20170184283A KR101889233B1 KR 101889233 B1 KR101889233 B1 KR 101889233B1 KR 1020170184283 A KR1020170184283 A KR 1020170184283A KR 20170184283 A KR20170184283 A KR 20170184283A KR 101889233 B1 KR101889233 B1 KR 10188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upport
delete delete
transfer sheet
transf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7018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2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e.g. decalcoman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54Devices for controlling dam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98Processes based on the production of stickiness patterns using powd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3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by contacting paper with an excess of material, e.g. from a reservoir or in a manner necessitating removal of applied excess material from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0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7S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전사용지를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권취된 전사용지를 체결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권취축을 형성한 권취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인쇄된 전사용지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는 살포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의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제거하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제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분말접착제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클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건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전단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및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지 제조장치는, 저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사지의 제조장치에서 작업공정을 전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형성하여, 전사지의 제조공정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사지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ransfer paper apparatus}
본 발명은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작업을 자동화하여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전사지의 제조시간과 작업인력을 절감하고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사지는 다양한 형상과 색상의 로고와 마크, 또는 캐릭터와 문자, 문양 등을 인쇄하여, 각종 의류와 가방, 모자와 신발 등의 다양한 생활용품의 표면에 전사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전사지를 제조하는 장치는, 전사용지에 스크린인쇄를 하도록 하는 스크린인쇄장치와, 인쇄된 전사용지의 인쇄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살포장치와, 전사용지의 인쇄표면 이외에 살포된 분말접착제를 털어내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제거장치와, 인쇄되고 분말접착제가 도포된 전사용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건조장치를 각각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전사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우선 전사용지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도록 하고, 일정규격의 전사지를 스크린인쇄장치에서 인쇄되도록 한 후에, 분말접착제살포장치로 이동하여 인쇄된 전사용지의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였다. 그 이후에 인쇄 표면 이외에 살포된 분말접착제를 분말접착제 제거장치로 이동하여 분말접착제를 털어내도록 하고, 건조장치로 이동하여 일정시간동안 건조하여, 전사지를 완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전사지를 제조하는 각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각 공정이 종료된 후에 타 장치로 이동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과 공정이 연속적이지 않고, 많은 작업인력과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인쇄용지를 일정규격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전사지를 제조하기 때문에, 그 제조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실정이었고, 인쇄용지를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와 크기의 문양으로 인쇄할 수 있는 인쇄 범위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사지를 제조하는 장치를 각각 구비하여 제조현장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각 기기장치로 인하여 제조 현장의 많은 공간을 점유하고 있어, 공장이나 제조현장의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826호
본 발명은, 제조작업을 자동화하여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전사지의 제조시간과 작업인력을 절감하고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사용지를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권취된 전사용지를 체결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권취축을 형성한 권취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인쇄된 전사용지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는 살포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의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제거하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제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분말접착제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클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건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전단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및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작업공정을 전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형성하여, 전사지의 제조공정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사지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전사지의 제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쇄되는 문양이나 문자가 보다 선명하고 자유로운 형상으로 인쇄할 수 있고, 작업현장에 전사기의 제조장치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권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살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이송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분말접착제 제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a와 도 25b, 도 26a와 도 2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권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살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이송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분말접착제 제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전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사용지를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권취부재(10)와, 전사용지를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부재(20)와, 인쇄된 전사용지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는 살포부재(30)와, 전사용지의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제거하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제거부재(40)와,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40)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분말접착제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클린부재(50)와, 전사용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건조부재(60)와, 전사용지를 절단하도록 하는 전단부재(70)와,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8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재(10)는 권취된 전사용지를 체결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권취축(11)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부재(20)는 상기 권취부재(10)에서 이송되는 전사용지를 인입하여 전사용지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솔(21)과, 상기 이물질제거솔(21)를 통과한 전사용지에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기(22)와, 상기 인쇄기(22)에서 인쇄된 전사용지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정전기제거기(23)를 형성한다.
상기 인쇄기(22)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축(24)에 관통, 체결되어 왕복 이송되어 전사용지의 표면을 인쇄하도록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포부재(30)는 상기 인쇄부재(20)에서 이송된 전사용지를 인입하여 분말접착제와 접촉시키도록 하는 로울러(31)와, 분말접착제를 저장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호퍼(32)와, 낙하된 분말접착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3)와, 상기 컨베이어(33)에서 이송된 분말접착제를 상기 호퍼(32)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부(34)를 형성한다.
상기 호퍼(32)는 분말접착제가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전사용지 표면에 균일하게 살포되도록 호퍼를 진동시키는 호퍼진동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4)는 상기 컨베이어(33)의 일측에서 호퍼(32)의 상단으로 연결되도록한 이송관(35)과, 상기 이송관(35) 내부에서 로울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이송컨베이어(36)와, 상기 이송컨베이어(36)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분말접착제를 상기 호퍼(32)로 이송시키는 이송구(37)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40)는 상기 살포부재(30)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하부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전사용지의 표면을 접촉, 타격하도록 하는 유연한 소재의 타격편(42)를 형성한다.
상기 에어클린부재(50)는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분말접착제를 흡입하도록 회전하는 회전팬(51)과, 흡입되는 분말접착제를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관(52)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부재(60)는 상기 에어클린부재(50)에서 이송되는 전사용지를 인입하여 통과시키도록 하는 건조부(61)와, 상기 건조부(61)의 하방에서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히터(62)와, 상기 건조부(61)의 상측에서 전사용지를 상부로 밀착되도록 흡입하는 흡입부(63)를 형성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부재(70)는 상기 건조부재(60)에서 이송된 전사용지를 공기로 냉각시키도록 하는 에어냉각부(71)와, 상기 에어냉각부(71)를 통과한 전사용지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커터부(72)와, 전사용지를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73)로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박스(80)는 각종 부재의 동작을 작동, 제어하도록 형성하고, 인쇄의 형태에 따라 상기 인쇄부재(20)를 작동을 조절하도록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P은 전사용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80)를 통하여 시스템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권취부재(10)의 권취축(1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권취축에 체결된 전사용지(P)는 상기 인쇄부재(2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솔(21)을 통과하게 되어, 전사용지 표면의 이물질과 오물을 제가하게 되고, 상부에 설치된 인쇄기(22)에 의해 전사용지 표면에 다양한 문양과 문자 등이 인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쇄기(22)는 상기 이동축(24)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쇄할 수 있고, 인쇄된 전사용지는 상기 정전기제거기(23)로 이송되어 전사용지 표면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여 이물질 등의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살포부재(30)의 로울러(31)에 의하여 이송된 전사용지(P)는 상기 호퍼(32)의 하방으로 배출, 살포되는 분말접촉제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전사용지(P)에 살포되고 낙하되는 분말접착제는, 상기 컨베이어(33)의 상단으로 낙하되어 이송되고, 이송된 분말접착제는 상기 이송부(34)의 이송관(35) 내에서 회전하는 이송컨베이어(36)의 이송구(37)에 의하여, 상기 이송관(35)을 따라 상기 호퍼(32)로 이송, 투입되어, 낙하된 분말접착제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사용지의 전면에 살포된 분말접착제는,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40)를 통과하게 되어, 상기 회전축(41)에 돌출된 유연한 소재의 타격편(42)으로 전사용지의 표면을 타격하기 때문에, 전사용지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사용지의 인쇄부분 이외에 살포된 분말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말접착제 제거부재(40)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에어클린부재(50)로 이송되어 상기 회전팬(51)으로 인하여, 전사용지 표면의 분말접착제를 상기 배출관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클린부재(50)를 통과한 전사용지(P)는, 상기 건조부재(60)의 히터(62)에 의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부(61)를 통과하면서 전사용지 표면의 분말접착제를 인쇄부분에 융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부재(60)의 흡입부(62)에서 일정길이로 이송되는 전사용지가 장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늘어지고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흡입부(62)가 구동하게 되면, 전사용지는 상부로 밀착되어 수평 상태로 이송되어 상기 건조부(61)를 통과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부재(60)를 통과한 전사용지(P)를, 상기 전단부재(70)의 에어냉각부(71)에서 강제공냉으로 경화시키고, 상기 커터부(72)를 이용하여 적정 길이로 절단하게 되면 전사지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터(73)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권취축(11)에 권취된 전사용지(P)를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각 부재에서 연속적인 작업공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전사지의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사지 제조장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b을 참조하면,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S100)은, 먼저, S110에서 전사용지를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권취된 전사용지를 체결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권취축(11)을 형성한 권취부재(10)를 구비한다.
S120에서 전사용지를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부재(20)를 구비한다. S130에서 인쇄된 전사용지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는 살포부재(30)를 구비한다. S140에서 전사용지의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제거하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제거부재(40)를 구비한다.
S150에서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40)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분말접착제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클린부재(50)를 구비한다. S160에서 전사용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건조부재(60)를 구비한다.
S170에서 전사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전단부재(70)를 구비하고, S180에서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80) 구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사지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전사지 제조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220)을 개시한다. 상기 고정모듈(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2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2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2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2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2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2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2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은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10동체(2223)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9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20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2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1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 유동체(2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2는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2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2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은 상기 플레이트부(2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2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2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2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2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2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2231a1)와, 상기 본체부(2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2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2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2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2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2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2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221)는, 상기 제1 가압체(2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221a)와 상기 바닥부(221)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221b)와 상기 바닥부(2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기 제3 가압체(2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2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211b)와, 제2 본체부(2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2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도 23은 도 8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3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 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a와 도 25b, 도 26a와 도 2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를 거치하도록 지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410)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는 코일스프링(4100)과 하부하우징(4200), 하부지지체(4300), 상부하우징(4400) 및 상부지지체(4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스프링(410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하우징(4200)은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된다. 하부하우징(4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하부플랜지(4210)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과 하부플랜지(4210)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차가 하부플랜지(4210)의 하단에서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까지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4211)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하우징(4200)의 바닥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지지체(4300)는 하부하우징(4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을 받치고, 하부지지체(4300)는 하부하우징(4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지지체(4300)와 하부하우징(420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43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하부받침돌부(4310)가 돌출되고, 하부받침돌부(4310)는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00)을 받쳐서 지지하며 코일스프링(4100)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부받침돌부(4310)가 삽입되어 하부받침돌부(43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되었다시피 하부받침돌부(4310) 역시 하부지지체(4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4300)와 하부받침돌부(43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도 형성가능하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언급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요약공업재료 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해 금속을 대체할 수 있고, 내열온도 80℃이상, 강도 49㎫이상, 굽힘탄성계수 2.4㎬ 이상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구조의 수지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강도·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내마모성·내열성·내한성·내약품성·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다. 또한 일반 플라스틱은 절연성을 특징으로 삼고 있었는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분자의 조립법에 따라서 도전성을 지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한다. 상부하우징(4400)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한다. 상부하우징(4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상부플랜지(4410)가 돌출되고,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27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4400)이 베이스몸체부(1110)과 결합했을 때,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은 상부플랜지(4410)의 상면과 마주보고,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과 상부플랜지(4410)의 상면과 서로 맞닿았을 때 상부플랜지(4410)는 베이스몸체부(1110)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설치되고, 볼트(4412)가 고정편(44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며 상부플랜지(44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상부플랜지(44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치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하부하우징(4200)을 향한 내측 끝단이 호선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고정편(4411)의 내측 끝단의 곡률반경은 하부하우징(4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4210)의 곡률반경의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본 발명이 수평면에 놓여있을 때 단차가 형성된 위치, 즉경사곡면(4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4411)이 상부하우징(44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은 서로 이탈이 방지되고,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제거되어야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은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4100)은 상부하우징(4400)과 상부지지체(4500)의 하중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라 압박을 받고 있으므로, 고정편(4411)과 경사곡면(4211)이 맞닿아 있으면 본 발명을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상부하우징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4411)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가능하다. 도 27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4400)이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예컨대, 나사결합 등)하고, 수평이 아닌 바닥에서 상부하우징(4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420)에 의해 베이스몸체부(11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다.
도 28(a)는 상부하우징(4400)의 상부에 베이스몸체부(1110)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경우 베이스몸체부(1110)와 상부하우징(4400)이 별도의 결합수단 예컨대, 흡착판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28(b) 내지 도 28(d)는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4400)이 별도의 브래킷(42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지만, 본 상세한 설명에는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하우징(4400)이 삽입되어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브래킷(4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지지체(4500)는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에는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4510)가 포함되어 설치되되, 상부받침돌부(4510)는 상부지지체(4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부받침돌부(4510)가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와 상부받침돌부(45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상부지지체(4500)와 상부받침돌부(45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하지만,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부에 오목부(4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4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4430)에 볼록부(4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또는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는 볼록부(4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4530)가 형성되어, 오목부(4530)에 볼록부(4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점접촉을 하여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접점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해 접점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 또는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이 설치된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놓여진다면 본 발명이 기울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코일스프링(4100)이 좌굴되면(휘어지면) 진동 흡수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받침돌부(4310)와 상부받침돌부(45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을 방지하고, 본 발명이 측정장비나 관측장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 천정과 상부지지체(4500)의 점접촉을 통해 진동이 연직(4鉛直)방향으로 코일스프링(4100)에 전달되므로 진동흡수가 코일스프링(4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상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하부하우징(4200)의 바닥 상면에 하부지지체(4300)를 설치하고, 바닥 하면에 미끄럼방지부재(4220)를 설치한다 하부하우징(4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부플랜지(4210)가 바깥으로 돌출되며, 하부플랜지(4210)는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과 단차를 이루되, 상기 단차는 하부플랜지(4210)의 하단과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을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4211)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압축 코일스프링(4100)을 하부하우징(4200)에 수용시키되, 하부지지체(4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미리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하부받침돌부(4310)가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 내측과 하부받침돌부(43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상부받침돌부(4510)가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 내측과 상부받침돌부(45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하우징(4400)이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도록 덮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와 상부지지체(4500)는 당연히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부하우징(4400)은 하부하우징(4200)의 하부플랜지(42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하우징(4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4410)가 형성되며, 상부플랜지(4410)의 상방으로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설치되되, 고정편(4411)에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 되어 볼트(4412)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편(4411)은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 기타 다른 방식(4예컨대, 접착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하부하우징(4200)의 경사곡면(4211)을 향한 내측 단부가 하부하우징(4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4210)의 곡률반경 사이의 값을 갖는 호선형이고 내측 단부가 경사곡면(4211)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오목부(4430)보다 작은 꼭지각을 갖는 볼록부(4520)가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삽입되며, 오목부(4430)와 볼록부(4520)가 각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오목부(4430)와 볼록부(4520)가 각 꼭지점에서 점접촉을 하므로 접점을 통해 연직방향으로 코일스프링(4100)에 진동이 전해져서 코일스프링(4100)은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볼록한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볼록부(4440)보다 큰 꼭지각을 같는 오목부(4530)가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볼록부(4440)가 오목부(453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상부하우징(4400)을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의 관통공은 상부하우징(4400)의 나사산(4420)과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4400)은 나사결합하고, 이로 인해 수평이 아닌 바닥면에서도 상부하우징(4400)의 회전을 통해 베이스몸체부(1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몸체부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고 측정 또는 관측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므로 더욱 정밀한 측정 또는 관측이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상부하우징(4400)은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 코일스프링(4100)은 압축되고,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이 아닌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까지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4400)이 장비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의 점접촉으로 인해 복수개의 고정편(4411) 중 일부가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4211)에 닿게 되어 상부하우징(4400)이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4211)에 맞닿은 고정편(4411)이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의 접점을 기준으로 낮아지는 만큼 마주하는 고정편(4411)은 들려지게 된다. 만약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었다고 하더라도,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가 점접촉을 이루어 하중과 진동은 연직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탄성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진동 흡수가 가능하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4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4200)과, 상기 하부하우징(4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구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의 바닥면에서 세로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4330)이 형성된 하부지지체(4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4400)과, 상기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지지체(4300)의 가이드홀(43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상부받침돌부(4510)가 형성된 상부지지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체(4300)의 상단이 개구된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가이드홀(4330)이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체(45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부받침돌부(45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코일스프링(4100) 내부를 관통하고, 하부지지체(4300)에 형성된 가이드홀(43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므로, 상부받침돌부(4510)가 가이드홀(4330)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4100)은 상부받침돌부(4510)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같이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부에 오목부(4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4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4430)에 볼록부(4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는 볼록부(4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4530)가 형성되어, 오목부(4530)에 볼록부(4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0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흡수 댐퍼(410)는, 코일스프링(4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4200)과, 상기 하부하우징(4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4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4400)과, 상기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4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체(43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4310)와, 상기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4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돌부(4310)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4311)와, 상기 제1 중앙몸체(4311) 양측으로 제1 브릿지(43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4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몸체(43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4311)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4510)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4511)와, 상기 제2 중앙몸체(4511) 양측으로 제2 브릿지(45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4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몸체(45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4511)로부터 진퇴 유동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411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411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4113)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4110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4111m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기 제1-1 자력부(4110m1)가 상기 제1-2 자력부(4111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1 자력부(4110m1)와 상기 제1-2 자력부(4111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4112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4112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기 제2-1 자력부(4112m1)가 상기 제2-2 자력부(4112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1 자력부(4112m1)와 상기 제2-2 자력부(4112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4113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4113m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상기 제3-1 자력부(4113m1)가 상기 제3-2 자력부(4113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4113m1)와 상기 제3-2 자력부(4113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상측에 제3-3 자력부(4113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4113m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4111)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4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4113m3)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4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4112m3)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4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4113m3)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4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4112m3)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된다.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에는 결속부재(E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는 제3-1 자력부(4113m1)와 제3-3 자력부(4113m3) 사이 또는 기타 주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 플라스틱, 금속 재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폐 기능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부재(EM1)는 영구결합 또는 착탈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상기 제3-1 자력부(4113m1) 상에는 소정의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SN1)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3 자력부(4112m3) 상에는 소정의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SN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EM1)는 특정부만이 아니라 기타 필요한 다양한 위치 상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권취부재 11 : 권취축
20 : 인쇄부재 21 : 이물질제거솔
22 : 인쇄기 23 : 정전기제거기
30 : 살포부재 31 : 로울러
32 : 호퍼 33 : 컨베이어
34 : 이송부 35 : 이송관
36 : 이송컨베이어 37 : 이송구
40 : 분말접착제 제거부재 41 : 회전축
42 : 타격편 50 : 에어클린부재
51 : 회전팬 52 : 배출관
60 : 건조부재 61 : 건조부
62 : 히터 63 : 흡입부
70 : 전단부재 71 : 에어냉각부
72 : 커터부 73 : 모터

Claims (18)

  1.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전사용지를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권취된 전사용지를 체결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권취축을 형성한 권취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인쇄된 전사용지에 분말접착제를 살포하도록 하는 살포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의 표면에 분말접착제를 제거하도록 하는 분말접착제제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분말접착제 제거부재에서 이송된 전사용지의 분말접착제를 흡입하도록 하는 에어클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건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전사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는 전단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및
    장치를 구동, 제어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지 제조장치는,
    저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과,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흡수 댐퍼는,
    코일스프링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와,
    상기 제1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1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와,
    상기 제2 중앙몸체 양측으로 제2 브릿지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몸체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고,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는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84283A 2017-12-29 2017-12-29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KR10188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83A KR101889233B1 (ko) 2017-12-29 2017-12-29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83A KR101889233B1 (ko) 2017-12-29 2017-12-29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233B1 true KR101889233B1 (ko) 2018-09-20

Family

ID=6371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83A KR101889233B1 (ko) 2017-12-29 2017-12-29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39B1 (ko) * 2019-01-07 2019-09-02 공대환 염색 가공설비를 이용한 원단염색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50B1 (ko) * 2008-07-17 2010-12-17 이종원` 전사지의 제조장치
KR101670277B1 (ko) 2014-09-25 2016-10-28 조양근 진동 흡수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50B1 (ko) * 2008-07-17 2010-12-17 이종원` 전사지의 제조장치
KR101670277B1 (ko) 2014-09-25 2016-10-28 조양근 진동 흡수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39B1 (ko) * 2019-01-07 2019-09-02 공대환 염색 가공설비를 이용한 원단염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577B1 (ko)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889233B1 (ko) 전사지 제조장치 제작방법
CN214727528U (zh) 一种喷码精确的喷码装置
CN207058236U (zh) 一种大理石加工专用的双面抛光机
KR101889234B1 (ko) 전사지 제조장치
CN103863788A (zh) 定量输送物料的传送装置
KR100967800B1 (ko) 도료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무늬 시공 방법
KR20170046208A (ko) 헤드라이너 가장자리에의 글루 도포장치
CN210214119U (zh) 一种可快速上下运动的码垛机结构
CN102179844A (zh) 一种自动螺钉压入设备
CN205347741U (zh) 一种自动喷涂系统
CN114472028B (zh) 一种组合衣柜生产用喷漆装置
KR100954868B1 (ko) 스크린의 워터 제트 청소장치
CN207357472U (zh) 喷涂工件自动旋转的自动化喷涂生产线
CN216544385U (zh) 一种塑料注射成型机的高效加料装置
KR101721434B1 (ko) 화장재 충진장치
CN206328134U (zh) 一种分流式灌装喷头
CN211195454U (zh) 一种肥料生产用喷码机
KR101688369B1 (ko) 곡관 내경 코팅장치
CN113725124A (zh) 一种led贴片支架全面封装机构及其封装的方法
CN212953133U (zh) 一种新型建筑砖块用多功能码垛机
KR101415291B1 (ko) 목재 측면 코팅장치 및 이를 채용한 목재 측면 코팅 시스템
CN102921592B (zh) 滚涂机自动滚胶装置
CN206765234U (zh) 一种注塑机用的振动式料仓
CN207061105U (zh) 一种节能灯移印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